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건축의 이해 - 9부 [탑파건축 개론]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23 10:00:02
조회 10477 추천 44 댓글 44

탑은 한국의 문화재를 논함에 있어 빠트릴 수 없는 소재임. [한국건축의 이해] 탑파건축 편은 3부 정도로 마무리될 것 같은데, 이번 9부에서는 탑의 종류와 역사, 10부에서는 시대별 탑파건축의 흐름, 11부에서는 부도라고도 불리는 승탑에 대해 다루려고 함.

그리고 목조건축 편까지는 최대한 내 사진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필요한 사진을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냥 문화재청 사진을 사용하려 함.

7fed8274b4826af751ee84e142857d7388b4f2fe951979aaf3a55f295f9122cb

일단 탑파(塔婆)란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스투파(stupa)에서 기원했음. 스투파란 본래 무언가 높이 퇴적된 형상을 이르는 단어였는데, 망자를 장사지낸 뒤 흙을 높여 쌓는 것을 스투파로 부르며 의미가 변화하였음. 이후 석가모니의 불사리를 거대한 스투파에 모시며 스투파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신 장치라는 현재의 탑과 같은 의미가 되었음.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며 '탑파'로 음차되었고, 이것을 줄여 탑으로 부르게 되었음.

2fbf8419b08607af3ff1dca511f11a3918cd185609ea5765c1

[산치 대탑(스투파). 사진 : 세상의 모든 지식]

스투파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돔형의 구조물 위에 산개라는 양산 모양의 구조물을 올린 모습임. 돔형의 구조는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으로, 불교의 우주관이 반영되어 있음.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초기에는 탑의 각이 몹시 많았는데, 이는 본래 탑의 원형(原形)은 원형(圓形) 평면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임. 아래 사진은 중국 하남성(河南省)의 숭악사(嵩岳寺) 12각15층석탑으로, 534년 제작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탑임.
(개인 블로그에 들어가면 최신의 사진들이 많은데, 지식백과에서는 이 사진밖에 구할 수 없음. 컬러사진은 개별적으로 찾아보기 바람)

28bc8819b584699967ee82fb1cc1231d6fcda12c3f3b1d24552fe9

[숭악사 12각15층석탑. 사진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탑파가 전래된 중국에서는 주로 벽돌이나 나무로 탑을 제작하였음. 이것이 전탑(塼塔)과 목탑(木塔)임. 목탑과 전탑은 중국 탑의 주류가 되었으며, 이것이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삼국시대 한반도에 들어왔음.

0ce98073b58069f63ee985ed58db343ae6d4258385436188d60bea9a

[평양 정릉사지. 사진 : 조선향토대백과]

고구려는 372년 불교가 전래된 이래 393년 수도 평양 인근에 9개 사찰이 생겼을 만큼 널리 전파되었음. 고구려는 목탑만을 수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고구려 목탑의 특징은 팔각형의 평면임. 위 정릉사지 사진에서 팔각형 유구가 목탑지임.

a66b30aa121e072d847a5a57c65ae2f1504412e5980585d1868d2626c70a1e6f6642eec13edec715acc127b17025bc11a03ee8c5fcdeacde5d9ae2

[부여 능산리사지. 사진 : 문화재청]

백제 또한 목탑을 수용하였음. 384년 불교를 수용한 백제는 고구려와 달리 방형평면의 목탑이 제작되었음. 이는 가장 늦은 521년 불교를 수용한 신라 또한 마찬가지였음.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며 방형탑은 탑의 주류가 되었음.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fee04786784408232e7920d0599b6e9dd4cfcd1a1e2a4307ad757eb8bb9b2e66e8bd1f2b559a918dbd2e147353278026b4a57b2613e58a6e8c81a9110e3f06331d10925

a66f25aa260eb444a2805b59e25dc7dce6f87b6f68d366dd2b40e5d95ddb555076f362a8c971fbed80df47925d08e7e3223c3025

[보은 법주사 팔상전 종단면도와 사천주. 사진 : 문화재청]

현재 한반도에는 목탑이 단 하나도 남아있지 않아 탑파건축의 한 축을 이해하는 데 있어 큰 결점이 되고 있음. 목탑은 기본적으로 심주(心柱)라는 큰 기둥을 중심축으로 하여 이것이 탑의 꼭대기까지 올라가는 구조임. 심주의 주변을 둘러싼 4개의 기둥을 사천주(四天柱)라고 하는데, 탑이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이기에 수미산을 사방에서 방위하는 사천왕이 사천주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음.

