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

배터리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3 15:15:01
조회 24843 추천 155 댓글 398

1. 산업구조


Global-Reserve-Currencies-2021-12-30-USD-share-annual-1.pn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달러패권도 있지만 사실 달러패권은 옛날보다 약화되고 있다는게 전문가들 통설임. 오히려 달러패권이 가장 강력하던 시절에는 2차대전 전후 부흥하던 서유럽이나 급격히 상승하던 일본과 1인당 gdp는 크게 다르지 않았음.

그리고 영국 파운드가 기축통화이던 시절에도 미국의 소득은 항시 최상위권이었고. 즉 근본 원인은 그 이외에서 찾는게 맞음.

엔화나 파운드화와 같은 준기축통화고 돈을 한국보다 더 풀었던 영국이나 일본보다, 사실상 조루 통화인 원화보유국인 한국이 더 성장한건 기축통화 여부가 아닌 한 나라의 생산성 증가 문제이듯.

716096_701884.webp.ren.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미국 vs 아시아 vs 유럽 vs 아프리카 세계 IT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

그건 바로 창조적 파괴라고 불리는 제조업으로 가야될 인적 및 물적 자원과 자본이 1970년대 이후 떠오르던 IT 산업의 기반을 다지는데 들어갔고, 이는 90년대 닷컴 버블 그리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스마트폰 혁명의 초석을 다지게 됨.

그리고 이와 함께 이커머스, 클라우드 산업등 매년 수십% 성장하고 수익성도 제조업의 수십배에 달하면서 전세계적 승자독식이 가능한 산업들에 미국이 선점할뿐 아니라 지속적인 투자 자본확대로 진입장벽을 높여서 세계 IT 시장 전체를 독점해버린것.

Screenshot_20240521_150119_Gallery.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미국 vs 유럽 1인당 GDP ]

결국 그 결과 미국 기업들이 플랫폼 시장 시가총액 세계 80%에 달하게 되었고 이제 미래 먹거리라는 인공지능 시장 마저 사실상 기존 정보혁명에서 기반해야 하는거라 이마저도 미국이 사실상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라 여겨지는중임.

그래서 최근 유럽연합 소속 싱크탱크인 ECIPE 에선 미국의 가장 가난한 주인 앨라배마나 미시시피 마저 독일보다 잘살게 되버렸고2020년대 후반 2030년대초에 이르면 미국의 1인당 gdp와 유럽의 1인당 gdp는 인도와 서유럽 내지 일본과 에콰도르 급의 막대한 격차가 날 것이라고 전망할 정도.

Screenshot_20240521_105942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세계 제약산업 시총 순위 ]

그러나, 유럽과 일본은 여전히 전통산업 위주에 최근엔 그나마 고부가가치던 바이오 제약마저 비만약으로 각광 받은 덴마크의 노보노디스크나 스위스 로슈등을 제외하곤 독일의 베이어나 프랑스의 사노피등은 미국 화이자, 일라이 릴리, 존슨 앤 존슨, 머크, 암젠 같은 미국 대기업들에게 상위 10위권 자리를 다 내줬으며 상위 20위권중 11개가 미국 기업임.

Screenshot_20240521_110140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세계 금융서비스 기관 시총 순위 ]

또한 금융에서조차 200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세계를 주름잡던 프랑스의 BNP 파리바나 독일의 도이체 방크 스위스의 크레딧 스위스나 영국의 HSBC등도 최근 부진하며 미국과 중국 은행들에게 상위권을 내주고 있고. 

유럽 및 일본 선진국들에게 남은건 사실 일부 정밀 기계부품과 명품업과 옛 잘나가던 영화를 보여주는 관광업만 남았다고 해도 될 정도.


2. 인구구조

Screenshot_20240521_112534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고령화로 인해 한국이 2020년대 중반부터 1%, 2030년대부터 0% 잠재성장률에 진입할거라고 경고하는 한국은행 ]

한국은행에서도 말했듯 일이 가능하고 생산성있는 노동인구 비중이 그 사회에서 얼마나 차지하느냐가 한 국가와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크게 좌우함.

왜냐하면 단순 산술적으로도 10명중에서 8-9명이 일하는거랑 5-6명이 일하는건 실질 생산력 격차만 하더라도 최소 20-30% 가 감소하는것을 뜻하기 때문이며, 생산력 있는 인구의 소비로 인한 경제 활성화와 기업활동과 고용의 증대같은 시너지효과 까지 감안하면 격차는 더 커짐.

Screenshot_20240521_111342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그래서 미국은 이 부분에서 압도적인 강점을 지니고 있음
 이민자수도 5100만명 이상으로 세계 최대일뿐 아니라 최근 들어오는 이민자의 학력도 대졸자 내지 석사 및 박사 비율이 45% 내지 그 이상이라고 얘기될 정도로 고학력의 능력자 인재들임.

