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남자 연예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남자 연예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영화 제목에 지명을 썼는데 거기 사람들이 싫어하면 어쩌지 ㅇㅇ
- 케데헌 속편이 나온다면 꼭 다뤄야할 중요한 삭제장면 ㅇㅇ
- 백사장 백종원 모로코 장사 사건...jpg ㅇㅇ
- [단편] 우주의 끝에서 쇠마치
- 시내버스가 횡단보도 돌진…2명 사망 준뽀루
- 현대차 울산공장... 신축 기숙사 ㄷㄷ...Jpg ㅇㅇ
- 본인... 경찰에 잡힌 이야기.manhwa 나나니
- 홋카이도 마지막 Sore
- 군침군침 실제 씨름부 회식 장면 수인갤러리
- 지금 여초에서 대발작 중인 남초 글.jpg ㅇㅇ
- 야밤에 사진 투척 (고양이,갈매기,일몰 등등) 패닉셀
- 최근 한국군 끔찍한 사건... 비참하게 죽어버린 일병..jpg 대갓염
- 단톡방에 야1짤 보내버린.Manhwa 자몽다
- 대전 '교제살인' 피의자 26살 장재원 신상공개 수능디
- 일본에서 일어났다는 역대급 시위... jpg ㅇㅇ
대회)니가와는 훌륭한 전략이다 - 아머드코어 6
반갑다 개중붕들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자 오늘 내가 바이럴할 겜은 이름하여 아머드코어 6 루비콘의 화염 되시겠다 ...라고하나 아머드코어는 기본적으로 싱글 스토리가 메인이며 6편의 스토리 플레이타임은 50시간정도이다 그정도의 분량을 하나의 글에서 전부 소개하는건 무리가 있다 하지만 전작 엘든링과 다크소울처럼 이 게임에도 pvp가 존재한다 그렇다 오늘 바이럴할건 아머드코어 6 pvp다 겜안분 중붕이들을 위해 간단히 게임을 설명하자면 위의 사진에 있는 로봇을 자기가 직접 커스터마이징해 출격하여 싸우는 게임이다 무기, 팔 다리 몸통 기본적인건 물론 로봇의 부스터, 제너레이터, 시스템 등등 전부 취향대로 커스텀 가능하다 자세한건 이따 pvp에서 설명하겠다. 그렇다면 이렇게 생각하는 중붕이도 있을것이다 "가장 강력한 부품을 달면 최강의 로봇이 되는것이 아닌가?" 그렇다 이 게임에도 최강의 무장이 하나 있다 상대에게 근접하여 강력한 한방을 날리는 근접무기 를 막는 쉴드 되시겠다 실제로 pvp랭킹 1등이 인정한 제일 사기무장이 쉴드다. ..그리고 이것이 내 로봇이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손에 든 커다란게 레이저 총이고 반대손에 든 작은게 권총 어깨에 미사일 하나 쉴드 하나씩 달려있다 "중붕아 위에 로봇은 어디가고 병신같이 생긴게 있니" 안타깝지만 이 게임은 성능과 외형은 반비례하나 보다 pvp랭킹 1등이 쓰는 커스터마이징을 그대로 가져온거다 자 그러면 실전으로 넘어가자 첫번째 상대는 양손에 헤비샷건을 들고 추가로 근접무기를 들고왔다. 근접전에 강한 커스텀이며 접근을 허용하면 화력이 밀려 패배가 예상된다 하지만 문제없다 중붕이에겐 쉴드가 있다 게임시작 동시에 빠르게 맵 중앙으로 향해준다 이유는 근접전에 강한 상대라고 뒤에 짱박혀 있으면 맵 경계선에 걸려 오히려 도망칠 곳이 없어진다 참고로 허공에 총쏘는건 인사의 의미다 저 헤비 샷건은 공격력과 충격력이 매우 강하다 그러나 몇가지 파훼법이 있다 상대의 양손에 들려있는 샷건이 보이는가? 