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주의 시계 칼럼 #6- 그돈씨? 가성비? 태그와 튜론, JLC와 롤렉스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0 15:55:01
조회 7809 추천 28 댓글 49



0. - 서문


이번에는 칼럼내에 서브 시리즈 같이 그돈씨, 가성비, 원가 마케팅 등등 을 엮어서 두 편에 걸쳐서 이야기 해보려함.

일종의 "가성비 1편" 임.

이 글은 그돈씨란 무엇인가? "그돈씨" 가 많이 언급되는 브랜드와 아닌 브랜드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리고 덤으로 롤렉스는 왜 "그돈씨" 가 잘 없고, 롤렉스는 가지고 JLC와 오메가가 가지지 못한건 무엇일까? 를 얘기 해보겠음.


"가성비 2편" 으로는 그돈씨 보다는 가성비란 무엇일까? 원가대비 가격이 높으면 거품인가? 마케팅, 스토리텔링, 헤리티지 등등 차이는 무엇인가?

를 크리스토퍼 와드 랑 엮어서 얘기해보는 시간 가져보려 함.


여기서 "그돈씨" 랑 "그 돈 이면 씨X 딴거 사지", 그러니 일종의 그 시계, 브랜드 치고는 비싸다, 가성비다 떨어진다 라는 뜻임.


1. - "그돈씨 브랜드"


그돈씨 라고 자주 언급되거나, 그돈주고 그거 살바엔 차라리.. 이렇게 자주 언급되는 브랜드들이 있음.

(이 브랜드 들이 실제로 그돈씨 브랜드 들이라는게 아니라, 자주 언급 된다 임. 까는거 아니고, 어그로 아님. 이걸로 이 글 댓글에서 제발 싸우지마라..)


나는 그 중 큰게 세이코 랑 태그 호이어 라고 생각함.

주로 고가 세이코 다이버 (SJE093 이라던가) 가격이 조금 올라가기 시작하면, 그 시계 얼마나 좋고 헤리티지가 뛰어난지 랑 상관없이 "그 돈을 세이코에 태워?" 이런 반응이 보임.

태그 호이어도 상위 모델인 자사무브 크로노 그래프, 글래스 박스, 스키퍼 같은데서 종종 그럼. (물론 세이코 자사 무브 크로노 그래프는 충분히 그 정도 가치가 있다라는 글도 많음)


세이코나 태그 호이어 같이 "그돈씨" 언급 되는 브랜드는 한가지 공통점이 있음.

바로 만드는 시계 "범위" (range) 가 넓다는 거임.


세이코는 아주 저가 입문용 시계 부터, 그세에도 들어가는 스프링 드라이브를 넣은 모델, 킹세이코, 헤리티지 기반 복각한 고가 다이버 까지 다양한 가격대, 카테고리를 커버함.

당연히 저가용은 저가 무브, 그리고 고가에는 점점더 고가 무브가 들어감.

태그호이어도 셀리타 기반 엔트리 부터, 고가 자사 무브가 들어간 크로노까지. 그리고 럭셔리 워치 브랜드 같이 않게 스마트 워치, 쿼츠 도 만듬.

이게 정말 범위가 넓은게 흔히 명품, 혹은 대중 브랜드라도 기계식 시계 만드는 브랜드 중에서 스마트 워치 만드는 브랜드 뭐임? 물어보면 태그말고 생각나는게 없음.


그래서 이렇게 넓은 범위를 커버하고, 그 범위중 낮은 가격대에 엔트리가 인기와 인지도를 가져가니, 그 브랜드 이미지가 범위의 아래쪽에 더 집중되고 그 위에 사려하면 사람들이 "그 돈 주고 그 브랜드?" 라고 하게 되는거지.


이 그래프는 2024년 5월 9일 기준 미국 웹사이트 기준, 세일/한정판 제외하고 4 엔트리 브랜드 (세이코, 시티즌, 티쏘, 해밀턴) 에서 지금 살수 있는 손목시계중 제일 싼것과 비싼걸 표시한 것임.


3eb8d92dea9c32b6699fe8b115ef046c7de4bb96


보다 싶이 세이코는 같은 일본 브랜드 시티즌과 비교한다 해도 가장 낮은 최저가와 가장높은 최고가를 가지고 있음.

