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도성일주-순성놀이

1866(118.37) 2011.02.13 16:48:44
조회 458 추천 0 댓글 3

설 명절이 끝나가는 토요일

도성길라잡이 이달수선생님의 제안에 따라

 도성일주를 감행했다.

 

최근 조선시대부터 순성(巡城)놀이라 하여

4대문을 잇는 서울성곽을 순회하는 풍습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우리가 정기적으로 치르고 있는 도성일주와 시민들에게 도성을 알리는 도성길라잡이가 

역사적 연원이 깊음을 알게 되었다.

 

명절을 맞아 도성일주의 의미를 되새기는 순성놀이를 떠나게 되었다.

 

흥인지문(동대문)에서 8시에 만나 시계방향인 목멱산(남산) 방향으로 출발하기로 했는데,

나는 집에서 늦게 출발하여 장충체육관 뒷편에서 합류하게 되었다.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과 청구역 중간지점이자 장충체육관 뒷편 언덕부터 출발하였다.

205A59544D510ADD0C1CEA

 

높은 성곽앞에 떨어지지 않고 마른 가을 단풍나무가 서있다.

175833544D510ADF10A239

 

잠시후 만난 일행이 앞서가고 있다.

1946C4544D510AE03AFCE3

 

타워호텔 뒷편에서 성곽 안쪽으로 유턴하며 내려다본 광경

평소 북한산이 멋지게 보이던 곳인데 짙은 안개에 숨어있고...

성벽을 경계로 권력의 영역과 시민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184380544D510AE142BFF6

 

성밖 옥수동쪽으로 아파트가 성벽처럼 늘어서 있다.

1353BE544D510AE21A978B

 

순성놀이 멤버들...

어른 여덟명에 5학년 어린이 한명... 총 아홉명.

165A30544D510AE3112630

 

타워호텔쪽 성곽이 공사중이라 자유센타를 가로질러 간다.

6.25이후 박정희정권때 건축가 김수근의 설계로 건축된 자유센타..

그곳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말하지 않는다. 다만 \'자유\'민주주의만 주장해 왔다.

205AFA544D510AE50B31CC

 

서울 성곽의 성돌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만들어진

냉전의 한 이데올로기 \'자유\'를 상징하던 자유센타는 이제 예식홀로 쓰여지고 있다.

20479F514D510AE61BBF54

 

자유센타 건너편 국립극장

그 뒤로 성곽이 이어진다. 

1142B1514D510AE9227954

 

국립극장 뒤 성곽을 오르는 길은 꽤 길게 계단길이 이어진다.

 그늘진 곳이라 눈이 쌓여있다.

1642BA514D510AEB22BF3F

 

지형을 따라 구비구비 이어진다.

143E61514D510AED2B97BE

 

143AFD514D510AEE350AED

 

꽃무늬 같은 성벽

154800514D510AF01806BC

 

성벽을 넘어가며...

206295574D510AF1251280

 

멀리 보이는 남산 송신탑

1561AE574D510AF32567DB

 

남산 팔각정 오르는 길에 성벽을 뚫고 자란 나무

176362574D510AF5237A63

 

남산 팔각정

우남 이승만이 \'우남정\'이라고 지었으나 그가 망명한 후 \'팔각정\'으로 살아남았다.

그는 하늘과 인간의 중간 도형, 팔각의 의미를 알고 지었을까?

 

남산 꼭대기, \'남산위의 저 소나무\'는 다 사라지고 팔각정만 남아있다...185EBB574D510C273425F4

 

12635F574D510C2824E400

 

19612E574D510C2A281A42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무수히 많은 사연으로 남산에 오른다...

남산에 오름이 평생의 기념인 사람도 있다.

116AC5574D510C2B1367B7

 

남산 중턱에서 내려다 본 서울시내

평소 서울시내 건너 백악과 그 뒤 북한산까지 보이는데 오늘은 안개가 가렸다.

서울이 좁아 보인다.

166600574D510C2C1F843D

 

17681E574D510C2E1A3B25

 

복원공사중인 숭례문

166AB7574D510C2F137629

 

중종이후 임진왜란, 병자호란, 청일러일전쟁, 일제침락, 6.25 전쟁 등

수많은 역사의 격변에도 500년이상을 꾿꾿이 지켜온 숭례문

 

단물만 빨아먹고 뒤감당 못하는 인간에게 당했다.