7fed8274b58068f751ee83e4418074730cf51d252b3782568fabd19772e52e5a

[경주 황룡사지 심주초석]

심주는 목탑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이기에 심주초석에 사리공을 파 이곳에 사리를 안치하였음.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824ea0c4624529e16e63277940381e602a7644d8909788f382e296b9ee82f075d2adb5c

[익산 미륵사지 서탑. 사진 : 문화재청]

한편, 200여년간 목탑만 존재했던 한반도에 최초의 석탑이 등장함. 그것이 바로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임. 미륵사지석탑은 최초의 석탑으로, 목탑의 구조적 형태를 똑같이 모방하였음. 따라서 기둥과 면석 등을 모두 별석으로 제작하여 실제 목탑에 대응하도록 하였음. 당시 기둥의 흘림까지 반영하여 실제 건축물과의 유사성을 높였음.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824ea0c31278e179a523c36501789e2f75ac07d7d12486c37a6860b52da295fcfb6299f80603d0fd1ddb26bfc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 사진 : 문화재청]

미륵사지석탑은 목탑을 모방하였기에 내부로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심주에 해당하는 심주석 또한 제작에 반영되었음.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924ea0c31fad433c28bd276cf3361033839ab55765408ff75c6e97c1dbe952801defb650ded2cf8a977ea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924ea0c31fad433c28bd276cf3361033839ab55765408ff75c6e97f46e0981838fac65f2e8a5af8ac7c2d1981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924ea0c31fad433c28bd276cf3361033839ab55765408ff75c6e97f45e0981838fac65f2e8a5af0af779f99d1dc

[미륵사지서탑 사리장엄구와 발견장면. 사진 : 문화재청]

본래의 목탑이라면 사리장엄구는 심주 아래의 초석에서 발견되어야 하지만, 석탑이라는 특성상 심주석 내부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음. 같이 발견된 금제 사리봉영기에 따르면 639년(무왕 20) 무왕비 사택적덕의 딸의 시주로 세워졌음.

참고로, 이것이 발견된 2009년 이전까지는 무왕(서동, 맛동)의 부인은 신라 진평왕의 딸인 선화공주로 알려져 있었으나, 무왕의 부인이 전혀 다른 인물인 백제 귀족 사택적덕의 딸로 밝혀지면서 서동요 설화는 큰 타격을 입게 되었음. 최근 재발굴로 익산쌍릉 대왕묘의 피장자가 무왕으로 확실시되는 가운데 무왕과 선화공주 설화의 진위여부는 여전히 오리무중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0e6b423ba3d1616cdbb782679b24c667d33965853b230c531

[익산 미륵사지 석탑, 1910년. 사진 : e뮤지엄]

미륵사지석탑은 이와 같이 최초의 석탑으로 한반도 탑파건축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탑 중 하나임.

7fed8272b5846af751ee87e04f837773ee409a7a911dfd1f9dea7c1d0106252c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미륵사지석탑은 최초의 석탑으로써 그 의의는 높으나, 목탑의 형태를 고수하다 보니 몹시 비효율적이었을 것임. 이러한 불합리성을 해소하고 백제 석탑의 표준이 된 것이 바로 정림사지 오층석탑임.

7fed8272b5846af751ee84e544837573439173698651885697ebf049c2e936d9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백제계 석탑의 특징은 옥개석의 낙수면이 몹시 얇고 기단이 단순하다는 점임. 이러한 백제계 탑의 특징은 10부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음.