특히 이 그래프 만으로는 안보이지만, 세이코는 최고가 근처에도 꽤 많은 시계들이 분포해 있는데 반해서, 시티즌, 티소, 해밀턴은 최고가를 끌어 올리는 특별한 시계 한두개, 그리고 대부분 밑에 가격대에 분포되어있음 (그 그래프도 만들 순 있지만 시간 너무 오래 걸릴거 같아서 안만들었어..).


세이코 말고 엔트리 럭셔리를 맞고 있는 튜태론을 비교해보자.

똑같은 날짜, 미국 웹사이트 기준, 한정판 제외하고 임.

(참고로, 이번에 나온 태그의 1억 넘은 모나코 두개랑 튜더의 금통 블베는 제외함. 두개다 다른 시계랑 몇배씩 차이나고, 컨셉으로 낸거 같은 시계들이라.

가격대 분포 그래프에 중간값 했으면 넣어도 말하고자 하는 트랜드를 보여줄 수 있으니 넣었겠는데, 지금은 그냥 최고, 최저만 보니 잘못된 트랜드 전달 될거 같아서.)



39bcd768efc23f8650bbd58b3680726cdcd2

이그래프를 보면 세이코랑 똑같이 비슷한 등급의 엔트리 럭셔리 브랜드들과 비교했을때 태그가 확실히 커버하는 가격대 범위가 넓음.


론진은 태그 같이 쿼츠를 만들어서 저점은 낮지만 고점도 태그보다 낮고.

튜더는 저점도 높고 고점도 낮아서 범위를 더 좁게 가져감.


론진, 튜더랑 비교를 했어도 가끔 론진은 몇백만원, 천만원 넘어가는 론진 보이면 "그 돈주고 론진을?" 하는 글도 종종 보이지만.

튜더는 가격대를 더 좁게 가져가기때문에 저 가격대 안에서 "그돈씨" 반응이 잘 안나오는 거임. 그 브랜드 이미지 가격대랑 실제 커버하는 범위 차이가 크지 않으니.


2. - 왜 이런 현상이 일어 날까?


이런 "그돈씨" 현상은 나는 꽤 현대에 와서 일어난 일이라 생각함.


예전에는 저렇게 넓은 범위를 파는게 이상한 일이 아니였음. 티쏘랑, 론진에서도 럭셔리, 고가 브랜드를 팔던게 당연했음.


하지만 쿼츠 파동을 거치면서 많은 브랜드들이 큰 그룹내에 편입되고, 그룹내 브랜드 끼리 자가포식, 서로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담당하는 가격대" 가 생겨버림.


그래서 모두가 넓게 다양한 카테고리와 가격대를 커버하면서 브랜드 끼리 경쟁하는 시대에서, 그룹끼리 가격대에 한 브랜드를 두고 경쟁하는 시대가 와버림.


당연히 예전에도 브랜드 별 가격대 인식이 있었지만 지금보다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고, 조금더 그걸 넓게 봤다면, 요즘은 이 브랜드는 "이 급" 이렇게 한정되게 포지셔닝이 되거 소비자들도 그렇게 보게 된거지.


여기서 왜 세이코랑 태그호이어는 거기서 조금 벗어나서 더 넓은 가격대를 커버할수 있는지 알아볼수 있음.



2fafd128e1c173a978bac4a31fd43373eb4998df7fec220db5bce9d8fe34



세이코는 일본 시계 브랜드 라는 데서 그 차이를 알아볼수 있음.

스위스 시계시장은 스와치, LVMH, 리치몬드 등등 큰 그룹들이 대부분의 시장, 브랜드를 먹어버림. 그래서 그룹내의 브랜드 별로 담담하는 가격대, "급" 이 더 명확해져버림.

하지만 세이코는 그룹이기는 하지만, 그 그룹을 이루는 브랜드를 보면 내수용 고가 라인 크레도어, 럭셔리 세이코.

그룹내이기는 하지만 따로 운영되는 오리엔트. 듣도보도 못한 펄서랑 알바.


세이코는 스와치 그룹같이 모든 가격대를 커버하는 많은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그냥 세이코 - 그랜드 세이코로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

그래서 그랜드 세이코 밑의 모든 가격대를 세이코 안에서 프로스펙스, 세이코 5, 프레사지, 등등 브랜드 내의 세부 라인으로 나눠서 팔고 있지.


