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분담금·이주비 등 증가에 고령 조합원 둥지내몰림 심각"

ㅇㅇ(175.223) 2024.05.21 17:50:29
조회 121 추천 0 댓글 1

최근 공사비 급등과 주택시장 침체 등으로 인해 전국 곳곳의 정비사업장에서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금리가 올라 고령 조합원이 재건축·재개발이 완료된 집에서 살지 못하고 이를 처분하는 일도 빈번해졌다.

이 같이 고령자 주거안정이 위협받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비사업형 주택연금' 상품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내 집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는 정비사업형 주택연금 도입(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현 정부 출범 뒤 정비사업에서 제도적·정책적 걸림돌은 상당히 줄어들었으나 공사비가 크게 오르며 사업성 저하가 크게 대두됐다는 분석이다. 대부분의 현장에서 사업 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사업성 저하는 조합원 분담금 상승으로, 이는 다시 사업진행 차질과 조합원 주거안정성 저하로 이어지는 구조다. 분담금 급등으로 인한 부담은 미래 기대소득이 적은 고령자층에게 더 크게 전가된 상황이다.

현금자산이 부족한 조합원들은 통상 입주 시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분담금 대출과 이주비 대출의 원리금을 상환한다. 이 경우 고금리 환경 속에서 소득이 적은 고령 조합원은 원리금 상환 부담을 지게 된다.

최근 바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 적용으로 소득이 적은 고령 조합원은 분담금 대출 등의 상환을 위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데도 상당한 제약이 생길 수 있다.

당초 추정보다 분담금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고령 조합원 다수가 자금마련 부담으로 완공된 주택에 거주하지 못하고 임대 또는 처분해야 할 것이란 전망이다.

정비사업 적용에 한계 보이는 주택연금… 개선 절실

현재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운영 중인 주택연금 상품에서도 관리처분계획인가 전 단계와 이전고시·소유권보전등기가 완료된 이후(준공 후 통상 1년 내외 소요)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하다. 이 상품은 아래와 같은 한계와 가입자 측면에서의 불이익을 지닌다.

관리처분계획인가 전 단계에 가입하는 경우 개발이익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이주비와 분담금 대출·조달에 제약이 생긴다. 현행 주택연금은 정비사업 결과 새롭게 분양받은 주택의 가치를 재평가하지 않고 기존 담보가치에 분담금을 단순 합산해 담보가치를 재산정한 뒤 월 지급금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 같이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고 추진하는 정비사업을 통해 실현되는 개발이익은 충분히 인정받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HF가 담보 주택에 선순위 근저당을 설정하고 있기에 주택연금에 가입한 조합원은 이주비 대출을 받는 데 제약이 있다. 이주비 조달을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가 특례 전세보증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한도가 3억원으로 제한된다.

분담금 조달에도 한계를 보인다. 현재 정비사업에서 조합원은 분담금의 70% 한도로 대출되는 조합원부담금 대출상품을 통해 분담금 중도금까지 조달이 가능하다. 잔금은 입주 시 주택담보대출을 일으켜 납부하는 구조다.

이주비 대출과 유사한 제약으로 주택연금 가입자는 해당 대출상품 이용이 어렵다. 주택연금 가입자는 공사가 정한 용도에 적합할 경우 인출한도 내에서 일시금을 인출할 수 있는 제도가 있긴 하지만 원칙적으로 분담금 목적으로 인출은 제한되므로 생활자금 목적 등 '우회적' 방식으로 인출해 납부해야 한다.

이때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 대비 인출 한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분담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조합원들이 실현된 개발이익을 인정받고 사업 과정에서 이주비와 분담금 대출을 원활하게 받기 위해서는 새롭게 지어지는 주택이 완성된 후 주택연금에 가입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현행 주택연금에선 분담금 대출 등의 상환 시점과 주택연금 가입가능 시점 간의 괴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 분담금 대출 등은 입주 시에 상환해야 하지만 주택연금은 이전고시 및 등기완료 후에 가입이 가능해 1년가량의 시차가 발생한다. 입주 시 주택연금의 개별 인출금을 활용해 분담금 등을 상환할 수 없는 구조다.

소송 등으로 인해 이전고시가 오랜 기간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되면 조합원은 해당 기간 동안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분담금 대출 등을 우선 상환해야 한다.

원리금 상환 부담과 DSR 적용으로 충분한 금액을 대출받기 어려울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지 3년 이내에 주택연금에 가입하고 기존 주택담보대출을 상환한다면 차주는 (대개) 중도상환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는 맹점도 있다.

