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흑달사략에 나온 몽골군의 전투 방식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2.15 13:10:02
조회 27719 추천 86 댓글 176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5f12a4a95ea





其騎射,則孩時繩束以板,絡之馬上,隨母出入。三歲,以索維之鞍,俾手有所執,從眾馳騁。四五歲,挾小弓短矢。及其長也,四時業田獵。

凡其奔驟也,跂立而不坐,故力在跗者八九,而在髀者一二。疾如飈至,勁如山壓,左旋右折如飛翼,故能左顧而射右,不持抹秋而已。



그들이 말을 타고 활을 쏘는 것은 어린 시절부터 판자로 몸을 묶어 말을 타고, 어머니를 따라 다녔다. 세 살이 되면, 안장에 줄을 묶어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하여 무리와 함께 말을 타고 달렸다. 네다섯 살이 되면 작은 활과 짧은 화살을 지니게 되었다. 자라나서는 사계절 내내 사냥을 업으로 삼았다.

말을 몰 때는 말 위에서 서서 달렸으며, 앉지 않았다. 그래서 힘이 발바닥에 여덟아홉 정도 집중되고, 허벅지에는 한두 정도만 쏠렸다. 그들의 속도는 폭풍처럼 빠르고, 힘은 산을 짓누르는 듯 강하며, 왼쪽으로 돌고 오른쪽으로 꺾는 동작이 마치 날개로 나는 듯이 날렵했다. 이 때문에 고개를 왼쪽으로 돌려 오른쪽으로 활을 쏠 수 있었으며, 활을 단단히 잡지 않아도 정확하게 맞힐 수 있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540a8ff3cf4



其步射,則八字立脚,步闊而腰蹲,故能力而穿札。


그들이 발을 딛고 활을 쏠 때는, 양발을 팔(八)자 모양으로 벌려 서고, 걸음을 넓게 내디디며 허리를 낮추어 앉는 자세를 취했다. 이 자세로 인해 힘을 실어 갑옷을 꿰뚫을 수 있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8e3aaefb861




其馬野牧,無芻粟,六月饜草始肥。牡者四齒則扇,故闊壯而有力,柔順而無性,能風寒而久歲月;不扇則反是,且易嘶駭,不可設伏。

蹄鍥薄而怯石者,葉以鉄或以板,謂之腳澀。

凡馳驟,勿飽。凡解鞍,必索之而仰其首,待其氣調息平,四蹄冰冷,然後縱其水草。

牧者謂之“兀剌赤”,回回居其三,漢人居其七。




그들의 말은 들판에서 방목하며, 꼴이나 곡식을 먹이지 않았다. 여섯 달 동안 풀을 먹어야 살이 찌기 시작한다. 수말은 네 살 때 거세를 한다. 거세를 한 말은 체격이 크고 튼튼하며 힘이 세며, 성격이 온순하고 기질이 부드럽다. 이런 말은 바람과 추위를 견디며 오랜 세월을 지낼 수 있다. 반대로 거세를 하지 않은 말은 기질이 불안정하여 쉽게 울고 놀라며, 매복이나 은밀한 작전에 적합하지 않다.


말발굽이 얇아 돌을 두려워하는 말은 철이나 나무판자로 덧대는데, 이를 "각삽(腳澀)"이라고 한다.


말을 몰고 달릴 때는 절대 배부르게 먹이지 않는다. 안장을 풀 때는 반드시 고삐를 잡고 머리를 들어올려, 말의 숨이 고르고 네 발굽이 차가워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야 물과 풀을 먹인다.


말을 돌보는 사람을 "올라치(Ulagachi, 兀剌赤)"라 부르며, 그중 세 부분은 회회(回回, 이슬람)이 맡고, 나머지 일곱 부분은 한족(漢人)이 맡았다.