127F1A564D510C30033E86

 

새로 다듬는 돌과 자유센타 담장에 있던 성돌로 숭례문 옆으로 육축을 세우고 있다.

담이 없는 문은 문이 아니다.

20740E564D510C31140346

 

197334564D510C321733B4

 

숭례문 건너편 상공회의소 건물의 담장

지역 상공회의소가 그 지역의 돌로 제작한 머릿돌을 모아서 성곽처럼 쌓았다.

187405564D510C34150649

 

상공회의소 옆 길을 따라...

19706B564D510C351D6A04

 

역방향으로 도는 도성일주 안내판

136B74564D510C37273E21

 

최초의 개신교교회, 감리교 정동제일교회

1762F9574D510C3A266FE5

 

구한말의 정동제일교회

11092F3F4D54EDCA2FE665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 이화여고 교내에 있는 이화박물관

1915년 건축된 심슨홀을 개교 120주년을 기념하여 이화박물관으로 꾸몄다.

이곳에 \'이화\'의 유물과 유관순 누님의 교실이 재현돼 있다.

20635C574D510C3B24640E

 

서울성곽을 가로지르는 이화여고의 야외광장

사라진 성곽선이 계단 위쪽 선인지 아래쪽 선인지 의견이 분분하다...위쪽에 한표...

1667C3574D510C3C1B87C9

 

성바깥쪽에 위치한 이화여고 운동장을 빠져 나간다.

126348584D510E980E4E67

 

이화여고옆 담장길을 따라 성곽아래 부분이 남아있는 창덕여중 담장을 향해 간다.

1955A2584D510E992A0CCC

 

돈의문(서대문) 옆 강북삼성병원 안에 있는 경교장

임시정부의 주석 백범 김구선생이 안두희에 의해 저격당한 곳으로

오랜기간 병원건물로 사용되어 오다 최근 복원공사중이다.

115A1C584D510E9A19FF82

 

교남동 달동네를 철거하고 성곽주변을 공원으로 조성한 월암공원

부서져 있음이 더 역사의 상상력을 자극하건만...

 20세기형 매끈한 성돌로 깔끔하게 복원할려고 삽질중이다.

205A52584D510E9B1D43B7

 

성곽 안쪽 언덕위에 자리잡은 첫 기상관측소

이곳(종로구 송월동)에 첫눈이 오면 서울에 첫눈이 온 것이다.

첫눈오면 만나기로 한 연인과의 약속을 지키려면 이곳을 주목하시라...ㅋㅋ

19603A584D510E9C114F69

 

사직터널위에 있는 마을, 달동네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유명한 옥경이상회...

155E28584D510E9D16FCE4

 

옥경이상회의 경쟁상대인 할머니슈퍼...\'슈퍼\'하진 않은데...

186741584D510E9E07C87C

 

130D21524D510E9F20B286

 

사직동과 행촌동의 경계를 가르며 인왕산으로 올라가는 성곽

171174524D510EA019289C

 

행촌동 달동네 흔적이 남아있다.

1507F1524D510EA12B8A9F

 

인왕산 정상 바로아래 지점

12167E524D510EA10FF6C4

 

인왕산정상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짙은 안개로 가까운 경복궁도 숨었다.

1607FA524D510EA231EBEB

 

새해 첫날 의 광경은 이러했다.

144D64514D5111A2220B45

 

인왕산 턱밑에 자리잡았던 옥인아파트가 한동씩 철거되고 있다.

겸재 정선이 \'수성동\'이란 그림으로 묘사한 곳으로 인왕산의 깊은 계곡이었으나

지금은 주택들이 몰려들어 그 자취가 사라졌다.

180928524D510EA32D8748

 

새해 첫날 모습

185FE0544D5111C3179121

 

인왕산을 넘어 뒤돌아본 치마바위.

16108B524D510EA51CE547

 

북한산과 연결되는 탕춘대성의 기차바위...

그 뒤로 북한산 비봉능선이 병풍처럼 늘어서 있으나 안개속에 묻혔다.

11664B534D510EA61587D3

 

겨울내 성벽에 흐르며 쌓였던 얼음이 녹아내리고 있다. 

116C97534D510EA708BAFA

 

창의문으로 내려가는 급경사길

206C9B534D510EA706EDBC

 

그늘진 지역은 눈이 얼어 아직 미끄럽다.

