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혼잡도 낮추겠다더니‥독도 조형물만 골라 철거한 서울교통공사

연방통신위원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8.23 11:40:02
조회 13592 추천 122 댓글 306

- 관련게시물 : 광복절 앞두고 사라진 '독도'... 납득할 수 없는 시민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0de325abd99eb251dc801aa3f0af1056ee41eff3a235180fb0dcb247b7ba374

최근 서울 지하철 역사들에 설치돼 있던 독도 조형물이 잇따라 철거돼 논란이 됐죠.

"승객 안전을 위해 치웠다"는 해명이 나왔었는데 MBC취재결과 방치돼있어 철거 필요성이 제기됐던 여러 시설물들 중에서, 오직 독도만 골라 없앤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0de355fbd99eb251dc801aa3f0af1d4d6f60c984a1cdd83c7c6c005395003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5월 17일 각 역사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사장 요청사항이 있어 '역사 내 방치된 시설물'을 파악하고자 하니 협조해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1de3158bd99eb251dc801aa3f0af1137b1a8a4e84d939a31226279fccf39b

그러면서 "오래되고 미관을 저해하는 각종 조형물"이라는 예시를 들었습니다.

이에 경복궁역과 안국역 등을 관할하는 경복궁 영업사업소는 안국역 지하 3층에 위치한 독도 조형물과 경복궁역 지하 2층 해시계 등 4가지 시설물을 적어 회신했습니다.

하지만 이 중 '안국역 독도' 하나만 지난 12일 철거됐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1de325abd99eb251dc801aa3f0af1ae47164cf4794129514608c37aa53779

잠실역도 독도와 안내센터 철거를 함께 요구했지만, 사라진 건 역시 독도뿐입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1de325cbd99eb251dc801aa3f0af195fa1322cf72e1add03f340c204163e2

심지어 광화문역 독도는 지난 5월 20일, 공사가 공문을 보낸 지 사흘 만에 없어졌습니다.

광화문역 관할 사업소와는 협의도 거치지 않은 걸로 확인됐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1de3358bd99eb251dc801aa3f0af1a71d3e530fc92801b8c764c1bc009e3737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1de3353bd99eb251dc801aa3f0af186f4fb449c64ec9a1948e662ba975a58e7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1de355dbd99eb251dc801aa3f0af1612ffd0a604497d6c01fac146e52d795

광화문 독도 철거 이후 지난달 3일 공사는 최종 6개 시설물을 추가로 철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안국역과 잠실역 독도를 제외한 나머지 조형물 4개는 한 달 반이 넘도록 '철거 예정'으로 남아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2de334aee89fa321dc31cb13811ab3741653003a1acf945cf31c48a9ccbb5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2de354aee89fa321dc31cb13811ab07bd78c618343c6728b20311d468d95f

명확한 기준은 없이 공교롭게 독도만 먼저 철거됐다는 겁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2de315cbd99eb251dc801aa3f0af13b63f2df5e838a48537611f45f654d8c

승객 안전 때문이라더니 독도 외 다른 조형물은 왜 그대로 뒀는지 등 철거 결정 과정에 의문이 꼬리를 물면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69620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2de345abd99eb251dc801aa3f0af1dcde6e697310856358b050008ff28c33

서울지하철 역사뿐이 아니었습니다.

전쟁기념관에서도 비슷한 시기 독도 조형물이 갑자기 철거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훼손이 심해서 지하로 옮겼단 게 전쟁기념관 설명인데요, 비슷한 시기에 이곳저곳에서 독도를 둘러싼 석연치 않은 움직임들이 이어진 이유가 뭘까요?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34aee89fa321dc31cb13811ab25d2556258db093fd4ff9cf4913d24fd

지난 2013년, 전쟁기념관 내부 모습입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74aee89fa321dc31cb13811abc137fe2b0553c67d9295bfe59ee10a74

복도 한편에 독도의 실시간 모습을 24시간 보여주는 스크린과 독도 조형물, 포토존이 설치돼 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159bd99eb251dc801aa3f0af1440edd9e8514928d5c2a34c7f4f6e4f494

독도 포토존 앞에선 태극기를 든 외국인 관광객들이 포즈를 취합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15dbd99eb251dc801aa3f0af1db7b772dfee9631c7bfc2a328d2a0be9cc

이곳엔 지난 2012년, 가로 80cm, 세로 50cm 크기 독도 모형이 설치됐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35fbd99eb251dc801aa3f0af1aef453e0a54b243b8b23cd347439f08515

지금 독도 모형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대신 이달의 호국 인물을 소개하는 스크린이 세워져 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45bbd99eb251dc801aa3f0af1ffcbec27aa4535c3410a3b7b37be0d2614

두 달 전인 지난 6월, 전쟁기념관이 독도 관련 전시물을 모두 철거한 겁니다.

