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테슬라 모델2 및 FSD 관련 정리앱에서 작성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06 18:51:01
조회 18780 추천 89 댓글 107


테슬라는 작년부터 계속해서 저가형 모델인 모델2를 만들겠다고 공언함.
현재 자동차 하드웨어 판매 부문에서 테슬라를 압박하는 중국전기차들의 주요 가격대가 저가형임.
또한 전세계적으로 대중적인 가격대 역시 해당 가격대.

기가 텍사스에서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짐.

특히 자동차 판매 벨류에이션하는 기관의 경우 해당 저가형 모델에 대한 생산을 벨류에이션 하고 있었음.


4월6일, 로이터에서 테슬라에 대해 항상 악의적인 기사를 써올리는 진현주 기자가 모델2에 대한 개발이 중단되었다는 기사를 올리게 됨.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4ceb0b3c3c4044f179093278eca35f43ac19f350e6b09163090b18d




해당 기사 올라오자마자 테슬라 6퍼센트 급락.

모델2 개발 중단은 저가형 전기차 시장을 포기하겠다는 얘기고, 상대적으로 비싼 모델3,Y로 값싼 중국차와 비벼야 한다는 얘기.
이는 궁극적으로 수요 문제와 함께 기존 모델의 가격인하에 의한 마진 하락 우려를 굉장히 크게 함.

기가 텍사스에서의 생산 계획이 나오기 전에는 기가 멕시코가 첫 모델2 생산 기지라고 알려졌었는데, 그때 당시 기가 멕시코 착공 지연 얘기 나올 때마다 주가 하락하던 것과 같은 맥락.
근데 이번엔 지연으로 일정 미뤄지는 정도가 아니라 포기라는 워딩이 쓰임. 사실이라면 주가에 폭락을 불러일으킬 정도임.

32

안 그래도 오늘 혼자 주가 약세로 기분 언짢은 테슬람들 기사 제목과 폭락하는 주가를 보고 대노하기 시작.





8

그런데 기사 내용이 뭔가 이상함.

모델2는 중단하고 로보택시에 올인할 거라는 내용인데....

모델2는 테슬라의 차세대 플랫폼임.
로보택시는 모델2와 같은 플랫폼임.
모델2=로보택시.=레드우드

로보택시 차량에다가 핸들 끼우면 그게 모델2 차량.

6


모델2 중단하고 로보택시에 집중한다는 게 앞뒤가 좀 안 맞음.
둘이 사실상 그게 그거거든.
그래서 그 내용 보고 테슬람들 극대노 시전.


32




아니나 다를까....
오늘도 평화롭게 X에서 답글 쓰고 있던 일론 머스크에게까지 빠르게 소식이 들어가게 됨.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ab2b2c5c41f0915919960e2ff92bf58f915fb4a0690



로이터 또 너야? 시전.


일론 등판하자마자 3퍼센트를 말아올림.

그러나 한 번 패닉셀이 시작된 이상 장중 하락폭 전부를 회복하기는 힘들었다.

14





그렇게 장 종료 후 이렇게 끝나는가 싶던 순간, 일론이 한 가지 정보를 오픈함.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7b5c8c41f091591990f7678ded74a6c9f16d643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4b4c8c41f091591997a39d520ad0e3764d901e9ba



올해 8월 8일에 로보택시 공개한다고 발표.
로보택시.=모델2=레드우드.
결국 저가형 테슬라 차량의 발표일자 확정 소식.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7b3c3c41f09159199b39681536eb4a3f6fc583178

(let's fucking go - 테슬라 정책 담당 로한 파텔)




애프터마켓에서 3퍼센트 이상 상승하였고,
이를 통해 금요일 하락분을 전부 회복함.


2


_________


???: 모델2? 로보택시? 그게 뭐가 그렇게 대단한데 씹련아!

3

라고 물어볼 친구들을 위해 추가로 설명하자면,


1. 먼저 자동차 하드웨어 경쟁 부문.

위에도 언급했듯이 현재 테슬라의 주력 모델인 모델3,Y는 5천에서 6천만원의 가격대를 가지고서 BYD등 중국의 3천~4천만원 차들과 경쟁하고 있었음.
여기서 사실 마진 9퍼센트 만들면서 비빈다는 것 자체가 놀라운 일이지만, 아무튼 간에 편하게 이기기 위해서는 같은 가격대의 차량이 필요했음. 즉 드디어 같은 체급의 차량으로 제대로 맞붙을 수 있게 됨.




2. 두 번째로 자동차 하드웨어 마진 부문.