18518A534D510EA9490584

 

자전부전(?)

176787534D510EA914F187

 

창의문앞 홍예스타일의 터널을 지나...

1257515A4D510F7A16BE60

 

창의문 홍예를 지나며...

1552A25A4D510F7B1D4F55

 

구비구비 능선을 따라 백악으로 오르는 성곽

15584E5A4D510F7C17C431

 

침입을 방어하는 성곽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백악구간에는 현대식(?) 초소가 있다.

초소에서 밤낮으로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125FF45A4D510F7D09A484

 

화강암을 계단처럼 쪼아 그 위에 성돌을 쌓은 가파른 곳

154E775A4D510F7E2303A6

 

백악을 너머 내려가며..

11503A5A4D510F80235BE1

 

성벽밑에 소화전(?)...왜 있지? 돌에 불날 일이 있나?

182B74554D510F81254C6E

 

성곽을 방어벽으로 하여 곳곳에 초소가 늘어서 있다.

1830A7554D510F82194EBF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라고 하는 북정마을

성곽과 달빛(Wall-月) 아래에서, 세대 간의 벽과 마음의 벽을 뛰어넘는(越-Wall) 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월월축제’를 마을주민들이 개최하고

마을풍경과 정겨운 이웃, 흥겨운 동네 축제 모습이 담긴 이색 달력을 제작하여 화제가 되고 있는 마을이다.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63)

132BD7554D510F832263AD

 

172D56554D510F831EBC57

 

어느덧 북정마을 뒤로 해가 너머가고 있다.

163073554D510F8419D17C

 

1931E4554D510F8515C232

 

162727554D510F872D4518

 

북정마을을 벗어나고 있는 일행들

197F8B594D510F88215048

 

혜화문을 지나 카톨릭대 담장역할을 하는 성곽을 지나며...

1274CE594D510F89365F7B

 

1178CE594D510F8931E15B

 

최근에 역시 성곽을 담으로 이용하던 달동네를 철거하고 산책로를 조성했다.

힘없는 자들이 먼저 쉽게 물러났는데 성곽을 깔고 앉은 서울시장관사는 언제 물러날까?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면 솔선수범이 필요할텐데...

127E8B594D510F8B257779

 

살아남은 달동네와 성곽

1969AD4C4D5121A31ECD0C

 

낙산을 넘고넘어 종착지를 향하여...흐릿한 두타가 고생했다며 맞이한다...신기루?

135F344C4D5121A4301E3F

 

서울의 대표적 경치를 꼽으라면...낙산의 낙조가 빠질 수 없다.

135FDA4C4D5121A52D3E1F

 

최후의 목적지 흥인지문

약 18km의 순성을 마쳤다.

125E674C4D5121A632853F

 

창신시장 구석의 창신막걸리

옛스러움과 홍어와 전이 잘 어울리며 회포를 풀는데 더없이 좋은 곳이다. 

11671C4C4D5121A81A3925

 

18602B4C4D5121A92C6F30

 

역사가 흐른다.

인간도 흐른다.

도성도 흐른다.

