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커뮤니티 받아쓰기' 언론, 이대로 괜찮은가

SMYG언플(210.178) 2021.11.02 13:44:34
조회 85 추천 0 댓글 0

데일리안 ㄱ기자, 기사 100건 중 80건이 커뮤니티·SNS 받아쓰기
 네이트판 다룬 포털 기사 2017년 362건→2021년 2910
 고정 업무가 된 취재 없는 기사, 갈등 부추기고 오보 확산하지만 견제 없어

"'월 30만원 생활비로 아내가 차려준 밥상입니다'"

"이재용 부회장 딸이 브이로그에 입고 나온 옷 가격"

"'친정 간 사이에 남편이 여직원들과 홈파티를 했습니다'"

"'세차하며 샤워까지 하는 손님이 CCTV에 찍혔습니다'"

"서초에서 잠실로... 업무시간에 화장실 쓰러 집 가는 직원"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처럼 보이는 이 제목들은 10월 28일 언론사 데일리안의 네이버 랭킹 뉴스 목록이다. 첫 번째 기사는 댓글이 4700여개에 달할 정도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들 기사 5건에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를 받아 쓴, 취재가 없는 기사들이다. 그리고 이 기사는 모두 같은 기자가 작성했다. 오로지 조회수를 위해 인터넷 커뮤니티 받아쓰기가 주된 업무가 된 기자들이 있다.


기사 80%가 '커뮤니티 받아쓰기'인 기자

가장 많이 인용한 커뮤니티는 바로 '커뮤니티'


데일리안의 ㄱ기자가 지난 9일부터 28일까지 20일 동안 작성한 기사 내역을 살펴보니 이 기간 동안 100건의 기사를 썼다. 이 가운데 인터넷 커뮤니티·SNS를 인용한 기사만 80건에 달했다. 이외에는 브리핑 기사 8건, 외신 인용 7건, 국내 언론 인용 2건, 기타 3건으로 나타났다. 기사 100건 중 직접 현장을 찾거나 별도로 취재원을 접촉한 취재 기사는 없었다.

ㄱ기자는 압도적인 성과를 냈다. 그가 쓴 기사 100건 중 네이버 댓글이 1000개가 넘게 달린 기사만 23건에 달했다. "친정 간 사이에 남편이 여직원들과 '홈파티'를 했습니다" "'시누이의 남자친구가 제 결혼식에서 '프러포즈'를 하겠답니다'" "'딸 일기장에 제 욕이 한가득 적혀 있어 충격받았습니다'" "'한 달 밥값으로 11만원 쓰는 딸 정상인가요?'" "'처제와 결혼해서 아이가 생겼습니다'" 등의 기사다.


ㄱ기자가 가장 많이 인용한 커뮤니티는 어디였을까. 바로 '커뮤니티'다. 커뮤니티의 이름을 쓰지 않고 "커뮤니티에 따르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등 불분명하게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출처조차 밝히지 않은 기사만 58건에 달했다. 다음으로 보배드림(6건), 네이트판(3건), 한문철TV(3건), SNS(2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뉴스1의 ㄴ기자는 기사 71건을 작성했다. 이 가운데 인터넷 커뮤니티·SNS 인용 기사는 41건으로 과반을 차지했다. 그 역시 41건 중 가장 많이 언급한 출처가 '커뮤니티'(18건)로 나타났다. 이어 한문철TV(4건), 보배드림(3건) 순이다.

신미희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취재 없이 남녀갈등, 고부갈등, 폭력행위, 그리고 범죄 수준에 가까운 엽기적인 소재의 이야기가 주로 다뤄진다"며 "이런 기사는 '저질'이 아니라 기사의 요건조차 갖추지 못한, 기사로 볼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전담 조직 만들어 '취재 없는 기사' 시스템화

'터지는 기사' 나오면 베끼기 지시, 경쟁 심화


온라인 대응에 집중하는 언론사 기자들에게 '커뮤니티 받아쓰기' 현황을 물었다. 이들이 소속된 언론사에는 '커뮤니티 받아쓰기'등 클릭수를 위한 기사를 전담하는 부서나 인력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온라인매체 소속 A기자는 "최근 트렌드를 보면 온라인 클릭 수만을 위해 존재하는 부서들이 있다. 그런 부서들은 보다 쉽게 취재를 하면서 자극적인 결과물을 내놓는다. 인풋은 적게 들이면서 아웃풋은 크게 낼 수 있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한 신문사의 온라인 담당 자회사 소속 B기자는 "아예 커뮤니티 기사를 전담해서 쓰는 부서가 있고, 코너까지 만들어놓고 있다. 사실 닷컴사 기자라고 해도 아이템 잡고, 사람 만나고, 자료를 보고 취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커뮤니티 관련 기사 전담 부서 기자들은 그러지 않는다"고 밝혔다.

