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압) 프롬겜들로 알아보는 엘든링의 변화와 선명도를 가진 그래픽.jpg

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1 13:35:01
조회 20716 추천 220 댓글 181



 


7fed8274b58468f73eeb85e743841b6c848d28dc41e64b7a58baab253ce99dc65c237064dd31939f4188e7a825

반갑다 게이들아

1

조금 바빴어서 한달이 지나고서야 글을 이어 쓰게 됐다.


이번에도 프롬이 배경을 만들 때 고려하거나 주의하는 것들에 대해서 저번 편에 이어 알아보려 한다.

이 글에서 사용할 배경의 의미는 게임의 스토리 배경 같은 것들보단 실제 인게임의 건축물이나 물건 같은 오브젝트로써의 배경(그래픽 리소스)에 가깝다.



7ded8168efc23f8650bbd58b36857665a4b7

저번편에 이은 4부작의 3편이기 때문에 맨 위의 시리즈들을 보고 오는 것을 권장한다.

물론 안 봐도 엘든링 플레이했으면 이해하는데 문제 없음


들어가기에 앞서 여기선 편한 단어를 쓰기 위해 구어체로 작성되어 있음

문어체로 가독성 있게 읽고 싶다면 세키로와 다크 소울로 알아보는 엘든링의 그래픽 비주얼 디자인 3 (tistory.com) 개인 메모장 보면 됨




프롬이 공개한 변화와 선명도를 가진 그래픽의 일부 3가지 요소는 이러함


7def8168efc23f8650bbd58b3683746bc31d

(실현을 위해 필요한 요소)

1. 실루엣 무너뜨리기

2. 반복감 완화

3. 라이팅


4부작 내내 3줄 정리가 이런 알아듣지 못할 리스트로 시작된다.

14

좀 더 자세히 표현한 3줄정리를 알아보자



7def8268efc23f8650bbd58b3682766ecee6

(그래픽 퀄리티로 의식하고 있는 것)

1. 철저하게 곧은 실루엣을 무너뜨린다.

2. 차분을 주어(차분함아님) 어쨌든 단조롭게 하지 않는다.

3. 라이팅에 의한 줄임새로 그림을 죄인다.



26

시발 대체 뭐라는 거냐

중간에 메리하리니 한국어로 바꾸기 곤란한 단어도 나오니까 이번 편은 잘 살펴보자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9f1ecd4acc4c8bf13d3c159d3d221ba3fb1828ce1e1bbc6e994f94f


간혹 실루엣 모르는 친구들이 있던데 짧게 정리하면

7ceb8571b1876af437ee98a518d6040368657e801d4395345e57

흔히 윤곽만을 나타낸 무언가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실루엣을 무너뜨린다는 건 이런 매끈한 윤곽선을 매끈하지 못하게, 예를 들면 저런 윤곽선을 울퉁불퉁하게 만드는 거임



7def8368efc23f8650bbd58b3683716cf1b709


7def8468efc23f8650bbd58b36837c6be98ca5

이런 식으로 건물을 배치할 때 주로 사용한다고 함

실루엣이 뭔가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하지?


건물의 실루엣은 강한 인상을 주기 쉬운데 직선이 계속되면 CG감, 폴리곤감 같은 게 나타나기 쉬움

그래서 프롬은 세키로의 선봉사에서 자연 지형의 수목이나 바위를 저렇게 의도적으로 나열하여 건물의 실루엣을 무너뜨려 더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냈다고 함


이에 대한 엘든링의 예시는


7fed8274b58569f63eef82ed44851b6c46bc1e1cd517514fc0933a67b0588cd9

7fed8274b58569f63eef82ed44851b6c48fb4e9026fcd9ae3238bbe7a600cb892a2294060ca49aa260dcc1

시작하자마자 바로 찾을 수 있다


전체적인 실루엣만 봤을 때 암벽에서 나무, 스톰빌까지 매끈한 선이나 직선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무너져 있다

8



7fed8274b58569f63eef83e746871b6c5780ba8bf02637ef4fabf42eb7221b75


7fed8274b58569f63eee87e647811b6c5a4ac1c3f99ca415bc33b8ca4a741afd

신수탑도 그렇고 수많은 건축물들에서 적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실루엣을 무너뜨린다는 것은 그래픽쪽 전문가들이나 쓸 법한 말 같은데 사실 건축물을 만들거나 디자인 하다 보면 당연하게 생각나는 거라 우리도 알고 있다

