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채권으로 수익 내기 - 1

짜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8.15 00:15:02
조회 28938 추천 58 댓글 132


[시리즈] 뉴비의 돈공부
· 채권으로 수익 내기 - 1


※ 나 전문가 아님. 모든 판단은 스스로. 나는 정보를 찾고 계산기를 두들겨줄 뿐임

내 글은 1방에 인생역전 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매우 배척적이기 때문에 일발역전을 하고 싶으면... 읽지말고 뒤로가줘


당분간 나갤에 정착하기로 했다. 화목하고 얼마나 보기 좋아.


나도 공부를 한지 별로 안 됐고, 계속 공부하고 있지만, 물어보는 애들이 있어서 글을 씀.

그냥 대충 보고, 찐 공부는 스스로 해봐.


채권을 물어보는 애들이 많아서 채권부터 함.



-----------------------------------------



일단 미국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알아야 하는 절대적인 사실이 1개 있음

바로 "시장 수익율"

일단 미국의 상위 500개 기업의 수익율은 연 평균 10퍼임


3eb3c066693ac02a936a5a49de9f3433e50d47318831e13871dd9303e0


즉 너가 미국장에 들어 왔을때부터 너의 기회비용은 연 10%임.

너가 만약에 미국장을 알고 있었는데, 재산이 평균적으로 연 10%를 넘지 않았다? 그러면 너는 손해 본거임


투자의 대가들도 보통 시장을 많이 넘지 못함

너가 만약에 매년 1년에 30% 수익을 냈다? 그러면 뭐... 빨리 월가 안 가고 뭐해. 연 평균 수익율 17퍼 내는 헤지펀드 ceo가 아마 연봉이 5조였을거임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1d6a7ef89d63766f59f15cd6e9b9faeb232b9cded7dcffaf816ad

------

두괄식 결론 :

금리가 떨어질거 같으면 채권을 사자!

채권을 꼭 만기까지 들고갈필요 없다!

2024년에 단기채가 spy 두들겨 팼다!

------------


그럼 일단 채권을 산다는 것은 채권으로 수익율 10%이상을 내야된다는 뜻이지?


결론부터 말하면 낼 수 있어! 항상은 아니지만 특정 구간에는 채권으로 수익을 낼 수 있음. 그리고 내 생각으로는 근 2년은 채권으로도 연 10% 수익율을 낼 수 있는 기간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그렇기 때문에 위험도가 낮은 채권을 현재 내 액티브 포트의 절반을 구성 중임




일단 채권으로도 주식을 이길수 있다는 증거를 가지고 옴


2024년 8월 기준 현재 채권은 나름 변동성 대비 좋은 수익을 보이고 있음. 몇개의 변동성(예를 들어서 엔캐리 청산이라든지... 옐런의 무작위 채권뿌리기라든지...)이런 것만 빼면 매우 안정적인 수익을 냈어. 심지어 미국 상위 500개 기업 평균보다 수익이 좋았단말이지.







설명은gpt가 해줄거임



이 차트는 2024년 연초부터 현재까지 S&P 500 지수의 여러 금융 지표를 시각적으로 비교한 것입니다. 차트에 표시된 내용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지표:

S&P 500 수익률 - 2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L) [갈색 선]:

이 지표는 S&P 500의 수익률과 2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음수 값은 S&P 500의 수익률이 2년 만기 국채 수익률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투자자들이 주식보다 비교적 안전한 채권을 선호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일단 2024년에는 단기채가 미친놈이었음 모든 방면에서 snp << 단기채임. 보면 단기채 수익이 5.25~5퍼잖아(파월의 금리) 그런데 spy 배당은 지금 1.3%이니까...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1d6a7ef89d63662f59c13cd6e8e135ead49a2d8fd2395d7d0fc



S&P 500 배당 수익률 - 2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L) [주황색 선]:

이 지표는 S&P 500의 배당 수익률과 2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음수 값은 S&P 500의 배당 수익률이 2년 만기 국채 수익률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는 국채가 더 매력적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S&P 500 배당 수익률 -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L) [녹색 선]:

이 지표는 S&P 500의 배당 수익률과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이 역시 음수 값일 경우 10년 만기 국채가 S&P 500의 배당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1fa1bd625312be8fceefc78018db5c464a7d595b07bdb327b9c94e9b934c9c2dec45d5468fa9f0c79654bbdc50908893f939bceee56471e


S&P 500 지수 값 (R) [빨간색 선]:

이 선은 S&P 500 지수의 실제 값을 시간에 따라 나타내며, 차트의 오른쪽 축에 표시됩니다. S&P 500 지수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500대 대기업의 주가를 대표합니다.

