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헬스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헬스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트럼프가 인생 망쳤다…" 미 전역 열풍하는 트럼프 탄핵 시위 갈베
- 싱글벙글 최후의 로마인.manhwa 보까치
- 협상때 일본이 트럼프에게 선물한것 ㅇㅇ
- 괴인과 몸이 뒤바뀐 마법소녀.manhwa ㅇㅇ
- 싱글벙글 어제자 서울대 에타 임산부석 싸움 갈드컵 qwerty2
- 정희원 교수가 저속노화에 발벗고 나선이유 떡훈
- 2D 여캐 규제 빌드업하는 한국 사샤I브라우스
- 싱글벙글 일본 전 총리의 기행 ㅇㅇ
- 여황제 만화 24화 Ssuo.
- 김동연 “비동의 강간죄 도입·모병제 전환하겠다” 묘냥이
- 오늘자 이강인 르아브르전 경기 장면 모음...gif 메호대전종결2
- [포돼지] 손흥민의 부상은 오히려 악화하고 있엇음 ㅇㅇ
- 해병 간장 프리맨
- 십분지옥 manhwa 김밍자
- 한동훈 매일경제 인터뷰 ㅇㅇ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11-12
[시리즈] garbage android · 4컷만화/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2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3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4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5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6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7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8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9 · 중고 안드로이드를 업어왔다 10 41 재회42 떠난 이유43 하여튼44 목걸이 45 인사46 입구47 돌격48 중동의 악마내 생각보다 진도가 느리고 쉬는날이라 한 공기 더 차림[기타]
작성자 : 순문희재고정닉
TAI KAAN: 터키 항공기술력의 결정체
5세대 전투기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 상대방의 RWR을 무력화시키는 성능좋은 레이더, 뛰어난 기동성, 첨단 항공전자/전자전 장비를 탑재하여 전장에서 제공권의 압도적인 우위를 갖게 해주는 게임체인저다. 당연히 이런 무기를 아무나 만들수도, 가질수도 없다. 대표적인 5세대 전투기 F-35의 운용국은 단 20개국, 나머지 5세대기인 J-20/35나 Su-57, F-22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개발국 내에서만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5세대기를 독자개발하는것을 넘어서, 6세대로 업그레이드하겠다고 자신만만하게 선언한 나라가 있으니... 바로 중동의 명실상부한 패권국들 중 하나이자, 꽤나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터키(튀르키예)다. 2010년에 TX-FX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TAI KAAN은 2018년부터 체계개발을 진행, 영국의 BAE 시스템스와의 기술협력을 통하여 2023년 시제기를 롤아웃하고 2029년까지 개발을 완료한 후, 2030년부터 터키 공군에 인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소 20+대의 KAAN이 2028년까지 생산될 예정이며, 향후 2040년까지 250+대의 KAAN이 생산되어 터키 공군의 F-16을 완전히 대체할것으로 보인다. 체급 자체는 전장 20.3m, 전폭 13.4m, MTOW 34.7톤에 달해 5세대기 중에서도 거대하기로 유명한 J-20과 비슷한 수준이며, F-16과 F-35보다는 훨씬 큰 대형기다. 