현행 주택연금은 공시가격 기준 12억원까지만 가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이 소요되는 정비사업에선 사업 도중 준공 후 주택가격을 예측하기 어렵다.

주택연금을 활용, 분담금 등을 납부하려고 계획했던 조합원은 주택연금 가입 가능 시점(이전고시등기완료 후)에 주택가격이 상승해 가입이 힘들어질 수 있는 위험도 공존한다.

건산연은 정비사업의 적용에 있어 현 주택연금의 미흡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주택완공 후 실현되는 개발이익을 담보주택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구조 도입 🔼이주비·분담금 조달 관련 문제 개선 🔼개별인출금 사용 용도에 분담금 등 포함 🔼분담금 대출 등 상환 시점과 주택연금 가입 및 개별인출 가능 시점 간의 불일치 해소 🔼사업 과정에서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주택연금 가입 자격 불확실성 제거 등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했다.

정비사업만을 위한 새 주택연금 나와야

사업성 저하로 인한 정비사업 차질과 특히 고령 조합원의 주거안정 저하 문제를 함께 개선할 수 있는 수단으로 두 가지 모델의 새로운 '정비사업형 주택연금' 상품 도입도 제안했다.

이태희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공사비와 금리, 주택시장 상황이 과거와 같은 환경으로 돌아가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최근 재정비사업이 역점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1시 신도시를 포함해 정비사업지 내 고령 조합원 비율이 높다"며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원활한 정비사업비 조달과 고령자 주거안정 제고 방안의 모색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첫 번째는 '주택완공 후 신규가입형'이다. 분담금 용도로 개별인출이 불가능하고 분담금 대출 등 상환 시점과 주택연금 가입·개별인출 가능 시점 간의 불일치, 사업 과정에서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주택연금 가입 자격이 불확실한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기존가입형'이다. 담보주택 가치에 주택완공 후 실현되는 개발이익을 미반영하고 이주비와 분담금 조달 어려움, 분담금 용도로 개별인출이 불가능한 단점을 개선한 상품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현행 주택연금에서는 원칙적으로 가입 후 동일주택에 대한 담보가치 재평가를 허용하지 않고 있지만 정비사업의 특수성과 공익적 효과를 고려한다면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며 "정비사업은 주거환경 개선과 자산가치 상승을 목적으로 비용을 들이고 위험을 감수하며 새로운 주택단지와 기반시설 조성 노력을 통해 가치가 향상된다는 특수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비사업에 적합한 주택연금이 도입된다면 고령 조합원들이 분담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어 동의율을 높일 수 있고 분쟁을 줄여 신속·원활한 정비사업 추진 및 주택공급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비사업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 '고령 조합원 둥지내몰림'을 방지해 고령자 주거 안정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공지 부동산 갤러리 이용 안내 [310] 운영자 05.05.27 453633 915
7238932 인생에서 제일 잘못한 건 아팟 산 거 같다 부갤러(182.221) 21:39 1 0
7238931 아이큐 60 저년은 대가리만 빈게아니라 ㅇㅇ(175.203) 21:38 5 4
7238930 내가 요즈음 존경하는사람=애낳은 사람들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8 7 0
7238929 애있어야만 결혼유지된다는거 가스라이팅임 [3]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7 18 0
7238928 으휴 저 아이큐 60 저능아년 꼴에 대꾸는잘해요 ㅇㅇ(175.203) 21:36 42 0
7238926 내 이름은 지연 [2] 폭락이(218.94) 21:35 19 0
7238925 국가를 평가할때 1순위로 중요한건 뭐냐? [1] ㅇㅇ(218.54) 21:35 5 0
