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라인 사태, 플랫폼 없으면 AI 주권도 없다는 점 극명하게 보여줘

4갤러(119.149) 2024.05.17 15:26:29
조회 42 추천 0 댓글 0

최 부총장은 '문명을 읽는 공학자'라는 별명이 뒤따른다. 성균관대 학부와 대학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캐나다 워털루대학에서 기계공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진화론 심리학 디자인 인문학 등과 접목한 강의를 통해 대중들과도 밀접하다. 2014년 이후 기업 정부기관 교육기관 등을 대상으로 2500회 이상 강연을 해오면서 당면한 혁신 방안을 제시해오고 있다. 저서로는 'AI 사피엔스' '포노 사피엔스'외에 '체인지 9' '최재붕의 메타버스' 등이 있다.


(질문) 미중 간에도 AI 패권 경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어느 나라가 더 경쟁우위를 갖고 있다고 보십니까?

"저는 미중 간의 패권 경쟁은 AI 패권 경쟁이라고 봅니다. 미국은 전 세계 플랫폼을 장악했죠. 데이터 주권을 갖고 있어요. 엄청나게 유리한 조건입니다. 전 세계 인터넷 데이터 중 영어로 된 게 90%가 넘습니다. 그 엄청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AGI(일반인공지능)를 만든다고 하면 제일 똑똑한 건 영어를 바탕으로 학습한 AI가 되겠죠. 중국은 12억 인구지만 데이터가 전 세계의 3% 정도 됩니다. 앞으로 계속 늘어날 건 명확하고요. 미중의 대표적 전쟁이 반도체 전쟁이죠. 중국은 소프트웨어나 AI 이런 것들을 만드는 데 있어선 결코 뒤지지 않아요. 그런데 챗 GPT4 같은 경우 6000억개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갖고 연산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러려면 GPU를 안 쓸 수가 없습니다. GPU는 일반 CPU에 비해 100배에서 1000배 정도 빠른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GPU를 못 쓰는 국가에서는 그런 시스템을 만들 수 없는 거죠. 아예 개발이 안 되는 거니까. 범용적인 AI 관련한 논문이나 특허는 중국이 미국의 거의 두배입니다. 더군다나 공산당이 지배하는 나라는 개인정보 보호나 이런 거 없죠. 그래서 의료 안면·홍체 인식 등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AI 관련 연구는 훨씬 앞서 가요. 이거를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은 GPU 수출을 금지하는 거죠. 그래서 미국은 철저하게 GPU 수출을 막고 있으며, 중국은 반대로 최첨단 반도체 역량을 강화하는 데 온 힘을 쏟아붓고 있는 겁니다."

-(질문) 눈을 대한민국으로 돌려보겠습니다. 한국에도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적지 않은데 AI 산업의 경쟁력은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