엔진은 GE제 F110-GE-129 터보팬이 2기 들어가 애프터버너 가동시 29,000파운드의 강력한 출력으로 최대 마하 1.8까지 가속이 가능하고, F-22처럼 슈퍼크루징까지 할 수 있다. 향후에는 GE와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터키의 엔진 제작사인 TEI(Tusaş Engine Industries)가 독자개발한 36,000파운드급 터보팬 엔진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원래 F-35의 동체를 생산하기로 했던 TAI가 개발을 진행하기에 동체 자체는 5세대기에 걸맞는 여러가지 소재들로 제작되었다. 기체 전면부는 항공기용 알루미늄, 내부무장창과 주익은 티타늄으로 만들어졌으며, 에어 인테이크와 항공기의 외피 코팅은 경량화된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가 사용되었다. 전투기의 눈인 레이더는 어떨까, 터키의 방위산업체인 아셀산(ASELSAN)이 개발한 MURAD ASEA 레이더가 KAAN에 장착될 것이다. 발전된 Gan 소자를 사용하는 이 레이더는 무려 2,000여개의 송수신 모듈(T/R)을 장착, RCS 1m²급의 표적을 175km 밖에서 탐지가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레이더 스캐닝 속도가 비약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360º전방향에서 수십개의 표적을 추적하면서 적의 ECM 공격을 손쉽게 방어해낼 수 있어 하드웨어 스팩상으로는 F-35에 사용되는 AN/APG-81이나 라팔이 장착한 RBE2-AA보다 우월한 수준이다. 이렇게 개쩌는 MURAD 레이더는 우선 바이락타르 아낑끼(Bayraktar Akıncı)에 장착되어 '25년 3월에 성공적으로 비행시험을 완료했으며, '25년 말까지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그리고 러시아의 Su-57과 비슷하게 전방의 레이돔에 장착된 MURAD 레이더와 더불어 기수 측면과 엔진 사이에 레이더를 추가로 장착했다. +Su-57에 후방레이더는 장착되지 않음 KAAN에 장착되는지는 불명 이 레이더들은 아셀산이 개발중인 통합 RF 시스템(IRFS)의 일원으로써, IRFS는 지향성 광대역 재밍, 역합성/합성개구레이더 (ISAR:이동중인 물체의 이미지를 레이더로 생성하는 기술) (SAR: ISAR이랑 비슷한데 정지한 물체 상대로 작용)등의 기능을 모두 통합한 시스템으로 개발중이다. 거진 F-35급의 센서통합을 목표로 한다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그리고 F-35에 장착되는 상황인식장비인 EO-DAS (Electro-Optical Distributed Aperture System)을 모방한 Bütünleşik Elektro-Optik Sistem (BEOS) 그러니까 통합 전기-광학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체계가 장착되는데, 여기에는 IRST 탐색기, EOTS, MWS 등등이 통합될 예정이다. IRST의 경우, KARAT라고 불리는 친구로써, LWIR(장파장 적외선) 대역을 사용하여 640×512픽셀의 해상도를 가지며, 집중탐색모드에서는 전방 4.0°x3.2° 광대역 탐색모드에서는 전방 8.0°x6.4° 정도의 범위를 30초 이내에 스캔할 수 있다. 당연히 최신 IRST인 만큼 탐지된 표적의 좌표 확인이나 미사일 유도는 물론, F-35같은 5세대기도 탐지가 가능하다. EOTS는 TOYGUN-200이란 물건이 들어간다. 아셀산제 타게팅포드인 ASELPOD를 기반으로 제작한 것으로 1280x1024픽셀의 적외선 화면을 조종사에게 제공하며, 35km 밖에 위치한 표적도 유도가 가능하다. 단순 해상도 자체는 스나이퍼-XR 타게팅포드를 기반으로 제작한 F-35의 AN/AAQ-40보다 해상도가 뛰어난데다가 탐지거리 자체도 TOYGUN이 우위다. 