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펌]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관련 Q&A.txt모바일에서 작성

바이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4 08:05:59
조회 297 추천 2 댓글 2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계획 발표(2024.5.22) 관련 브리핑 Q&A 정리 (by 크롸상)


Q1. 본 브리핑에서 발표한 물량은 2030년 입주인데 통상적인 정비사업은 10년이상 걸림. 발표자료대로 5년 안에 실현 가능하다고 보는지? 그 이유는?

A1. 정비사업은 추진위부터 조합설립 및 안전평가 등 절차가 많이 걸려서 오래 걸림. 그러나 특별법을 통해 사전 절차를 대폭 단축시켰기 때문에 2027년 첫 번째 착공이 이뤄지면 물리적인 건축 공사를 3년 내에 마무리해서 2030년까지 입주 가능하다고 생각함.

그러나 그러기 위해선 굉장히 발빠르게 움직여야 하고, 주민들이 의견을 모아 신청하고 진행해야 함.



Q2. 정말 2027년부터 착공이 이뤄진다면 전세공급이 부족할텐데 정비사업 추진시기 분산에 대해 자세한 설명 부탁드림

A2. 이주 상황은 지역마다 다르고 물리적으로 이사를 갈 수 있는 위치(생활권)도 다름. 이 부분은 지자체와 함께 면밀하게 보겠음.
신규공급이 충분하다면 그쪽으로 가시도록 유도하고, 그렇지않으면 소규모 신규개발을 사전에 준비해서 이주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음



Q3. 1기 신도시 용적률 완화를 해주더라도 공사비 상승이나 분담금 수준이 부담될 걸로 보임. 사업성 관련 우려가 큰데 의견 부탁드림

A3. 국토부도 이를 예상해서, 미래도시 펀드를 조성해서 필요한 자금을 용이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했음.
또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본계획을 수립해 나가면서 이런 계획들을 풀어나갈 계획임



Q4. 통합정비를 하면 가점을 많이 받게 되어있는데 통합정비를 하면 상가들이 포함되고 쪼개기 상가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임. 이에 대한 대안은?

A4. (잘 준비해서 대응하겠다는 취지 답변)

[성남시 추가 보충답변] 성남시의 경우, 시 조례로 이미 대응하고 있다는 취지의 답변.



Q5. 이주대책은 면밀하게 보겠다 수준이 아니고 구체적으로 나와야 할 것으로 보임.
또한 지금도 전셋값이 많이 오르고 있는데 불안을 피할 수 없어보임

A5. 이주대책을 지금 대략적으로 말씀드리는 이유는 지역별로 공급상황이 다르기 때문임.
천편일률적인 정책적용이 안되므로 기본계획을 수립할때 지자체별로 추진할 계획이 담길 것임.

원칙은 생활권 내에 이루어지는 주택 수급 동향을 볼 것이고. 1기신도시 및 연접지역 인허가 물량이 27만호임.
착공도 그 비슷한 수준으로 24만호가 착공됨. 이를 보고 충분히 수용가능한지 어떠한지를 판단할 것임

[성남시장 추가 보충답변] 아파트를 신축해서 재입주 하는 사람은 약 20% 내외임. 그 세입자들은 인근도시로 가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주문제가 많이 생기고 있음. 이러한 이주대책을 면밀하게 만들어주시길 요청 드림.



Q6. 이주대책 관련 고민이 많을 걸로 보임. 국토부에서는 모듈러 단지부터 이주단지 계획 등 여러 검토를 수행하신바 있는데,
그러면 이주단지는 어떤 계획인지? 특히 금일 발표자료로는 분당이 8천호로 가장 규모가 크고 이에대한 이주대책이 급해보이는데 자세한 설명 부탁드림

A6. 지역 생활권에 연결된 주택수급 전망을 면밀하게 볼 계획임.
공급이 모자라다면 신규로 인허가를 촉진하거나 필요하다면 소규모 신규 개발도 추진하는 등 종합적으로 추진하겠음.

오늘 발표의 요지는 선도지구 선정 개수와 선정 기준이었음. 이주 대책은 조금 기다려주시길 바람.



Q7. 발표자료상 추가 물량은 계획물량의 50%라고 되어있음. 그럼 분당을 예로 들면 약 1만 2천세대라고 보면 되는건지?

A7. 8,000세대+α 해서 최대 1만 2,000세대가 되는 것이 맞DMA



Q8. 성남같은 경우 일부 단지는 이미 동의를 받았는데 기존 입주민 동의서를 그대로 인정받는지? 아니면 새로 받아야 하는 지?