24b0d121e09270f327f1c6bb11f11a396b61be9480133d8ed1




霆 嘗考韃人養馬之法,自春初罷兵后,凡出戰好馬,並恣其水草,不令騎動。直至西風將生,則取而空之,縶於帳房左右,啖以些少水草。經月後,膘落而實,騎之數百里,自然無汗,故可以耐遠而出戰。尋常正行路時,並不許其吃水草。蓋辛苦中吃水草,不成膘而生病。此養馬之良法。南人反是,所以馬多病也。



서정(霆)은 몽골인이 말 기르는 법을 고찰한 바, 봄초 무렵 병력이 철수한 후, 전투에 출전한 좋은 말들은 모두 물과 풀을 마음껏 먹게 하여 말이 움직이지 않도록 했다. 서풍이 불기 시작할 때까지 그대로 두었으며, 그때부터 말들을 꺼내어 아주 적은 물과 풀을 먹였다. 한 달이 지나면 말의 살이 빠지고 몸이 단단해지며, 그 후 수백 리를 달려도 땀 한 방울 흘리지 않아 멀리서도 전투를 견딜 수 있었다. 평소에는 말이 이동할 때 물과 풀을 먹이지 않았다. 이는 말이 일하는 중에 풀을 먹이면 살이 찌지 않고 병이 나기 쉽게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좋은 말 기르는 방법이다. 남쪽 사람들은 그 반대로 기르기 때문에 말이 자주 병에 걸린다.





其牡馬,留十分壯好者作移剌馬種外,餘者多扇了,所以無不強壯也。


수말 중에서 특히 튼튼하고 좋은 말 10분의 1은 "이랄마(移剌馬)"로 삼아 번식용으로 남기고, 나머지 대부분은 거세를 하도록 한다. 이렇게 관리하기 때문에 모든 말이 강하고 튼튼하다.













24b0d121e09270f027f1c6bb11f11a39f256b0cb6256e89af4




其鞍轡輕簡,以便馳騁,重不盈七八斤。鞍之雁翅,前竪而後平,故折旋而膊不傷。?圓,故足中立而不偏;底闊,故靴易入。綴?之革,手揉而不硝,灌以羊脂,故受雨而不斷爛;闊不踰一寸,長不逮四總,故立馬轉身至順。



그들의 안장과 고삐는 가볍고 단순하여 말을 타고 달리기에 편리하며, 무게는 7-8근을 넘지 않는다. 안장의 앞부분은 높이 세워져 있고 뒷부분은 평평하게 되어 있어 급히 방향을 틀거나 회전할 때 허벅지가 다치지 않는다.


등자(?)는 둥글게 만들어져 있어 발이 중심을 잡고 치우치지 않으며, 폭이 넓어 장화가 쉽게 들어간다. 등자에 연결된 가죽은 손으로 부드럽게 다듬어 만들며,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 양기름을 발라 비를 맞아도 끊어지거나 썩지 않는다. 가죽의 폭은 1촌을 넘지 않으며, 길이는 4總에 이르지 않기 때문에 말 위에서 몸을 돌리거나 자세를 바꾸기에 매우 편리하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7f42e4695




其軍,即民之年十五以上者,有騎士而無步卒,人二三騎或六七騎謂之一鈄〈都由切,即一隊之謂〉 。武酋、健奴自鳩為伍,專在主將之左右,謂之八都魯軍,曩攻河西女真諸國,驅其人而攻其城。




그들의 군대는 15세 이상의 백성들로 구성되며, 모두 기병으로 이루어져 있고 보병은 없다. 기병 2-3기 혹은 6-7기를 한 "두(紏)"라 부르는데, 이는 곧 한 부대(隊)를 의미한다.


무장한 지휘관과 강한 병사들은 자발적으로 모여 작은 부대를 이루며, 주군(主將)의 좌우를 호위한다. 이들을 "팔도로군(八都魯軍)"이라 부른다. 과거 이 군대는 하서(河西)와 여진(女真) 등의 나라를 공격할 때, 그 지역의 주민들을 몰아내고 그들을 이용해 성을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霆往來草地,未嘗見有一人步行者。其出軍,頭目人騎一馬,又有五六疋或三四疋馬自隨,常以準備緩急,無者亦須一二疋。


서정(霆)이 초원을 오가며 단 한 번도 걸어 다니는 사람을 본 적이 없었다. 그들이 출병할 때, 두목이나 주요 인물은 한 마리에 올라타고, 추가로 5-6필 혹은 3-4필의 말이 따라다니며, 긴급 상황에 대비해 항상 준비되었다. 말이 없는 사람이라도 최소 1-2필은 반드시 보유해야 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b686899302a