만약에 세이코도 스와치 그룹처럼 여러가지 브랜드로 다 따로 독립시켜서 보급형은 세이코 5, 중간은 프로스펙스, 드레스는 프레사지, 준고가는 킹세이코 나눠서 했으면 브랜드별 "그돈씨" 는 안들었을걸? 가격 범위가 좁아지니.


태그 호이어도 비슷한 상황임. LVMH 그룹내에서 시계 브랜드를 럭셔리~하이엔드 인 제니스, 위블로, 불가리 뿐임 (보석, 다른 명품 브랜드 몇개 포함해도)

그러니 그 밑의 가격대를 커버할 브랜드가 태그 호이어 하나 뿐이라는거지. 스와치는 훨씬 많은 브랜드를 가지고 여러가지 가격대를 더 세분화 해서 가져갈수 있는거랑 차이가 나지.

LVMH 는 태그 호이어 하나로 티해미 상위 가격, 라도, 론진, 오메가 하위 가격 까지의 가격대를 다 담당해야 하는거지.



3. 롤렉스 vs. 오메가와 다른 럭셔리 브랜드


세이코, 태그 는 엔트리, 엔트리 럭셔리 에 포함되는 브랜드 이니 저런 소리가 난다고 할수도 있지만 종종 오메가, JLC 같은 걸 살때 댓글로 "그 돈이면 차라리 롤렉스를 사지" 라는 말이 자주보임.


물론 롤렉스 환급성, 가치보존에 대한 말일수도 있지만, 나는 여기도 비슷한 "그돈씨"의 영역이 펼쳐진다고 생각함.


롤렉스는 오메가, JLC는 가지지 못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으니.


이걸 알아보려면 판매되는 시계의 평균값 을 보면됨.


(여기서 부터는 워낙 다이아 몬드 설탕 바르고 시계보단 보석, 팔찌 같은거, 판매용 아닌 컨셉, 차력쇼 시계들이 분포되있어서 최고가, 최저가 안알아봤음. 가격 표시 안되거나 일부로 가격대별 정렬 안하게 막아둔대도 많고. 가격대 분포 자료를 만들면 그거랑 상관없이 볼 수 있겠지만, 만들기가 좀 그렇다..)


먼저 모건 스탠리랑 럭스가 발표한 2023년 스위스 시계산업 통게를 보면,

팔린 시계의 평균 리테일 값은 롤렉스가 $12,218, 오메가는 $6,573, 그리고 까르띠에는 $5,712


흔히 롤오까 라고 불리는 럭셔리 3대장인대도 팔리는 시계 하나당 가격이 오메가, 까르띠에의 두배임.

그리고 롤렉스 보다 윗급이라고 보는 JLC 도 $8,753임. 비슷한 IWC $7,019 도다 훨씬 높고, 오히려 하이엔드 브레게 $15,332 랑 가까움.

(눈물의 글라슈테 오리지널의 $5,200... 이래서 글오가 하이엔드 대접 잘 못받음)

(통계 이미 많이들 봤겠지만 궁금하면: News: The Top 50 Swiss Watch Companies of 2023 According to Morgan Stanley (monochrome-watches.com))


그이유는 바로 Upgradability, "업그래이드 가능성"에 있음 (미안하다.. 이걸 한국말로 표현을 잘 못하겠다. 밑에 설명 읽어보고 이런 느낌 살린 단어 생각나면 댓글 부탁!)


생각보다 롤렉스, 까르띠에, 오메가 에서 인기 있는 엔트리 시계들은 가격대가 다 비슷함. 대부분 $6,000~$10,000, $15,000 에서 씨마, 섭마, 산토스, 익스, 아쿠아테라, 스마, 듀몽트, 데젓 등등 다 분포되어있음. (쿼츠 탱크는 좀 낮지만, 그래서 까르띠에가 좀더 낮지)


그런데 가격이 이렇게 차이가 나는건 위에서 언급한 "업그래이드 가능성" 임.


오메가랑 까르띠에 같은건 보든 인기 모델이 "스틸" 에서 멈춘다는거.

문워치를 사던, 탱크를 사던, 씨마스터를 사던, 산토스를 사던, 엔트리 스틸 모델에서 끝나고,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그 엔트리 시계들을 사는거지.

그게 오메가, 까르띠에 평균 판매값에거 보임. 둘다 $5,712, $6,573 엔트리 스틸 모델 가격이니.


