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MBC] 석유·가스 개발로 지진 날 수 있다?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3 16:50:02
조회 19092 추천 46 댓글 532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8dd356a34b6b0ad11fb9a9edab01d870ae04848cb2ea3f5b9d1f2d4e7b137

최근 정부가 동해 석유·가스 개발 추진을 발표한 뒤, 인접한 포항 지역을 중심으로 지진 발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시추 과정에서 주변 지역에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건데요.

실제로 석유 시추와 지진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 건지, 팩트체크 '알고보니'에서 확인해 봤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37d67a6a1ba11f087fbf2d43eba7ffe1bfc4d812e2b8f4e2df1c488

네덜란드 북부에 위치한 유럽 최대규모의 천연가스 매장지인 흐로닝언 가스전.

1959년 발견돼 여전히 4천 5백억 제곱미터의 가스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네덜란드 정부는 두 달 전 이곳을 영구 폐쇄했습니다.

지난 1986년부터 이곳에서 발생한 지진은 약 1천6백 건.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06834b6b0ad11fb9af534794b7ae366c699dbff58f73f3b08ca15fea9

조사를 진행한 네덜란드 정부는 "흐로닝언에서 추출된 가스가 지진을 일으킨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36c34b6b0ad11fb9ad09535fe68f79983ed253086d2458c2abe065bbe

가스 추출로 지표면 아래 암석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든 게 지진의 원인으로 분석된다는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26934b6b0ad11fb9ac9569098bc3091178ef0800d7405456a76ad48cf

미국의 주요 석유·가스 생산지인 오클라호마주.

이곳에서는 2010년부터 갑자기 지진이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전에는 1년에 평균 두 번 정도 일어나던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2015년에는 1천 번 가까이로 치솟은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56834b6b0ad11fb9a583a5af2dc9c2cf147a9f792782039ebff6e6d44

2010년대는 미국에서 시추 기술 혁신으로 석유과 가스의 대량 생산이 이뤄진 셰일 혁명 시기.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46e34b6b0ad11fb9a4c08fb32569c8ef29883fd1c3de858adda0de11e

미국 에너지정보청은 "지진 발생의 증가는 셰일에서 채굴하는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량이 늘어난 시점과 일치한다"고 분석했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7d67a6a1ba11f08774dc7f0741a2196e462434d2faca63ce6048b7

그 원인으로는 수압파쇄라는 채굴 방식이 지목됩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06934b6b0ad11fb9af413ad766cb6fc2e8014077a5a6d28ea8d006c60

이 공법은 땅속에 설치한 파이프에서 엄청난 압력으로 화학물질이 섞인 물을 쏘는 방식으로 원유와 가스가 저장된 암석을 깨는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36f34b6b0ad11fb9a6ad134cd29ac757ceb7170b91daa87e689bbfeaf

이때 나오는 폐수를 지하 저장소에 보관하는데, 이게 지층을 자극해서 지진이 발생한다는 게 미국 지질조사국 견해입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6d34b6b0ad11fb9ad91afdbf804218f86244e2e8c9a0eda8500bbd3a

실제로, 오클라호마주가 폐수 처리 과정을 규제하기 시작한 이후, 지진은 줄었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6e34b6b0ad11fb9a4e62abcef1833ea7333bd3abe36d2640f7355e6b

반대로 지진 걱정 없이 안전한 유전도 있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6534b6b0ad11fb9a428b5edfabd62c80b2638327303ee68ce7aa4aa0

유전 주변의 단층 구조와 지반의 성질은 어떤지, 유전의 위치가 육지인지 바다인지, 또, 시추 공법이 뭔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지진 발생 가능성이 달라지는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56534b6b0ad11fb9a92f5aee7d7b6d875b5fea6fec8269456e2b428a9

이제 막 개발을 추진 중인 동해의 경우 현재 단계에서 그 가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46e34b6b0ad11fb9ab3aa54c630291bf5a15589c6abe5976e839079dc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fdd357d67a6a1ba11f0870c719c8a934e35b0371f89929f40447440fb14

탐사 시추 단계에서의 지진 발생 가능성은 희박한 만큼, 과한 기대나 공포를 갖기보다는 과학적인 분석과 투명한 검증으로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54505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9