其軍器有柳葉甲、有羅圈甲〈革六重〉、有頑羊角〈弓角面連靶通長三尺〉、有響箭〈即鳴鏑也〉、有駝骨箭、有批針,剡木以為栝,落鵬似為翎;有環刀,效回回樣,輕便而犀利,靶小而褊,故運掉也易;有長、短槍,刃板如鑿,故著物不滑,可穿重札;有防牌以革編絛,否則以柳,闊三十寸,而長則倍於闊之半;有團牌,時前鋒臂之,下馬而射,專為破敵之用;有鉄團牌,以代兜鍪,取其入陣轉旋之便;有拐子木牌,為攻城避砲之具。每大酋頭項各有一旗,只一面而已〈以次人不許置〉,常卷常偃,凡遇督戰,纔舒即卷。攻城則有砲,砲有棚,棚有綱索以為挽索者之蔽,向打鳳翔,專力打城之一角,嘗立四百座,其餘器具不一而足。其長技,弓矢為第一,環刀次之。




그들의 군사 장비로는 여러 종류가 있다. 유엽갑(柳葉甲)과 라권갑(羅圈甲, 가죽 6겹)이 있으며, 단단하게 만든 양뿔 활이 있다. 이 활은 뿔이 손잡이에서 이어져 나가고 길이가 3척이다. 또한 소리가 나는 화살(響箭, 곧 명적(鳴鏑))과 낙타 뼈로 만든 화살(타골전, 駞骨箭), 바늘화살(비침, 批針)이 있다. 이 화살은 날카롭게 깎은 나무를 화살대로 사용하며, 독수리 깃털을 깃으로 삼는다.


환도(環刀)가 있는데, 회회(回回, 이슬람)식을 본떠 만들어 가볍고 편하며, 단단하고 날카롭다. 손잡이가 작고 좁아 휘두르기 매우 쉽다.


긴 창과 짧은 창도 있으며, 창날은 끌처럼 생겼다. 이 때문에 표적에 닿으면 미끄러지지 않아 두꺼운 갑옷도 뚫을 수 있다.


방패는 가죽으로 끈을 엮어 만들거나, 그렇지 않으면 버드나무로 만든다. 폭은 30촌 정도이며 길이는 폭의 1.5배 정도이다. 둥근 방패(단패, 團牌)가 있는데, 선봉들이 팔에 걸고 다니며, 말을 내려 활을 쏘거나 적을 무찌르기 위해 사용한다. 철로 만든 단패는 투구 대신 사용되기도 하며, 진열 안에서 돌리기 편리하다. 괴자목패(拐子木牌)가 있는데 공성이나 포격을 피할 때 쓴다.


주요 지휘관마다 깃발 하나를 갖고 있는데, 한쪽 면만 사용한다. 이는 계급에 따른 것이며 하급자는 가질 수 없다. 깃발은 평소에는 말아 눕혀두고 전투 시 감독할 때만 펴고 다시 접는다.


성을 공격할 때는 포(砲)를 사용하는데, 포(砲)에는 누각(棚)이 있고, 누각에는 덮은 것을 당기기 위한 노끈(망삭, 網索)이 있다. 예를 들어, 봉상(鳳翔)을 공격할 때는 성의 한쪽 모퉁이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며, 무려 400문의 포(砲)를 배치한 적도 있다.


그 외의 군사 장비는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그들의 장기로는 활과 화살이 제일이며, 그다음은 환도이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eca4eccf222



霆嘗攷之,韃人始初草昧,百工之事無一而有,其國除孳畜外,更何所產其人椎朴,安有所能止用白木為鞍,橋以羊皮,橙亦剜木為之,箭鏃則以骨,無從得鉄。後來滅回回,始有物產,始有工匠,始有器械。蓋回回百工技藝極精,攻城之具尤精,後滅虜金虜,百工之事於是大備。



서정(霆)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몽골인들은 처음 국가를 세웠을 때는 미개했으며, 백공(百工)의 일들 중 단 하나도 제대로 갖추어진 것이 없었다. 그들의 나라에서는 가축을 제외하고는 다른 생산품이 거의 없었고, 사람들은 둔하고 소박하여 기술을 가질 수 없었다.