신수탑이 정팔각형이라면 팔각기둥의 폴리곤을 높게 세워두고 그 위에 세부적인 디테일을 넣으면 되는 것이고, 

다리가 일자로 이어져 있으면 어색하니 뭔가 추가로 세워두는 것이다


7fed8274a8826deb3defe9e5449f746b8cd54422c8f9984d96a9d2ff0b6de5911b57470d

어렸을 때 마크로 건축 좀 쳐본 프붕이들은 이 실루엣을 무너뜨린다는 게 무슨 말인지 잘 알고 있을 거다

14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기술력과 디테일에서 전문가와의 확연한 차이가 나게 될 뿐임





7def8568efc23f8650bbd58b3683726f1b2dcb


7def8668efc23f8650bbd58b36837c6af63a82

다음으로 프롬은 건물이 아닌 옥외도 평범하게 그리면 단조로운 그림이 되기 쉽다고 했음

이를 막기 위해 오브젝트를 배치한 예가 사진과 같음

대/중/소 크기의 오브젝트를 준비해서 가급적이면 같은 실루엣이 연속되지 않도록 균형을 생각해서 배치했다고 함


7def8768efc23f8650bbd58b3683726e2d6ce8


7def8868efc23f8650bbd58b36837c68a0ed93

또한 실루엣을 무너뜨릴 땐 게임 내의 세계관을 표현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사용할 수 있으면 더욱 좋음

아래의 사진에선 올라가는 길에 광원과 국기가 배치된 모습이다


프롬은 각 작품들에서 그 세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조각상이나 조명, 시체 관련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일이 많다고 함

2



7fed8274b5866af33eec87e146861b6c4523b3515995e87e298b6904a7cee44f


7fed8274b5866af33eec87e146861b6c4b64e3ddaa7e609fdb20ec88b897a21eafcf09788891a56ca77afec2

여기서도 체크한 부분이 없다고 생각하면 꽤나 어색하고 특색없는, 그저 풍차가 있는 마을 정도였을 거다

근데 여기선 알터고원의 색감과는 다른 핑크빛의 꽃들과 미드소마가 생각나는 구조물과 그 아래에서 춤추는 비선공 할머니들이 분위기를 뒤집어 놓으셨다


특히 이러한 오브젝트들은 이 마을이 어떠한 마을인지 표현할 수 있는 오브젝트들이며, 미드소마 같은 영화를 본 사람들과 안 본 사람들이 받는 느낌 또한 다르겠지

비선공 할머니 역시 공격하기 전엔 배경에 동화되어 생동감을 주면서도 세계관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케 한다

이른바 배경이 살아 숨쉰다 같은 거지

5


물론 이런 것이 필요에 따라 그렇게 배치되어야 하는 거지 필수적으로 실루엣을 부수거나 오브젝트를 이리저리 배치해야 하는 건 아니다

플레이어가 봤을 때 컨셉 설정이 위배되지 않는 선에서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자연스러움을 느껴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지

14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9f1ecd4acc4c8bf13d3c159d5d72127404a6e770297b8fb94969231

반복감 완화는 오브젝트들을 반복적으로 쭉 이어 붙이면서 나오는 어색함을 완화하는 거임



7def8968efc23f8650bbd58b368276681e3c75

3D 게임에선 울타리나 담장의 오브젝트를 평범하게 나열하면 반복감이 아무래도 눈에 띄어버려서 어색하게 될 수 있음

굳이 3D가 아니어도 우리가 어렸을 때 하거나 봤던 이브나 마녀의집 같은 쯔꾸르 게임들의 타일들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빠를 거임


프롬은 이런 울타리나 담장 같은 것들의 일부분을 파괴하거나 해서 가급적 공수를 들이지 않고 2~3개의 오브젝트를 준비해서 얘네를 나열하거나 블렌딩해서 반복감을 비교적 간단하게 완화할 수 있었다고 함


로데일 바닥 타일을 한 번 봐보자


7fed8274b58569f63eee84ed46851b6cdab99215a18a4a2f80e8c61394f01ea7

이렇게 의식하고 보니 뭔가 다른 거 같기도 하고... 아닌 거 같기도 하고...

12

딱 보자마자 뭔가 위화감이 느껴지고 그런 건 아닌 거 같다 그치?
















7fed8274b58569f63eee84ec46851b6c21daf171012675ca7daa37c4edad3fa3a510f2d8a56e4edc73ca2a3a

잘 보면 이 타일들은 대각형으로 계속 반복되는 패턴이 있다.