그런데 롤렉스의 차이점은 많은 소비자들이 콤비나 금통, 화골, 등등으로 업그레이드를 많이하고, 그걸 자연스럽게 하는거지.

데젓을 사던, 썹마를 사던 콤비나 귀금속으로 되어 있는 모델들을 자연스럽게 고려하고 많이 사는거야.


그리고 롤렉스는 그 업그레이드가 자연스럽게 되게 컬렉션 설계를 정말 전략적으로 잘해놨음.

아애 엔트리를 담당하는 OP를 제외하고 대부분 스틸 모델들은 색 선택이 제한 되어 있음.

그러니 기본적이고 무난한 색의 스틸을 선택할수도 있고, 인기 있거나 특이한 색을 원할시 콤비나, 금통, 로골 등으로 가야하지.


그리고 롤렉스 스러운 플루티드 베젤이나 쥬블리, 프레지던트 브슬? 그걸 원하면 자연스럽게 화골이나 귀금속으로 올라가는거지.


오메가랑 비교했을때, 오메가는 제일 인기많은 스피드 마스터 문워치 는 제일 인기많고, 헤리티지 높은걸 그냥 스틸에 제일 싸게 사갈수 있음.

그리고 씨마만 해도 엔트리 스틸에 정말 다양한 색에 다양한 한정판이 넘쳐남.

물론 싼 가격에 다양한걸 즐길수 있는게 장점일수도 있지만, 오메가는 롤렉스랑 대비해서 귀금속으로 만들어진 시계들을 소비자들한태 매력적으로 어필 하지 못했고, 자연스러운 업그래이드를 할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두지 않았어.



29bcc932eadc39e864afd19528d52703409fa8a58dcd


3eadd523e1df39b57abac4fb1cc1231db90795bbd68b23a0a413



예를 들어, 누가 "난 씨마스터 300 금 콤비로 $12,700 (약 천오백만원) 쓸거야!" 하면, 많은 사람들이 "그 돈이면 차라리 롤렉스나 하이엔드 사지?" 이럴거야.

근데 누가 "난 서브마리너 사면서 금 콤비로 $15,500 쓸거야!" 하면 그 돈으로 하이엔드를 사라던지, 다른 브랜드를 사라고 하지 않잖아.

데젓 같은거는 오히려 콤비를 좋아하고 사고 싶어하는 사람도 많고.

데젓 스틸과 많이 고민하는 아쿠아 테라나, 산토스 살때 콤비나, 귀금속을 사고 싶어 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3eb8d168efc23f8650bbd58b368473646ba4


3ea8d268efc23f8650bbd58b3683716e69a7



이게 롤렉스가 더 비싼 귀금속으로 업그래이드 하는걸 소비자들한태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고 자연스럽다고 납득을 시킨거지.


4. - 롤렉스 vs. JLC


그 반대 예가 오메가이고, JLC 도 포함.

오메가 에서 이야기 했듯 JLC도 인기 모델을 그냥 스틸 엔트리에서 끝낼수 있음.

오메가에서 제일 인기많고 헤리티지 많은 문워치를 엔트리 스틸 가격에 살수 있는데 더 비싼 오메가를 왜삼? 처럼, JLC 하면 생각나는 시계가 뭐야?

리베르소.


오메가랑 비슷하게 제일 인기가 많은 리베르소를 $7,000~$8,000 에서 사고 끝낼수 있는거야.

그런데 굳이 금통이나 로골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더 비싼 모델을 살 이유를 소비자들이 잘 못느끼는 거고.



0ebcc032f0c03de864afd19528d5270373d8a3fc8c92


3fb8c623f7c137f720b5c6b236ef203ea0e70feb586b30

업그레이드를 하기도 전에 이미 제일 인기 많은 모델 리베르소 스틸에서 오메가 처럼 다양한 색, 다양한 디자인, 많은 사이즈, 다른 무브먼트 등등 수많은 선택지를 주는데 굳이 업그레이드를 하겠냐는 거지.

롤렉스 서브마리너, 데이토나 같은걸 보면 엔트리 스틸에서는 블랙, 같이 한두가지 초이스. 더 다양하고 특이한 색을 사고 싶으면 업그래이드.


그래서 JLC 사면서 리베르소 가격을 넘어선 $15,000 을 쓴다 하면 "굳이 그 돈주고 JLC 를?" 이란 반응이 나오는 거지.