해석:

음의 수익률 스프레드: 모든 수익률 스프레드(수익률, 배당 수익률 - 국채 수익률)가 차트 전반에 걸쳐 음수로 나타나 있습니다. 이는 이 기간 동안 S&P 500의 수익률과 배당 수익률이 미국 국채 수익률보다 낮았음을 의미합니다.


S&P 500 지수의 움직임: 수익률 스프레드가 음수임에도 불구하고, S&P 500 지수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채권이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지라도, 투자자들이 주식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미래 성장 기대나 유동성, 위험 감수 성향과 같은 다른 요인 때문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이 차트는 S&P 500의 수익률과 배당 수익률이 국채 수익률보다 꾸준히 낮은 기간 동안 주식 시장의 가치가 전반적으로 상승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수익률 이상의 것에 주목하고 있으며, 자본 이익에 대한 잠재력 또는 대형주의 안전성과 성장 가능성을 감안해 낮은 수익률을 감수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즉 2024년은 단기채의 연도였음. S&P를 들고 있을빠엔 단기채를 들고 있으면 수익도 더 나고, 이자도 연 5% 받고 낭낭했지. 이자가 5%니까 10%까지 5%만 더 채우면 되는거잖아?


그러니까 사실상 2024년도에는 단기채 + 나스닥을 들고 있었으면 안전하게 우리의 목표 수익을 채울 수 있었다. 이말이야



일단 이 자료로 채권으로 시장(s&p)는 이길 수 있다는거 ㅇㅈ?




근데 문제는 우리 나스닥은 못이겼단말이지(사실 이제 나스닥 조금 더 떨어지면 이기긴 함 ㅋㅋ) 그래서 나스닥을 이길 수 있는 채권의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자


-------------------



일단 금리인하를 한다! 고로 채권을 사자! 이 말이 무슨말인지 아니?


일단 아는 애들은 모르는 애들을 위해서 기다려봐.


일단 채권이 종류가 진짜 많지만 나는 "고정금리 이표채" 이거 기준으로 설명할게. 이게 그냥 국채임. 미국이 발행하면 미국채, 한국이 발행하면 한국채


아래 설명 뭐 읽으려면 읽고 안 읽어됨.


GPT 설명

고정금리 이표채는 채권의 일종으로, 발행 시점에 확정된 고정 금리로 정기적인 이자(쿠폰)를 지급하는 채권입니다. 이표채란 '이자 표면'을 뜻하는 용어로, 채권 발행 시 명시된 이자율에 따라 이자를 지급한다는 의미입니다. 고정금리 이표채는 일정한 주기로 이자를 지급하며, 채권 만기일에는 원금(채권의 액면가)을 상환합니다.

고정금리 이표채의 주요 특징:

  1. 고정 이자율:

    • 이 채권은 발행 시점에 정해진 이자율로, 만기일까지 동일한 금액의 이자를 지급합니다. 시장 금리의 변화와 상관없이 동일한 이자 지급액이 보장됩니다.
  2. 이자 지급 주기:

    • 고정금리 이표채는 일반적으로 매년, 반기, 혹은 분기별로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 주기는 채권 발행 시점에 미리 정해집니다.
  3. 원금 상환:

    • 채권이 만기되면 채권 발행자는 투자자에게 원금을 상환합니다. 원금은 채권의 액면가와 동일합니다.
  4. 시장 금리와의 관계:

    • 고정금리 이표채의 매매 가격은 시장 금리와 반대로 움직입니다.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고정금리 이표채의 매매 가격은 하락하고,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 매매 가격은 상승합니다. 이는 새로운 채권이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할 때 기존의 고정금리 채권이 덜 매력적이 되기 때문입니다.
  5. 안정성:

    • 고정금리 이표채는 안정적인 이자 수입을 제공하기 때문에,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특히 시장 금리가 하락할 때 이 채권의 고정 이자율이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예시:

만약 10년 만기 고정금리 이표채가 5%의 고정 이자율로 발행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채권 보유자는 매년 액면가의 5%에 해당하는 이자를 매년 지급받고, 10년 후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받게 됩니다.

