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무기 경쟁에서 뒤처진 미군 ①앱에서 작성

중갤러(106.101) 2024.05.17 11:12:28
조회 56 추천 0 댓글 0

흔히 미군 하면 최첨단 무기로 무장한 세계 최강의 군대를 떠올린다.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미군은 외계인이 쳐들어와도 싸워 이기고 지구를 지키는 천하무적으로 묘사된다. 게다가 전 세계 국방비의 절반 가까이 사용해 ‘천조국*’으로도 불리는 미국이니 그 어떤 나라도 대적할 수 없어야 당연할 것 같다.


*천조국은 원래 조선 시대에 사대부들이 명나라를 하늘로 떠받들던 것을 빗대어 한국이 미국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현상을 비꼬려고 사용한 은어였다. 그러나 지금은 주로 국방예산이 한 해 천조 원에 달하는 나라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미국의 군사력이 예전만 못하다는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최근 미국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본토를 대놓고 위협해도 유효한 군사적 대응을 하지 못하고,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슬리퍼 신고 다니는 탈레반 부대에 쫓겨 무려 9조 원에 달하는 무기를 두고 야반도주하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공격을 받는데도 무기만 지원하고 참전은 하지 않겠다고 선언해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미국의 군사력은 세계 질서의 중요한 변수다. 따라서 미국의 군사력이 실제 얼마나 약해졌는지 파악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군사력을 파악하려면 군인과 무기 수준은 물론 작전 능력, 정치적 안정성과 경제력, 동맹관계 등 다양한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 여기서는 무기에 집중해서 분석한다.


1. 북한과 첨단 무기 경쟁에서 밀린 미국


미 국무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북한의 군사비 지출액은 최대 110억 달러라고 한다. 이는 607억 달러인 한국의 18%, 7,300억 달러인 미국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이것만 놓고 보면 북한과 미국의 무기 수준은 비교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그런데 현실에서 미국은 북한과 첨단 무기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최근 세계 유수의 군사 강국들이 앞다퉈 개발에 몰두하는 극초음속 미사일 사례를 보자.


극초음속은 보통 음속의 5배, 즉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말한다. 일반적인 탄도미사일은 대부분 이 정도 속도로 날아간다. 심지어 단거리 탄도미사일도 마하 5의 속도를 내는 게 있다. 따라서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하면 단지 속도만 빠르다고 해당하는 게 아니다. 극초음속 미사일의 핵심은 비행 고도다. 탄도미사일의 약점은 높이 올라가다가 상대의 레이더에 일찍 걸린다는 점이다. 그래서 탄도미사일만큼 빠르면서도 저고도로 날아가 레이더에 최대한 늦게 걸리게 하려고 개발한 것이 극초음속 미사일이다.




▲ 회색 점선은 대륙간 탄도미사일 궤적, 파란색은 극초음속 활공체 궤적, 빨간색은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궤적이다. 회색 영역은 미사일을 감지하는 레이더의 탐지 범위를 나타내는데 탄도미사일에 비해 극초음속 미사일은 훨씬 늦게 레이더에 포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2019 Geopolitica Futures


또 저고도로 날아가니 정찰위성으로 감시해도 배경 산란 때문에 감지가 어렵다. 거기다 방향 조절이 가능해 요격 회피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


이처럼 극초음속 미사일이 ‘방패’를 뚫을 수 있는 강력한 ‘창’이다 보니 내로라하는 군사 강국들이 기술 개발 경쟁을 하고 있다. 여러 전문가는 극초음속 미사일이 미래 전쟁의 ‘게임체인저’가 되리라 전망한다.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보통 가장 먼저 개발하는 게 극초음속 활공체(HGV)다. 극초음속 활공체는 일단 미사일에 실려 우주 가까이 날아오른 다음 분리, 글라이더처럼 활강하며 목적지까지 날아간다. 이때 속도가 마하 5 이상으로 매우 빠르다. 따라서 극초음속 활공체를 개발하려면 공기저항을 이기고 이런 극초음속을 유지하는 기술, 마찰로 인해 표면온도가 2천 도까지 올라가는데 이를 견디는 기술, 활공체 주변에 발생하는 플라스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센서 기술, 극초음속 상태에서 자세와 방향을 제어하는 기술 등 매우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력이 필요하다. (황기영 외,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HGV)의 연구개발 동향」,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48권 제9호, 2020, 732쪽.)


