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01(김대중) 재해구호법 개정(희망브리지)앱에서 작성

ㅇㅇ(118.235) 2025.03.28 14:51:23
조회 46 추천 0 댓글 0

본 글은 2001년 재해구호법 개정의 악용 여지성을 분석한 글입니다.





국회회의록 16대 225회 19차 국회본회의 중 일부 발췌






2001년 재해구호법 개정법률안의 공정성과 악용 가능성 분석


국회 회의록(2001년 8월 29일, 제224회 국회 임시회)을 바탕으로 재해구호법 개정법률안의 내용과 보건복지위원회 수정안을 분석하여 공정성 및 악용 여지를 평가했습니다.





법안 개요 및 주요 내용


제출: 2000년 12월 7일 정부 제출, 보건복지부 주도.


심사 과정: 2001년 3월 6일 상정 →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사 → 2001년 8월 29일 수정 의결.





주요 골자:


1. 구호 대상: 자연재해법에 의한 피해자로 명확화.


2. 구호기관 확대: 시·도지사 외 시장·군수·구청장 추가.


3. 구호물자 상시 확보 및 응급지원 체제 구축 의무화.


4. 전국재해구호협회(희망브리지) 설립 규정 신설.


5. 벌칙 및 과태료 규정 현실화.


​수정 내용:


1. 구호기관의 응급구호 의무 신설.


2. 의연금품 배분 기준을 대통령령으로 규정.


3. 전국재해구호협회 회원 자격 제한 삭제.





공정성 및 악용 가능성 분석


1. 전국재해구호협회 회원 자격 제한 삭제


내용: 원안에서 회원 자격에 제한을 두었으나, 수정안에서 이를 삭제해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도록 함.


공정성: 개방성과 접근성을 높여 민주적 참여를 촉진하려는 의도로 보임. 이는 단체의 활동에 더 많은 시민이 관여할 기회를 제공.


악용 가능성: 자격 기준이 없어지면 전문성 없는 인원이나 특정 이해관계자가 단체에 침투해 의사결정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음. 예를 들어, 정치적 목적이나 사익 추구를 위한 회원 가입이 늘어날 경우 단체의 공공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음.


평가: 의도는 긍정적이지만, 자격 요건 삭제로 인한 통제력 약화는 장기적으로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음.


​2. 의연금품 배분 기준을 대통령령으로 설정


내용: 의연금품의 투명한 배분 관리를 위해 기준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수정.


공정성: 법률에 세부 기준을 명시하지 않고 하위법령에 위임함으로써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설계됨. 이는 재난의 특성상 신속한 조정이 필요한 점을 반영.


악용 가능성: 대통령령은 국회 심사 없이 행정부가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어, 집행 과정에서 자의적 해석이나 특정 지역·집단에 편파적으로 배분될 위험이 있음. 예를 들어, 정치적 압력이나 선거를 고려한 배분이 이루어질 경우 공정성이 침해될 수 있음.


평가: 투명성 강화를 목표로 하지만, 구체적 기준이 법률에 명시되지 않은 점은 행정권 남용의 여지를 남김. 이후 실제 대통령령 제정 시 투명한 절차가 보장되지 않으면 논란이 될 가능성 있음.





3. 구호기관의 응급구호 의무 신설


내용: 재해 발생 시 신속한 구호를 위해 구호기관(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에 응급구호 의무를 부과.


공정성: 신속한 피해자 지원을 보장하려는 조치로, 재난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


악용 가능성: 의무는 명확하지만, 이를 이행할 재원과 인프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 구호기관이 책임을 회피하거나 형식적 대응에 그칠 가능성이 있음. 예를 들어, 예산 부족으로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피해자에 대한 불공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평가: 긍정적인 의도이나, 실행 가능성을 뒷받침할 구체적 재정 지원 방안이 명시되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전체적인 공정성 평가


긍정적 측면: 법안은 재해구호 체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희망브리지를 통해 성금 모금과 배분을 중앙화하며, 구호기관의 책임을 강화하려는 목적을 분명히 함. 이는 재난 피해자 지원을 개선하려는 공공적 목표에 부합.