온라인매체 소속 C기자는 "최근 경향을 보면 온라인 전담이 곧 '커뮤니티발 기사 전담' 같다. 과거엔 인턴을 뽑아 온라인 대응을 하며, 그들이 커뮤니티를 받아썼다면 이제는 같은 일을 하는 정규직 기자가 양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언론의 온라인 대응 조직은 7일, 그리고 24시간을 의미하는 조선일보의 '724팀', 24시간 살펴본다는 의미의 중앙일보 'EYE24팀'과 같은 온라인 대응팀과 한경닷컴 등 닷컴사 사례가 대표적이다. 최근 조선일보는 온라인 대응 기사를 집중적으로 쓰는 자회사 '조선NS'를 설립해 4교대로 온라인 대응을 한다. 조선일보 사보에 따르면 조선NS 기사의 조선일보 내 PV(페이지뷰) 점유율이 55%를 넘어섰다.

주요 언론의 이 같은 대응이 '성공 사례'로 부각되면서 다른 언론사들도 비슷하게 조직을 정비하는 모양새다.

이들의 업무는 전방위적으로 커뮤니티를 훑어보며 기사를 내는 것이다. 한 경제지에서 과거 온라인팀 인턴 기자를 했던 D 전 기자는 "'커뮤니티 마와리'(마와리는 순찰이라는 뜻의 일본어로 출입처를 돌아본다는 의미의 언론계 은어)라고 불렀다. 그는 "국내 커뮤니티 이용 순위를 집계한 사이트를 참고하라며 주더라. 일베, 펨코, DC, 여시(여성시대), 네이트판 등을 돌았고 이후 에타(에브리타임)가 주목 받자, 에타에도 방문했다. 한발이라도 빨리 보고 발제해서 쓰는 식이었다"고 밝혔다.


다른 언론사에서 주목 받은 기사를 쓰면 어김 없이 지시가 내려온다. "언론이 연합뉴스 받아쓰기를 하는 것처럼 조선, 중앙일보 같은 매체에서 나온 커뮤니티발 기사의 반응이 좋으면 데스크에서 '따라서 쓰라'고 한다." 언론사 닷컴사 소속 E기자의 말이다. 그는 "우리만 그렇겠는가"라고 반문하며 "다른 매체들도 그렇게 사실 확인을 하기보단 일단 받아쓰게 된다. 언론이 다룰만한 주제인지 고민할 시간도 없다"고 했다.

어떤 기사가 '아이템'이 될까. 독자들 눈에 보이는 것처럼 유명인이 엮인 논란이거나, 분노를 불러오거나, 불륜이나 패륜 사건처럼 엽기적이고,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이면 된다. A기자는 "커뮤니티 한 번 보면 기사가 될 듯한 느낌이 드는 글들이 있다"고 했다. 경제지 소속 F기자는 "예컨대 유명인 A씨에 대한 내용이 있으면, 그 사람이 누군지 파악하지 않고 일단 받아 쓴다. 유명인이 엮인 글이 있는지 없는지부터 살핀다"고 했다.

이들 언론사 관계자들은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는데 커뮤니티발 보도가 늘어나는 경향은 데이터로도 확인할 수 있다.

54개 주요 언론의 기사를 살펴볼 수 있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인 빅카인즈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키워드가 정확하게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하면 2016년 8694건에서 2017년 1만2147건, 2018년 1만4579건, 2019년 1만3026건, 2020년 1만2120건, 2021년 1만6728건(1029일 기준)으로 나타났다. 2021년은 두 달 가량 남았음에도 최근 5년 중 가장 관련 기사가 많다.

자주 언급된 커뮤니티 이름을 포털에서 검색해봤을 때도 늘어나는 추세가 보였다. 일례로 포털 다음에서 보배드림을 언급한 기사는 2017년 691건에 불과했는데 2019년 2030건으로 늘었고, 2021년(1029일 기준)에는 3920건에 달했다. 네이트판 역시 2017년에 언급한 기사는 362건에 그쳤으나 2018년 516건, 2019년 692건, 2020년 1100건으로 매년 늘었고 올해는(1029일 기준) 2910건으로 급증했다.

확인 없는 취재로 허위사실 확산

일부 여론 확대해 갈등 부추기기도


이 같은 인터넷 커뮤니티 받아쓰기 기사들은 사실상 '가짜뉴스'(허위정보)와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을 받는다. 일방의 주장을 확인 취재나 검증 없이 전달했기 때문이다.