395

원본 첨부파일 16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27447
썸네일
[새갤] "尹정권 독재화" 이재명 인용한 보고서 '엉망진창'
[312]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5909 175
227444
썸네일
[카연] 무슬림 아니어서 죽을 뻔한 썰(2)
[149]
헬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8247 195
227442
썸네일
[A갤] 스마트폰 2대가 늘고있다는 Z세대 스시녀들
[322]
아잉마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43181 60
22744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과거 생활고 고백한 박성훈.jpg
[177]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6114 64
227440
썸네일
[더갤] 미국판 1찍과 3찍의 갈등
[276]
잼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0125 89
227438
썸네일
[자갤] 한녀랑 결혼하면 왜 별것도 아닌걸로 싸우는거냐?
[473]
ㅇㅇ(42.82) 04.30 29680 508
227437
썸네일
[야갤] '상대 잘못 골랐네', 참교육 당한 보험사기범.jpg
[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3302 83
2274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당직사관.jpg
[467]
Chart_Manag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43821 513
227433
썸네일
[유갤] 이동진이 실물로 보고 떨렸던 여배우 2명
[365]
ㅇㅇ(84.17) 04.30 40870 226
227432
썸네일
[부갤] 외국인 함부로 받다가는 정말 망한다???
[706]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5769 330
227430
썸네일
[싱갤] 우주에서 물건이 떠다니는 것은 중력이 없기 때문이다
[389]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6207 204
227429
썸네일
[야갤] 이젠 '버스 서핑'…미국 10대들, 목숨 건 인증샷.jpg
[25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9844 123
227428
썸네일
[주갤] 외벌이 원하는 한국여성들의 평균 마인드.jpg
[661]
ㅇㅇ(211.234) 04.30 37619 1061
22742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의사들이 신의약이라고 칭송한 탈리도마이드
[2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7316 247
227425
썸네일
[해갤] 동급생 살해한 여고생이 피해자 부모님에게 보낸 문자 내용
[239]
해갤러(193.23) 04.30 25914 169
227424
썸네일
[이갤] 스압)) 잘못알려진 위인들의 명언...jpg
[300]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0011 138
227423
썸네일
[중갤] 오늘자 윤석열 정부 R&D 미친짓
[5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0178 212
22742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싱붕이 로맨스 스캠 보이스피싱 걸릴 뻔하다가 디시 덕분에 살았다
[113]
ㅇㅇ(116.125) 04.30 24873 245
227421
썸네일
[새갤] 해병사령관 공수처 소환, 전 사단장 자필 서명 문서 확보 등
[247]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1047 82
227420
썸네일
[야갤] 스타벅스에도 '진동벨' 울린다.jpg
[2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9011 122
2274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럽과 손잡은 삼성 ㄷㄷㄷ
[241]
휘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6587 240
227417
썸네일
[프갤] 부산..인공항문..똥테러 협박..ㄹㅇ
[384]
두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1050 165
227416
썸네일
[스갤] 강남 30억 아파트에 짝퉁 유리 시공한 빵즈들 ㅋㅋㅋㅋ
[351]
ㅇㅇ(154.47) 04.30 23446 272
227414
썸네일
[대갤] 정부, 日에 적극 대응 나선다... 외교부 이어 과기부까지 참전
[645]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6690 211
227413
썸네일
[야갤] 현재 보배 난리난) "판매중인 소주에서 경유 발견" 사건.jpg
[2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6924 165
227412
썸네일
[디갤] 1차로 깎아 본 것들 (17장)
[22]
ㅇㅁㄹㅇ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7496 11
2274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골 때리는 일본 아이돌 드라마
[3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5354 176
227409
썸네일
[야갤] "먹튀 작정하고 시킨 것 같아"…수상한 배달 주문
[223]
야갤러(85.203) 04.30 26928 85
227408
썸네일
[로갤] 낭만 넘쳤던 자전거 캠핑 후기
[80]
댕댕이애호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0207 67
227405
썸네일
[이갤] 영화 기생충 보는 듯"…부부가 편의점 취업해 '내 집처럼'
[3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5935 188
227404
썸네일
[야갤] 드디어 새마을식당 점검들어간 백종원.jpg
[2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5871 91
227402
썸네일
[자갤] 1차로 정속충 때려잡는 유튜버 등장
[706]
차갤러(45.92) 04.30 28099 505
227401
썸네일
[조갤] 폰카탐조 6개월차 151종달성!!
[29]
조붕이(221.145) 04.30 3583 27
227400
썸네일
[싱갤] 성공한 웹소설 작가가 벌어들이는 수입..jpg
[3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5332 137
227398
썸네일
[새갤] 유재은 관리관 “대통령실과 통화 기억 안 난다”
[15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9529 45
227397
썸네일
[기갤] 기안84가 달리기에 진심이 된 이유
[363]
긷갤러(146.70) 04.30 28170 260
227396
썸네일
[싱갤] 조선왕조실록에 미친놈이라 기록된 신하 ㄷㄷ
[331]
고추안서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5959 259
227394
썸네일
[카연] 군대 감전 썰
[111]
L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7914 141
22739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생을 알려주는 여자
[465]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5612 366
227390
썸네일
[코갤] 87세 자산 180억 전업 주식투자자 . jpg
[295]
ㅇㅇ(220.81) 04.30 33148 168
227389
썸네일
[부갤] 슈카월드로 알아본 한국 상황 ㄷㄷ
[1043]
부갤러(59.16) 04.30 46041 855
227388
썸네일
[싱갤] 112년전 남자들의 기사도와 희생정신...jpg
[352]
ㅇㅇ(58.72) 04.30 19267 56
227386
썸네일
[대갤] 日네티즌, 라인 대신 텔레그램으로 갈아타자... 한일갈등 번지는 라인사태
[95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6171 353
227385
썸네일
[해갤] 뼈보이는 부상에도 구급차 안태워준 K3리그 경기
[158]
해갤러(46.165) 04.30 14153 80
2273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자기가 망한게 이경규 탓이라는 김제동
[58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40156 460
227382
썸네일
[리갤] 쵸비 msi 우승에대한 생각
[298]
롤갤러(49.170) 04.30 20308 280
227381
썸네일
[코갤] 금투세 원천징수 시스템 구축 시작 ㅋㅋㅋㅋㅋㅋㅋ
[1023]
ㅇㅇ(211.209) 04.30 25414 531
227380
썸네일
[걸갤] 걸그룹 오디션 최초 흑화한 빌런
[244]
걸갤러(223.38) 04.30 33904 170
2273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결혼한 야붕이 후일담 추가
[6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6168 259
227376
썸네일
[주갤] (유튜브같이보자) 한국여자들과 술마시고 놀던 알파메일의 최후
[406]
ㅇㅇ(172.226) 04.30 29957 44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