A8. 주민 동의는 시행규칙에 동의 양식이 별도로 있음. 기존에 임의로 받은건 법적 효력 인정이 어려우므로 새로운 양식으로 징구해야 함



Q9. 연도별 선정 물량이 나오는데 예를 들어서 2025년 선정되는 거는 계획상 입주를 2031년으로, 그러니까 1년씩 더 뒤로 보면 되는 건지?

A9. 계획적으로는 순서가 되면 그렇게 될 수 있겠지만 실제 사업여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임



Q10. 선도지구 평가기준 보면 주민동의가 절대적으로 중요한걸로 보임. 특히 통합정비 하게되면 동의를 받아야하는 주민도 확대됨.
사실 1개 단지에서도 주민간 갈등이 많은데 이렇게 커지면 주민갈등이 커질 우려가 있는데 이에대한 의견은?

A10. 선정기준은 객관적으로 가져가고자 했음. 또한 객관적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게 주민동의율임.
올해 동의율 확보가 안되더라도 내년에 재도전 할 수 있다고 보이고, 모든게 갈등이라고 생각하진 않음.
서로 컨센서스를 이루어 나가면서 작은 민주주의가 발생할 것임. 이를 지원하고자 5년 전부터 국토부는 지원해오고 있음.
그 과정이 비대위 등으로 번지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음



Q11. 순공급 물량은 어느정도나 되는지?

A11. 순공급은 지자체가 기본계획에서 밀도계획이 나와야 확정되겠으나, 대략적으로 30%가 조금 넘는 숫자로 전망됨
30%는 보수적으로 본 숫자임. 왜냐면 평형을 더 줄여서 아마 신청들을 할 것 같고, 용적률도 또 최대한 많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봄
특히 과거 1기신도시는 과거보다  작은 평형으로 해도 실면적이 더 많이 나오니 호수도 늘어날걸로 생각됨
이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의중을 묻고 추진할텐데 제가 볼때는 더 많은 순증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임



Q12. 지자체의 재정여건을 고려할때 이주대책 수립이 쉽지않아 보이는데 지자체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주대책을 기초지자체에 의무를 돌린 것에 대해서 어떻게 받아들이고 계신지 의견 부탁드림.

A12.
[성남시장] 이주계획은 지자체에서 수립할 수 있겠지만 성남이나 분당은 대부분 부지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있음.
성남시가 LH하고 작년부터 계속 검토했지만 국토부가 개발제한구역 해지/완화해주지 않으면 어려운게 현실적인 상황임.
그 부분에 대해 국토부에서 많은 협조가 있으리라 생각하며, 간담회에서도 많은 부탁을 드림

[안양시장] 지자체장으로서 할 수 있는 역할과 권한이 제약적이고 한계가 있음.
안양시는 노후계획도시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여러 정비사업을 추진 중인 상황임.
이런 상황으로 이주대책 수립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토부나 LH에서 적극적인 관심 및 지원방안이 필요함
지자체 노력만으로는 어려움이 있음. 많은 방법과 제도적 지원 부탁드림

[국토부장관] 이주대책을 제가 국토부 장관으로서 단체장들한테 떠넘긴 적이 없음.
지방 자치단체장들과 함께 나와서 브리핑하듯 같이 노력해서 이주대책을 만드는 것임
그리고 사실은 도시계획의 기본 패는 지자체가 잡고 있는 것이고, 국토부가 지원해주는 것임.
행정적인 지원이나 노력은 당연히 해야 할 것이고, 이주대책 문제는 지자체장과 원팀으로 긴밀히 협조해서 대응해나가겠음.

[고양시장] 고양시는 앞선 지자체와 성격이 다름. 고양시는 현재에도 주택공급 물량이 매우 많은 상황임
행복주택도 완공 단계로 1만 2,500세대가 진행되고있고. 3기 신도시로 창릉신도시가 개발되는 상황이며 택지개발도 수차례 진행 중인 상황임.
그래서 고양시는 크게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임

[군포시장] 산본은 원도심하고 혼재되어 있음. 이주단지 조성도 국토부와 LH와 협조해서 진행되고있는데,
군포시의 경우 영구 임대아파트가 일반아파트와 한 지번안에 있는 경우들이 있음.
그렇기때문에 군포시는 방향을 잡으면 타 지역과 상황이 다를걸로 보임.