7238924 돌싱글즈 혜경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부갤러(112.153) 21:35 10 0
7238923 내가 남자면 부갤왕이었지 [4]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4 20 1
7238920 부갤러 현피 예상 [2] Kir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3 51 4
7238919 아파트 계약한사람이 입주포기하고 계약금 뱉으면 그만큼싸짐? [7] 부갤러(194.180) 21:32 20 0
7238918 천안 호수공원에 설치된 노란 거대 오리.jpg [2] 부갤러(39.7) 21:32 33 0
7238917 ???: 어이 김씨! 캥거루고 나발이고 일이나해 [4] ㅁㅁ(125.130) 21:31 21 0
7238916 백정새끼들은 원래 병신들 사기꾼들 밖에 없어 ㅇㅇ(14.32) 21:31 10 0
7238915 객관적으로 국가를 평가할때 1순위로 중요한건 뭐냐? [2] ㅇㅇ(218.54) 21:30 18 0
7238914 그래도 니네가 만나본 여자중 부갤녀가 젤 낫제? [6]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9 46 0
7238913 "공짜 점심은 없다" 1991년 일본 경제가 처참히 꺼지다 [2]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9 39 1
7238912 혹시 통신비 비싸게 쓰는 놈들 있으면 봐라 [1] 부갤러(58.29) 21:29 32 2
7238910 나도 골프장 한번 가보고싶다 어떤지 ㅇㅇ(218.50) 21:28 9 0
7238909 객관적으로 국가를 평가할때 1순위로 중요한건 뭐냐? [1] ㅇㅇ(218.54) 21:28 8 0
7238908 해쏴리 언니 나 이번에 자격시험 어떨거가태? [6]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8 42 1
7238906 경상도와 대청세 그리고 강원도 [2] ㅇㅇ(175.211) 21:28 20 0
7238905 그거는 문재앙이 한테 물어봐야지 ㅇㅇ [4] ㅇㅇ(211.36) 21:28 18 0
7238904 백정 씨벌년들아 너그들이 데려온 애들 병신이더라 [1] ㅇㅇ(14.32) 21:27 13 0
7238903 더워서 자리 옮겼다 [4] 폭락이(218.94) 21:27 26 0
7238902 난 내 할매젖을 사랑하기로 했어 [6] 마릴린녹즙(106.101) 21:27 60 4
7238901 부실공사 둔주 오피 관심도없는데 왤케 글써대냐 [1] ㅇㅇ(14.6) 21:27 13 0
7238900 철순이가 안와골절 전문이던데 이번에도 여자 팼더라 ㅡㅡ [3] ㅇㅇ(211.234) 21:27 25 0
7238899 둠촌주공 말고 , 아가리 풍둔촌 합시다 [1] ㅇㅇ(202.86) 21:26 15 0
7238898 sns 하는년들은 입만 열면 거짓말이네 ㅇㅇ(1.238) 21:26 33 3
7238896 지금 보는 아파트 국평 2층 동향이 60m² 남향 고층보다 싼데 부갤러(211.234) 21:25 19 0
7238895 오눌안에 출발할려나... 폭락이(218.94) 21:25 14 0
7238893 탈달러시대 ㅇㅇ(223.62) 21:25 31 0
7238892 성북구 길음역 근처는 장단점이 너무 명확한듯 ㅇㅇ(223.62) 21:24 24 0
7238891 앞으로 사건을 조작질 한 개검새끼들 죽창으로 구멍을 내자. ㅇㅇ(49.173) 21:23 22 0
7238890 영끌아 좀 쳐맞자 일루와봐 부갤러(106.101) 21:23 21 0
7238889 나도 식단 안하는데도 개인카드로 월 100나오는일은 없다 [1] 내글(223.38) 21:23 26 1
7238888 30개국 넘게가봤는데 이탈리아에서 기억에 남는건 [1] 부갤러(118.235) 21:23 27 0
7238887 아가리 풍둔촌 [4] ㅇㅇ(202.175) 21:23 36 0
7238886 경기침체인데 뭐 어쩌라고ㅋㅋㅋ ㅇㅇ(211.234) 21:22 16 0
7238885 녹즙이도 뭔가 정서적으로 정상범주는 아닌 거 같기도 함 [4] ㅇㅇ(211.234) 21:22 35 1
7238884 사람이란게 망해보면 주위사람들 알수있제. 부갤러(27.35) 21:22 18 0
7238882 녹즙좌가 맨날 브라자 차고 사진 올리는걸 이해못하겠음 ㅇㅇ(112.161) 21:21 25 1
7238881 남현동거기 유튭본거같음 모아타운아님? 선택장애(118.235) 21:21 15 0
7238880 객관적으로 국가를 평가할때 1순위로 중요한건 뭐냐? ㅇㅇ(218.54) 21:21 13 0
7238879 전세계 지도자중 [4] ㅇㅇ(223.62) 21:20 26 0
7238878 혼자사는데 백만원 이상 쓸 이유가 없더라 [6] 반지하제왕(219.254) 21:20 40 2
7238877 너한테 캥거루라고 부르면 안빡치냐? 부갤러(106.102) 21:20 19 0
7238876 남현동 예술인의마을 30년전엔 부자동네였는데 ㅇㅇ(211.234) 21:19 2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