물론 무게 자체가 30kg 더 무겁고, AN/AAQ-40은 이미 개량형이 출시된 상태라 단순하게 일대일로 비교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BEOS의 MAWS 시스템의 경우, F-35의 DAS (Distributed Aperture System, 분산 개구 적외선 시스템)나 F-22에 장착되는 MLD(Missile Launch Detection)와 비슷한 FSS(Full Spherical Sensing)가 탑재될 예정이다. FSS는 동체 사방에 RWR 안테나를 깔아둔 DAS와 비슷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레이더 유도 미사일을 탐지하는것은 물론, IR대역의 미사일을 방어하는 MWS나 LWR(레이저경보기)까지 장착하여 생존성을 향상시켰다. LWR과 연동되는 DIRCM(지향성적외선방어장비)또한 YILDIRIM-300이라는 이름의 장비가 탑재되어 적군이 발사한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다. 전자전 체계의 경우 민감한 사항이다 보니 알려진게 거의 없다. 다만, 라팔의 스펙트라나 F-35의 바라쿠다 수준의 성능을 목표로 개발중인 것으로 추측된다. 무장 탑재량은 10톤 정도로, 내부무장창에 하드포인트 8개, 주익에 하드포인트 6개가 달려있는 구조다. 참고로 개발 초기에는 Su-57과 유사한 병렬식 내부무장창으로 설계되었으나, 개발과정에서 모종의 이유로 랩터와 비슷하게 바뀌었다. 예전부터 자국산 무장에 진심이었던 터키가 개발한 만큼, 장착가능한 무기들은 존나게 많다. MK시리즈 범용폭탄이나 장/단거리 미사일 등등등... 이건 한국이 좀 배워도 좋은 부분이라 생각한다. 대표적인 무장들만 몇가지 소개해보자면 Gökdoğan(Peregrine, 송골매)라 명명된 공대공미사일 AIM-120과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고 유도방식도 똑같지만 하드스팩 자체는 초기형이 사거리 65km 정도로 암람보다 많이 딸린다. 마하 4짜리 Gökhan 램제트 공대공미사일 MBDA의 미티어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는데, 개발기간 단축을 위해 형상을 똑같이 제작한것으로 보인다. 유도방식 자체는 적외선 호밍 방식이라 액티브 레이더 호밍을 사용하는 미티어랑은 다르다. AIM-9 대체용으로 만든 Bozdoğan 미사일 그냥 AIM-9X의 완벽한 열화판격인 물건이다. 파일런도 LAU-129 그대로 사용가능할 정도... 그래도 성능이 크게 나쁘지는 않아서 IIR 탐색기에다 TVC, 파편탄두랑 근접신관까지 달려있다. 다만 사거리가 25km 정도라 9X보단 10km가량 짧다. F-35에도 인티될 예정이었던 SOM-J 공대지 순항미사일도 SOM-B1/B2/C1/C2/J형까지 싹다 장착 가능하다고 한다. 길이 3.5m에 폭 2.6m, 탄두무게 230kg 정도로 AGM-84H/K같은 물건에 비하면 크기가 작은 편이다. 덕분에 무게가 600kg 정도라 F-16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F-35의 내부무장창에도 들어가지만... 사거리가 250~275km 수준으로 짧다. 최신형(2006년~개발중)순항미사일인 만큼 레이더 기반 지형 참조 항법 시스템(TRAN)과 발사후 표적 변경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링크가 장착되어 있고 적이 설치한 디코이들을 걸러내도록 프로그래밍되었다. B1/C1은 일반적인 통산탄두를, B2/C2는 벙커나 활주로 파괴용 이중탄두를 장착한 버전이며 J형은 대함공격용으로 개발중이다. 초기형인 A형을 제외하고는 모든 SOM 미사일이 GPS/INS+열화상 유도방식을 채택했다. (A형은 GPS/INS만 사용한다) 최대속도는 마하 0.94(1153.8km/h)정도 로켓산에서 개발한 Çakır 순항미사일도 인티될 예정이다. 터키 이새끼들은 모둘화를 정말 사랑하는듯 한데, SOM부터 Çakır까지 파생형을 좆같이 많이 만들어놨다. Çakır-CR/AS/LIR/SW등의 파생형이 있고 CR은 순항미사일, AS는 대함미사일, LIR은 전자전용 디코이/재머, SW는 군집드론 버전이다. 