[LH사장] 앞선 설명처럼 도시별로 이주단지 필요성 유무가 차이가 큼. 고양시는 일산신도시, 창릉신도시, 장항지구 등이 있어 문제가 없음
문제가 있는 지역은 성남시를 비롯해서 산본·군포... 중동·평촌 이런 지역들인데 LH에서 중소규모 택지개발 사업과 3기 신도시를 많이 하고 있음.
예를 들어 평촌쪽은 과천지구하고 지식정보타운에 주택공급 하고 있고 중소규모 택지사업이 굉장히 많이 일어나고 있음.
그리고 3기 신도시도 의왕·군포·안산에 신도시도 만들고 있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1기신도시 재정비 시기와 맞춰서 주택 공급 규모를 조정할 것임
또한 민간 자체개발 사업과 GH통해서 개발하는 것도 있으니 이런 것들의 공급시기를 조정해 나가겠음

[부천시장] 부천시는 관내에 크게 네 군데에서 개발이 이뤄지고 있음. 역곡지구, 괴안지구, 원종지구 그리고 대장지구로
이미 주택 공급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다른 시보다는 덜 문제가 됨



Q13. 표준평가기준 보면 주민 동의율이 95% 이상이어야 만점이고 주택단지에서도 4개 단지 이상, 3,000세대 이상이어야 만점인데,
세부 기준은 지자체가 바꿀 수 있다고 되어있음. 그러면 각 지자체별로 95%가 만점으로 되어있는 이 배점기준을 변경할 수 있는건지?
또한 신도시별로 예상 범위, 선정 규모 예상 범위를 정해주셨는데 선도지구로 아예, 여건이 되지 않으면 아예 선정하지 않을 경우도 존재할 수 있는지?

A13. 오늘 발표한 건 전체적인 기준으로, 각 지자체에서 지역 의견에 따라 재량을 발휘할 수 있음.
하지만 별로 그러지 않으실 것 같고 이대로 가실 것 같다고 생각됨
선도지구는 주민이 바라지 않는 지구를 억지로 정부가, 지자체가 정해서 하지는 않을 것임.
주민들이 적어도 50% 이상을 희망하고 할 때 지정이 되는 것이고. 그래서 국토부가 최소를 50%로 한 것임.
적어도 절반 이상의 주민들이 원할 때 지정해줄 거고, 경합이 있을 때는 동의율이 높은 데를 우선적으로 해주겠다는 취지임