639년 미륵사지석탑이 세워지고, 660년 백제가 멸망하였기에 백제의 석탑이 자라날 시간적 여유는 몹시 부족했음. 그 혼란한 20여년의 와중에 완성된 정림사지석탑은 백제의 비례미를 담고 이후의 백제계 석탑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큼.

7fed8272b5846af751ee84e540847273b50c02e3ceb7a01b518954347f285654

[경주 분황사 석탑. 사진 : 문화재청]

한편, 신라 또한 석탑을 제작했음. 하지만 신라의 석탑은 목탑이 아닌 전탑을 수용하였는데, 전탑을 모방한 석탑이라 하여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 부름. 벽돌과 비슷한 색의 돌을 벽돌 크기로 잘라 쌓았기에 겉보기에는 전탑과 구분하기 어려움.

7fed8272b5846af751ee84e5418177735c708a53c62f83f6dbefffe4c1f7b21e

[경주 분황사 석탑 인왕상. 사진 : 문화재청]

분황사석탑은 미륵사지석탑보다 5년 앞선 634년 분황사 창건 당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하지만 본질적인 석탑의 시작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흔히 미륵사지석탑을 석탑의 시초로 봄.

7fed8272b58068f751ef8ee44285777307c562edfd831e46596292e6ac3a2c62

[경주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실질적인 경주의 첫 석탑은 682년(신문왕 2) 제작된 감은사지 삼층석탑임. 여러 연구결과 둘 중에서도 동탑이 서탑보다 먼저 세워졌음이 밝혀졌음.

7fed8272b58068f751ef8ee442837373c6719be3afb69d1a57b061110ca065f4

[경주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백제계 석탑과 달리 통일신라의 석탑은 낙수면의 기울기가 풍부하고, 기단부가 충실함. 백제 석탑이 김부식이 이른 바 '儉而不陋 華而不侈'로 표상되는 절제미와 비례미를 보여준다면, 통일신라의 석탑은 여유로우면서도 풍만한, 장중하면서도 경쾌한 균형미가 돋보임.

7fed8272b5846af751ee84e141827173fb8a788e72e3ea3137732bf0a7ea78de

[경주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찰주. 사진 : 문화재청]

초기의 통일신라 석탑은 감은사지석탑으로부터 비롯된 비례미를 따랐음. 감은사탑과 같은 장인집단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선사지 삼층석탑 또한 석질과 추가된 문비조각에서의 차이만 있을 뿐 감은사탑과 동일한 크기와 양식임.

7fed8272b5846af751ee85e447847173ad6e93164206648acf99b76c00a6ed18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 이후 한 세기 동안 라원리 오층석탑, 구황동 삼층석탑, 창림사지 삼층석탑 등 각기 개성을 가진 석탑들이 제작되었음. 그렇게 통일신라 미술의 최전성기였던 경덕왕대, 기념비적인 석탑이 만들어졌으니 바로 불국사 삼층석탑임.

7fed8272b5846af751ee85e4428572739228118afdf10653b51ceaa0301bc63d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불국사 삼층석탑, 일명 석가탑은 751년 제작되었으며, 이후의 모든 통일신라계 석탑의 원형이 되었음. 불국사 삼층석탑은 감은사지 삼층석탑으로부터 시작된 신라계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좀 더 날렵하고 상승감 있는 흔히 생각하는 통일신라 석탑의 기초를 잡은 석탑임.

7fed8272b5846af751ee85e7468373731eb2aa24158599fa350e4fe04a5bdf48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한편, 전탑이 아예 한반도에 유입되지 않은 것은 아님. 비록 그 시초가 모전석탑이긴 했지만,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전탑이 제작되었음. 현재 제대로 남아있는 전탑은 전국에 총 5기, 그 중 3기가 안동에 위치함.

7fed8272b5846af751ee85e645837273f0aba6818fa8c8f012676163d434a65f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한반도는 지질적 특성상 벽돌을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은 토양을 가졌음. 안동지역은 그나마 벽돌을 제작할 수 있는 지질적 여건을 갖추었기에 일부 전탑이 제작되었음.