모델2의 경우 현재 테슬라의 본사이자 일론머스크의 앞마당이자 테슬라 엔지니어와 디자이너 등의 고급인력들이 모여있는 기가 텍사스에서 개발 중임.
제조 공정부터가 달라지는데,


3db5df32ea9f69eb3fe98fe04384746e97e56ee0ae1de41ae207a984a6d067cd315d91528353c15b788f3acfb96c089358f32ff89a1058124edbf0a35c6319ba96241efd71a0550375b6eab665b654caee8d40783e8a2aa5de4a351cd8dd7ffb74073e4dd841f2e0f4ad7d4092348c730c05dbc819aecbf42c43d6

3db5df32ea9f69eb3fe98fe04384746869bb15ef1cced7ef6c8a985380244a5939de38814026617172d641be0f9651db107a8ba44cca545f41153b45562acd8804edbe3f57456e8d2c3fdd8a1459344670a3cb9c182ed0af9cde138fa8f8366f63f94283396485abc048ede79adb291ae871926fe89a1e44bbcf7c65


기존의 모든 자동차 업체들이 쓰고있던 컨베이어 벨트 방식이 아닌 언박스드 프로세스라는 제조 공정이 도입됨.

컨베이어 벨트는 앞 부분에서 문제가 생겨서 멈추게 되면 그 뒷부분은 싹 다 스탑됨. 언박스드는 파트 별로 나눠져있기 때문에 알빠노 시전하고 계속 생산이 가능.

또한 컨베이어 방식은 차량이 조립될수록 작업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음. 차량 뼈대 안으로 쪼그리고 들어가서 작업하는 모습 많이들 봤을 것.
그러나 언박스드는 위의 움짤에서 알 수 있듯이 그러한 작업이 필요가 없음.
그건 무슨 얘기냐 하면,

상대적으로 작업 난이도가 쉽기 때문에 얘네들이 24시간 풀가동 되면서 일할 수가 있다는 뜻.

애초부터 기가캐스팅 공법으로 차량의 앞과 뒤를 한 번에 뽑아내기 때문에 더더욱 쉬워짐. (현재 아직까지는 테슬라만 실제 상용화)


거기다가 한 가지 더.

우리는 사이버트럭을 통해 도색 없는 방탄 장갑차 수준의 괴물이 양산되는 것을 지난 1분기 동안 봐왔음.


7fed8272b58668f051ee82e14f857d73a862f8bd869ef43a1203ba4c123f

(모델2 예상 그래픽)



사이버트럭에 쓰이는 스테인리스에 도색이 생략되어 제조 공정이 더욱 단순화 될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
(사이버트럭 몇 대 못 만든 거 아니냐고? 사이버트럭의 생산은 전기트럭에 몰빵한 리비안의 생산력을 이미 따라잡았다.)

결국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성 증대, 옵티머스 투입을 통한 인건비 절약 및 24시간 풀가동 시스템은 차량 원가 자체를 파격적으로 내릴 것으로 보여지고 이는 높은 마진을 의미.







3. 로보택시 측면.

테슬라는 차세대 플랫폼인 모델2를 통해 로보택시를 하고자 함.
모델2에 핸들 빼면 그게 로보택시용 차량.
이번 로이터의 오보 또한 핸들 있는 버전인 모델2보다 핸들 뺀 버전의 로보택시 버전에 빡집중하자는 것이 와전된 것.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bb4c8c40342008fb270bb8ca66a346f51d43b391f418ee418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ab2b6c3c41f091591999989c695e45553b41757b1e2




모델2의 취소를 뜻하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더 좋은 방향이라고도 볼 수 있음.

현재 모든 테슬라 차량에 1달 무료 배포된 FSD v12.3.3은 굉장히 좋은 반응을 얻어내고 있으며, FSD를 쓰다가 다시 수동 운전을 할 경우 엄청난 역체감과 피로도를 느낀다고 함.
FSD를 작동시킨 것을 동승자가 모를 정도로 사람과 유사해짐.

테슬라 내부적으로는 v12.3보다 좋아진 버전이 있을 텐데, 최근 일론과 테슬라측 인사들은 FSD에 대해 큰 자신감을 보이는 중.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4b6c2c41f0915919909987ad19413a1b5703f5150

7fed8272b58668f051ee82e44f857573eb6ea43467ccaa53e80de58d0776


현재 FSD의 주행거리는 16억 킬로미터를 돌파하였음.
테슬라AI계정이 공개한 그래프를 보면 1개월 무료배포를 기점으로 주행거리가 수직상승하는 수준으로 변함.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7b7c8c41f0915919991b242fe580e3703eb78eee1



테슬라는 정부당국의 규제승인 예상치를 60억 마일 (100억 킬로미터) 즈음으로 예상하고 있음.
현재 주행거리 증가 속도를 봐선 올해 상반기 안에 60억 마일 돌파 가능할 것으로 보임.

정부가 그렇게 쉽게 허락해줄 것 같냐고?
이미 GM크루즈와 구글의 웨이모는 잦은 원격 개입과 한정된 지역에서만 작동하긴 하지만 실제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하고 있는 상황임. 물론 년간 4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보면서.