신기한게 같은 Çakır-CR이라도 시커교체가 가능해서 IIR/RF/IIR+RF로 유도방식을 변경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미사일 자체는 길이 3.3~4.1m(부스터 장착 여부) 폭 2.7~m, 무게 275kg, 탄두중량 70kg, 순항속도 마하 0.85에다 사거리는 150+km 정도로 SOM보다 한체급 아래인 물건이다. 이밖에도 KUZGUN-SS/KY/TJ/ER/EW 공대지/공대함미사일 시리즈도 내부무장창에 탑재가 가능하다. 이들은 모두 자체중량 80~85kg 정도의 미사일로, 대충 헬파이어보다 크고 매버릭보다 작은 사이즈다. 당연히 사거리도 터보제트엔진을 사용하고 전투기에서 발사하는 KUZGUN-TJ를 제외하면 15~40km 정도로 짧은 편이다. 현재 배치된건 KUZGUN-SS/KY/TJ밖에 없고 ER(공대함)과 EW(전자전 디코이)파생형은 개발중이다 KUZGUN-SS: 무게 85kg에 사거리 40km/탄두중량 28kg 정도 유도방식에 따라(레이저/적외선(IIR)/RF)시커 교체가 가능하다. KUZGUN-KY: 80kg에 사거리 30km/탄두중량 15kg 정도, 레이저/영상탐색기를 사용하여 유도한다. KUZGUN-TJ: 85kg에 사거리 150km/탄두중량 18kg 정도, 터보제트엔진과 날개를 탑재하여 사거리를 늘렸다. AGM-88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AKBABA(아크바바) 대레이더 미사일도 장착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기밀이라 안나오는데 아무래도 최신형 HARM보단 성능이 딸리지 싶다. 그리고 향후 6+세대를 목표로 잡았던 만큼, 무인기를 운용하는 MUM-T 능력도 갖추고 있다. ANKA III UCAV와 Super Şimşek 순항미사일이 KAAN의 지휘 하에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임무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중인 자율 윙맨 개념도(Otonom Kol Uçucusu, OKU) 프로젝트가 바로 그 결과물이다. Super Şimşek의 경우, Şimşek(번개)시리즈 순항미사일을 기반으로 하여 크기를 키우고 스텔스 설계를 적용한 물건으로 모선 UAV에서 발사되도록 설계되었다. 특이한 점이라면..... 단순한 순항미사일로 사용되는것이 아니라 재밍, 미사일 디코이, 공대지미사일 등으로 쓰이며 다양한 상황에서 활약가능한 범용 무기체계로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ANKA III의 경우, TAI가 개발한 대형 UCAV로써, MTOW 6.5톤에 전장 18m, 전폭 8m로 F-16과 맞먹는 크기를 가졌다. 다만 순항속도 460km/h에 최고속도 830km/h, 페이로드는 1.3톤 정도라 F-16과 맞먹는건 크기밖에 없다. 그래도 내부무장창과 스텔스 설계를 적용했고, 앞서 설명한 Super Şimşek도 운용이 가능하다. 이쯤되면 생기는 하나의 궁금증, 터키가 이걸 진짜로 개발할 수 있을까? 다음편에서 계속....
작성자 : 우희힝고정닉
싱글벙글 창씨개명 당시.....개드립 모음.....JPG
다들 알다시피 창씨개명은조선인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갈아치우는 정책이였다 이때 인생걸고 개드립을 친 조선인들을 알아보자'이누쿠소 쿠라에' (犬糞食衛, 견분식위)문인 김문집이 바꾼 이름"개똥이나 처먹어라"라는 의미이며 퇴짜맞고 옥살이를 했다 '이누코 쿠마소' (犬子熊孫, 견자웅손)단군의 자손이 개자식이 되었다는 의미다 역시 퇴짜를 맞았다.'전농병하' (田農炳夏)'전병하(田炳夏)'라는 이름을 가진 한 농부는자신의 이름에 농(農)을 붙여서 신고하였다.이를 일본어로 읽으면 덴노헤이카(天皇陛下)....덕분에 경찰서로 끌려갔다.'미치노미야 히로히토' (迪宮裕仁, 미친놈이야 히로히토)한 고등학생이 이걸로 개명하겠다고 우기다가역시 경찰서에 끌려갔다.'덴노조쿠 미나고로시로' (天皇族 皆殺郞, 천황족개살랑)천황 왕족을 모조리 몰살하자는 단어에, 일본 이름에 자주 붙는 郞(로)를 붙인 것이다즉, 일본 왕족을 다 죽이는 남자라는 뜻...