고정금리 이표채의 장단점:

  • 장점:

    • 예측 가능한 수익: 고정된 이자율로 인해, 미래의 수익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시장 금리 하락 시 이점: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시장 금리 상승 시 불리: 시장 금리가 상승할 경우,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새로운 채권이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므로 기존 채권의 매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고정금리 이표채는 채권 시장에서 매우 일반적인 유형의 채권이며, 투자자들에게 일정한 수익을 제공하는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간주됩니다.






-----------


안 읽어도됨

고정금리 이표채는 그냥 "중도 해지가 불가능한 돈이 들어있는 통장"으로 이해해도 비슷함



일단 가정을 4개 할게

- 오늘은 2030년 1월 1일

- 은행은 1개 뿐. 2030년 1월 1일의 이자율은 연 10%, 이자는 1년에 1번

- 인플레이션 그딴거 없음

- 은행에서 파는 통장은 모두 100만원임. 은행은 판지 1년뒤에 다시 통장을 사고 이자율만큼 추가로 돈을 줌




나붕이가 싱글벙글 하면서 은행에 가서 통장 1개를 산다고 치자.

그러면 얼마야? 100만원이지. 그러면 나붕이의 2031년 1월 1일에 그 통장은 얼마가 될까? 2031년 1월 1일에 나붕이가 은행에 가서 팔면 총 110만원을 주겠지?

와 간단하게 이자율 만큼 돈을 벌었어! 2030년 1월 1일에 나붕이는 현재 기대수익율이 10%인 통장을 들고 있는거지


시나리오 A : 금리 인상

은행이 미쳤어! 나붕이가 통장을 사가니까 갑자기 이자율이 30%래

만약 지금 다시 100만원 주고 통장을 샀으면, 130만원을 받겠네? 어이고... 나붕아.


통장을 산 나붕이가 은행에게 환불해달라고 하지만... 소용없어. 왜냐하면 은행은 무조건 1년 뒤에만 통장을 다시 돈으로 바꿔주거든.


그래서 너무 화가난 나붕이가 더이상 통장을 가지고 있고 싶지 않아. 그래서 통장을 시장에다가 팔려고해 . 그럼 나붕이는 얼마에 이 통장을 팔 수 있을까?

일단 100만원? 절대 아니지. 왜냐하면 그 100만원을 들고 나붕이가 아닌 은행에 가면 1년뒤에 130만원을 받을 수 있는데, 110만원짜리 나붕이의 통장을 사겠어?


그러면 나붕이는 자기 통장의 파는 가격을 깎아야해. 얼마나? 연평균 수익율이 30%가 되도록. 그래야지 나붕이의 통장이 시장에서 균등한 가격대비 가치를 가지게 될거야


X x 1.3 = 110이야 그럼 x 는 얼마지? 84.61만원이야

즉 나붕이는 100만원에 샀던 통장을, 단지 금리가 올랐다는 것 만으로 15.39만원 손해 봤어.



시나리오 B : 금리 인하


이번에는 은행이 금리를 10%에서 5%로 낮췄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나붕이의 110만원을 주는 통장은 얼마가 될까?


X x 1.05 = 110 이지? X = 104.76이야

은행에서는 100만원 주고 1년뒤에 105만원 주는 통장을 파니까 110만원 주는 통장은 가격이 오른거지


즉 금리가 내리면 기존의 통장은 가격이 올라




-----------------


어째튼 채권, 그중에서도 국채는 미리 발행한 약속인거야. 그런데 만약에 시장의 금리가 변한다면 채권의 가치는 변해


단 가장 큰 장점이 있어

채권의 가치가 변하더라도. 네 수익율은 변하지 않아.

이게 존나 중요한 사실이야.

채권은 2가지 선택이 가능하거든?