최근 한 대학 비대면 강의 중 성관계를 하는 소리가 20분 간 들렸다는 기사가 쏟아졌다. 이데일리는 "'20분째 성관계 생중계'..낯뜨거운 대학 비대면 수업 '발칵'"기사를 내고 "학생이 오디오를 켜 놓은 상태로 성관계를 했다"는 게시글 내용을 전했다. 그러나 해당 강의를 맡은 교수는 학생이 실수로 성인 영상이 재생해 나온 소리였고, 20분 간 지속되지도 않았다고 반박했다.

한강 대학생 사망 사고 당시 커뮤니티 속 추론 하나 하나가 기사화되며 친구를 범인으로 몰아붙인 사례도 있다. 당시 언론의 보도로 신빙성이 떨어지는 정보가 확대재생산됐다.


검증 없는 커뮤니티 보도가 혐오를 부추긴 경우도 있다. 지난 7월 뉴스1은 "핫팬츠 女승객 쓰러졌는데 남성들 외면...3호선서 생긴 일 '시끌'" 기사를 통해 여성이 지하철에서 쓰러졌는데 남성들이 성추행범으로 몰릴까봐 돕지 않았다는 커뮤니티 글을 충분한 취재 없이 전했다. 이후 '받아쓰기' 기사가 쏟아지며 사회적 갈등이 확산됐다. 그러나 남성 승객들이 도와줬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언론인권센터는 "취재없는 기사의 결과는 특정 성별에 대한 맥락없는 혐오와 비난으로 이어지고, 사회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8년 '판박이 사건'이 있었다. 당시 서울 지하철 경복궁역에서 여성이 쓰러졌으나 주변 남성이 '미투 당할까봐' 우려하며 돕지 않았다는 글이 한 커뮤니티에 올라왔고 중앙일보는 "'미투 당할까봐' 역에서 쓰러진 여성 방치한 펜스룰" 기사를 냈다. 그러나 이 역시 현장에 있었던 시민들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면서 허위로 드러났다. 3년 전 커뮤니티 받아쓰기 보도에 아무런 견제가 없었고, 결국 같은 문제가 반복되는 모양새다.


커뮤니티의 일부 글을 부풀리거나 확대해석해 갈등을 조장하는 경우도 있다. 지난 6월 중앙일보, 뉴시스 등 언론은 한 여성 커뮤니티에 올라온 얀센 백신 예비역 접종을 '성차별'이라고 지적한 글에 주목했다. 뉴시스는 이 같은 글이 해당 커뮤니티에 많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이 해당 커뮤니티의 '얀센' 키워드가 들어간 글을 전수조사한 결과 얀센 관련 글 68건 중 차별 주장 글은 3건에 불과했고, 모두 댓글 5개 이하로 주목도도 낮았다. 오히려 얀센 백신이 예비역을 대상으로 접종하는 이유를 차분하게 설명한 글들도 적지 않았다.

최근에는 황당한 '재탕' '뒷북' 기사 문제가 드러났다. 20여개 언론이 한 고깃집에서 불판 교체에 990원의 비용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가장 먼저 보도한 언론은 데일리안, 기자는 앞서 언급한 A기자다. 그는 지난 17일 "불판 교체·상추 리필 990원 고깃집 유료 서비스 논란" 기사를 냈다.

기사 자체는 '허위'가 아니었지만 문제는 시점에 있었다. 기사 속 메뉴판 사진은 지난해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것과 같았다. 이후 주기적으로 인터넷에 오르내렸고, 이를 뒤늦게 기사화한 것으로 독자들에겐 '최근 벌어진 일'처럼 이해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다른 언론사들이 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최근 이뤄진 포장비 도입, 배달비 인상 흐름과 연관 지으며 논란을 부추긴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한 청소업체에서 쓰레기 더미 같았던 1.5룸을 100만 원의 비용을 들여 청소했다는 뉴스는 매년 반복되고 있다. 2019년 인사이트, 2020년 위키트리가 보도한 데 이어 2021년 17개 언론이 이를 보도했다. 이 보도에 관해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일단 쓰고 보자는 한국 언론의 게으른 관행이 낳은 사건"이라며 "클릭 장사를 위해 너나 할 것 없이 오보와 다름없는 기사를 쏟아내는 언론 행태"라고 비판했다.

