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책 보는 방법.

(121.182) 2009.10.07 22:53:16
조회 429 추천 0 댓글 1


바둑도서를 어떻게 고르고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모든 공부하는 바둑팬들의 영원한 궁금증 중의 하나일 것이다. 게시판에 올랐던 팬과 문용직 박사(프로4단)의 글을 한가지 유익한 참고 자료로 올려본다.[cyberoro]

저는 32세의 나이에 바둑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저뿐만 아니라 저희가족 모두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주위에 바둑을 잘 두시는 분이 없어서 답답합니다.. 책을 사서 보려고 해도 어떤 책이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교재는 비디오가 적당할지, 인터텟, cd, 책 어떤것이 좋을지..

경험이 계신분들은 글 올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오로바둑 12급이구 저희 집사람, 처제는 이제 시작하려 합니다 from 바둑가족



답글 [문용직]

우연히 듣게 되었습니다.

모든 것이 그렇듯이, 길을 찾아간다는 것은 꽤 귀찮고 쉽지 않은 것입니다. 물론 누군가가, 앞서 걸어간 길을 세세히 알려주면 좋겠지요. 그러나 그 길이 또한 바른 길인지 여부도 사실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저도 지금,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잘 모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다음 몇 가지입니다.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무슨 책이 적당한지 저도 모릅니다. 서점에 가본지도 오래 되었거니와, 처음 배운지 30년이 넘어서 관심도 이제는 식었겠지요. 다만, 책의 바탕 이름보다는, 책의 편집이 잘 된 것을 고르면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내용에 신경쓰신 필자라면, 당연히 독자를 생각해서 - 그리고 자신의 자존심을 생각해서 - 편집 또한 스스로 감수하였을 것입니다.
앞서 말씀하신 분처럼, 현재 해적판이 많습니다. 그러나 일본책 중에서도 좋은 책이 많습니다.
바둑 책의 내용만을 볼 때, 우리 나라가 아직 일본을 따르지 못하고 있다고 저는 판단합니다. 우리 나라 책에도 이름만 빌린 어수룩한 책이 많지요.

2) 완벽한 책은 없습니다. 위험을 감수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도박까지는 아닙니다. 스스로 판단하십시오. 잘 못 선택하였을지라도 그런대로 읽을 만할 것입니다. 완벽한 책은 없다는 것을 전제하십시오.

3) 처음 배우시는 분들은, 입문용이나 초급용을 보셔야겠지요. 제가 권해드리는 것은, 12급 두시는 분이 골라드리십시오. 무엇보다 믿음과 애정이 갈 것입니다.

4) 책을 볼 때, 모르는 부분이 있더라도 - 이것은 입문자나 12급 모두에게 해당됩니다 - 그냥 넘어가십시오. 책의 한계 때문인지, 또는 독자의 한계인지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끝까지 읽어가십시오. 그러면 다른 세계가 열릴 것입니다. 연필로 체크할 필요는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5) 책을 일단 - 의문이 해결되지 않을지라도 - 전체를 읽는 것은 중요합니다. 바둑은 논리적인 게임이지만, 부분을 설명하는데 논리적인 설명법을 적용한다는 것은 쉽지도 않거니와, 또 그런 책은 드물 것입니다.
지나치게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은 대단합니다. 그보다는, 모양을 기억하십시오. 패턴을 기억하십시오.

6) 사활이나 맥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것도 그냥 패턴을 한번 기억하는 것으로 넘어가십시오. 수학과는 약간 다릅니다. 수학도 기초적인 것은 정리를 그냥 대입하는 정도에서 넘어가지 않습니까.
사활의 답을 찾느라고 너무 시간을 허비하지 마십시오. 이는 특히 12급 분에게 드립니다. 1분 쯤 생각하다가, 에라 모르겠다! 답이나 보자. - 이것도 훌륭한 학습법입니다.

7) 처음 시작하시는 분은, 귀찮지만 돌을 반상에 놓아보십시오.

8) 12급 분은 2-3점 하수와 자주 두십시오. 실력이 느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상수만 가르쳐주는 것이 아닙니다. 약간의 반탄력 있는 하수는, 평소에 알고 있었던 것을 재인식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9) 책은 반복해서 보십시오. 눈에 선할 때까지 보면 좋지요. 시간은? 그렇게 많이 들지 않습니다. 처음에 가장 많이 들어가고, 점차 반복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이 짧아집니다. 그 다음에 다른 책으로 넘어가는 것도 좋으리라 봅니다.

10) 제가 프로지만, 제 의견이 반드시 맞을 이유는 없습니다. 저는 저보다 2-3점 아래를 가르치는 것이 제일 쉽습니다. 당연히 초보자가 제일 어렵겠지요.

11) 비슷한 책을 비교할 때 주의할 것은, 앞서도 말씀드렸다시피, 편집을 중시하는 것입니다. 제 기억에 일본책에서도 참 좋은 입문서가 있었습니다. 책의 목차를 비교하면 쉽게 구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12) 말이 많았습니다. 조그만 동산만 올라가면 꽃길이 넓게 펼쳐 있겠지요. 약간만 인내하십시오. 잘 둘 필요는 없고, 즐길 수 있으면 좋습니다.
입문을 넘어서면, 12급을 넘어서면 좋은 글, 하나 남기시기를 바랍니다.


p.s. 아 참, 저도 비디오나 cd에 대해서는 모릅니다. 다만 책에 대해서만 ...