평상시 이동할때는 저렇게 땅을 향해 총구를 내리지만 발사직전 반드시 총구를 겨누는 모션이 발생한다. 바로 저걸 보고 타이밍에 맞춰 쉴드를 전개하는거다 틀니 중붕이가 아닌 이상 아주 쉽게 따라할수 있다. 이런식으로 쉴드로 상대의 공격은 방어하면서 동시에 나는 공격한다 사기가 아닐래야 아닐수가 없다 열심히 딜교한 끝에 상대가 "스태거" 상태에 걸렸다 상대가 공격을 받아 머리위에 노란색 게이지가 전부 차서 빨강이 된 상태다. 스태거 상태가 되면 잠시 스턴에 걸리고, 받는 피해량이 증가한다 아머드코어 6 pvp의 기본적인 룰중 하나이다 중붕이는 스태거 상태의 적에게 레이저 빔을 한대 때리맥이고 바로 삼십육계줄행랑을 튀어준다 그렇다 더럽고 치사하게 빤스런이다 이렇게 빤스런을 튀어줌으로써 니가와가 성립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니가와는 훌륭한 전략이다. 치사해보이지만 승부의 세계는 차갑다.. 빤스런 치지마자 무섭게 따라붙는 상대 하지만 어림도 없다 중붕이에겐 쉴드가 있다 ..허나 상대와 동시에 스태거 상태에 빠진다 하지만 괜찮다 이미 상대와 체력차가 매우 벌어졌으며 중붕이에겐 필살기가 하나 남아있다 바로 펄스아머 전개다 한 라운드 당 단 한번만 사용할수 있으며 현재 스태거 상태를 전부 초기화, 동시에 배리어를 생성한다 상대도 펄스아머를 펼쳤다 배리어는 당연히 공격을 받으면 깎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라진다 그러기에 중붕이는 뒤로가기 키 꾹 누르며 니가와 시전하면서 발사 버튼만 누르면 이긴다. 케이크 먹듯 쉽게 1라운드 승리를 가져간다 pvp는 3판 2선승이다 허나 2라운드는 사소한 찐빠로 패배했으나 마지막 셋째판에서 똑같은 니가와 전법으로 중붕이가 승리를 가져간다. 여기까지가 대략적인 pvp였다. 지금 내가 쓰는 커스텀 이외에도 다양한 커스텀이 있다 예를들면 경량기체의 빠른속도로 모든 공격을 회피하는 커스텀, 고중량 고화력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커스텀 등등 다양한 커스텀으로 pvp를 즐길수 있다 하지만 이 게임의 진짜 재미는 스토리 밀기에 있으며 pvp는 스토리 단물 다 빨아먹고 더 할거없나 하는 사람들을 위해 존재하는게 사실이다... 그래도 은근 재밌다 실은 소개하려고 했던 상대가 2명이나 더 있었지만 글이 지금도 충분히 길어 반응이 좋다면 글을 하나 더 싸도록 하겠다 반응이 좋다면.. 긴글 읽어줘서 고맙다 이기
작성자 : ㅇㅇ고정닉
기업들이 인기곡 저작권과 마스터권 살려는 이유
요즘 기업들이 나이먹은 유명 뮤지션들 상대로 이제 말년인데 편하게 돈 받고 파세요~ 하면서 무려 수천억~조단위를 일시불로 지불하면서 곡들의 저작권이나 마스터권 사가는 일이 늘어나고 있음 저스틴 비버, 케이티 페리 같은 애들은 수천억대 퀸 곡들은 무려 10억 달러 한화 약 1조 3000억원 조단위까지 제시 받은 상황 관심 없는 사람들 시선에서는 기업 ㅅㄲ들 미쳤나 돈이 넘쳐나나 무슨 저런 큰 금액을 한번에 주고 저렇게 사갈려고 미쳐있나 싶겠지만 사실 다 투자 가치가 있으니 수천억~조단위 주면서 사갈라고 하는거임 