잠재적 문제: 회원 자격 제한 삭제와 대통령령 위임은 투명성과 공정성을 약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하며, 응급구호 의무는 실행력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실질적 효과를 내기 어려움.





악용 사례 가능성


회원 자격 남용: 희망브리지 운영에 특정 집단이 과도하게 개입해 자금 배분이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의연금품 편파 배분: 대통령령에 의한 배분 기준이 모호하거나 정치적 고려에 의해 왜곡될 경우, 특정 지역이나 단체가 부당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음.


형식적 구호: 구호기관이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응급구호 의무를 형식적으로만 이행할 경우 피해자 지원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위험.


​2001년 재해구호법 개정으로 희망브리지가 유일한 구호단체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정부가 법적으로 정한 결정으로, 희망브리지는 자연재난 관련 성금 모금과 배분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이 지정은 희망브리지의 기존 역할(1959년부터 시작)을 공식화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여러 차례 대통령 표창을 받았습니다.


다른 단체도 정부 허가를 받아 특정 목적으로 성금을 모을 수 있으므로, 약간의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4년 3월 한국일보 보도에 따르면, 집행부 비리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희망브리지가 법정단체 지위를 포기하고 민간 모금단체로 전환을 추진 중이라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는 2024년 7월 시행된 개정 재해구호법과 관련이 있으며, 회계 투명성 강화와 이사들의 법적 책임 우려가 배경으로 작용했습니다.


현재(2025년 3월 27일)까지 구체적인 법적 처벌이나 지위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는 향후 역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가 받은 대통령 표창은 공식적으로 5회 수여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희망브리지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들은 1996년, 2002년, 2011년, 2017년, 2022년에 대통령 표창을 받았습니다.