7fed8272b5846af751ee85e6428577730d19f2f9d629229fe41fb80ec6329ddbeb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은 안동지역 밖에 있는 유일한 통일신라 전탑으로, 상륜부가 남아 있음.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0e6b421bc3b18f712cda2b8a51a8e6a9e61c6fdf39595ef98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914년. 사진 : e뮤지엄]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5개 전탑 중 규모가 가장 큰 탑임. 전탑은 석탑에 비해 높게 짓기 유리하기에 가장 큰 석탑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14.5m)보다 큰 17m의 규모임. 조선시대 기록에 금동 상륜부를 관아로 이동시켰다고 하니, 본래 송림사 전탑과 유사했을 듯함. 또한 기와가 일부 남아있어 본래 기와로 덮여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음.

7fed8272b5846af751ee85e04080737399a889fc97eafcea4fa2e7658ea60d7f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은 기와가 잘 남아있어 여타 전탑의 원형을 추정해 볼 수 있음. 기와는 많은 부분 복원되기는 했지만, 복원 시점에 다른 전탑들에 비해 기와가 많이 남아 있어 위와 같이 복원되었음.

0a9e8073b7e268f73ce684fb1cc1231d33ab10c9cc77b2b41556ce

[의성 석탑리방단형적석탑.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편, 토탑(土塔)으로 분류되는 탑도 있음. 전국에 10곳이 안 되고, 형태도 정형적이지 않아 연구가 미비하지만, 사찰에 설치된 것으로 보아 탑의 일종임에는 확실해 보임. 대체로 방형이며 단을 쌓은 형태라 방단형적석탑, 혹은 적석탑으로 불림. 의성 석탑리, 안동 석탑리, 단양 사지원리, 문경 미면사지 등에 그 예가 남아있으며 산청 구형왕릉도 실은 적석탑으로 추정됨.


목탑, 전탑, 토탑은 그 수가 극히 적기에 한반도 탑파건축사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은 석탑임. 이제 석탑의 상세명칭에 대해 알아보겠음.

29bf8619b6836a9967ed98bf06d6040351cc501028a254d07d

[석탑 개념도.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일단 석탑은 크게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 나뉨. 기단부는 건물의 기단, 탑신부는 건물의 몸체에 대응함. 초기 석탑의 기단부는 낮은 편이었는데, 석탑과 목탑의 대응관계가 약해지며 점차 석탑 고유의 형태로 변화했음. 종종 석탑의 기단을 층수로 잘못 세는 경우가 있는데, 층수는 탑신부만 세는 것임.

29bf8619b6836a9967ea98bf06d60403ec9a7bd98e3040c1ef

[기단부 개념도.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기단부는 통상 2단으로 되어 있음. 위 그림에선 상대, 하대란 표현이 쓰였는데 상층기단, 하층기단으로 좀 더 많이 씀. 문경 등 특정 지역에서는 단층기단으로 조성되는 사례도 있고, 드물게 3중기단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7fed8272b5846af751ee81e140847673c753494c554d1b0b531b129b1091ebaf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석탑의 기단은 가구식으로 표현되어 있음. 즉, 기둥과 면석이 구분되도록 표현되었는데, 이 때 기둥 부분을 탱주, 기둥과 기둥 사이 부분을 면석이라고 함. 또 기단 윗부분에 넓게 깔린 상판을 갑석이라고 함.

불국사 삼층석탑의 비례를 따르는 통상의 통일신라 석탑들은 상층기단은 2분할, 하층기단은 3분할로 구성되는데, 초기 통일신라 석탑들은 상층기단도 3분할인 경우가 많음.