시장 규모가 훨씬 큰 저가형 차량(모델2)을 개인에게 판다 : 시장규모가 큰 만큼 판매대수 급증. 큰 차량 마진 확보. 대부분의 기관은 여기까지만 벨류에이션.

모델2에 FSD까지 산다면? : FSD의 개발비용은 R&D와 CAPEX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차량 구매자가 FSD 살 때마다 12000달러의 마진 추가.

로보택시를 생산해서 판다면? :
시속 25마일로 하루 12시간 운행하는 로봇택시는 연간 10만 마일을 주행. 1마일당 1달러라고 할 시에 연간 10만 달러.
플랫폼 수수료 50%와 순 수익에 대한 운영 마진 50%를 적용하면 Tesla는 연간 2만 5천 달러의 운영 수익.
테슬라가 직접 운영한다면 연간 5만 달러 수익.


사회적으로도 교통사고로 인한 비용을 낮출 수 있음.

7fed8272b58668f751ef8ee645857073dd0166d79761c99e2921f325ccd77a

20ee9d28edc62ba723bddaba119c7464cf274b5917cc22d7fe56a884d13f2c5855398dd98f58






그렇다면 시장과 기관이 로보택시를 벨류에이션 하고 있나? 그건 아님.

시장은 테슬람을 제외하면 허구로 치고있으며 (FSD 영상이 엄청나게 올라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월스트리트의 평균적인 기관들은 모델2의 하드웨어 경쟁력과 마진 부문에만 약간의 벨류에이션을 하고 있고,

우호적인 기관들이 로보택시까지 염두에 둔 벨류에이션을 보수적으로 하고있는 정도.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3d1cab5b5c4c40342008fb29ee02bfac18f754dbd18857be704e91e








다른 기업이 따라할 거라고?
그 얘기가 5년 전부터 나왔지만, 나온지 10년 된 오토파일럿의 차선 유지조차 따라잡지 못하는 게 현상황.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3cbb6b3c3c41f090f8f99a843a9d99f54857d8bad2d14


엔비디아니 뭐니 얘기하지만, 택도 없다.
일단 길바닥에 같은 플랫폼의 차량을 수백만대 깔아놔야 하고, 학습을 위한 충분한 연산력이 받쳐줘야 하고, 엄청난 양 + 고품질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각 차량들에 통합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구비되어있어야 하고 중앙 시스템과 상호작용이 가능해야 함. 학습 및 추론 신경망도 만들어야 함.
이것들이 안 되어있으니 GM과 구글에서 1년에 4조원씩 증발하는 것.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14a83d2d1cabbb7c6c41f090f8f99d0d5f86d6ff298a41306a5c7


그래서 아무튼 주가는 어떻게 될 것 같냐고?

1분기 실적은 미스날 것으로 보이지만 어닝콜에서 어떤 얘기가 나오냐에 따라 위로 쏠 수도, 아래로 쏠 수도 있음.

그렇지만 200달러 미만으로는 싸다는 생각으로 추매한다면, 분명 chatGPT모먼트와 같은 순간을 만나게 될 것이라고 봄.