일단 요즘 대중음악에서 유행하는게 샘플링임 최근 샘플링으로 유명한 곡으로는 도이치의 anxiety 빌보드 1위 했었던 이 예전 곡을 들고와서 샘플링으로 만들어낸거임 근데 당연히 원곡이 따로 있는걸 샘플링으로 만들어서 신곡을 뽑았으면 아주 당연하게도 원곡자 한테도 곡 수익을 나눠줘야 함 당연히 작곡 참여단에 원곡자 이름이 자동으로 들어가고 원곡자는 저작권료 달달하게 받아 먹음 반대로 말하면 기업이 인기곡들의 판권 저작권을 다 가지고 있으면 이런 샘플링 작곡에 자유롭게 가져다 쓸수 있음 말그대로 허락받고 쓰는 샘플링이니 표절논란에서도 자유로움 샘플링 사용 방법이 무궁무진 한거임 거기다 정말 세계적인 스타의 곡들은 아얘 영화를 따로 만들어서 쓸수도 있고 뮤지컬에도 쓸수있고 마음먹으면 기업이 활용 할수있는 곳이 다양함 특히 음원 수익은 저작권보다 마스터권이 중요한데 이건 어디까지나 국내 비율이라 해외랑 조금 다르지만 보통 해외 스트리밍 사이트가 30% 정도 먹고 나머지 70%를 로열티라고 해서 곡 주인들에게 줌 저기서 음반제작사라고 적힌게 마스터권 가진 쪽이라고 보면 됨 로열티중 대부분을 마스터권 가진 애들이 먹는거임 그 다음이 작곡한 저작권자 그 다음이 보컬 같은 실연자 사실상 음원 수익은 마스터권 가진 쪽이 짱인거 그래서 최근 뉴스 보면 위에 상황이라 정반대인 상황도 생겼는데 이미 저작권은 다 가지고 있던 테일러 스위프트가 기업 상대로 자기 옛날 곡들 마스터권까지 가질려고 딜 하다가 결국 3억 6천만 달러 한화로 약 5000억원 주고 자기 옛날 곡 마스터권 전부 사온 상황도 생김 기업들이 뮤지션들 상대로 사가는 입장에서 반대로 일개 뮤지션 한명이 기업 상대로 마스터권 사가는 상황이 생긴거 잘모르는 사람들 입장에선 이미 저작권도 있는 사람이 굳이 5000억원이나 줘가면서 사갈일인가 싶을거임 이게 테일러가 자신의 곡에 애정이 있어서 라고도 볼수있지만 결국 돈 계산 해보면 사갈만한 가치가 있으니 사간거 테일러 스위프트는 2023년도 한해에 스포티파이에서 받는 로열티만 1억 달러 약 1300억원이 넘는 수준이였고 여기에 애플 뮤직이나 유튜브 같은 다른 스트리밍 사이트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음 근데 위에서 설명한거처럼 결국 로열티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은 마스터권 가지고 있는 사람이 최고임 근데 이제 저작권과 마스터권을 전부 다 가지게 된 테일러 스위프트는 저 로열티들을 안나누고 거의 혼자 다 먹을수 있는거임 저런 로열티들을 계속 받는다고 생각하면 지금 당장은 5000억원이 손해일지도 몰라도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이득인거지 로열티는 평생 들어오니까 물론 이건 테일러 스위프트가 막 조단위로 돈을 버는 규격 외의 재력을 가진 뮤지션이라 가능한 상황이고 일반적인 인기스타 뮤지션들은 저런 상황을 만들기가 힘듬 수천억원을 한번에 지불할 재력도 극소수고 일반적으로는 기업이 안팜 테일러 곡도 원래는 기업이 팔 생각 없었는데 테일러가 계속 팔라고 압박 넣고 설득해서 가능했던 상황이라
작성자 : 메갤러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