더 낮은 "급" 브랜드인 롤렉스를 그 돈주고 산다 하면 그런 반응이 안나오는데 말이야.


(이게 롤렉스가 좋다, JLC, 오메가 가 나쁘다는게 아니라 왜 롤렉스는 "그돈씨" 가 안나오고 둘은 나오느냐 를 설명하는거임.)

(난 문워치를 그가격에, 리베르소를 이 가격에 살수 있어서 정말 좋음. 엔트리에 소비자 선택을 늘려주는게 소비자 친화적인거라 볼수있고)


JLC 가 아무리 워치 메이커 들의 워치메이커, 하이엔드도 우리 무브 씀! 이렇게 해도 평균 소비 단가가 낮을수 밖에 없는 이유고, 가격인상을 하면 엄청 욕을 먹는 이유지.


JLC 무브먼트, 기술, 역량은 엄청 높지만 소비자들이 소비하고, 생각하는 브랜드의 가격대는 리베르소니까.


마치며...


계속 말하지만 난 언급한 브랜드들이 "그돈씨" 브랜드다 라고 하는것도 아니고, 롤렉스가 오메가, JLC 보다 낫다 라고 말하는게 아님.


다만, 왜 소비자들 입장에서 "그 돈이면 다른 브랜드" 라는 생각이 드는지 분석한거고, 왜 롤렉스는 평균 단가가 높은지, 롤렉스 보다 윗급의 브랜드 시계 가격을 써도 왜 "그 돈이면 하이엔드" 라는 말이 다른 럭셔리 브랜드대비 안나오는지 설명하고 싶었던거임.


가성비 1편은 마치고, 다음은 가성비 2편으로 "크리스토퍼 와드는 정말 가성비가 좋은가?" 라는 (어그로 잔뜩 끌릴 제목) 으로 시계의 가성비, 원가, 마케팅, 헤리티지 을 주제로 돌아올게!