출처: 미국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89

고정닉 21

4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8971
썸네일
[산갤] 산업기능요원 시작하는 만화 2화
[10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0288 81
238969
썸네일
[카연] 여동생의 조상신이 되었다 (上)
[59]
hobak308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0912 35
23896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천년동안 금과 트러플보다 비쌌던 향신료...jpg
[218]
ㅇㅇ(1.227) 06.13 41473 173
238965
썸네일
[이갤] 배우 김소연이 화장도 못하고 녹화한 이유..jpg
[1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44745 193
2389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공포의 통풍 여고생 만화.jpg
[327]
ㅇㅇ(112.171) 06.13 61659 396
238959
썸네일
[디갤] 소니적 사진 총결산 2군 (41장)
[57]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9191 24
23895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생선회 존나 맛있게 먹는 법...jpg
[36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47876 229
238955
썸네일
[항갤] (스압.webp) 암스테르담 ~ 두바이 ~ 인천 에미레이트 비즈니스 탑승
[10]
미소천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2872 13
238953
썸네일
[헌갤] 조혈모세포 기증 후기.
[146]
나그네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6265 189
23895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AV배우들의 첫사랑 추억
[124]
나무미끄럼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56534 165
23894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블루베리 긴빠이 후기
[133]
뽁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38000 188
238946
썸네일
[기갤] 병원에서 틀어주는 야한 동영상은 합법일까?.jpg
[24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47048 145
238943
썸네일
[싱갤] 의외로 온순한 동물.gif
[709]
ㅇㅇ(218.153) 06.12 59749 404
238941
썸네일
[이갤] 외국인이 생각하는 한국에대한 이미지...jpg
[48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1993 251
238939
썸네일
[퓨갤] 양현종이 생각하는 류현진 김광현 양현종...jpg
[97]
ㅇㅇ(118.32) 06.12 21209 130
23893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최강의 유전자를 남기지 못한 선수들
[307]
비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6702 92
238933
썸네일
[스갤] 한 방송인이 인간이길 포기한 이유
[312]
스갤러(149.88) 06.12 59442 97
238931
썸네일
[디갤] 빨리 들어와서 사진보고가셈
[36]
난꽃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5050 22
238929
썸네일
[기갤] 한 활주로서 동시 이륙·착륙…몇 초 차로 참사 면해.jpg
[1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2004 32
2389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야생 들개 사회화 시키기
[28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9540 216
238925
썸네일
[카연] 비행천소녀 2,3화 (네이버 탈락작)
[62]
한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2417 63
2389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우리나라 직장문화가 생각보다 괜찮은 이유
[592]
ㅇㅇ(14.35) 06.12 51439 482
238921
썸네일
[이갤] 헝가리 유명카페의 인종차별...jpg
[57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8544 276
238919
썸네일
[싱갤] 19세기 미국에서 전설이 된 결투..JPG
[195]
방파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3121 157
238917
썸네일
[야갤] 이정도면 인자강같은 어느 여성의 인생 첫 마라톤 도전기.jpg
[358]
야갤러(149.36) 06.12 28504 240
238913
썸네일
[헬갤] 헬스 8년차인 운동 인플루언서에게 달린 댓글들
[566]
ㅇㅇ(45.84) 06.12 53005 377
238911
썸네일
[유갤] 고물상에서 카메라를 하나 사왔는데 130만 화소ㅋㅋㅋ
[336]
ㅇㅇ(211.234) 06.12 34465 332
238909
썸네일
[해갤] 중국인이 말하는 손흥민 3:0 제스쳐 취하는 인성
[419]
ㅇㅇ(185.206) 06.12 30949 468
238907
썸네일
[싱갤] 축구선수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친 일본만화..JPG
[272]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3590 157
238905
썸네일
[1갤] 훈련병 쓰러지고나서 이후 조치까지 의문점
[435]
을붕이(121.164) 06.12 25684 478
238903
썸네일
[싱갤] 귀여운 뱀파이어 만화.manhwa
[73]
ㅇㅇ(121.158) 06.12 20824 172
238901
썸네일
[이갤] "잠실에서 인천까지 20분 만에‥" 헬기 택시 뜬다.jpg
[3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6191 55
23889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라면 뽀글이는 정말 위험할까?
[349]
차단예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7901 180
238898
썸네일
[야갤] 동국대 나 맛있어? 녀 후기..everytime
[736]
빵빵나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9481 575
238893
썸네일
[카연] 뼈삼촌 2화
[57]
렛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2679 82
238891
썸네일
[러갤] 중국은 K9 자주포가 두렵습니까?
[533]
배터리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5742 362
238889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이대남이 시위 안나가는 이유
[2933]
페이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55232 831
238887
썸네일
[걸갤] 최근 입덕한 팬들은 모르는 아이돌 날개꺾기
[465]
ㅇㅇ(117.111) 06.12 32980 280
238885
썸네일
[이갤] 425만원 주고 알몸위에 초밥올려먹는 섬짱깨
[531]
배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56017 191
238883
썸네일
[대갤] 무너지는 일본의 식문화... 어류 소비 급감에 위기감 고조
[739]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6311 387
238880
썸네일
[중갤] 2010년대초반 일본 게임에 대해서
[223]
ㅇㅇ(121.147) 06.12 23413 51
238879
썸네일
[주갤] 터키랑 국결해야하는 이유
[53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9791 523
238877
썸네일
[싱갤] 중국은 엔비디아 필요, 엔비디아는 중국 필요 없어...JPG
[604]
ㅇㅇ(218.234) 06.12 52355 373
238874
썸네일
[기갤] 여친 사무실에 깜짝 등장한 군인.jpg
[2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5586 172
238873
썸네일
[야갤] 밀크티 체인점 직원, 싱크대에 발 씻어서 논란
[264]
ㅇㅇ(185.114) 06.12 26053 73
238871
썸네일
[카연] ㅈ소기업에 온 사람의 말로
[305]
코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6338 481
238870
썸네일
[P갤] 미쳐버린 일본 근황.fuji
[7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9297 442
238868
썸네일
[싱갤] 금으로 만든 고려시대 주택 ㄷㄷㄷ
[4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1153 162
238867
썸네일
[도갤] 노들섬 TMI - 참가작 <숨> 심사평 및 출품 이미지
[37]
TM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0631 20
238865
썸네일
[주갤] 군인권센터 훈련병 사망진단서 공개
[667]
주갤러(14.4) 06.12 34934 8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