그들은 오직 흰 나무로 안장을 만들고, 양가죽으로 안장을 덮었다. 등자는 나무를 깎아 만들었으며, 화살촉은 뼈로 만들어 철을 얻을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후에 회회(回回, 이슬람 지역)를 정복하면서 비로소 물산이 풍부해지고 장인들이 생겨나며, 기계와 도구를 갖추기 시작했다.


회회 지역은 백공(百工)과 기술이 매우 정교했으며, 특히 공성도구 제작에 탁월했다. 이후 금나라를 멸망시키면서 다양한 백공의 기술이 대대적으로 갖추어졌다.








其軍糧,羊與泲馬〈手捻其乳曰泲〉。馬之初乳,日則聽其駒之食,夜則聚之以泲,貯以革器、澒洞數宿,微酸,始可飲。謂之「馬嬭子」。纔犯他境,必務抄掠,孫武子曰「因糧於敵」是也。



그 군대의 식량은 양고기와 말젖이다. 손으로 짜낸 젖을 "泲"이라 부른다. 말의 초유는 낮에는 망아지가 먹도록 하고, 밤에는 젖을 모아 가죽 용기에 저장한다. 이렇게 젖을 담아 두면 몇 날 밤을 지나면서 약간 시큼해지는데, 그제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를 「馬嬭子」이라 부른다.


다른 지역을 침범하기만 하면 반드시 약탈을 통해 자원을 확보하려 한다. 이는 손자가 말한 「식량을 적으로부터 빼앗아라(因糧於敵)」는 것과 같다.














其行軍常恐衝伏。雖偏師亦必先發精騎,四散而出,登高眺遠,深哨一二百里間,掩捕居者、行者以審左右前後之虛實,如某道可進、某城可攻、某地可戰、某處可營、某方敵兵、某所糧草,皆責辨哨馬回報。如大勢軍馬併力胃集,則先燒琵琶,決擇一入以統諸部。



군대를 움직일 때는 항상 적의 매복을 두려워한다. 비록 작은 부대라 할지라도 반드시 정예 기병을 먼저 파견하여 사방으로 흩어져 출발한다. 높은 곳에 올라 멀리 바라보며 100-200리까지 깊숙이 정찰하며, 머물러 있는 자나 이동 중인 자를 붙잡아 전후좌우의 상황을 면밀히 파악한다. 이를 통해 어떤 길로 진군할 수 있는지, 어떤 성을 공격할 수 있는지, 어떤 장소에서 전투할 수 있는지, 어디에 진영을 세울 수 있는지, 어느 방향에 적군이 있는지, 어느 곳에 식량과 풀(보급)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이러한 정보는 정찰 기병에게 보고를 요구한다.


만약 대군이 합세하여 전투에 나설 준비를 할 때는 먼저 비파를 태운다는 신호로 결정된 길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모든 부대를 통솔하여 진군한다.







霆見韃人未嘗屯重兵於城內,所過河南北郡縣,城內並無一兵,只城外村落哨馬星散擺布,忽遇風塵之警,哨馬響應,四向探刺,如得其實,急報頭目及大勢軍馬也。



서정(霆)은 몽골인들이 한 번도 많은 병력을 성 안에 주둔시키는 것을 보지 못했다. 그들이 지나온 하남(河南)과 하북(河北)의 군현에서는 성 안에 병사가 한 명도 없었고, 대신 성 밖의 마을과 초소에 정찰 기병들이 흩어져 배치되어 있었다. 갑자기 풍진(먼지바람)과 같은 경보가 발생하면, 정찰 기병들이 즉시 응답하여 사방으로 나가 정찰한다. 만약 실질적인 정보를 얻으면 이를 즉시 우두머리와 대군에 보고하였다.