갤 확대로 잘 안 보이면 블로그로 봐봐


바닥의 붉은 원의 조각난 부분을 기준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음

파란색 타일들을 잘 보면 다 같은 조각난 모양이지만 블렌딩을 통해 옅게 하거나 거의 안보이게 함으로써 차이를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13


실제 1회차 겜 하다가 잠깐 봤을 땐 아스퍼거가 아니고서야 위화감이 거의 안느껴질 거임



7dee8068efc23f8650bbd58b3682716e08dd12

특히 지면은 화면 내 절반 가까이를 차지해서 반복감이 안 생기게 특히 조심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함

잘 보면 바닥 타일들이 군데군데 파괴되어 있는 것 외에, 깔려있는 천 역시 섬유 구조 등을 감안하여 열화되어 있는 걸 알 수 있다



7fed8274b58569f63eee85e046881b6cd2e0052d412f4f244a6c2919b0f8123a


7fed8274b58569f63eee85e046881b6cdca755a1b2c4c7c5b8c7ad96a6a2536a97f11bc9ae91c5efe36db62a3f

여기도 바닥을 똑같이 부숴서 반복시켜놨음에도 블렌딩이나 에셋을 여러개 만들어 반복감을 최소한으로 한 모습이다

앞에서 투석기가 날아오는 환경에 맞게 중간중간 바닥이 박살나 있는 것 역시 현실감을 더해줌



7fed8274b58569f63eee85e645841b6c4865730b15d81af94a67fca954acac07

여기도 바닥이 똑같이 적용돼있지?

왠지 모르게 여길 지키는 애한테 대가리 깨진 플레이어가 흘린 피의 흔적들이 의도치 않게 반복감을 더 완화시켜주는 것처럼 보인다.

13



7fed8274b58569f63eee85e244831b6cd5eab2c588a087ad05f7011078e18131


7fed8274b58569f63eee85ed47811b6c3ec3ff19a11bc288a485a221a94c108321

스톰빌 정문 역시 여러 종류의 목책과 무기 오브젝트들이 배치되어 이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 수 있게 한다

바닥의 타일들은 반복감을 완화시켜주고 박혀있는 무기들 역시 배경에 허전함을 없애면서도 반복감을 완화시킨다


박혀있는 무기들이 대부분 각가지이면서도 스톰빌에서 주로 발견되거나 사용되는 무기들이 박혀있어 세계관 표현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10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9f1ecd4acc4c8bf13d3c158d0d2211301927ddbe0d98fa26ec08546


7dee8168efc23f8650bbd58b36807d6dce098f

(명암에 의한 신축성-메리하리)

라이팅(불빛)에 의한 신축성은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의 솜씨를 보여주기 좋은 대목이다.

광원을 툭툭 놓기보단 파괴된 곳의 단면 등 질감의 차이를 알 수 있는 부분을 핀 포인트로 비추는 것이 요령이라고 한다.


근데 갑자기 메리하리니 뭐니 라이팅에 신축성이라니 뭐냐?

10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9f1ecd4acc4c8bf10d4c753d1d0218091c88f80a8577e399bc5731fd6

일본에선 줄어들고 늘어난다는 동사를 명사 한 단어로 표현한다.

한국에선 신축성이 좀 더 가까울 건데 불빛에는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긴 하니 그냥 그렇구나 하면 됨

여기선 광원의 밝기 정도의 개념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거다



7dee8268efc23f8650bbd58b36807c681c2e88


7dee8368efc23f8650bbd58b3683706dac4cd4

(공기감의 연출)

위아래 사진을 비교해 보면 라이팅에 의해 실내의 먼지와 공기감이 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이를 이용하면 정보량을 줄여서 본래 보여주고 싶은 것을 돋보이게 하거나, 그림자를 밝히는 것으로 지면의 정보량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15


라이팅 기법들은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 연출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7fed8274b58569f63eee82e644881b6c2c3fb4f197acb7755c2935dcb6901e0f

라이팅 기법이 잘 사용된 곳 중 하나는 단연코 화산관일거다


이게 보니까 각자 모니터에 따라 여기 광원 색채가 붉은 색채로도 보이고 주황 색채로도 보이더라



7fed8274b58569f651ee8ee4448570731e97c84d3f9e1228311ac9717cece70d

ㄹㅇ임

근데 난 붉은 색채보이는 게 화산관 분위기랑 너무 잘 맞아 떨어져서 좋았다.

너네도 모니터는 꼭 색감 좋은 거 사라

7  



7fed8274b58569f63eee82e142851b6c866d2adf975ec484d0b627e2c4b13cda

돌아와서 앞서 말했듯이 광원의 배치로, 보여주는 정보량을 줄여 보여주고 싶은 것을 돋보이게 하거나, 어떤 면의 정보량을 늘리거나 부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광원을 이렇게 배치한 건 어떤 이유였을까?