지난 5월 철거 계획이 논의되기 시작해 심의·의결을 거쳐 실제 철거되기까지는 불과 한 달여가 걸렸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559bd99eb251dc801aa3f0af1dacfa53e3ca436d095463f40bc5ed98033

전쟁기념관 측은 독도 모형이 오래돼 훼손된 부분이 많아 옮겼다고 설명했습니다.

독도 모형이 관람객들을 방해했다고 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3de3553bd99eb251dc801aa3f0af156d53612827eb48bdb45d458c377b3372c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4de315bbd99eb251dc801aa3f0af1afec243057cd88da1c8f9ef5605408603e

신속하게 철거된 독도 모형은 지하 수장고로 보내졌습니다.

기념관 측은 독도 모형뿐 아니라 다른 전시물들도 일부 수장고로 옮겼다고 해명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4de315dbd99eb251dc801aa3f0af1cea58630b888e6596f042e43b4e2a29c

야당은 지하철 역에 이어 전쟁기념관에서도 독도를 도려냈다며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4de325ebd99eb251dc801aa3f0af121f472af9fb45ea2926ecb8c68f9c28a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4de345abd99eb251dc801aa3f0af12a35e5199b1151d9d4a851011dfd87fb0e

전쟁기념관은 훼손 정도를 파악해 보수 작업을 거쳐 다시 전시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12363fc36e14e5e6e46b363ed61964b1836bd77f75701a839516bfbd8042a1c0cb934335e443aad79e16cd178efaf246b0f95cf856565e0b9aff8a4f65e97e87178b47ede59a59bb26811d5d16e7d2bd23542ef6a1c2d5724f71b9a26e2da2bba3e1de39a523795535e0bb2ab3e6ea9725e4de355abd99eb251dc801aa3f0af1293ace08e1265e058e8559bbb19b017c

하지만 수장고로 보내진 독도 모형이 보수 작업을 언제까지 마치고,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다시 돌아올지는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69624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22

