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 금감원 짜증 폭발 (부동산 PF의 진짜 규모)

ㅇㅇ(14.84) 2024.04.18 16:25:01
조회 36607 추천 488 댓글 384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mmovables&no=7080580

 


정부가 총선때까지 신용평가사들에게 PF 관련 리포트를 발표하지 말라고 요청 했고

실제로 총선이 끝나자 신평사들에서 PF 관련 리포트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내용은 위 글로 알렸음.

그러자 신평사에서 쏟아낸 PF 관련 리포트를 보고 난 금감원의 반응이...








7cf3c028e2f206a26d81f6e447837d65ab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89239?sid=101

 


이례적으로 금감원이 민간 신용평가사들의 리포트에 신경질적으로 반응하며 시장에 불안감이 퍼지는것을 차단하려는 모습이다.

정말 금감원 말대로 과장 된것일까? 그건 무조건 괜찮다. 관리 가능하다.는 대답이 정해져 있는 관료 집단 금감원의 입장일뿐이고

오히려 (태영건설 워크아웃 들어가기 직전까지도 신용등급 A를 줬던) 신평사들 조차 위험을 과소평가 하고 있는걸로 보인다.

왜냐하면 그동안 금감원이 밝혀 온 부동산 PF 규모 부터가 쌩구라인걸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1d9b8168efc23f8650bbd58b3683756e066e5b


7ff3c028e2f206a26d81f6ec4189726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330715?sid=101

 


금감원은 그동안 '전 금융권의 부동산PF 규모'가 135.6조원이라며 하나도 안빼놓고 다 넣은듯이 발표해왔는데 알고보니

최근 한국은행 설명회에서 금감원이 발표해 온 저 수치엔 뱅크런 났던 새마을금고는 아예 들어가지도 않았다고 한은이 밝힘.

이걸 이상하게 여긴 한국경제 신문 건설부동산 담당 기자가 2주 넘게 이 부분에 대해서 취재를 했고 그 결과를 아래 기사로 썼음.








7ef3c028e2f206a26d81f6e046827c6ea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73262?sid=110

 


즉, 지금 유일한 부동산 PF 공식 통계인 금감원의 135.6조원은 가장 위험한 새마을금고 조차 안들어가 있는 반쪽짜리 통계고
전체 규모도 제대로 모르면서 무조건 "괜찮다"고만 하는 정부 말을 믿을수 있겠냐면 겪어본 업계 선수들은 회의적이다라는것임.
한국경제 신문은 재벌들이 지분을 50% 이상 소유해서 재벌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세간의 평가가 있는 신문인데도 이렇게 얘기함.

그럼 진짜 부동산 PF 와 관련된 부동산 익스포져의 규모는 얼마일까? 이제 이 글의 결론을 향해 간다.

금감원이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라고 발표해 온 135.6조원이라는 숫자를 잘 기억하기 바람.









1d9b8268efc23f8650bbd58b36867568bb3d



이번엔 건설업계 건설사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건설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부동산 PF 익스포저 추정치다.

여기엔 금감원 발표치엔 포함되지 않았던 새마을금고분과 PF 유동화증권이 더해져 70조원 증가한 202.6조원으로 불어났다.


PF 유동화증권 (ABS, ABCP, ABSTB)은 노무현때까진 한국에서 쓰이지 않다가 (그래서 서브프라임때 한국 피해가 적었다)

서브프라임 이후 미국을 따라하기 시작하면서 증권사가 중심이 된 2010년대 부동산 금융의 핵심을 차지한 금융 기법인데

은행과 달리 신용창조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몇배로 튀김) 기능이 없는 증권사가 지들도 부동산 금융에 끼어들기 위해서
대출 기관(은행, 금고등)의 대출 채권을 사서 저금리에 고금리 투자자가 풍부한 시장에 내다 팔고 (유동화) 수수료를 먹었음.

이러면 대출 채권을 증권사로 넘긴 대출 기관은 예대율이 낮아진만큼 또 새로운 대출을 해줄수 있게 되고 이자를 더 벌겠지.

은행 <-> 증권사가 유동화 통해서 왔다갔다 몇바퀴 돌리면서 레버리지=통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었던것임.


반대로, 고금리가 오니 시중에 유동성이 증발하고 위험한 PF 유동화증권 받아줄 투자자들이 사라지겠지?

PF 대출이 나간 사업장에서 사고가 나면 원래 대출해준 대출 기관에서 문제가 터지고 대출 기관에서만 문제가 끝나야 하지만

애초에 증권사는 저런걸 보증 할 깜냥이 안되는 애들인데 (금융사 체급 은행 > 보험 > 증권) 중간에 끼어든 증권사에 문제가 번지고 

그러면 감당 못하는 증권사의 부실화 된 PF 유동화증권을 통해서 다시 채권 시장에 불을 지르면서 금리를 폭등 시킴.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를 산정할때 이 PF 유동화증권은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것이고

이번 부동산 문제는 선진 금융 기법을 쓰지 않아서 미분양이 지금 보다 10만채가 더 많았어도 별탈 없이 지나갔던 2008년과 달리

부동산을 구성하고 있는 금융적 구조와 성격이 완전히 다르기에 이번은 부동산이 아닌 금융 문제로 다뤄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것임.