1996년: 김영삼


2002년: 김대중


2011년: 이명박


2017년: 문재인


2022년: 문재인

​ㅇㅏㅇㅣ유가 기부한 그 곳 희망브리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18846173 불륜을 성폭행으로 둔갑시키는 경우도 많음 [5] ㅇㅇ(211.107) 13:03 104 0
18846172 찢갈이들 발작 버튼 ㅇㅇ(106.101) 13:03 28 0
18846171 폭싹 50대 후반 이상 줌들한테 핫하던데 ㅇㅇ(211.229) 13:03 32 0
18846170 사람들이 전현무 과거에 조선일보기자 ytn아나운서 였던거 [1] ㅇㅇ(121.163) 13:03 55 0
18846169 두창아 잘가라 [1] ㅇㅇ(223.39) 13:03 48 0
18846168 아니 ㅅㅂ 바이럴새기들 이제는 [1] ㅇㅇ(118.235) 13:02 44 1
18846166 김새론이 같속일때 사괜현장에 보내준 커피차  [1] ㅇㅇ(118.235) 13:02 56 0
18846165 몸만 겨우 빠져 나왔는데, 통신사에서 들은 뜻밖의 얘기.jpg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 79 1
18846163 최여진 뭐가 모자라서 [3] 00(121.142) 13:02 192 0
18846164 아이유 폭싹 흥해서 광고 또땀 [10] ㅇㅇ(118.235) 13:02 643 0
18846162 쪽바리들은 리메이크 해도 꼭 주인공들 못생긴 드라마만 리메이크 [2] ㅇㅇ(211.176) 13:02 42 0
18846161 조민은 조국 닮은거냐 정경심 닮은거냐 [1] ㅇㅇ(118.235) 13:02 36 0
18846160 폭싹 일드 리메이크 낚시 주작임 ㅇㅇ(223.38) 13:02 60 0
18846158 김세의는 내 배려를 받아먹지도 못하는 병신 새끼임. [1] ㅇㅇ(223.38) 13:02 28 0
18846157 민주당 한덕수 탄핵 잘못 건든거라니까 ㅇㅇ(211.229) 13:02 69 0
18846156 김새론보고 깨달음 여자연예인 좆도 아니구나 [3] 긷갤러(39.7) 13:02 114 0
18846154 윤석열 파면!!!!!!!!! 긷갤러(223.39) 13:02 19 0
18846153 진심 애딸린유부녀들만 폭싹보는거같음 [2] ㅇㅇ(211.224) 13:02 39 0
18846150 관식이 박보검 [4] ㅇㅇ(180.67) 13:01 259 0
18846149 이재명 대통령 긷갤러(106.101) 13:01 31 0
18846148 야 폭싹 체감반응 좆도없는데 이게 국내흥행한거냐? [1] ㅇㅇ(211.224) 13:01 61 0
18846147 구르미로 10년을 버티는 박보검 [8] ㅇㅇ(221.155) 13:01 209 0
18846146 현재 시각 더듬당 원내 대표 상황 [1] ㅇㅇ(1.230) 13:01 132 0
18846145 김세의는 내 배려를 받아먹지도 못하는 병신 새끼임. ㅇㅇ(223.38) 13:01 12 0
18846144 폭싹 대박났네 이렇게 빨리 일본서 리멕오는거 ㅇㅇ(106.102) 13:00 71 0
18846143 한동훈 미용실에서 만난 지지자들이랑 셀카 [2] ㅇㅇ(223.38) 13:00 148 1
18846142 윤석열 기각되는데 일등공신 누구누구겠냐 [4] ㅇㅇ(106.102) 13:00 104 0
18846141 어디 엮이면 안대 걍 혼자살자 긷갤러(220.90) 13:00 19 0
18846140 아이유는 팬들 더 고통스럽게 하는듯 ㅋㅋㅋㅋㅋ [3] ㅇㅇ(211.226) 13:00 164 0
18846139 김세의는 내 배려를 받아먹지도 못하는 병신 새끼임. ㅇㅇ(223.38) 13:00 14 0
18846138 오늘자 따끈따끈한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1] ㅇㅇ(211.176) 13:00 74 0
18846137 술담배 자주하면 노화 빨리 옴? [1] 긷갤러(118.235) 13:00 48 0
18846136 한드 리메이크해서 성공한 일본드라마 하나도없음 ㅇㅇ(39.7) 13:00 30 0
18846135 윤상현 뭐냐 [3] ㅇㅇ(106.101) 12:59 197 0
18846133 김세의 같이 사람 죽이고 다니는 유튜버를 [1] ㅇㅇ(223.38) 12:59 44 0
18846132 키 돈도 많은데 왜 결혼안해 [4] 긷갤러(39.7) 12:59 143 0
18846131 윤석열 탄핵 선고일날 암살 조심해야할듯 이유가 있어 ㅇㅇ(118.235) 12:59 49 1
18846130 내란수괴 윤두창 무기징역 사형 파면 이재명 대통령 ㅇㅇ(211.176) 12:59 12 0
18846127 이준석때문에 이재명찍었음 ㅇㅇ(211.224) 12:59 12 0
18846126 이재명 윤석열 둘 다 날리면 안되냐 ㅇㅇ(211.229) 12:59 18 0
18846125 신선체 노무 좋긔 긷통령영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9 15 0
18846124 김수현 해외만믿었을텐데 해외반응이 더안좋네 [1] ㅇㅇ(110.10) 12:59 138 1
18846123 박 탄핵되고 대통령안찍음 ㅇㅇ(211.224) 12:59 17 0
18846122 드뎌 우리재명이가 대통령 되는구나 [1] ㅇㅇ(118.235) 12:59 41 0
18846121 1인 보쌈세트도 다 못먹어 [4] 긷통령영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9 112 0
18846120 신겜 여주가 나영희 친딸일 가능성 없냐 긷갤러(118.235) 12:59 19 0
18846118 민주당 임기연장법보고 긴급하게 날정한게 맞겠지 [1] (125.140) 12:59 59 0
18846119 스키장 비니 브랜드 19.11월 런칭이다 [2] 긷갤러(223.38) 12:59 101 0
18846117 폭싹 일본에서 리메이크 맞음?? [3] ㅇㅇ(223.38) 12:59 133 0
18846116 펌) 장제원 핸드폰 애플워치 아이콘 이상한거 찾았다 [5] ㅇㅇ(118.235) 12:58 197 0
뉴스 신의진, 생기발랄 희망과 위로의 메시지 ‘이별찬가’ 1일 정오 음원공개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