28bc8819b5876d9967ee98bf06d604031cf8602664c3ca715f

[탑신부 개념도. 그림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탑신부는 탑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크게 탑신석과 옥개석으로 구성되어 있음. 탑신석은 건물의 기둥, 옥개석은 건물의 지붕에 대응함. 탑신석에는 기단부와 같이 우주가 새겨져 있음. 탱주가 모든 기둥 형태를 총칭한다면, 우주는 모서리기둥을 뜻함.

7fed8272b5846af751ed85e64e857c73d73ea78bcd312fed915e9d9a58f62949

[안동 옥동 삼층석탑 옥개석. 사진 : 문화재청]

옥개석 아래에는 계단 형태의 층급받침이 있고, 옥개석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홈이 파여 있어 빗물이 탑신석을 더럽히지 않게 함.

7fed8272b5846af751ed85e140837d73ea0d5734d8af999effad5991c0935d49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옥개석의 상부 모서리를 전각이라고 하는데, 끝으로 갈수록 약간 들려 있어 경쾌함을 주는데 이것을 반전을 주었다고 표현함. 또한 과거에는 석탑의 옥개석 끝에 풍경을 걸었는데, 풍경을 걸기 위해 뚫은 구멍을 풍탁공이라고 하는데, 풍경이 남아있는 경우는 극히 드묾.

29bf8619b6836a9967ec98bf06d604033d51d5878cb001dd21

[상륜부 개념도 :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상륜부는 탑의 꼭대기 부분으로, 가장 장식적인 부분임. 상륜부 부재들은 쇠꼬챙이 같은 금속제 원뿔형 구조물인 찰주(擦柱)에 끼워져 올라가는데, 소규모 탑에서는 凹凸 형태로 찰주 없이 끼우는 경우도 있음. 대체로 석제 혹은 금속제인데, 굉장히 약한 부분이라 남아있는 경우가 극히 드묾. 남원 실상사, 문경 봉암사, 장흥 보림사 석탑이 상륜부가 잘 남아있는 대표적인 예시임.

7fed8272b5846af451ee86e740847773bcc72a23c7746f2e6e393106e862d0

[석탑 상륜부와 인도 스투파의 비교. 그림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상륜부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스투파의 모습을 모방하였음. 기단과 대응되는 노반을 시작으로 대략적인 형태가 유사함을 볼 수 있음. 스투파를 보면 스투파의 상륜부는 차트라(보륜)부터임을 알 수 있는데, 상륜은 보륜을 뜻함. 이것이 한반도에 전래되며 노반, 복발, 앙화가 추가되어 스투파 전체의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음.

7fed8272b5846af451ee87e6468275731b33b7c7dffbc7eb7d2c44ba5762f9

[남원 실상사 동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석가모니는 생전에 자신의 사리가 봉안될 스투파에 대해 상륜부를 구성하는 부재는 종류가 꽤나 많음. 먼저 최상층 옥개석 위에 얹힌 방형 석재를 노반(露盤)과 그 위에 스투파의 돔을 형상화한 복발(覆鉢)이 얹힘. 앙화(仰花)는 연꽃잎이 피어있는 형태로 수미산 정상부를 의미함.

7fed8272b5846af451ee87e647827573b060158516d9f602fd4d3c2a892a88

[남원 실상사 서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앙화 위에는 보륜(寶輪)이 여러 개 올라감. 보륜은 불교의 세계관에서 신들의 영역인 33천을 상징하는데, 보륜을 33개 올릴 수는 없기에 대략 3~6개 정도임. 그 위의 보개(寶蓋)는 신성한 인물을 모시기 위해 씌우는 양산과 같은 것임. 일반적으로 불상 위에 씌우는 닫집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음.

7fed8272b5846af751ee81e6458073734e3faf205836c47ad1231f2646f7cb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보개 위의 길쭉한 부재인 수연(水煙)은 스투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연꽃잎을 상징한다고 추정됨. 그 위의 구슬 모양인 보주(寶珠)와 용차(龍車)는 스투파의 병 모양 부재인 칼라사가 변용된 것임.