과천이라는 도시가 10년간 재건축 프로세스를 진행해 나간걸 보시면, 앞의 단지가 준공되면 다음단지가 인허가나는 식으로 추진했음.
그러면 준공되는 물량이 순증되면서 주민이 돌아와 사는게 아니고 절반 이상이 전세물량으로 나옴.
그래서 앞에 나간 선수들이 나중에 이주대책 공급으로 작용하기때문에 지자체도 다 경험이 있고. 잘 관리해 나가면 된다고 봄.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공지 부동산 갤러리 이용 안내 [310] 운영자 05.05.27 454080 916
7258131 횽이 늘 말했죠 인구가 줄어들 일도 없지만 집값은 인구와 무관하다니까욬ㅋ Sto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 0
7258130 폭락이 씹창새끼들이 죽어야만 하는 이유 부갤러(119.192) 03:27 2 0
7258129 내가 화장실을 쓰는걸 보면 내 자체가 드러움 .근데 저걸 남에게 [2] ㅇㅇ(24.144) 03:25 12 0
7258128 인구는 결국 감소로 갈확률이 높다그럼 [1] ㅇㅇ(39.7) 03:25 15 0
7258126 그리고 한국정부는 이슬람만 안받는 게 아님 부갤러(58.29) 03:23 7 0
7258122 반대로 좃센 보르노마냥 갑자기 다정하게 대한다면 ㅇㅇ(24.144) 03:22 15 0
7258120 난 강원도에 내 집 갖고 사는 거 좀 로망이어서 강원도 채널 보는데 ㅇㅇ(223.39) 03:21 17 0
7258118 유튜브 부동산 채널에 올라오는 집 구경하는 애들 없음? ㅇㅇ(223.39) 03:18 18 0
7258117 그냥 여혐 남혐해 못생긴 거지창녀새끼들아 [1] ㅇㅇ(116.127) 03:13 23 0
7258116 난 음치인여자가 제일 싫다 부갤러(39.121) 03:12 19 0
7258115 니가 알아서 관리를 하라 이거임 .불만 전혀 없음 ㅇㅇ(24.144) 03:11 36 0
7258114 인구통계 검색이나 해봤으면 저런 소리 못하는데 [5] 부갤러(58.29) 03:11 31 0
7258113 장보기,청소,빨래하기,쳐먹고,쓰레기버리기 [2] ㅇㅇ(116.127) 03:10 22 0
7258112 미국인 남편이 오버타임 일하는거 미안하다 말할때 ㅇㅇ(24.144) 03:08 38 0
7258110 난 남자가 성실했음 좋겠다 늘 생각 한 ㅇㅇ(24.144) 03:07 28 0
7258109 이재용 딸 이원주랑 어? 결혼 어? 처허시는디? 어? ㅇㅇ ㅇㅇ(119.69) 03:05 20 0
7258106 내가 니들 싫어하는데 이유 필요하냐? ㅇㅇ(116.127) 03:03 20 0
7258105 한국의 외국인 정책은 니들 생각보다 잘 되고 있음 부갤러(58.29) 03:03 24 0
7258104 노무현이 죽인 사람 [1] 카카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32 1
7258103 43살에 빌라 2억 전세살면 인생 망한거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33 0
7258101 No money yes jasal ㅇㅇ(116.127) 03:01 19 0
7258099 환율 쓰레기로 금리인상 해라 ㅋㅋ 국민연금 스와프 죽는다 부갤러(118.106) 03:00 28 0
7258097 MB견들은 모르는 부동산 상식 집값전이효과...jpg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0 38 1
7258093 남조선 평균수명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1위가 됐죸ㅋㅋ 퇴직연령은 50댘ㅋㅋ [9] Sto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9 62 0
7258090 멸치일수록 운동안해도 건강하다는게 밝혀짐 [1] ㅇㅇ(39.7) 02:46 70 0
7258088 올해 안에 금리 내리긴 글렀다 [2] 부갤러(58.29) 02:44 32 0
7258085 Gta에서 npc년들 죽이는 것 재밌지 ㅇㅇ(116.127) 02:37 22 0
7258084 근데 풍수가나 점쟁이들은 부갤러(223.39) 02:37 35 0
7258083 알중들 50대 넘으면 부갤러(223.39) 02:35 33 1
7258082 우리는 npc이다 ㅇㅇ(116.127) 02:35 26 0
7258081 지방 구축 아파트들은 상상초월로 싸네 [2] 부갤러(58.29) 02:33 44 0
7258080 부산은 외부에서 보기엔 좀 신기한 동네긴 하다. [1] ㅇㅇ(220.81) 02:33 36 0
7258079 망상장애환자 21년도에 엄마가 부갤러(223.39) 02:32 23 0
7258078 망상장애환자 예전에 소개팅을 오리집에서 부갤러(223.39) 02:28 24 0
7258077 씨벌 백정년들은 주기적으로 안패면 ㅇㅇ(210.105) 02:24 31 0
7258076 토박이들은 집 살 때 그 집 있던 위치가 예전에 뭐 였는지 유심히 보지. [3] ㅇㅇ(220.81) 02:23 49 0
7258075 개병신 좆같이 처생긴 딸배새끼 잘뒤졌노 ㅋㅋ [4] 폭락이 (125.242) 02:20 57 0
7258074 망상장애환자 예전에 식당서 미친놈봣다 부갤러(223.39) 02:19 26 0
7258073 사실 20퍼 떨어져도 살까말까함 심갤러(58.140) 02:19 25 0
7258069 대부분의 캥거루들이 잘모르는게 니 부모님노후자금의 대부분은 바로 그집이죸 [46] Sto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0 0
7258067 항국 의대생이 몰카찍고 논리실증주의(119.65) 02:14 20 0
7258065 마포구는 왜캐 이미지가 안좋음? [4] 부갤러(1.233) 02:12 71 0
7258063 부산은 해운대 우동이나 중동의 평지 아파트 사는게 최고? [1] ㅇㅇ(118.235) 02:09 34 0
7258061 집값 올라가는데 못사서 너무 아쉬워 ㅠㅠ [3] ㅇㅇ(121.170) 02:08 40 0
7258060 군사무기 최소 방어용 지원 가는 듯 [2] 야스이 센타치(212.102) 02:08 33 0
7258058 그래도 女軍 냄새 좋지 않냐 ㅆㅆ(223.38) 02:06 37 0
7258057 망상장애환자 잠도안오고 속도안좋고 부갤러(223.39) 02:06 22 0
7258056 헐 김정은 죽었네 ㅎㄷㄷㄷㄷ [1] ㅇㅇ(223.62) 02:06 94 0
7258055 집 안사준다는 거는 당연한 반응인데 ㅇㅇ(211.36) 02:05 2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