Screenshot_20240521_113656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즉 유입되는 인구의 양도 많은데 질조차 타 선진국을 압도하고 있다는것으로 이민으로 인한 미국 경제와 사회의 생산성 증가도 타 선진국 대비 유리하다는것임. 

특히 유럽 최대 이민 수용국인 독일조차 이민자중 숙련된 기술자들을 구하기 힘들어서 독일 제조업에 타격이 간다는 소리를 할 정도니까.

Screenshot_20240521_121528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유엔에서 전망한 21세기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인구 추이 ]

여기에 미국은 자연적인 출산율도 프랑스와 함께 선진국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서 노동 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타격이 선진국중 가장 덜한편에 속하고, 이민자로 오히려 21세기 내내 인구 증가가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올 정도임.

frc-daccb146cca73d4e38d2cacb84b1130c.pn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선진국 뿐 아니라 중국이나 러시아 같은 주요 개발도상국들도 인구감소로 허덕이고 있을때 말임. 특히 중국 인구의 감소는 현 출산율로 갈시 21세기말엔 10억이상 감소해 4억명대로 전락한다는 추계까지 나옴.

하여튼, 이런 미국의 꾸준한 노동 인구 증가와 그로 인해 어느정도선으로 억제되는 미국 사회 전체의 노인 비중은 미국이 타 선진국대비 소득 및 생산성 증가에서 앞서나게 만들수밖에 없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음.

Screenshot_20240521_122722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노동인구 1인당 GDP ]

특히 이건 주요 선진국 노동인구의 1인당 GDP 추이를 보면 명백해지는데, 산업간의 격차에도 불구하고 노동인구의 1인당 GDP 는 2024년 현재 미국 일본 1인당 GDP 격차, 85000달러 vs 33000달러와 같은 250% 수준의 격차까진 나지 않고 있음. 

즉 이건 육체 및 정신적으로 생산성이 낮을수 밖에 없는 노인의 비율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국 대비 일본과 유럽이 높기 때문이란것. 즉 미국이 앞서나간 부분은 산업뿐 아니라 비생산적인 노인 인구의 비율이 유럽이나 일본과 같은 여타 선진국 대비 적다는데 크게 혜택을 보고 있는 셈인것.


3. 자본 및 인재 유입

Screenshot_20240521_124209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그리고 이렇게 인구구조도 타 선진국 대비 젊은데다 신산업도 성공시킨 미국의 투자매력도는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수 밖에 없고, 1990년대 2000년대초만 해도 나름 유럽 일본 미국 균형잡히게 골고루 자본이 유입되던 흐름이 바뀌기 시작했음. 

한 마디로 균형의 추가 깨지기 시작했다는 말이고, 이 정도는 상당히 심각해서 1990년도엔 세계 주식시장 비중에서 19.3%에 불과했던 미국 주식 시장이 2023년엔 혼자서 세계 주식 시가총액의 61.7% 가량을 점유하게 될 정도.

29667.jpe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의사들이 가장 많이 떠나는 국가들 : 인도, 파키스탄, 루마니아, 독일, 영국, 러시아, 이집트, 폴란드 순 ]

그리고 당연히 세계 각국의 인재들도 이렇게 더 많은 돈이 몰린다는 즉 더 많은 기회가 몰리는곳으로 더욱 많이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첫문단에서 얘기한것처럼 단순 노동자들보다 그 나라에서 엘리트와 고학력 인재의 미국 이주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동유럽 지역의 인재들이 독일로 빨려들어간다면, 서유럽에서 독일은 스위스나 미국으로 가고 영국도 미국이나 호주로 가는 반면 프랑스의 경우 스위스, 북미와 싱가포르등 아시아 선진국 일부로 가는 구조를 보이고 있음.

2023-developer-compensation-by-country-v0-52xdhj0datub1.pn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2023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봉 : 미국과 프랑스 개발자 평균 연봉 격차는 약 3배 ]

당장 구글의 창업자만해도 러시아 출신이고 모더나의 창업자도 프랑스 출신에 마이크로소프트 경영자는 인도 출신일 정도로 각국의 기라성 같은 인재들이 미국에서 대거 창업을 하면서 미국의 경제적 번영과 고소득 일자리 창출에 더 기여를 하는 상황임.

특히 인종과 언어가 유사한 유럽에선 기술자 및 개발자들이 유럽 대비 2~3배 이상의 연봉을 제시하는 미국으로 가는 현상이 심화되는 모습.