고정닉 39

124

원본 첨부파일 25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지금 결혼하면 스타 하객 많이 올 것 같은 '인맥왕' 스타는? 운영자 24/10/28 - -
271079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알바하다 여자한테 번호 따인 썰.Manhwa
[221/1]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50084 627
271078
썸네일
[배갤] 인도여행(4) 펀자브 지역
[53]
암브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7609 30
271076
썸네일
[야갤] 구설수 휘말린 '흑백요리사'...출연진들 반박
[345]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39749 64
271073
썸네일
[야갤] "시발점이라고 왜 욕해요!" 학생들 상상초월 문해력
[1102]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42205 127
27107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풍력발전기 날개 운반
[180]
전성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24613 96
271069
썸네일
[군갤] 선동과 날조 - 하마스와 이스라엘 사이의 인지전
[245]
어린이회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7206 71
271068
썸네일
[장갤] 여초의 네이버 웹툰 불매운동 근황.jpg
[693]
ㅇㅇ(119.192) 10.09 57042 1474
271066
썸네일
[야갤] 하이브, 국정감사 "반드시 출석해야 되는 건 아니지 않나"
[363]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20459 107
271064
썸네일
[싱갤] 음흉음흉 배민 다크패턴
[4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59411 1025
271063
썸네일
[독갤] 레딧 행님들의 노문상 떡밥
[160]
ㅇㅇ(220.67) 10.09 28610 43
271061
썸네일
[야갤] "교육이 물건입니까?"…사태 진화하려다 일 더 키웠다
[272]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23449 81
271059
썸네일
[중갤] [단독] 명태균 "전당대회 전 나경원·원희룡 독대"
[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1943 91
271056
썸네일
[일갤] 10박 11일 여행 후쿠오카 -> 도쿄 - 2일차 키타큐슈
[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1438 47
271054
썸네일
[싱갤] 매번 썸을 타지만 아쉽게 한끗차이로 놓치는 남자
[2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42596 126
271053
썸네일
[카연] <운동장에서 러닝하는 만화>
[83]
ND199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8370 87
271051
썸네일
[바갤] [정보] 바이크 체인청소에 대해 araboja
[53]
We-R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3490 75
271049
썸네일
[싱갤] 진짜 슈퍼울트라 좆되버린 헤일로 신작.jpg
[374]
보이는여고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32934 339
271047
썸네일
[인갤] 킬나이트 후기!!!!! 추천
[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9744 21
271045
썸네일
[필갤] 옐로우필터 씌운 피닉스 11장
[22]
므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5489 16
271043
썸네일
[카연] [감동실화] 지하철 타고가다 커피쏟은 이야기
[92]
오앤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5475 95
27104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 파시즘
[163]
ㅇㅇ(58.123) 10.09 28686 47
271039
썸네일
[부갤] 도쿄에서 차로 1시간 756평정원 2000만원 헌집 산 외국인.
[214]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21340 86
27103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리얼리티 쇼 미국 최악의 셰프들.JPG
[207]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49283 322
271033
썸네일
[배갤] 하노이 4박5일 (2)
[25]
이코노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0209 14
271031
썸네일
[뉴갤]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과자 순위...jpg
[338]
칠삼칠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40629 125
271029
썸네일
[클갤] 포켓몬스터 - 애버라스/데기라스/마기라스
[47]
MerphIS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4610 45
2710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매운맛 치토스를 개발한 청소부촌
[211]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40733 203
271026
썸네일
[주갤] 최근 복귀한 쯔양 저격한 미국누나.JPG
[1551]
주갤러(39.116) 10.09 95416 2397
271023
썸네일
[프갤] "미국주 사랑해요" BAD BLOOD 직관 후기
[77]
달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22718 89
271021
썸네일
[야갤] 약후) 한국 놀러왔는데 피부 상태 때문에 아쉬워하는 일본녀
[309]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73701 381
27102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몸으로 수류탄을 막은 병사가 받은 것
[795]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73157 814
271017
썸네일
[스갤] 10/2 강릉 스텔라
[34]
잔재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2111 26
271015
썸네일
[이갤] 헤즈볼라를 조지기 위한 CIA의 보복작전
[97]
ㅇㅇ(86.106) 10.09 27205 138
271013
썸네일
[인갤] 스포 듬뿍 메타포 체험판 후기
[58]
하일리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9631 26
27100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대한민국에서 경차 타기가 힘든 이유
[724]
전국민면허몰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62825 426
271007
썸네일
[해갤] (스압주의) 10/7~10/11 몽골여행 1일차
[22]
인생기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2855 21
271005
썸네일
[카연] 팬더만화
[34]
하수(58.239) 10.08 14132 32
271003
썸네일
[갤갤] 정말로 엑시노스•스냅드래곤은 성능 차이가 없을까?
[388]
ㅇㅇ(218.236) 10.08 29551 457
2710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도서관에서 조심해야하는 부류.jpg
[381]
ㅇㅇ(183.106) 10.08 57529 238
270999
썸네일
[프갤] [스압] 브로큰 연대기 35화- 토탈 논스톱 딜리션: 파트 1
[29]
조커스팅아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12892 65
270997
썸네일
[일갤] (스압) 뭣? 온천료칸을 즐기면 개쩌는 정원이 공짜라고?
[76]
맛챠라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22670 73
270993
썸네일
[주갤] (블라) 한녀혐에 걸려버린 의사햄 ㅋㅋ
[505]
블라탐험가페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56608 810
27099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해외 게임사의 한국 게이머 성향 분석
[2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51407 393
270989
썸네일
[카연] 중딩때 고등학생 눈나 만난 썰 5화.manhwa
[189]
슈퍼사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25641 160
270987
썸네일
[야갤] 참수된 채 발견된 시장...계속해서 피살되는 고위 공무원들
[464]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43982 181
2709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학교 전교 1등의 과학고 입문하는 만화.manhwa
[222]
ㅇㅇ(115.69) 10.08 35056 151
270983
썸네일
[대갤] 日해자대, 허술한 계약 때문에 잠수함 충전료 과다 지불... 방산비리?
[6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18974 137
270981
썸네일
[디갤] 마포 망원 줌렌즈 써본거 소감
[41]
자바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13842 17
270979
썸네일
[아갤] [히비키 생일상] 오키나와 가정식 생일상
[71]
키쿠치마코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17275 102
270977
썸네일
[싱갤] 티라노견들이 개ㅈ같은 이유
[388]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52616 17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