1. 끝가지 들고 있기

2. 중간에 팔기


1번의 경우 :

은행이 망하지 않는 이상 나붕이가 100만원에 주고 샀던 110만원 주는 통장은 1년뒤에 무조건 110만원을 줄 수 있어. 즉 채권은 물리다는 개념이 없어. 채권은 산 순간 너의 수익은 최소 산 순간의 이자율이야. 단 만기를 봐야겠지 ㅋㅋ? 애초에 s&p가 연 10% 오르는데, 금리는 높다 높다 하는 지금이 5%잖아. 저거만으로는 시장을 못 따라잡아


2번의 경우 :

얘는 물릴 수 있지. 특히 etf의 경우. 얘는 만기가 없잖아? 그러니까 물릴 수 있어.


즉 채권의 평가 금액을 기준으로는 채권에 물려서 손해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채권을 만기까지 가져가면 최소한 살때의 수익은 보장받는다.



---------------------------


금리의 변화에 따라서 채권 가치의 변화를 수식으로 나타낼수 있음


채권가격 = (1-금리율 변화) x 듀레이션(만기, 년) x 기존 가격임


이건 대충 이자율로 할인해서 환산듀레이션을 계산해야 하는데... 귀찮으니까 그냥 넘어가자






a15714ab041eb360be3335625683746f00534521d6a7ef89d63667f99810cd6e988836393b4fb4869c29353fad




결론 :

금리가 떨어질거 같으면 채권을 사자!

채권을 꼭 만기까지 들고갈필요 없다!