기자 개인 아닌 언론계, 포털의 책무

B기자는 "커뮤니티 받아쓰기 기사를 쓰면 매체 전체가 욕을 먹게 된다는 내부 분위기도 있다. 본사에서도 몇몇 우려 목소리가 전해져온다"고 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커뮤니티 인용 기사를 쓰는 부서가 주력이다. 수뇌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클릭 수이기 때문에 달라지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A기자는 "기레기 소리를 들을 수도 있지만 조직이 원하니 기자들이 맞춰주면서 커뮤니티를 돌게 됐다"며 "취재를 하면 좋겠지만 온라인 경쟁 구도 속에서 그럴 시간과 여유가 없다. 그래서 일단 받아쓰는 시스템이 업무로 고착화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채영길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공론장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진 권위 매체가 적극적으로 이 같은 기사를 쓴다는 점이 문제이고, 포털은 이 같은 매체를 노출해주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며 "경제적 측면에서 생존을 위한 매체와 플랫폼 간의 공모로 인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공론장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윤리 의식을 내팽겨쳤다"고 비판했다.


네이버는 2020년 언론사와 계약에 따라 기사 제공 대가를 지급하는 전재료 체제를 폐지하고 광고수입 배분을 골자로 하는 정산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 같은 방식이 조회수 경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네이버는 대안으로 NG팩터를 도입했다. NG팩터(Not good)는 저품질 기사의 수입을 줄이는 조치를 말한다. 최근 네이버가 NG팩터를 강화하면서 몇몇 언론에 수입이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결과가 나와 언론사 관계자들이 네이버에 항의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네이버는 지난해 개편을 시점 기준으로 3년 간 전재료보다 광고수입이 적어도 최소한 전재료 만큼은 보전해주고 있어 일정 수준의 수익이 유지되는 상황이다. 오히려 NG팩터를 적용 받은 언론사들이 문제가 되는 기사의 양을 더 늘리면서 수익을 보전하려 대응하기도 한다. 광고수입 배분 체제를 바꾸거나 강력한 제재를 하지 않는 이상 본질적인 변화는 어려워 보인다.

언론계엔 자율규제가 있지만 사실상 구속력이 없다. 뉴스1의 남녀갈등을 부추긴 지하철 여성 승객 보도도 자율규제기구에서 '주의' 결정을 받았지만 달라진 건 없었다. 언론계는 언론중재법의 대안으로 현행 자율규제 체제의 한계를 인정하고 실효성 있는 '통합 자율규제기구' 출범을 공식화했다. 자율규제 기구에서 이 같은 기사가 제대로 된 심의를 받지 않는다면 심의 실효성은 의심 받을 수밖에 없다.


신미희 사무처장은 "이 같은 기사는 언론 신뢰 저하에 기여하고 있다. 몇몇 매체는 포털에서 퇴출시켜야 할 정도로 심각하다"며 "이런 기사를 양산하는 언론은 포털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규제해야 하고, 반복하면 퇴출해야 마땅하다. 개별 기자의 책임도 크지만, 이 같은 기사를 내보내게 한 언론사, 그리고 제재 없이 노출하는 포털의 책임이 가장 우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방송통신발전기금 취재 지원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금준경 조준혁 박서연 기자