ㄷㄷ조선총독부로 이걸로 개명해도 괜찮냐는 편지를 보내 어그로를 끌었다고 한다 '쇼와 보타로' (昭和 亡太郞, 소화망태랑)"쇼와 천황 망해라"라는 단어에, 장남에게 붙이는 太郞(타로)를 붙였다. 또 조선총독부에 괜찮냐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미나미 타로' (南太郞)조선총독부 제 7대 총독인 '미나미 지로'(南次郞)에게서 본딴 이름이다 次郞(지로)는 둘째에게 붙이는 이름인데, '내가 양반보다 형이다'라는 의미로 太郎(타로)를 붙였다고 한다 물론 퇴짜 맞았다'구로다 규이치' (玄田牛一)일제시대 유명한 조선인 만담가 '신불출'이 지은 이름이다畜生을 파자한 것으로, 세로로 써서 읽으면 畜生(칙쇼)가 된다 역시 퇴짜 맞았다.이는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도 개그소재로 언급된다 '강원야원' (江原野原)'구로다 규이치'가 퇴짜 맞은 후에 신불출이 지은 2번째 이름이다일본식으로 읽으면 '에하라 노하라'고 한국 추임새인 '에헤라 놓아라'와 발음이 비슷하게 만든 것이며이는 "에이 될대로 돼라"는 자포자기의 뜻이였다참고로 조선이름인 불출(不出)자체도 "일본세상이였으면 태어나지 말걸 그랬다"는 뜻을 담았다고 한다 '가나다' (加那多)시인 이영철이 지은 이름이며일부러 한국어의 '가나다' 어순을 내포하여 지었다고 한다'도요토미' (豊臣)'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잊지 말자는 의미로 지었다고 한다정황상 가문의 조상이 임진왜란 시절 왜군에게 맞서 싸운 장수였던 것으로 보인다.일본은 이를 금지하진 않았으나, '도쿠가와' 만큼은 못 쓰게 했다 '마을 이름 통일'한 마을 전체가 짜고 주민 전원이 같은 성 + 이름으로 통일해 버리는 사례도 있었다.이러면 조선총독부 입장에서는 세금 징수나 행정 절차상 귀찮은 일이 많아지므로 일부러 의도한 것이다.하지만 일본 현지에서도 현재까지 시골 집성촌들이 수두룩한지라총독부가 딱히 뭐라 하지는 못했다 '이누노코 스즈토' (犬之子錫斗, 개자식석두)부산 동래부에 거주하던 50대 남성의 이름이며"조선에서는 성을 팔아먹으면 개새끼다"라는 말을 적어 신고서를 냈다경찰은 '히야마'(檜山)로 바꾸라고 했으나 계속 개기다가 조선총독부 모욕혐의로 징역 6개월을 살았다고 한다 '고고고고' (高高高高)'4번이나 높은 사람'이라는 뜻이며,창씨개명 하기 싫다는 티를 팍팍 낸 이름이였다 '엄이섭야' (嚴珥燮也)경상남도 양산군의 금융조합 직원 엄이섭(嚴珥燮)은자신의 엄이섭이란 이름 끝에 야(也)자만 붙여서 '엄이섭야'로 개명했는데이는 일본어로 "엄이섭이다"라는 뜻이였고, 모든 가족의 성이 '엄이'로 변하게 되었다 '청산백수' (靑山白水, 아오야마 시라미즈)짓기 귀찮아서 대충 지은 이름이다 '산천초목' (山川草木, 야마카와 구사키)마찬가지로 대충 지은 이름이다.'잇쇼겐메이 하야시겐메이' (一生懸命 林憲命)'림헌명'(林憲命)이라는 조선인이 지은 이름이다림헌명을 일본식으로 읽으면 '하야시 겐메이'가 되는데,여기에 "열심히 일한다"는 일본어인 '잇쇼겐메이'가 발음이 비슷해 성으로 정했다고 한다 실제로 동창에 의하면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한다 '카나우미 친포'김진표(金鎭杓)라는 조선학생이 지은 이름이다'친포'는 일본어로 꼬추를 뜻하는 속어였다... 당시 담임이였던 요코다니 선생은 "센징 이름은 왜 이렇냐"며 한탄했다고 한다 '텐노 헤이카' (田農丙下)한자만 보면 평범한데발음이 '천황 폐하'랑 똑같았다....당연히 퇴짜 맞았다'와카마츠 히토' (若松仁)겉보기엔 아무 문제 없는 이름이지만일본 황가인 와카마츠노미야(若松宮)와천황 이름에 흔히 붙는 글자인 히토(仁)를 합쳤다교묘하게 왕족의 이름을 쓴 것...창씨개명 한정으로 히로히토가 동네북이 됐다...당시 조선인들은 성씨, 가문, 족보를 굉장히 귀중히 여겼으나어쩔수 없이 80%는 창씨개명을 했으며일본식 이름을 쓰며, 일본어를 쓰면서 살았다고 한다... 짤은 1983년 이산가족 상봉 방송....출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