12 


















7fed8274b5866af33eec86ec46821b6c47facd280e64fb8d967ba5526e679448fe818711de4102e2cb125147

부각시키고 싶은 연출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14



비슷한 이유로 디아로스가 조명 강조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어두운 쪽에 있었던 이유 역시 연출 측면에서 조금 고민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7fed8274b58569f63eee82e043871b6c340a57983ca1b7c219cf1f00bddc1ff97784c0323b6f27de858832e8

다음은 화산관 연출의 핵심인 NPC가 있던 곳이다.

자세히 보니 한쪽 불이 꺼져 있는데 왜 일부러 꺼놨을까?

대칭성으로 안정성 있는 연출도 가능했을텐데

15





7fed8274b5866af33eec86e242881b6c6622be2fe8418777db54e0a4bda09e28

저기도 연출상 나름 의미있는 포인트이다.

도가니 기사는 가운데 NPC를 지키기 위해 그저 뒤에서 서있는 경호원(그림자) 설정을 가지고 있다.

즉, 연출적인 측면에서 가운데의 NPC보다 돋보여서는 안되는 것이다.


광원상 나름 어둡게 만들어 이러한 엄중한 분위기의 연출을 부각시킨다면 더 좋을 것이다.

그림자들을 함 자세히 봐보자

30










7fed8274b5866af33eec86ed46891b6c02b942d757789b80016459fce08baf9465c39fd09743600c15fbd1e3

왼쪽의 광원의 밝기 수치를 크게 하면 이런 식으로 그림자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왼쪽의 광원이 없었거나, 오른쪽 광원이 같이 빛나고 있었다면 초록/파랑/노랑의 그림자가 나올 수가 없어서 이런 식의 그림자 연출은 불가능했을 거임

그림자 연출은 실제로 연출쪽의 효과가 있는데 설명하기엔 내용이 좀 길어서 영화쪽으로 찾아보면 더 확실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화산관 곳곳을 둘러보면 이런 식으로 광원과 그림자를 통해 어떤 분위기를 연출하고 강조하고 싶은 것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이 꽤 있다.






7fed8274b58468f73eed86e143881b6ceb3e80a5accc9ce4431e4c2919a26828

여기까지 '변화와 선명도를 가진 그래픽' 비주얼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작들의 오피셜을 기반으로 한 분석이기 때문에 진짜 오피셜은 아님을 명심해주었으면 한다


다음엔 '인상적으로 구성된 관점'에 대해 써보려 한다.

이해가 안되는 곳이 있었다면 물어봐주면 고맙고, 맘에 들었다면 앞으로 회차를 돌면서 이런 디테일들에 더 신경써보는 건,,, 어덜가,,,?