7fed8272b5846af751ee81e642857773ad6a0514d1ed4a7448e61944dd77c5

[장흥 보림사 북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이렇듯 상륜부는 불교적 세계관이 투사되어 있는 스투파를 모방한 탑의 가장 신성한 부분임.

a14624aa2527b444a2805b59e25bf4dc69b89a5e920b609597e7b2f4bf72c2fb647a7e76e98d0aae4598d500248cc1100ffb7dc3a2ef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상륜부는 금동장식까지 모두 남아 있어 상륜부의 장식성을 확인할 수 있음. 보륜의 테두리에 붙인 금동장식과 풍경이 달린 화려한 보개 등이 돋보임.

7fed8272b5836bf751ee83e0478470730c49e23eee65ec436b6864c23944142b

이렇게 [한국건축의 이해] 탑파건축 첫 글에서는 탑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에 대해 알아보았음. 다음 글에서는 통일신라부터 조선까지, 탑파건축의 흐름에 대하여 알아보겠음.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4

고정닉 10

1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신발언으로 오히려 이미지 타격입은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8/26 - -
256778
썸네일
[유갤] 미네소타 금수저의 미국집.jpg
[319]
ㅇㅇ(194.99) 08.16 41900 308
256776
썸네일
[야갤] 검은머리 외국인 vs 노란머리 한국인 jpg
[244]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43420 240
256774
썸네일
[디갤] 디붕이 아이슬란드 여행기 -1일차
[32]
헛소리공장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7257 41
256772
썸네일
[싱갤] 여자친구가 다중인격인 만화..manhwa
[1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7819 150
256770
썸네일
[새갤] [A+J] 트럼프 "지적인 연설" 다짐했지만…결국 눌러버린 '막말' 버튼
[28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18785 36
256766
썸네일
[야갤] 병원에서 일상처럼 벌어지는 기막힌 투약.jpg
[271]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2737 352
256764
썸네일
[박갤] 일본 대지진 언제까지 주의해야 할까?
[1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0195 73
256762
썸네일
[뉴갤] 맨발 달리기가 몸에 미치는 영향 ㄷㄷ
[687]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46492 116
256760
썸네일
[새갤] [M] 日 새 총리 후보들 야스쿠니 신사 참배 잇따라‥방위상도 신사 참배
[455]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15511 70
256759
썸네일
[L갤] 실시간 트위터에서 욕먹는 존잘남
[933]
ㅇㅇ(211.234) 08.16 65676 1273
2567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경매에 올라온 다양한 레어템들.jpg
[151]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6453 92
256754
썸네일
[주갤] 한녀들이 국결을 두려워할 수 밖에 없는 이유 (feat.노산)
[974]
ㅇ.ㅇ(112.152) 08.16 38869 745
256752
썸네일
[카연] 성냥개비 리스트-2
[9]
말보블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9497 8
256750
썸네일
[야갤] 불닭볶음면 창조주가 추천하는 레시피
[274]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4453 84
256748
썸네일
[기갤] 하츄핑 보고온 단군.jpg
[201]
긷갤러(185.89) 08.16 34015 111
2567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북한이 대한민국 경제를 헐뜯는 방식.jpg
[243]
ㅇㅇ(14.42) 08.16 31734 231
256739
썸네일
[야갤] 조국이 해방된 날 사형당한 독립운동가들 jpg
[515]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6717 178
256736
썸네일
[주갤] 결혼 안하는 백수 딸
[1204]
ㅇㅇ(89.187) 08.16 57964 378
256733
썸네일
[새갤] [M+A] 방통위, '결격사유'인 당적 조회도 없이 방문진 이사 선임
[55]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11635 24
256730
썸네일
[무갤] "코 성형 후 후각 잃었다"…병원에 2억 손배소 낸 환자 패소
[3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6321 246
2567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40년동안 산 장어
[3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41102 304