其營必擇高阜,主將駐帳必向東南,前置邏騎,韃語「托落」者,分番警也〈惟前面無軍營〉。帳之左右與帳後諸部軍馬,各歸頭項,以席而營。營又貴分,務令疏曠,以便芻秣。營留二馬,夜不解鞍,以防不測;營主之名即是夜號,一營有警,則旁營備馬,以待追襲。餘則整整不動也。惟哨馬之營則異於是,主者中據,環兵曰表,傳木刻以代夜邏即漢軍傳箭法。秣馬營裏,使無奔逸,未暮而營,其火謂之「火鋪」。及夜則遷於人所不見之地,以防夜劫,而火鋪則仍在於初營之所,達曉不動也。




그들의 진영은 반드시 높은 언덕을 선택하며, 주장은 동남쪽을 향해 장막을 설치한다. 앞에는 정찰 기병을 배치하는데, 이를 몽골의 말로 「托落」이라 하며, 번을 나눠 경계하는 역할이다. (단, 전면에는 군영을 두지 않는다.) 장막의 좌우와 뒤쪽에는 각 부대의 군대와 말이 각자의 지휘관 아래로 배치되어 자리에서 진영을 형성한다.


진영은 반드시 분산 배치하며, 공간을 넓게 두어 사료와 풀을 제공하기 쉽게 한다. 진영에는 두 마리의 말을 남겨두고 밤에도 안장을 풀지 않는데, 이는 불의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진영의 주장은 그날 밤의 신호 역할을 하며, 한 진영에 경보가 발생하면 인접 진영에서 말을 준비해 추격에 대비한다. 나머지 병사들은 질서를 유지하며 움직이지 않는다.


다만, 정찰 기병의 진영은 이와 다르다. 지휘자는 중앙에 위치하고, 병사들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이를 "표(表)"라 부른다. 이들은 나무 조각을 전달하여 야간 경계를 대신하는데, 이는 한족 군대의 "전전법(傳箭法)"과 유사하다.


말을 먹이는 진영에서는 말이 도망치지 않도록 관리하며, 해지기 전에 진영을 세운다. 이때 피운 불을 「화포(火鋪)」라 부른다. 밤이 되면 불을 인가가 보이지 않는 곳으로 옮겨 야습을 방어하지만, 초기 진영의 화포(火鋪)는 그대로 두고 새벽까지 유지하여 적을 혼란에 빠뜨린다.





霆見其多用狗鋪,其下營直是日,要審觀左右營勢。


서정(霆)은 그들이 주로 개를 이용한 보초(狗鋪)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보았다. 개는 낮에도 진영 아래를 지키며, 좌우 진영의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4d084e1cfe6b5





其陣利野戰,不見利不進。動靜之間,知敵強弱;百騎不撓,可里萬眾;千騎分張,可監百里;推堅陷陣,全藉前鋒;衽革當先,例十之三。凡遇敵陣,則三三五五四五,斷不簇聚,為敵所包。

大率步宜整,而騎宜分。敵分亦分,敵合亦合,故其騎突也,或遠或近,或多或少,或聚或散,或出或沒,來如天墜,去如雷逝,謂之「鴉兵撒星陣」。其合而分,視馬之所向;其分而合,聽姑詭之聲以自為號。自邇而遠,俄頃千里。其夜聚,則望燎煙而知其所戰。宜極寒而無雪,則磨石而禱天。



그들의 진형은 야전에 유리하며, 이익이 보이지 않으면 결코 나아가지 않는다. 움직임과 멈춤 사이에서 적의 강약을 파악하며, 백 기병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만 명의 적을 상대할 수 있다.천 기병이 나뉘어 움직이면 백 리를 감시할 수 있다. 강한 적을 밀어내고 진형을 뚫는 것은 전적으로 선봉의 역할에 달려 있다. 가죽 갑옷을 여미고 선봉에서 나아가는 병사는 대개 열 명 중 세 명 정도로 구성한다.


적의 진형을 마주할 때는 삼삼/오오 또는 네다섯씩 흩어져 움직이며, 절대로 한 곳에 몰려 적에게 포위당하지 않는다.


보병은 정렬을 유지하는 것이 적합하고, 기병은 분산하는 것이 적합하다. 적이 분산하면 아군도 분산하고, 적이 집결하면 아군도 집결한다. 기병의 돌격은 멀리 또는 가까이, 많거나 적게, 모이거나 흩어지거나,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움직임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듯 빠르게 오고, 천둥처럼 순식간에 사라지며, 이를 「오병산성진(鴉兵撒星陣)」이라 부른다.