수법의 발견 시리즈 등 여러 책을 썼던 바둑계의 학자이신 문용직 사범의 예전 글
초보자분 들중에선 굵은 글씨의 부분이 특히 뜻밖일수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5068 기보 플래시 링크가 안되네요. 아마 한꺼번에는 못 올릴 것 같습니다. [1] 도라지로(112.154) 13.01.26 70 1
15067 기보 올립니다. Zen4 20 sec VS Tygem 5D #2 도라지로(112.154) 13.01.26 87 0
15065 기보 올립니다. Zen4 20 sec VS Tygem 5D #1 도라지로(112.154) 13.01.26 145 0
15064 머리가 좋으면 바둑을 잘 두는게 아니라 ㅇㅇ(121.176) 13.01.26 184 0
15063 수근대사전.zip [4] ㅁㅁㄷㅁ(31.172) 13.01.26 14160 15
15062 넷마블 타이젬 급수 비교 [7] 쿠쿠니(39.7) 13.01.26 1045 0
15058 아따 글올리기 어렵네잉~ ㅡ.ㅡ; [1] 도라지로(112.154) 13.01.25 145 0
15056 타이젬 1급 [4] (112.149) 13.01.25 362 0
15052 질문에대한답변 동형반복실전사활 [4] 수읽기약해(119.202) 13.01.25 657 0
15051 귀로 밀고들어가는 끝내기의 가치... [1] 시크리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5 191 1
15050 끝내기책 추천... [1] 시크리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5 966 2
15047 타이젬 초단을 넘보는 제가 생각한는 바둑 [2] 랄리랄리라(1.237) 13.01.25 350 1
15046 바둑은 모양.. [1] 모양(183.106) 13.01.25 207 1
15045 두터움을 잘 활용한 명국 두판 ㅁㄴㅇㄹ(1.237) 13.01.25 173 1
15044 레알 이 정석 甲인듯 [3]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4 479 0
15043 여러분... [4] asdf(1.237) 13.01.24 141 1
15041 타이젬 바둑에서도 작국이 심한가요? [1] 내재된 틀(1.231) 13.01.24 227 0
15040 바둑은결국수읽기...ㅎ [36] 바두기(119.70) 13.01.24 677 1
15039 바둑 영화 '돌'나온다 [8]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4 362 0
15038 바둑이 활성화 되려면 스타크래프트처럼 팀리그 위주로 만드는게 낫지 않나효 [2] ㅇㅇ(58.145) 13.01.24 157 0
15036 사활문제 질문 드립니다. [15] ㅇㅇ(121.55) 13.01.24 286 0
15035 초반 포석단계에서 고민.. [14] (125.142) 13.01.23 289 0
15034 이 글에 대한 바둑인들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9] 포닥(182.215) 13.01.23 357 2
15033 바둑은 그사람의 인생이 투영된다. [5] 아이(58.229) 13.01.23 249 0
15032 기풍을 정의하는 것의 어려움 [15]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3 365 2
15031 오늘이 쉬는날인데 저도 여러분처럼 기보올리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ㅠㅠ [1] 나눔과배려(222.235) 13.01.23 130 0
15030 바갤은 소위말하는 바둑 초고수분들이 많은거같습니다. ^^ [2] 나눔과배려(222.235) 13.01.23 200 1
15029 바둑의 정석에도 명칭을 붙이자는 제안. [12]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3 318 0
15027 저의 기력향상 이론 [7]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2 635 2
15026 아 젠장 글쓰다가 다 날아갔다... [2]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2 109 0
15025 zen4 20sec의 타이젬 여정을 조금 더 해야할 것 같습니다. [16] 도라지로(112.154) 13.01.22 490 0
15024 저는 항상 여기까지는 모양이 나오는데 이제부터 분명히 망함 ㅠㅠ [18] 나눔과배려(222.235) 13.01.22 410 0
15023 옛날기보 재밌다 [1] 122(175.255) 13.01.22 227 0
15022 마샤오춘은 확실히 짜증나는 스타일이야 [3] 122(175.255) 13.01.22 298 0
15021 go9dan 이세돌바둑시작... ㅁㄴㅇ(211.105) 13.01.21 138 0
15020 지금하는 원익배 십단전 유익하네요 ㅅㅅ 나눔과배려(117.111) 13.01.21 95 0
15019 젠6단은 버티는듯한데. 뻘수두네요... 아직은 컴퓨터는 컴퓨터네요. [1] 플로터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244 0
15018 이세돌 치수고치기 10번기 外 [1] 쎈돌(211.105) 13.01.21 291 0
15017 이기는 바둑을 둘려면.... [11] 플로터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419 0
15016 내일밤 10시 g9dan에서 이세돌의 실시간 지도대국 [1] 쎈돌(211.105) 13.01.20 225 0
15015 타이젬 바둑사이트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내재된 틀(1.231) 13.01.20 106 0
15014 타이젬에서 같이두실 18급맞수분구합니다 [4] ㅈㅈ(1.225) 13.01.20 152 0
15013 화점정석에서요 [16] 나그네(59.24) 13.01.20 342 0
15012 화점에서 날일자 걸칠때 내가 걸친 쪽으로 낮게 날일자 받아올땐 [1] 나그네(59.24) 13.01.20 113 0
15011 어제 삼십분을 생각해도 못풀었던 초보사활문제 투척 ㅎㅎ [8] 나눔과배려(222.235) 13.01.20 383 0
15010 혹시 원익배 선전할때 나오는 메탈음악 제목아시는 분 계신가요? [3] 나눔과배려(117.111) 13.01.20 136 0
15009 타이젬 중국바둑이 확실히 강하네요 [2] 중국바둑(118.32) 13.01.20 236 0
15008 바둑 두다 만날 수 있는 흔한 중국인.jpg [4]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19 345 0
15007 제 공부방법이 뭔가 문제가 있는건 아닌지... [9] 나눔과배려(117.111) 13.01.19 354 0
15006 요새 기원에서도 바둑 많이 두나요? a(58.234) 13.01.19 10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