Screenshot_20240521_144407_Samsung Internet.jp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2024년 주요국들의 1조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대형 스타트업인 유니콘 보유 갯수 ]

이전 19세기 20세기초와 다른점은 앞서 말했듯이 그 이전엔 농업이나 공장일등 단순 육체 노동하는 가난한 서민층이었다면 요즘은 최소 중산층 이상의 기술자 내지 개발자등 고학력 지식노동자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것.

Number-of-unicorns-in-China-the-European-Union-and-the-United-States-2016-and-2018-2024.png 주요 선진국중 미국만 소득 폭증하는 이유.jpg
[ 미국, 중국, 유럽의 최근 8년간 유니콘 기업 갯수 변화 ]

실제로 스타트업 갯수 격차만해도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 이 스타트업 상당수는 유럽, 중국, 인도 등지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이민자들이 세운것.

이들이 만약에 유럽에서 규제나 연봉 문제로 미국으로 이주하지 않고 유럽에서 꽃피웠다면 얼마나 많은 부를 유럽에 기여해줬을지 상상도 하기 힘들 노릇인거.


3줄 요약 :

1. 유럽과 일본같은 타 선진국들이 제조업, 관광업등의 전통산업에서 헤매고 있을때 미국은 IT 와 같은 신산업의 성공에 인공지능 같은 미래 먹거리 선점은 물론이고 기존 고부가가치 산업인 세계 바이오, 제약, 금융등의 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까지 급격히 확대해서 유럽연합 싱크탱크는 유럽과 미국 소득 격차가 인도인과 유럽인 내지 에콰도르인과 일본인 수준으로 벌어질거라 전망.

2. 그뿐 아니라 타 선진국 대비 높은 출산율을 구가하면서 세계 최대의 이민자들을 수용하는 미국은 젊은 인구구조를 유지해서 비생산적인 노인 인구 비중 증가를 억제하는 반면 유럽과 일본등의 선진국은 이민을 수용함에도 노인 인구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는데, 최근들어 미국에 유입되는 이민자가 타국대비 그 질마저 향상되는중으로 미국 이민자 유입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대졸 이나 석박 이상으로 학력마저 높아지고 있는 상황.

3. 결국 타 선진국 대비 유리한 산업구조 및 인구구조를 지닌 미국에 더 많은 해외 투자자들의 자금이 미국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는만큼, 더 많은 돈 = 더 많은 기회를 쫓아서 세계에서 가장 유능하고 뛰어난 인재들이 미국으로 유입되고 이런 인재들이 미국에서 새로운 기업들을 창업해서 더 많은 부를 창출하며 이는 또 더 많은 우수하고 혈기왕성한 젊은 인재들을 세계에서 끌어들이는 선순환.