합리적인 이유를 가진 피드백 환영한다


읽어줘서 고맙다

40


참고자료

https://www.4gamer.net/games/463/G046388/20211130134/













출처: 프롬 소프트웨어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20

고정닉 63

3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29651
썸네일
[이갤] 일본 일왕 히로히토의 일대기 이야기
[270]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0369 48
229647
썸네일
[카연] 흡혈귀 조카의 허전한 머리 - 2화
[20]
마카맛레몬(211.60) 05.09 5944 20
229645
썸네일
[싱갤] 한국 독립영화 충격적인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보자
[188]
ㅇㅇ(61.72) 05.09 18444 178
229643
썸네일
[유갤] 짱구로 느끼는 첫째의 설움...jpg
[195]
시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1450 193
229641
썸네일
[필갤] 영화용 필름과 부산 그리고 롤라이
[34]
이하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6283 25
229639
썸네일
[싱갤] 냉혹한...컴퓨터로 삼겹살 굽기의 세계..jpg
[216]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38860 191
229637
썸네일
[바갤] 일본바리0일차 평택-부산
[71]
베어허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8265 63
229635
썸네일
[미갤] 5년 사귀다 헤어진 커플의 술자리 ㄷㄷㄷ..jpg
[3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46765 52
229633
썸네일
[인갤] 스포, 스압) 인디카 후기
[22]
ㅇㅇ(211.197) 05.09 8155 21
229631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타이타닉호의 마지막 사진들.....jpg
[125]
DD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8143 263
229627
썸네일
[식갤] 본인도 과하다는 걸 알고 있는 플랜테리어 놀이
[167]
맥시멀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9578 146
229625
썸네일
[힙갤] 뷰너 충격적인 과거..jpg
[268]
힙갤러(185.213) 05.09 51795 390
229623
썸네일
[아갤] 늦게올리는 본머스전 짧은 후기
[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8257 51
22962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국밥 여고생 근황
[85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79031 611
229620
썸네일
[로갤] 옛날엔 어떻게 애니를 불법으로 봤을까? LD 해적판 비디오
[309]
ㅇㅇ(222.118) 05.09 30233 193
229618
썸네일
[미갤] 이순재 선배님을 보고 자신이 달라졌다는 김영철.jpg
[1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6300 146
2296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똘똘이를 커지게 하기 위한 여행
[333]
따아아아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56833 215
229614
썸네일
[디갤] 일본 대마도 길거리
[185]
AFM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9305 130
229612
썸네일
[걸갤] 아호도장 만들어밧음
[35]
jcssom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2497 35
2296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발기에 관한 22가지 사실
[215]
나무미끄럼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51235 136
229608
썸네일
[기갤] 어려운단어 쓰는 서울대 출신 여배우..jpg
[6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56062 140
22960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어버이날 기념 포켓몬의 엄마들을 알아보자.jpg
[135]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7671 120
229602
썸네일
[미갤] 어느 우즈베키스탄 여성이 재혼을 결심한 이유.jpg
[1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30418 193
229600
썸네일
[마갤] 마우스 카피캣에 대한 이야기
[64]
데비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19140 55
22959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튜브댓글 병신 레전드.jpg
[368]
얼갤러(59.21) 05.08 49454 261
229596
썸네일
[기음] (스압) 보육원에 과일을 기부하겠다니까 오렌지아저씨 반응
[307]
ㅇㅇ(106.101) 05.08 25024 202
229594
썸네일
[이갤] 일본 AV 신법 개정 시위 요구사항
[255]
FC2PP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40160 184
22959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ㅍㄷ 응징 원정대.jpg
[233]
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48630 368
229590
썸네일
[로갤] 5일페 글로리아 피규어들고 참가한 후기...
[56]
네오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6037 78
229588
썸네일
[냥갤] 닌자맘의 혐오스러운 일상
[273]
ㅇㅇ(115.160) 05.08 32743 415
229584
썸네일
[필갤] 오르보 NC500 작례
[24]
나나바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5723 13
229582
썸네일
[과빵] 집에서 바질따다 피자만들기2.jpg
[52]
dd(182.213) 05.08 13324 56
22958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대만 출신 치어리더 한국 진출
[645]
흰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46469 491
229576
썸네일
[걸갤] 하재근 문화평론가 사이비 음모론 일침
[177]
ㅇㅇ(223.38) 05.08 16991 270
229574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소아과
[847]
직무매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54448 950
229572
썸네일
[기갤] 현직 경호팀 직원이 말하는 트로트 가수 미담.jpg
[1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9176 170
22957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원본을 잘 못살린 게임 캐릭터 레전드..jpg
[145]
ㅇㅇ(122.42) 05.08 42581 112
229568
썸네일
[미갤] 전설적인 투자자 드러켄밀러가 말하는 투자..JPG
[292]
ㅇㅇ(58.124) 05.08 24831 138
229566
썸네일
[쿠갤] 쿠키런 관련 트위터 보니까 개웃기네ㅋㅋㅋ
[396]
븜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35772 553
229564
썸네일
[미갤] 알콜 중독 아내한테 전재산 털린 남자.jpg
[3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34465 224
22956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28억으로 만든 장난감
[184]
ㅇㅇ(118.32) 05.08 51143 343
229558
썸네일
[대갤] 日, 유명 식빵에서 생쥐 조각 발견 돼... 경악!
[241]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6327 171
229556
썸네일
[카연] 격투기 선수가 야구를 너무 잘하는 만화 3화
[36]
O.K.목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3758 28
22955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평양의 일상
[384]
ㅇㅇ(211.21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32730 81
229552
썸네일
[야갤] 이번 라인 강탈 사태의 심각성
[2534]
ㅇㅇ(49.172) 05.08 49609 1028
229550
썸네일
[기갤] 이장우 "전교 1등도 어렵지만 전교 꼴찌가 진짜 어렵다"
[271]
ㅇㅇ(106.101) 05.08 36896 143
229548
썸네일
[부갤] 사실상 내 집은 월세 25만 원 옥탑방이 끝? 부동산부터 포기한 34살
[315/1]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7202 178
229546
썸네일
[싱갤] 지금 신형 AI 떡밥 정리함 이것만 보면 됨
[275]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38321 103
22954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즘 100억 벌었다는 사람이 많은 이유
[54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65987 747
229540
썸네일
[중갤] 싱글벙글 탑블레이드가 한국에서만 탑블레이드였던 이유
[314]
ㅇㅇ(121.147) 05.08 34295 6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