여기까지 읽다가 지쳤을것 같지만 그런데 여기도 끝이 아님.

위에 한국경제 기사에 건산연 왈 "부동산펀드는 정확한 통계가 없어 포함하지 못했다"라고 했지.







1d9b8368efc23f8650bbd58b368377694cb5c9


이번엔 여의도 증권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본시장연구원에서 나온 부동산 금융 통계임.

여기엔 금감원의 부동산PF 대출 + 건산연의 새마을금고 대출분과 부동산 PF 유동화증권에 더해서

부동산 PF 보증과, 부동산 신탁과, 건산연이 통계 없어 못넣었다는 부동산 펀드까지 들어감.

이렇게 산정한 금액이 금감원 공식 발표치인 135.6조원에서 약 800조원 증가한 926조원임.

그래프 제목에서 보다시피 비은행권 즉, 은행은 들어가지도 않은 2금융만 추산한 규모가 이렇다는것임.

부동산 신탁이 부동산 PF와 무슨 관련이냐 싶으면 이전에 썼던 글로 갈음할테니 참고 바람.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mmovables&no=7023937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17963

 





그럼 여기까지 하면 다 한거냐?

쓰는 나도 피곤한데 아직도 끝이 아님.





79f3da36e2f206a26d81f6e347877069


전세 보증 해줬다가 2023년에만 4조원 넘게 날려먹은 주택도시보증공사가 PF와 뭔 상관이냐?

HUG가 하는 주된 업무가 분양보증, 시공보증등 모든 부동산 관련 된 보증이기 때문임.

즉, 미분양이 나고, PF 사업장이 사고가 나면 그 문제는 당연히 HUG로도 번지게 되어 있음.

이건 앞서 자본시장연구원 발표치 926조원에도 안들어간 수치라서 더해야 함.

그럼 926조원 + 725조원 = 1650조원으로 불어남. (타 보증사 2곳은 넣지도 않음)


이게 과장 된 수치인가? 너네 가계대출, 전세대출, 이런건 넣지도 않았음.

부동산 PF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파장이 미치는 선까지만 넣은건데도 이렇고

여기에 가계대출, 기업대출 다 넣은 수치는 이미 한국은행이 2022년에 오피셜 때린적이 있음.






78f3c028e2f206a26d81f6e74084756efd



위에 가계금융+기업금융+금융투자상품 다 합친게 2,700조원 (2022년 기준) 여기서 가계분 1,300조원을 빼면 1,400조원

2년 지난 시차와 HUG 추정치에 다른 보증기관 2곳은 미포함한거 고려하면 앞서 길게 추정해온 값 1,650조원과 큰 차이가 없지.

정확하지 않더라도 시장 심리 안정시키려는 금감원이 택도 아닌 135조원으로 1/10로 축소해서 발표한거 보단 실체에 가깝다고 본다.

지금 PF 문제는 단순히 은행이 대출해준 문제가 아니고 각종 금융 기법이 동원 됐기 때문에 PF대출 잔액만 봐서는 전체를 알수 없고

미분양이 나고 사업장이 사고가 날때 비로소 수면 위로 올라오는 PF 보증, PF 유동화증권, 신탁사등을 다 포괄해야 전체가 그려짐.


글 제목이 1. 로 시작하는 이유는 다음 내용이 있기 때문임.

너무 길어져서 나머지는 다음에 씀.