커뮤니티 받아쓰기 언론이 한국에 많아진건


SM빠순이빠돌이같은 무지성 정신병자들이 아이돌 광신도 짓하다가 대중들한테 욕쳐먹고


그걸 반성하기는 커녕 우리가 힘이 없어서 그렇게 됬다고 분석하고


나중에 나이먹고 언론사 취직해 하라는 기자질은 안하고 언론을 통한 여론선동에 앞장섰기 때문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지금 결혼하면 스타 하객 많이 올 것 같은 '인맥왕' 스타는? 운영자 24/10/28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859527 사주바죠 ㅇㅇ(175.201) 21.12.29 21 0
859523 ㅁㄴ언냐 은뱀언냐가 텐프로고 ㅇㅇ(176.160) 21.12.29 41 0
859521 촉점님 저 연애란걸 해볼수있을까요 ㅇㅇ(223.33) 21.12.29 10 0
859518 진도화는 그리보는게 아닌데개나소나 진도화 ㅇㅈㄹ하드라 Cross(117.111) 21.12.29 336 6
859515 난 신데렐라 요정할매 포지션 하고픔 ㅇㅇ(176.160) 21.12.29 23 0
859511 초년 용신 40년 살앗으면 사주안믿음... [17] ㅇㅇ(14.7) 21.12.29 3470 167
859504 언누와따 얘두라 목기운 쎄다 [3]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71 2
859503 18살 남잔데 내일 기말고사인데 딸침 ㅆㅂ [1] ㅇㅇ(58.140) 21.12.29 39 0
859500 곰민영 왜캐예쁘냐진짜 [5] 0ㄱ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94 0
859499 병화가 밝아보여도 엄청 냉정하다는 거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710 82
859498 난 공주의 집사긔 [1] ㅇㅇ(176.160) 21.12.29 34 0
859495 비겁왕 귀한 것을 숨겨라 관써라 ㅇㅇ(175.223) 21.12.29 192 9
859494 무재인다남인데 부모가 죽일듯이 밉다 [6] 키164존못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128 4
859493 예읍아 나장기털거임? [4] ㅇㅇ(223.38) 21.12.29 25 0
859491 백신 미접종자가 백신접종자와 관계하면 백신 부작용현상이 나타남? [1] ㅇㅇ(125.176) 21.12.29 65 4
859490 어차피 오래살기 시른데 초년용신이였음 좋겠다 (223.38) 21.12.29 22 0
859489 뽀뽀하고 싶어 ㅇㅇ(211.179) 21.12.29 34 1
859487 나 사주 봐주실분? [1] ㅇㅇ(211.222) 21.12.29 28 0
859480 나 사주가 뭔가 이상허이 ㅇㅇ(180.190) 21.12.29 37 0
859477 나 해킹범임 니네 관음도청중 얘수(121.125) 21.12.29 33 1
859476 고딩때 사고쳐서 애낳는 애들 안타깝 (223.38) 21.12.29 31 3
859474 독고함마 잦이실루엣은 올라온적 있음 ㅇㅇ(223.33) 21.12.29 32 1
859470 여자들 원래 젊은 나이에 이성관계 겪으면 미침? ㅇㅇ(223.38) 21.12.29 53 0
859469 보고싶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36 0
859468 조만간 빕스 함 가야지 [1] 순디(203.229) 21.12.29 37 0
859467 인생에 내 편 없어도 ㅇㅇ(14.5) 21.12.29 47 2
859466 울집고영이 하는짓이 왕비마마공주마마같은게 자월갑인가틈 ㅇㅇ(176.160) 21.12.29 99 0
859464 사주바죠 ㅇㅇ(175.201) 21.12.29 27 0
859463 애초에 택일한 사주가 환경이 안좋을순 없겠지 [2] ㅇㅇ(223.62) 21.12.29 71 3
859460 모해 이새끼 지적장애있음? [34] ㅇㅇ(125.176) 21.12.29 118 4
859458 고양이 같은배에서 태어나도 성격 존내 다른거알긔? ㅇㅇ(27.119) 21.12.29 29 0
859457 헨리 키신저랑 3주 똑같은데 ㅇㅇ(110.13) 21.12.29 62 1
859455 순디 저 녀석은 왜 자꾸 기어오를까 모헤(220.92) 21.12.29 21 0
859453 잘생긴거랑 예쁜거랑 한끗차이임? (223.38) 21.12.29 33 1
859452 갑목중에 못생긴년없다..... [8] 0ㄱ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188 0
859451 근데 이갤에 잦이인증 올라온적 있엉? ㅇㅇ(223.38) 21.12.29 33 0
859450 노예 한남 기생충들은 업소 안가면 여자들이랑 [1] 한남충OUT프로젝트(175.198) 21.12.29 26 0
859449 기신운 교운기 지나고 한희신운 왔는데 ㄹㅇ달라짐 [1] ㅇㅇ(117.111) 21.12.29 724 24
859446 울집고양이사주가넘궁금하긔 [2] ㅇㅇ(27.119) 21.12.29 40 0
859445 촉점 내년부터 살만해지나요? ㅇㅇ(223.33) 21.12.29 11 0
859444 모헤 업소가서 팬티벗고 나 왕 자지? 거려서 [3] 순디(203.229) 21.12.29 53 0
859441 내 인생 ㅇㅇ(124.111) 21.12.29 17 0
859439 택일은ㅋㅋㅋㅋ그냥 수저가 먼저야 한남충OUT프로젝트(175.198) 21.12.29 25 0
859438 나도 얼굴공개함 0ㄱ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81 0
859436 갑진공주 예쁘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69 0
859431 재다신약이 재 용신일수도잇어? ㅇㅇ(14.7) 21.12.29 71 0
859430 강아지 소주 한방울 모르고 먹었어 [2] ㅇㅇ(223.38) 21.12.29 41 0
859427 갑진공주는 사주머임? 너도 인다냐? ㅇㅇ(223.62) 21.12.29 44 0
859425 사주택일로 태어나면 명궁이나 태원 [2] ㅇㅇ(223.62) 21.12.29 251 0
859424 나 힘들게하는 사람들 다 연 끊으니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40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