1560B14C4D5121AA2C3B27


< type=text/></>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공지 등산 갤러리 이용 안내 [76] 운영자 05.10.27 76728 28
196124 줄 대신 서주는 알바 이런 실제로 있냐? 줄서보는 알바 ㅋㅋ 등갤러(180.196) 02:05 12 0
196123 내가 반달곰 글 썼었는데 등갤러(112.163) 01:55 19 0
196122 어릴 때 내가 가진 항상 의문이 있었다. ㅇㅇ(223.38) 01:45 26 0
196120 걸그룹 손세라 레전드 사건 짤리기 전에 후딱 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 등갤러(110.70) 00:53 33 0
196119 이 후레시 어때여? [5] 등갤러(115.91) 00:01 74 0
196118 보통 등산하면 평속 몇나오냐? [7] 등갤러(115.160) 06.10 90 0
196117 슬개건염 이렇게 오래 아픈게 맞어? [1] ㅇㅇ(211.176) 06.10 34 0
196116 네파 하이플로우 쿠시 신어보신분 계신가요? 주렁주렁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4 0
196115 등산용 바람막이 이거 괜찮나용 [1] 등갤러(117.111) 06.10 91 0
196114 한계령코스가 봉정암올라가는 깔딱정도야? [8] 등갤러(223.38) 06.10 99 0
196113 커스텀 티셔츠 좀 봐줘 ㅇㅇ(211.176) 06.10 54 0
196112 앞산 전망대 끗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6 0
196110 대한민국 인공 폭포 최고는 이거 일듯 [2] ㅇㅇ(125.130) 06.10 139 0
196109 북한 자연 환경은 좀 탐난다 [6] ㅇㅇ(125.130) 06.10 143 0
196108 좆반도 치고 풍경 지리노 [8] ㅇㅇ(125.130) 06.10 179 1
196107 오늘 한라산 백록담 [3] 등갤러(211.235) 06.10 493 6
196106 촌놈 서울가는데 조언좀요... [11] 등갤러(211.243) 06.10 112 0
196105 물병파우치 왠지 케이블타이로 만들수있을거같은데? [7] 등갤러(223.38) 06.10 115 0
196104 너무 빨리 여름이다 [2] 1111(211.109) 06.10 76 1
196103 등산이 처음인데 설악산 많이 힘든가여? [10] 등갤러(122.46) 06.10 192 0
196102 견과류,초코바 계속 먹으면서 오르면 확실히 덜힘듬 [4] 등갤러(211.186) 06.10 123 2
196101 사당능선으로 관악산 갔는데... [3] 등갤러(118.235) 06.10 129 2
196100 형들 계룡산 높이보고 만만하게 갔다가 디질뽄 ㅎ [5] 등갤러(211.234) 06.10 126 0
196099 담배피다 걸리면 형한테뒤지는거다 [3] 도봉구자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04 0
196098 아니등산로 좀 벗어나서 전담펴도 상관없잖아 [2] 등갤러(175.199) 06.10 106 0
196097 산에서 담배 실컷 필수있는 법 [2] 등갤러(117.53) 06.10 130 0
196096 근데 솔직히 산에서 술담배 못하는거 괘씸하지않냐? [3] ㅇㅇ(223.39) 06.10 114 1
196095 난 1년에 등산 딱 12번만 가는데 [7] 등갤러(175.199) 06.10 138 0
196094 산에 전담은 가능하지? [9] 등갤러(175.199) 06.10 149 0
196093 전현직 발목 병신이다. [2] 에휴(211.234) 06.10 113 5
196092 정상인은 서울에서 등산 자전거를 안함 [5] 등갤러(211.36) 06.10 193 2
196091 희운각에서 공룡타면 [3] oo(118.235) 06.10 96 0
196090 한계령으로 올라서 공룡타고 백담사. [10] 등갤러(223.38) 06.10 106 0
196089 1년에 50번은 너무 하고 10번만 가자 [1] 등갤러(223.38) 06.10 95 0
196088 청계산 코스점 [6] 등갤러(125.141) 06.10 94 0
196087 수리산 어떠함 [4] ㅇㅇ(223.39) 06.10 88 1
196086 아차산 좆두부따위 싸다구 날리는 맛집 갈켜준다. [15] ㅇㅇ(223.38) 06.10 175 0
196085 내일 새벽에 사패산 갈 사람! 호암사코스 원점회귀! [14] 와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03 0
196083 산티아고 vs 칸네토 [14] 등갤러(211.246) 06.10 150 0
196082 산에 개븅신색기들 많은 이유 [21] 등갤러(117.53) 06.10 772 10
196081 이번주는 수락산. 등갤러(211.219) 06.10 51 0
196080 예전 여기서 본것 같은데 물이 다 떨어졌다고 해서 한모금 마시라고 줬더니 [4] 등갤러(211.219) 06.10 140 0
196079 예전 사패산 등산하는데 대학생 애들 등산하러 왔는데 [8] 등갤러(211.219) 06.10 185 1
196078 무릎보호대 압박어느정도로 감아야함? [9] 등갤러(118.235) 06.10 113 0
196077 네파 칸네토 신은지 8개월 좀 안됬는데 벌써 뒷꿈치 솔이 죽냐? [10] 주온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42 0
196076 소백산 갈때마다 물티슈 빌려간 사람 생각남 [6] 등갤러(220.120) 06.10 199 0
196075 속건성 긴팔 추천좀 [2] ㅇㅇ(106.102) 06.10 85 0
196074 발목없는 등산화 괜찮나요 [8] 학종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78 0
196073 등산 중 분명히 우측통행이라고 표지판에도 써져 있는데 [7] 등갤러(211.219) 06.10 11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