집결 후 분산할 때는 말발굽 소리의 방향을 관찰하고, 분산 후 집결할 때는 임시 신호를 듣고 대응한다. 가까운 곳에서 멀리까지, 순식간에 천 리를 이동한다. 밤에 모일 때는 횃불 연기를 통해 전투 위치를 확인한다. 추운 날씨지만 눈이 내리지 않을 때가 적합하며, 그때는 돌을 갈아 무기를 준비하고 하늘에 기도한다.













其破敵,則登高眺遠,先相地勢,察敵情偽,專務乘亂。故交鋒之始,每以騎隊徑突敵陣,一衝纔動,則不論衆寡,長驅直入,敵雖十萬,亦不能支。不動則前隊橫過,次隊再撞。再不能入,則後隊如之。
方其衝敵之時,乃遷延時刻,為布兵左右與後之計。兵既四合,則最後至者一聲姑詭,四方八面響應齊力,一時俱撞。
此計之外,或臂團牌,下馬步射,一步中鏑,則兩旁必潰,潰則必亂,從亂疾入敵。或見便以騎蹙步,則步後駐隊,馳敵迎擊。敵或堅壁,百計不中,則必驅牛畜,或鞭生馬,以生攪敵陣,鮮有不敗。
敵或森戟,外列拒馬,絶其奔突,則環騎疎哨,時發一矢,使敵勞動。相持稍久,敵必絶食,或乏薪水,不容不動,則進兵相逼。
或敵陣已動,故不遽擊,待其疲睏,然後衝入。或其兵寡,則先以土撒,後以木拖,使塵衝天,敵疑兵衆,每每自潰;不潰則衝,其破可必。
或驅降俘,聽其戰敗,乘敵力竭,擊以精銳。或纔交刃,佯北而走,詭棄輜重,故擲黃白,敵或謂是誠敗,逐北不止,衝其伏騎,往往全沒。
或因真敗而巧計取勝,只在乎彼縱此橫之間,有古法之所未言者。
其勝則尾敵襲殺,不容逋逸;其敗則四散迸,追之不及。



적을 무찌를 때는 먼저 높은 곳에 올라 멀리 바라보며 지형을 살피고, 적의 상황과 진위를 파악하여 혼란한 틈을 노리는 데 주력한다. 그래서 교전이 시작되면 먼저 기병대로 적의 진영을 돌파한다. 일단 첫 번째 돌격으로 적을 흔들면, 병력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곧장 밀고 들어간다. 적이 비록 10만이라 하더라도 막아낼 수 없다. 돌파가 어렵다면, 첫 번째 부대는 옆으로 이동하고, 다음 부대가 다시 충돌한다. 그래도 돌파하지 못하면 후속 부대가 다시 시도한다.
적을 충돌했을 때는 시간을 끌면서 병력을 좌우와 후방에 배치할 계획을 세운다. 병력이 모두 합쳐지면 마지막으로 도착한 부대가 일제히 함성을 지르고, 사방팔방에서 응답하며 힘을 합쳐 한꺼번에 돌격한다.

이 외에도 여러 전술이 있다. 예를 들어, 팔에 단패를 메고 내려서 땅을 딛고 활을 쏘아 한 발이라도 명중하면 양측이 무너지고, 무너지면 적이 혼란에 빠지게 되므로 혼란한 틈을 타 적을 공격한다. 또는 기병으로 보병을 압박하면서 보병 후방에 병력을 배치하여 적을 마주하며 공격한다.

적이 견고하게 방어할 경우, 여러 계책이 통하지 않으면 소와 말 같은 가축을 몰아 적의 진영을 교란한다. 이로 인해 적의 진영이 무너지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적이 빽빽한 창과 거마를 놓아 돌파를 막으면 기병으로 넓게 포위하여 간간이 화살을 발사해 적을 피로하게 만든다. 대치가 길어지면 적은 반드시 식량이 고갈되거나 땔감과 물이 부족해져 움직일 수밖에 없다. 그때 병력을 전진시켜 적을 압박한다.