2024년에 단기채가 spy 두들겨 팼다!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58

고정닉 22

2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지금 결혼하면 스타 하객 많이 올 것 같은 '인맥왕' 스타는? 운영자 24/10/28 - -
268918
썸네일
[해갤] ■ 홍명보 선임사태에 결국 대통령까지 나섰다..GISA
[294]
도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7306 152
268916
썸네일
[야갤] 여기서 못 막으면 끝난다…우르르 몰려 '역대 최고'
[197]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9082 40
268913
썸네일
[다갤] 식단이 다이어트의 전부라는 걸 느낀 사람
[727]
다갤러(169.150) 09.30 43514 173
2689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감청법으로 할수있는 끔찍한일
[821]
ㅇㅇ(180.65) 09.30 44417 1069
268910
썸네일
[카연] 조선 수군 멸망의 날! 삼도수군통제사 원균과 칠천량 해전.manhwa
[124]
브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2954 75
268909
썸네일
[기갤] 한복 풀 장착하고 경복궁갔는데 한복으로 인정 안되서 입장료 낸 사람
[434]
긷갤러(106.101) 09.30 31756 174
268907
썸네일
[야갤] "살려달라고 난리가 났어요"..돌진한 차량에 '날벼락'
[102]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8290 52
268906
썸네일
[부갤] 1년에 100만 명 망하는 시대.."죽지 못해 버텨요"
[492]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5003 100
268904
썸네일
[싱갤] 日 "'받아먹는 여자 리리짱', 2심 징역 8년 6개월 선고"
[335]
humidity2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44696 147
268903
썸네일
[해갤] 낙서 테러당한 유튜버 "합의금 전액 참전용사 단체에 기부"
[141]
ㅇㅇ(146.70) 09.30 21323 94
268901
썸네일
[대갤] 오사카 호텔에서 사망한 17세 소녀... 의문의 죽음과 사라진 남성
[25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6258 218
268900
썸네일
[야갤] CCTV에 '벌컥벌컥' 찍혔는데.."첨잔이면?"
[154]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7643 53
268897
썸네일
[코갤] 이스라엘 박력 ㅈ되네
[684]
랜덤워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36368 375
26889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계에서 부자가 가장 많은 나라 TOP20
[203]
ㅇㅇ(115.137) 09.30 24621 67
268894
썸네일
[기갤] 로버트 할리 근황
[376]
긷갤러(106.101) 09.30 33984 136
268892
썸네일
[주갤] 정상한녀 질투하는 패미한녀 만화
[363]
ㅇㅇ(118.235) 09.30 29764 292
268891
썸네일
[야갤] "초등생에 대학과정 수업 NO"…'초등의대반 방지법' 발의
[2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0041 59
268889
썸네일
[걸갤] 뉴진스 하니 국감 뼈때리는 댓글
[572]
ㅇㅇ(211.234) 09.30 45508 847
268888
썸네일
[이갤] "너도 느껴봐"... 아들 세워두고 2층서 물 뿌린 엄마
[282]
ㅇㅇ(146.70) 09.30 28394 144
268886
썸네일
[야갤] CCTV 보더니 느낌이 '팍'…경찰 내뱉은 말이 '충격'
[113]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0315 101
2688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싱붕이 경주 여행기
[45]
여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9975 35
268883
썸네일
[부갤] 전세계 의사들이 한의학 배우러 제주에 모임
[234]
부갤러(140.248) 09.30 18310 126
268880
썸네일
[타갤] 공룡갤에 지금까지 만든 피규어들 자랑
[46]
초록괴물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0602 62
268879
썸네일
[중갤] 여야의정 협의체 패싱 한동훈 반응
[121]
Sext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4477 99
26887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비빔씨 근황2 ㄷㄷ
[321]
퓨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43522 307
268876
썸네일
[이갤] 영화배우를 오마주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jpg
[136]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1222 67
268874
썸네일
[만갤] 오늘자 난리난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338]
만갤러(104.254) 09.30 26091 407
268873
썸네일
[새갤] 경찰, 중국산IP캠 해킹, 현기차 中댓글부대 논란 관련 내사 착수
[388]
Taesikg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7407 220
268872
썸네일
[부갤] 중국산배추, 드디어 한국 입성 ㄷㄷ
[620]
부갤러(210.113) 09.30 24245 108
26887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마음이 가난하면 사람이 뾰족해진다
[431]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6909 170
268869
썸네일
[미갤] 지칠줄 모르고 매일 폭등하는 중국 증시 근황..jpg
[307]
ㅇㅇ(1.231) 09.30 30598 165
268866
썸네일
[기갤] 끊임없이 회자되는 1학년 2학기 마지막수업 이상이 발톱 사건
[89]
긷갤러(104.223) 09.30 18093 21
268865
썸네일
[야갤] "문을 갑자기 확 닫는 거예요"..밀린 돈 받으려다 '날벼락'
[146]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8582 57
268864
썸네일
[힙갤] 디디 게이사건 추가썰 + 르브론 게이야스썰.jpg
[623]
ㅇㅇ(223.39) 09.30 50501 509
268862
썸네일
[특갤] UDT 훈련을 수료한 해병수색대원 후기.JPG
[153]
특갤러(211.36) 09.30 19523 67
268861
썸네일
[카연] 조선철관실록 1화
[44]
로따뚜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6877 31
268860
썸네일
[야갤] 여시)(전남친 연락+썸남 집앞대기)스토킹+전남친 에어컨선물+엄마랑 싸움
[158]
실시간기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4213 118
268858
썸네일
[싱갤] ㅅㄱㅂㄱ ㅁㅈㅇ 조카 병역비리 논란.jpg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3994 259
268857
썸네일
[야갤] 결국 중동으로 향하는 미국…세계 최강 군대 투입 '총출격'
[263]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9413 59
268856
썸네일
[중갤] 최근 스팀한테 차단당한 한국인 유저.JPG
[392]
ㅇㅇ(121.133) 09.30 52052 378
268854
썸네일
[미갤] 엔비디아 버블 관련 정보
[184]
ㅇㅇ(117.110) 09.30 32244 250
268852
썸네일
[싱갤] 의외의외 의외로 국내 게임커뮤니티 정화에 도움이 된 게임
[611]
ㅇㅇ(180.65) 09.30 38504 559
268850
썸네일
[군갤] K조선의 맛을 보고 흥분한 폴붕이 기자들 반응
[2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35445 202
268849
썸네일
[해갤] 서울시설공단에서 월드컵경기장 잔디 관련해 자체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74]
ㅇㅇ(222.119) 09.30 14313 59
268848
썸네일
[야갤] 30대여성 3명 헤어롤 말고 국밥집 들어오더니..
[505]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38258 728
2688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 애니 속 젓가락질 논란
[614]
ㅇㅇ(123.214) 09.30 30610 244
268845
썸네일
[정갤] 인도에서 재판을 하면 생기는 일
[184]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2438 233
268843
썸네일
[야갤] “회당 출연료 1억→4억원” 심하다 했더니…넷플릭스 ‘돌변’.jpg
[2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35799 214
268842
썸네일
[부갤] 자취 10년 넘게 하면서 집 보러 많이 다녔는데 이딴 집 진짜 처음 봄
[205]
부갤러(146.70) 09.30 25214 41
2688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바보 온달은 백인일지도 모른다는 가설.jpg
[403]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26730 2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