출처 펨코



7cea8174bc816ef338eb98a518d60403bef933e2f512be3a6497




출처: 러시아-우크라이나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55

고정닉 23

97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41047
썸네일
[자갤] 인도사람들의 타타자동차 인식
[408]
ㅇㅇ(211.235) 06.20 30305 201
241045
썸네일
[싱갤] 독학으로 세계적 킥복서가 된 일본인..gif
[305]
방파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0071 263
241043
썸네일
[야갤] 조리원, 키즈카페, 사교육비.. 돈 아닌 게 없는 부담.jpg
[4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540 56
241041
썸네일
[일갤] 스압)아바시리 감옥 갔다가, 북단찍고 오는 길
[38]
이번생은포기한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0989 28
2410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몽골이 북한의 분탕짓을 농락하는 방법
[230]
하후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5177 583
241037
썸네일
[카연] 유령자국 1화
[38]
오탈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1623 101
241035
썸네일
[이갤] 어느 BJ의 훈육법.jpg
[54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7122 604
241032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양팔이 다잘렸는데 다시 붙인 남자ㄷㄷㄷ..jpg
[444]
ㅇㅇ(122.42) 06.20 55079 448
241030
썸네일
[야갤] 순직해 별이 된 구조대원, 마운드에서 그 아들과의 만남.jpg
[1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6189 91
241029
썸네일
[디갤] 무지성 블랙미스트 1/2 빔
[20]
디붕이(39.124) 06.20 5080 2
2410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투터진 일본 영화 감독
[2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5893 126
241025
썸네일
[기갤] 코치 성범죄 알고도 조치 없었다... 남현희 펜싱협회서 제명
[86]
ㅇㅇ(106.101) 06.20 17204 51
241023
썸네일
[보갤] 의사가 말하는 자위행위가 체력에 영향을 주는 이유 jpg
[554]
보갤러(115.126) 06.20 59492 415
241021
썸네일
[야갤] '잔인하게 죽여도 솜방망이'.. 동물학대 양형기준, 앞으론.jpg
[3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7085 68
241019
썸네일
[싱갤] 잘나간다던 중국 알리 테무 근황...JPG
[703]
ㅇㅇ(210.113) 06.20 68093 363
241017
썸네일
[주갤] 젊은 여자들 와인론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기 시작했다!!
[876]
주갤러(121.160) 06.20 40885 442
241015
썸네일
[이갤]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위해 노력하는 대한민국 공무원
[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5572 34
241009
썸네일
[중갤] 효순이 미선이 사건 관련 좌파들 사람새끼들 아닌듯
[459]
오른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9726 644
241007
썸네일
[만갤] 어떤 장난감 회사에서 불법복제를 엿먹인 방법
[301]
ㅇㅇ(118.40) 06.20 33108 67
24100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우리나라 처벌 약하다는게 이해가 안되는 이유
[601]
러뽕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6903 375
241003
썸네일
[야갤] 푸틴, '아우루스' 또 선물.. 북러 정상 밀착 과시.jpg
[20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5488 59
241001
썸네일
[이갤] 초등학생의 호기심 때문에 발견된 쌍홍예다리의 내진설계...jpg
[346]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7369 244
24099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 드디어 플로피 디스크 완전 퇴출
[44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3659 188
240997
썸네일
[일갤] (11)도쿄타워를 오르려는 핑프를 위한 안내서
[44]
평범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0811 33
240995
썸네일
[싱갤] 와들와들 과속+신호위반해서 3명 죽인 80대.jpgif
[369]
BlackWolfStudi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9340 136
240993
썸네일
[해갤] 용택신 최신 근황 ㅋㅋㅋㅋㅋㅋ.jpg
[76]
ㅇㅇ(211.119) 06.20 20841 72
24098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고려시대 복식의 모습
[189]
ㅇㅇ(119.192) 06.20 31554 246
240987
썸네일
[야갤] 애국가 가사 바꿔야 할 판인 상황.jpg
[5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4880 227
2409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또 흑인때문에 개판된 미국 현상황
[629]
야코닉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1276 621
240984
썸네일
[이갤] 클락션 2초 눌렀다고 쫓아와서 보복운전 당한 사건을 본 경찰의 답변
[3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391 233
240981
썸네일
[주갤] 훈련병 죽인 여중대장이 "사과 받으라고" 시전.News
[960]
ㅇㅇ(211.41) 06.20 44193 1293
24097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역대 대통령 학력촌 ...jpg
[473]
ㅇㅇ(39.123) 06.20 27168 155
240978
썸네일
[디갤] 호주의 여름 바다.webp
[36]
눈부신계절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6497 19
240976
썸네일
[부갤] 국제적 왕따위기 중국이 한국에 손내민 까닭은?
[355]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5923 244
240975
썸네일
[싱갤] 달콤달콤 19세기 설탕중독자의 세계
[190]
ㅇㅇ(210.108) 06.20 33601 263
240972
썸네일
[싱갤] 12사단 박 훈련병 어머니 최초 육성 인터뷰
[743]
유스테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460 497
240970
썸네일
[야갤] 식당 구석에서 창업한 엔비디아, 31년만에 황제가 되다.jpg
[2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991 189
240969
썸네일
[박갤] 일본에 쓰레기통이 적은 이유
[2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4670 136
240967
썸네일
[기갤] 최다니엘이 말하는 <지붕 뚫고 하이킥> 결말.jpg
[229]
긷갤러(212.103) 06.20 21778 125
240966
썸네일
[싱갤] 북한이 말하는 "이밥에 고깃국" 은 뭘까
[306]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7716 190
240964
썸네일
[대갤] 덴마크가 불닭 리콜한 진짜 이유 밝혀짐... 덴마크의 멍청한 실수
[90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2788 435
240963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미국 대낮에 벌어지는 일
[449]
Patron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0455 346
240961
썸네일
[야갤] [단독] 백종원 돈 노렸나.. 점주들 모여서 한 말이.jpg
[4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562 183
240960
썸네일
[이갤] 코인 사기 피의자와 찰칵한 지방경찰청장 근황
[131]
노인복지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805 252
2409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페인트 테러 당하는 스톤헨지
[277]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264 118
240955
썸네일
[카연] 별사섬) 남동생 앞에서 XX하는 눈나.manhwa
[187]
어패류메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7170 148
240954
썸네일
[전갤] 연임 위해 조만간 사퇴? "민주당 아버지" 찬사 들은 이재명..jpg
[209]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1823 143
240952
썸네일
[새갤] 한동훈 "이번엔 잘할 수 있다, 보수정권 재창출"
[569]
포만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6496 168
24095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문철이 말하는 보행자 겸용도로 운전법
[3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4613 118
240949
썸네일
[케갤] [단독] “삭제하면 그만” 안 통한다… 다음카페 ‘초강수’
[319]
ㅇㅇ(118.33) 06.20 27693 4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