"전 세계 데이터 중 한글로 돼 있는 게 0.3% 정도 된다고 해요. 이것도 무시 못할 수준이죠. 세계적으로 봤을 때 국가의 고유 플랫폼을 갖고 있고 데이터 주권을 갖고 있는 나라가 흔치 않아요. 미국과 중국외에 러시아 우리나라를 빼고는 별로 없어요. 생성형 AI를 연구하고 그걸 키워나갈 수 있고 앞으로 주권도 가질 수 있는 나라가 별로 없다는 뜻입니다. 솔직히 말해 일본이나 유럽은 미래가 없어요. AI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 주권도 없고 플랫폼도 없고, 더군다나 제일 중요한 게 국민이 잘 안 쓰려고 합니다. 데이터 축적이 없으니 그 분야에서의 AI를 개발하는 게 불가능하고 그러면 결국 남의 거 갖다 써야 되니까 종속될 수밖에 없겠죠. 그런 관점에서 보면 우리나라가 상당히 괜찮다고 봅니다. 미국 입장에서 한번 볼까요? 중국과 패권 전쟁에서 파트너 국가로는 누가 있을까요? 일단 생성형 AI 소프트웨어를 잘하는 나라는 미국 중국 우리나라입니다. 다르게 보는 시각도 있지만 2005년 네이버가 '하이퍼 클로버'라는 걸 발표했는데 그게 세계 세번째였어요. 수준 높은 풍부한 인력과 산업계 인프라도 있죠. 두번째 AI 반도체는 설계부터 제조까지 할 수 있는 나라가 한국 미국 대만 등 딱 3개 나라밖에 없죠. 미국 입장에서 이게 결국 미래 패권의 키입니다. 그래서 최근 자국 내에 반도체 생산의 설비를 갖겠다고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잖아요. 미국이 딴 건 몰라도 패권에 관해서는 양보가 없는 나라입니다. 중국을 견제해야 되고 동맹을 삼기에는 한국과 대만이 되게 좋은 파트너인 거죠. 그런데 미국 입장에서 보면 한국은 중국의 파트너일까요, 미국의 파트너일까요? 정권에 따라 왔다 갔다 한단 말이죠. 이걸 교묘하게 이용하는 나라가 저는 일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중국이 패권을 갖는 걸 막으려면 우리가 방파제라며 TSMC가 일본에 제조 공장을 짓게 만든 거라고 저는 봅니다. 한국이 이렇게 좋은 상황을 잘 활용하면 어마어마한 자본이 대한민국에 투자될 가능성이 크죠. 또 하나 대한민국이 유망한 분야가 온디바이스 AI입니다. 삼성에서 갤럭시 S24 볼트에다가 AI를 넣었죠. 보통 AI 서비스는 데이터가 서버로 날아가 연산을 해서 다시 옵니다. 우리가 챗GPT에다 질문을 넣으면 그 질문이 테스트하고 오픈AI서버로 날아가 거기서 엄청난 연산을 거쳐서 답이 나오면 그게 다시 오는데, 모든 서비스가 엄청난 연산이 필요하죠. 그래서 특화된 서비스를 해결할 수 있는 특화된 칩을 개발한 겁니다. 그래서 그걸 폰에 넣었어요. 그럼 거기서 돌아가는 전용 소프트웨어도 개발을 해야겠죠. 그걸 가우스라고 해서 집어넣었어요. 특정한 서비스를 빅 서버 없이 해결하는 거죠. 대표적인 서비스가 한국말로 하면 일본 스페인 영어 등 13개 국어로 실시간 번역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유튜브를 보다가 동그라미 딱 그리면 찾아주는 서클 투 서치 서비스도 그렇죠. 이게 꼭 폰에만 필요할까요? 이게 만약에 자동차에 들어가면요. 자동차하고 대화도 되겠죠.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에어컨도 여기 온도가 좀 높은 것 같아 좀 틀어줘 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가 다 가능합니다. 올해 CES에 갔더니 모든 전자기기에 AI를 탑재하겠다고 기업들이 발표했지만 그걸 실현하려면 전용 칩을 설계할 수 있는 회사, 그 안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는 회사 그리고 제조업 인프라가 다 있어야 합니다. 세계에 그 세개를 한꺼번에 갖고 있는 나라는 아마 미국하고 대한민국밖에 없지 않을까 해요. 오픈AI의 창업자 샘 알트만이 두 번이나 한국을 찾은 것도 그런 이유에서 일 겁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5663033 2024 중앙대 수시 입결 공개됨 [6] 4갤러(106.101) 06.01 284 9
5663030 성글리 top가능!ㅡ목포약 >서울약 [4] ㅋㅋ(118.235) 06.01 88 5
5663029 서울대가 성고연 관심없는건 맞는데 그러나 상위대학 취급은 해줌 4갤러(106.102) 06.01 85 8
5663028 서울대도 학부대학 & 스마트시스템과학부 신설 [1] ㅇㅇ(106.101) 06.01 89 0
5663027 이코노미스트지 오피셜 서열 [10] 4갤러(211.112) 06.01 537 22
5663026 중앙대훌리 많은거같은데 [6] 4갤러(39.7) 06.01 131 5
5663025 서울대 애들은 솔까 연고대 관심 없다. [1] 4갤러(14.63) 06.01 81 3