적의 진영이 움직이면 바로 공격하지 않고, 적이 지쳐 기진맥진할 때를 기다렸다가 돌입한다. 적의 병력이 적을 경우, 흙을 뿌리고 나무를 끌며 먼지를 일으켜 병력이 많아 보이게 만들어 적이 스스로 무너지게 한다. 무너지지 않더라도 돌격하면 승리는 확실하다.
또는 항복한 포로를 몰아 싸우게 하고, 적의 힘이 고갈되면 정예병력으로 공격한다. 전투가 시작되자마자 일부러 후퇴하는 척하며 병참 물자를 버리고, 금과 은을 흩뿌려 적이 이를 보고 진심으로 패주했다고 믿게 만든다. 적이 추격을 멈추지 않으면 매복한 기병이 적을 전멸시키곤 한다.
때로는 실제 패배를 가장하여 교묘한 계책으로 승리를 얻는다. 모든 전술은 적의 움직임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하며, 옛 병법에서 언급되지 않은 방법도 많다.

승리할 경우 적을 끝까지 추격하여 한 명도 도망가지 못하게 하고, 패배할 경우는 흩어져 달아나 적이 추격할 수 없도록 한다.















출처: 군사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86

고정닉 39

1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예능 출연 한방으로 인생 바뀐 스타는? 운영자 25/02/03 - -
295308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한국에서 하면 안되는 것
[389]
Bor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47762 501
295302
썸네일
[걸갤] 하이브에 고소당했다는 쭉빵카페 유저
[296]
ㅇㅇ(118.235) 01.07 42807 533
295299
썸네일
[이갤] 개쩌는 호텔 클리닝 수건 아트
[106]
슈붕이(146.70) 01.07 32663 141
295296
썸네일
[등갤] 등린이 가리왕산 다녀왔습니다!! 설중산행
[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13750 39
295293
썸네일
[기갤] 이민호 “조회수, 순위 공효진과 달리 난 신경안쓴다“
[119]
ㅇㅇ(211.234) 01.07 20835 30
29529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최홍만의 턱걸이 갯수촌.jpg
[370]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5216 204
295287
썸네일
[중갤] 지포스 50번대와 DLSS4가 대단한 이유
[444]
언성을높이지마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1678 76
295284
썸네일
[주갤] 더쿠 노괴 아줌마들이 원하는 한국 남자의 조건 ㅋㅋㅋㅋㅋ
[830]
갓럭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40458 399
295281
썸네일
[더갤] 저짝에서 개지랄염병떠는 '형법상' 내란죄 철회 상황을 다시 보자
[710]
Floyd.B.Ols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3468 76
295278
썸네일
[유갤] 출산한 일본인 아내를 위해 성심당 케이크 사다준 남편
[529]
ㅇㅇ(91.195) 01.07 47399 404
295276
썸네일
[싱갤] 팩트팩트 네이버 웹툰 진실
[322]
댕댕이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55543 501
295272
썸네일
[유갤] 현대 ST1 전기 캠핑카.gif
[16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0488 47
295270
썸네일
[주갤] 싸가지 사위 vs 욕설, 선 넘은 장인
[345]
ㅇㅇ(106.101) 01.07 29532 200
29526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과학으로 확인된 올해 더 행복해질 수 있는 8가지 방법
[143]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7183 44
295267
썸네일
[중갤] 명태균 여론조작, 박형준∙홍준표까지 뻗쳤나…검찰 수사 착수
[1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15810 143
295265
썸네일
[기갤] 성범죄자 최대 20년간 배달 못한다... 개정안 의결
[656]
ㅇㅇ(106.101) 01.07 27483 124
295264
썸네일
[야갤] 이재명, 대장동 재판 도중 싸움 발생
[584]
ㅇㅇ(106.101) 01.07 43563 1077
295262
썸네일
[중갤]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본조사 결과 나왔다…숙명여대 측, 피조사자에게만 먼저 통보
[189]
글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0835 221
295261
썸네일
[모갤] 폭설이 내리던 날 서빙고북부건널목에서
[39]
ㅇㅇ(59.18) 01.07 14151 37
29525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에서 술 샀다가 경찰서 갈수도 있다는 행동
[215]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8838 159
295258
썸네일
[국갤] 민주당한테 고발당한.....여조업체 대표 입열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431]
ㅇㅇ(124.216) 01.07 35797 1299
29525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3년만에 잔치가 벌어진 마을.jpg
[265]
Secret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2650 65
295253
썸네일
[디갤] 뉴비 찍었던 사진 올려봐요 잘부탁드립니다.webp