출처: 오토마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14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777/2] 운영자 21.11.18 5456718 427
236464
썸네일
[기갤] [단독] '티아라' 아름, 아동학대 송치 "얼굴 대소변? 자작극"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 873 2
236462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5월말에만 일어난 공사현장 사망사고
[151]
아카식레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 10602 56
236459
썸네일
[미갤] 밤마다 골목에서 '외국인 패싸움'…인천 함박마을 주민 '불안'
[1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5 2741 40
236458
썸네일
[야갤] 분노주의) 여자친구 살해해놓고...“마약했으니 심신미약”.jpg
[1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0 3878 32
2364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국 여행중 시찰나온 당 간부 .jpg
[44]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5 4144 26
236455
썸네일
[기갤] 김정숙 인도행 한달전 도종환 확정.전용기·타지마할도 없었다
[98]
ㅇㅇ(118.222) 14:40 2963 78
236453
썸네일
[야갤] 국힘 "윤 지지율 하락? 인기없는 엄격한 아버지라" 
[344]
ㅇㅇ(211.187) 14:35 7973 130
236452
썸네일
[코갤] 대만 유명스타 줄줄이 "나는 중국인" 선언
[263]
GoldenTig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0 9146 157
236450
썸네일
[야갤] 보배 난리난) "전과 14범이 제 남편을 죽도록 때렸습니다".jpg
[2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5 8896 125
236449
썸네일
[싱갤] 싱붕이들을 위한 야스 단련 운동법!.gif
[1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0 11220 72
236447
썸네일
[기갤] 입주 앞둔 신축 입주자들, "왜 우리는 안돼요?" 날벼락.jpg
[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5 6238 8
236446
썸네일
[야갤] 하이브 - 민희진, "판결문 전문 떴다" 총정리.jpg
[6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2268 99
236443
썸네일
[디갤] [여행] 절경찾아 삼만리
[33]
12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2003 34
236441
썸네일
[야갤] 국내 최다 멤버, 24인조 걸그룹 '트피플에스' 비하인드.jpg
[2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5 21187 178
236440
썸네일
[상갤] "여기가 그렇게 만만해 보였을까" 한줄평에 대한 박성광의 생각
[138]
ㅇㅇ(211.234) 13:50 11197 54
236438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손녀를 위해 연주하는 할아버지.manwha
[79]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5 5664 87
236437
썸네일
[기음] 청년몰 만원짜리 유린기+볶음밥.jpg
[165]
dd(182.222) 13:40 13664 113
236436
썸네일
[러갤] 北 "쓰레기 살포 잠정중단…대북 삐라 발견시 백배 살포"
[302]
러갤러(220.79) 13:35 9536 41
236434
썸네일
[이갤] 베트남신부 "우리의 꿈은 이혼"...jpg
[705]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13732 209
236433
썸네일
[기갤] 멕시코 대선, 첫 여성 대통령 '셰인바움' 유력.jpg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5 5349 17
236432
썸네일
[싱갤] LG 화학 스티렌 가스 누출사고 근황
[1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9182 90
236430
썸네일
[미갤] 식당 주인 구한 배달 라이더…이웃 돌본 주인.jpg
[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5 7796 108
236429
썸네일
[밀갤] AMD 뭐 발표했나부네
[283]
버티사랑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14480 128
236426
썸네일
[야갤] "일단 튀어" 음주운전 꼼수 난무...대책 없나?.jpg
[1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9663 76
236425
썸네일
[중갤] 펄어비스 도깨비 근황 ... jpg
[3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5 22400 222
236424
썸네일
[디갤] 스냅꾼 스냅몇장
[16]
니끼릭끼릭(125.184) 12:50 2542 3
236422
썸네일
[걸갤] [정보]민희진 기자회견의 대본을 쓴 업체에 대해 알아보자.jpg
[553]
ㄹㅇㅍ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5 18938 950
236421
썸네일
[싱갤] 궁금궁금 명문대 예체능은 공부도 잘할까?
[2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0 12883 93
236420
썸네일
[카연] 1화만 있는 SF 세계관 만화
[40]
ktp페이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4866 17
236418
썸네일
[전갤] "통장도 없고 병원도 못 갔다"…유령처럼 살았던 188명
[170]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13257 37
236417
썸네일
[이갤] [단독] 서울 금천경찰서 형사팀장 뇌물수수 의혹…압수수색에 직위해제
[1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5 9399 49
2364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현재 한복관련하여 논쟁일어나고있는 사건
[304]
냥냥이러쿵저러쿵핥아볼까나?: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0 11118 15
236414
썸네일
[나갤] 20정숙 사과문 올린거 존나 역겹노 ㅋㅋㅋ
[266]
나갤러(211.234) 12:15 46152 841
2364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배민 명란이다 vs 아니다 사건..jpg
[512]
Tagill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5 21685 211
236410
썸네일
[야갤] 밀양 성폭행범 옹호한 현직 경찰 재조명…경찰서 게시판은 비난글 도배
[228]
야갤러(89.187) 12:00 13562 137
236409
썸네일
[리갤] 김정수 감독 젠지와 티원 시절 피드백 차이점.jpg
[266]
롤갤러(59.10) 11:55 26988 707
236408
썸네일
[1갤] 아침 시사 라디오 12사단 훈련병 부모 인터뷰
[418]
1갤러(23.227) 11:50 11571 173
236406
썸네일
[원갤] 배민 포장도 수수료부과 .jpg
[4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16756 172
236405
썸네일
[새갤] 이재명, '북풍' 의혹 제기
[456]
포만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13339 197
236404
썸네일
[싱갤] 점점 스케일이 커지는 야스쿠니 신사 낙서범 잡기
[5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24702 211
236402
썸네일
[이갤] 뉴욕에서 대박난 즉석라면집...jpg
[22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21602 58
236401
썸네일
[야갤] 유튜브 뮤직, 허밍만으로 노래 검색 시스템 열린다.jpg
[1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5 10930 53
236398
썸네일
[군갤] 콜비 " 유럽 국가들이 아시아에서 전쟁나면 도와줄거 같나? "
[4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18472 185
236397
썸네일
[부갤] 포항 앞바다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1425]
ㅇㅇ(202.165) 11:10 25415 245
236396
썸네일
[야갤] 5kg 달하는 오물 풍선, 시민 안전 위협.. 행동 요령은?.jpg
[3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1825 83
236394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공포의 할머니 사랑꾼 스토커.jpg
[124]
ㅇㅇ(112.171) 11:00 14296 95
236393
썸네일
[미갤] 6월 3일 시황
[32]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5 7367 22
236392
썸네일
[부갤] 공인중개사 오늘 또 터졌다.
[400]
부갤러(114.200) 10:50 19860 131
236390
썸네일
[디갤] 저녁산책하면서 찍은 사진 봐줄래?
[16]
황센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3287 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