출처: 부동산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88

고정닉 57

3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22288
썸네일
[주갤] 유튭) 한국vs 일본 전업주부 밥상비교.jpg
[370]
주갤러(211.220) 04.10 45935 572
222286
썸네일
[싱갤] 어질어질 미신을 너무 믿으면 생기는 일
[417]
ㅇㅇ(61.81) 04.10 56404 471
222284
썸네일
[포갤] DJ DOC 갈등 봉합 후 극적인 재결합
[311]
ㅇㅇ(223.62) 04.10 36426 41
222281
썸네일
[로갤] 내가 갖고 있는 비디오들
[45]
소리지르는레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7726 46
222279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서울대가 동물단체한테 고발당했던 사연
[221]
ㅇㅇ(124.56) 04.10 39562 192
222278
썸네일
[국갤] 대구 실시간 당일투표 이거 실화임?
[992]
ㅇㅇ(114.206) 04.10 73689 1232
222276
썸네일
[디갤] 날 좋아서 산책 다녀옴 (14장)
[28]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7518 24
2222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자전거 배송 중 파손을 막은 방법
[124]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39364 302
222273
썸네일
[블갤] 경향신문 ㄹ황...jpg
[273]
블갤짤저장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60987 480
222271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08 (해피한 하이테크)
[141]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3136 78
222269
썸네일
[G갤] 측정오류론 실험결과
[235]
프린씨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7393 235
22226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멕시코 작은마을의 특이한 상남자 축제..gif
[157]
ㅇㅇ(61.82) 04.10 29200 145
222266
썸네일
[7갤] 1점 차이로 떨어진게 진짜 슬픈 이유.jpg
[335]
7붕이(119.149) 04.10 59226 357
222264
썸네일
[국갤] 연예인들 투표 인증샷.....jpg
[34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55605 401
2222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식과는 다른 실제 뱀의 얼굴 모습..jpg
[498]
ㅇㅇ(61.82) 04.10 61265 477
222261
썸네일
[야갤] 살 안찌는 돼지...JPG
[395]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63053 469
222259
썸네일
[코갤] 전주 투표장에서 인방하던 시민 검거
[215]
ㅇㅇ(223.39) 04.10 30033 315
222256
썸네일
[위갤] 오켄토션 데이, 재증류부터 재숙성까지
[55]
G0ran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6043 45
222254
썸네일
[군갤] “日 총리, ‘전쟁 가능국’ 사실상 선언”
[1100]
외신번역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35204 387
22225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피부과 전문의가 말하는 피부 좋아지는 법.jpg
[683]
ㅇㅇ(112.72) 04.10 64431 594
22225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즘 역사교육 근황
[840]
ㅇㅇ(122.36) 04.10 56951 1209
222249
썸네일
[블갤] 여초가 또 해냈다!
[3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60669 642
222248
썸네일
[특갤] 이근 대위가 생각하는 요즘 군대.jpg ㅋㅋㅋㅋㅋㅋ
[1116/1]
특갤러(117.111) 04.10 58111 1282
2222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광역버스 민폐녀 2탄
[340]
ㅇㅇ(220.127) 04.10 61216 525
222244
썸네일
[코갤] 분위기 싸해지는 슈카.jpg
[685]
ㅇㅇ(106.101) 04.10 70337 608
222243
썸네일
[중갤] 투표인증 모음
[415]
ㅇㅇ(211.119) 04.10 42494 590
2222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80석이 무서운 이유
[1131]
ㅇㅇ(49.142) 04.10 96187 1179
222238
썸네일
[국갤] 총선을 대하는 전직 대통령들
[608]
ㄴㄴ(221.143) 04.10 40185 960
222236
썸네일
[해갤] 손흥민 지명수배 발령
[219]
코델리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44004 256
2222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소개팅에서 대화 잘하는 방법!
[2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52467 229
222233
썸네일
[주갤] 베트남 국결한 남자의 최후...jpg
[124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95433 810
222231
썸네일
[카연] 돌려 쓰는 세 자매 #17 ~20.5 (엄마 나옴)
[105]
만신창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9144 172
222229
썸네일
[일갤] 야스쿠니 신사 가는법, 볼거리, 한국인인거 안들키는법, 살아남는법
[531]
뉴비의몸짓발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6101 291
222228
썸네일
[미갤] 스테로이드 연고 부작용 만화 ㄷㄷㄷㄷ . jpg
[2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36746 259
222226
썸네일
[로갤] 2024 파리 루베 결과 (사진많음)
[35]
참치는등푸르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0056 43
2222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용사와 마왕 (마왕 여자고 가슴 큼).manhwa
[376]
ㅇㅇ(182.221) 04.10 36447 331
222223
썸네일
[카연] 당신이 몰랐던 세계 민담 설화.manhwa
[47]
주똥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5146 50
222219
썸네일
[필갤] 개기일식 도전기
[21]
필린이(65.51) 04.10 10654 44
222218
썸네일
[일갤] 오사카에서 먹고온거 정리 .jpg
[125]
차원여행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1778 116
222216
썸네일
[교갤] [초스압/2] 더 미쳐 돌아온 저세상 시내버스 전국일주 2회차
[19]
양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7606 34
222214
썸네일
[연갤] 남녀관계의 진실ㄷㄷㄷㄷ
[1385]
ㅇㅇ(211.36) 04.10 74288 1326
22221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ADHD 만화가.jpg
[420]
mitt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52426 330
222211
썸네일
[삼갤] 첫 외계 천체' 오무아무아의 미스터리
[205]
면벽자(14.36) 04.10 24277 190
222209
썸네일
[해갤] 일본 야구 직관 후기 (에스콘필드, 닛폰햄vs세이부)
[59]
진소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1553 114
222208
썸네일
[필갤] 필름 카메라/사진 밈들
[38]
ND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3285 37
22220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여우같은 여동생.manhwa
[133]
쪼꼼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43813 377
222204
썸네일
[이갤] 조금이라도 어릴 때 운동을 시작해야 되는 이유
[362]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51500 265
222201
썸네일
[프갤] <로만레인즈 vs 세스롤린스> 0화. 콜비 로페즈
[23]
ㅇㅇ(211.234) 04.10 11971 98
222199
썸네일
[카연] 천재 고블린 변호사 듀에르코
[357]
무선혜드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8168 280
222198
썸네일
[유갤] 데이터) 성공한..마블의 미래..최신 근황....gif
[244]
ㅇㅇ(175.119) 04.10 27523 12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