256724
썸네일
[야갤] 환자 얼굴에 연기 '후'...진료 중 담배 피운 의사.jpg
[1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7038 57
256721
썸네일
[2갤] 프랑스 유도 영웅 테디 리네르와 경기 해본 소감.JPG
[96]
ㅇㅇ(211.234) 08.16 20401 120
256718
썸네일
[미갤] 요즘 그냥 쉬는 청년들 근황.jpg
[14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65445 332
256715
썸네일
[야갤] 박민정 오지은 구제역녹취록 관련 인스타스토리 올라옴.JPG
[235]
야갤러(108.61) 08.16 40997 364
256710
썸네일
[싱갤] 연쇄 복상사... 조선시대 명기로 소문난 기생 이야기...
[425]
ㅇㅇ(116.90) 08.16 55172 178
256708
썸네일
[부갤] 슈카) 형사사법체계 붕괴 직전의 영국 근황
[369]
부갤러(176.113) 08.16 29065 146
256706
썸네일
[야갤] 침착맨 잘될때마다 배아파 디질거 같았다는 기안84
[255]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8280 217
256704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36주 낙태 헬조선 앤딩
[452]
ㅇㅇ(221.151) 08.16 39538 475
256702
썸네일
[카연] 백호가 집에 찾아오는 만화 6화(콘티)
[47]
Forbidden40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11673 78
256700
썸네일
[새갤] [M] 교도소 6번 다녀와도‥"마약과 헤어지지 못했다"
[202]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0403 58
256698
썸네일
[야갤] 광복절날 일본여행 갔다고 선동해 사람 담구려는 더쿠
[296]
야갤러(146.70) 08.16 25761 369
25669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국내 일본성우 덕후.jpg
[8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45593 266
256694
썸네일
[나갤] 21기 현숙은 최대한 많은 남자들에게 대쉬받는 게 목표인 듯
[302]
나갤러(23.106) 08.16 63925 693
256692
썸네일
[무갤] "질병청, 코로나 유행 예측 실패… 2, 3주간 약 부족"
[2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1078 47
256688
썸네일
[싱갤] 싱기벙기 의외로 염소로 할 수 있는 것...jpg
[141]
ㅇㅇ(121.183) 08.16 29808 131
256686
썸네일
[블갤] 혐주의)칸코레 ㄹ황....jpg
[4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60748 283
256684
썸네일
[기갤] 하연수 인스타그램 업뎃
[234]
ㅇㅇ(122.42) 08.16 39277 108
256682
썸네일
[야갤] 한국을 좋아하는 일본소녀가 한국유학을 포기한 이유.jpg
[297]
그로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9332 76
256680
썸네일
[싱갤] 악마악마 실종된 아들에게 2년만에 온 편지
[448]
아카식레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6572 577
256678
썸네일
[군갤] 북한 수해지역 주민들 평양 도착
[378]
Су-4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3898 135
256676
썸네일
[야갤] "빚 2억 왜 안 갚냐" 지인 살해한 전 프로야구 선수, 항소심서
[540]
야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1542 237
256674
썸네일
[미갤] 배드민턴 국가대표가 되면 선수가 감수해야 되는 경제적 손실
[260]
미갤러(91.207) 08.16 18964 107
256672
썸네일
[싱갤] 인간의 살아가면서 크게 두번의 노화를 겪는다 관리의 필요성
[219]
ㅡㅡㅡㅡㅡㅡㅡ(223.38) 08.16 29706 43
256670
썸네일
[뉴갤] 의사가 말하는 좋은 탄수화물 기준.jpg
[332]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30910 62
256666
썸네일
[새갤] [M] 이승만도 말한 적 없는 건국절‥"1919년 건국" 육성에 담겼다
[1106]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14950 138
2566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잠수준비촌
[105]
썅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3588 153
256660
썸네일
[더갤] [단독]"고소 진행할게요" BTS 뷔·정국도 탈덕수용소 응징한다
[1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5678 134
256658
썸네일
[걸갤] 피해여직원분 인스스
[151]
걸갤러(223.33) 08.16 31841 253
256656
썸네일
[야갤] 불고기 버거 글자만 봐도 슬프다는 이대호..jpg
[298]
그로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6781 24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