[37]
디붕이(118.235) 01.07 5708 26
295252
썸네일
[중갤] 트럼프 "의회 폭동이 아니라 '사랑의 날'이다"
[25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17896 254
295250
썸네일
[공갤] 역사 속으로 사라진 해양경찰청 의무경찰 시험
[93]
전시라이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19006 45
295249
썸네일
[이갤]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파는 스투시 가품 근황
[365]
ㅇㅇ(172.98) 01.07 37961 242
29524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F 받은 걸 인증하는 학생들
[462]
라면타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50573 582
295246
썸네일
[만갤] 소년점프 숨은 작화GOAT....jpg
[231]
김상궁물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0354 247
295244
썸네일
[특갤] 일론머스크 2020년 인터뷰, 특이점 예측
[223]
か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6778 145
295243
썸네일
[기갤] 텔레그램, 한국 정부에 범죄 연루자 658명 정보 제공
[248]
ㅇㅇ(106.101) 01.07 27878 114
295241
썸네일
[싱갤] 베트남 거리 아세안컵 우승 근황
[159]
FallOu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2876 50
295238
썸네일
[국갤] 실시간 영김 발언에 인지부조화 온 여시언냐들ㅋㅋㅋㅋ
[382]
ㅇㅇ(223.39) 01.07 33918 889
29523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생산성 없는 사람들.manhwa
[2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7500 177
295235
썸네일
[무갤] ‘남편 니코틴 살인사건’ 30대 여성, 대법원서 무죄 확정
[682]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5486 474
295234
썸네일
[디갤] 흙계륵(+쌀팔) 테스트 겸 잠실 잠깐
[17]
디붕MK-I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4788 11
295232
썸네일
[야갤] 심각) 민주당 대선 준비 착수
[7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53497 2202
29523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고물가 시대에 살아남는 법
[2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0013 305
295229
썸네일
[야갤] 인천 12세 의붓아들 학대 사망 계모, 파기환송심서 '징역 30년'
[96]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13653 51
29522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생을 망치는 고수익 아르바이트...
[4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53927 554
295226
썸네일
[넷갤] 오징어게임2 탑 한국 반응으로 화가난 외국인들
[542]
타코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40888 84
295225
썸네일
[야갤] [단독] "양심 없네"…제주항공 사고로 돈벌이한 '악덕 장례식장'
[43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8481 253
295222
썸네일
[대갤] 대만, 韓은 中 선박을 체포·조사하라! 내정간섭으로 외교갈등 조장
[386]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0608 363
295220
썸네일
[야갤] 베란다로 침입 시도 40대男…경찰, 전자발찌 알고도 체포 안했다
[164]
야갤러(211.234) 01.07 16786 104
295219
썸네일
[해갤] 6년전 그알에서 취재했던 김신혜씨의 자백 과정
[137]
해갤러(84.17) 01.07 20423 99
295217
썸네일
[국갤] 윤 대통령 측 "내란죄 철회로...각하해야", 국회측 "소추사유 변경 없다"
[342]
마이월드(218.234) 01.07 26167 877
2952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장사할 때 항상 친절해야 하는 이유
[16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2957 260
295214
썸네일
[국갤] 옆갤 펌) 미국의 1700세 우편투표자 ㄷㄷ
[223]
반갤러(222.101) 01.07 25150 656
295213
썸네일
[야갤] 민주당 똥쭐탄이유
[661]
ㅇㅇ(222.96) 01.07 55540 1596
295211
썸네일
[싱갤] ㅅㄱㅂㄱ 훈련병 얼차려 사망사건 1심 결과
[636]
복슬복슬Teem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29180 523
295210
썸네일
[야갤] 트럼프 취임식.. "국힘만 초청"... News
[1116]
범인매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51611 2820
뉴스 미스맥심 빛베리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첫 번째 화보’ 체리 비키니+핑크 머리 눈길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