5663024 한양대 서강대가 중위권 대학 위치도 불안한 이유 [1] 4갤러(106.102) 06.01 103 9
5663023 한양대ㆍ서강대가 중위권대학인 이유 [3] 4갤러(106.102) 06.01 92 8
5663022 오늘 시립대 근처로 처음 와봤는데 [8] 4갤러(211.246) 06.01 153 2
5663021 에휴...난 솔직히 여기 애들 애잔하다. [15] 4갤러(14.63) 06.01 239 7
5663020 진명문/준명문/비명문사학 ㅇㅇ(223.62) 06.01 80 1
5663019 ○○○○○○카드값이 밀렸을때○○○○○○ 4갤러(182.237) 06.01 22 0
5663018 화냥 훌리새키들이 제일 많구나 [3] 4갤러(128.134) 06.01 71 11
5663015 "광주 복합쇼핑몰 입점 반대합니다"… 이재명, 5년 전엔 이렇게 말했다 [1] ㅇㅇ(14.46) 06.01 69 4
5663014 경희대 훌리들은 이렇더라 [1] 4갤러(14.46) 06.01 76 5
5663013 경희대 포스지리는게 ;;;; 4갤러(14.46) 06.01 105 9
5663012 경희대 입결 위상 고속상승중 [4] 4갤러(14.46) 06.01 165 8
5663011 중앙대 신공학관 올해 착공할까? 안할까?? [6] 4갤러(106.101) 06.01 148 4
5663010 대학가에 만연한 신서열 version [2] 4갤러(14.46) 06.01 209 7
5663008 연구형 대학? 성균관대학vs한양대학 SEOUL [18] ㅇㅇ(223.62) 06.01 156 4
5663007 영업과 현장 인력을 탄력적으로? 시공 품질 논란과 중대재해 리스크? %(211.36) 06.01 20 0
5663006 조국혁신당 “尹 축하난 거부가 옹졸? 尹이 옹졸·쫄보” [1] ㅇㅇ(14.46) 06.01 43 1
5663003 [단독] 인도 출장 식비, 김정숙 가자 10배 가까이 늘었다 [2] ㅇㅇ(14.46) 06.01 62 4
5663002 지거국은 어디와 같을까? 누백알리미(175.223) 06.01 113 2
5663001 언론이 보는 최신 주요 대학 [4] 4갤러(223.62) 06.01 314 14
5663000 헬렌 / 코핌 입결 순위 [3] 4갤러(223.62) 06.01 167 1
5662999 [단독] 김정숙 인도 순방, 기내식으로만 6292만원 먹어없앴다 [3] ㅇㅇ(14.46) 06.01 94 2
5662998 서열 의미 없어짐 [1] 4갤러(211.36) 06.01 77 1
5662997 어떻게 종합대학이 학부생:대학원생 비가 이렇게 나오냐 [1] ㅇㅇ(223.62) 06.01 86 1
5662996 성대 학부생 비율이 이렇게 높은데 연구형 대학 맞음? [7] ㅇㅇ(223.62) 06.01 170 3
5662995 윤도창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4] 4갤러(223.39) 06.01 71 4
5662994 윤도창 코팜 헤벌레 입시좃문가인 확실한 이유 [1] 4갤러(223.39) 06.01 73 4
5662992 나 성대 인사캠인데 [2] ㅇㅇ(223.33) 06.01 128 2
5662990 다군 똥 받아먹던 중성 이제 망한 거냐? [10] ㅇㅇ(223.33) 06.01 321 24
5662989 코핌님 다시 올려줘요 [3] ㅇㅇ(175.223) 06.01 119 0
5662987 건동홍 아웃풋 비교! 4갤러(223.62) 06.01 69 1
5662984 이젠 성글경 떨어지고 설정외 갈 듯 [5] ㅇㅇ(116.122) 06.01 153 12
5662983 서울대학이랑 같은 군이 아니라는 거 자체가 ㅇㅇ(211.227) 06.01 58 1
5662982 성정증명서 발급 주말에는 힘드냐 학번이랑 비번모르는네 4갤러(223.39) 06.01 20 0
5662981 성균관대학교 축제의 위엄 [1] ㄴㅇㅀ(123.111) 06.01 141 5
5662980 “대출 없이 현찰로 아파트 쓸어담았다” 왕서방, 한국 집 5만채 보유 - ㅇㅇ(110.8) 06.01 56 0
5662978 더이상 대학서열 매길 이유도없음 4갤러(223.33) 06.01 114 2
5662977 윤도영/코핌/헬린ㅡ입시전문가들의 대학 순위.jpg [2] (223.38) 06.01 83 5
5662975 똥파리 그러면 지들인줄 알드라 ㅋㅋㅋㅋ 쥰내웃김 [3] 4갤러(211.234) 06.01 58 2
5662974 모든걸 따라하는 따라대 sk대 결국 표절논란 ㅇㅇ(118.235) 06.01 128 2
5662973 다군은 옛날로 치면 [6] ㅇㅇ(223.62) 06.01 119 3
5662972 天下四絶 이라는 이름에 빛나는 성균관대학교 [2] ㅇㅅㅇ(123.111) 06.01 160 8
5662971 상위권 대학 기준 [1] ㅇㅇ(59.18) 06.01 163 4
5662968 헬린아 여가잇는애들 다 너 싫어한다 [1] 4갤러(221.151) 06.01 103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