현재 러시아, 중국은 극초음속 활공체를 실전 배치했고 미국은 아직 개발 중이다. 또 한국, 일본, 인도, 프랑스, 독일, 영국도 개발 중이다. 또 여러 나라들이 극초음속 활공체의 다음 단계인 극초음속 순항미사일도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극초음속 미사일 경쟁에 북한이 혜성처럼 등장했다. 2021년 9월 28일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포-8형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체는 약 450킬로미터 거리를 평균 고도 30킬로미터로 활공하였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중국의 극초음속 활공체 DF-ZF와 유사하게 납작한 모양임을 알 수 있다.


2022년 1월 5일 북한은 두 번째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사진을 보면 앞서 발사한 화성포-8형과는 다른 원뿔형 활공체임을 알 수 있다. 즉, 북한은 2종의 극초음속 미사일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편의상 ‘극초음속 2호’로 부르겠다.


북한은 이날 시험발사 결과 120킬로미터를 측면 기동하여 700킬로미터를 날아가 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혔다.


6일 후인 11일 북한은 ‘극초음속 2호’ 2차 발사를 하였다.


군 당국은 탄두 속도가 마하 10, 고도 60킬로미터 이내 활공, 선회 비행 등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성이 모두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700킬로미터를 날아갔다고 하였다.


반면 북한은 600킬로미터 밖에서 활공체가 분리되어 활공 재도약과 240킬로미터 선회비행을 거쳐 1천 킬로미터 떨어진 표적을 맞혔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군 당국은 극초음속 2호가 활공 재도약을 할 때쯤 추적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날 시험을 ‘최종 시험발사’라고 하여 이후 극초음속 2호의 대량 생산과 실전배치가 있을 것임을 암시했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북한이 앞으로 한두 번 더 시험발사를 한 뒤 극초음속 미사일 실전 배치를 선언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남, 극초음속 부인하자…북, 마하10 보란듯 쐈다」, 중앙일보, 2022.1.12.)


그런데 일각에서는 2021년 10월 11일 개막한 북한의 국방발전전람회에 전시된 사진을 토대로 북한이 극초음속 2호를 비공개로 두 차례나 시험 발사했다고 주장한다. 이게 사실이라면 이미 4차례나 시험발사를 했다는 것이고 실전 배치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예상대로 북한은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서 극초음속 2호를 대량 생산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 등장한 극초음속 미사일.    


반면 미국은 일찍부터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뛰어들었으나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미국은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다르파)과 공군의 팰컨(Falcon) 프로그램, 육군사령부의 ‘고등 극초음속 무기(AHW)’ 개발, 육·해군 공동 개발하는 ‘공동 극초음속 활공체(C-HGB)’, 공군의 ‘극초음속 타격 무기(HCSW)’와 ‘공중 발사 신속 대응 무기(ARRW)’ 등 여러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시도를 하였다.


팰컨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HTV-2는 납작한 세모꼴 활공체로 2010년 4월 22일과 2011년 8월 10일 두 차례의 비행 시험 모두 실패하였다. 비슷한 형태의 활공체인 AHW는 2011년 11월 17일 첫 비행 시험에서 3,700킬로미터 떨어진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2014년 8월 25일 두 번째 비행 시험에서 발사 직후 비행 제어에 실패해 자폭시켜버렸다.


원뿔형 활공체인 C-HGB는 2021년 10월 첫 실험에 나섰으나 추진체 오작동으로 아예 점검도 못 했고 2022년 6월 실험에는 중간에 이상이 생겨 실험을 완료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올해(2023년) 실전 배치하려는 목표를 2024년으로 미뤄야 했다.


HCSW는 예산 문제로 중간에 중단하였고 ARRW는 2021년 3차례 시험 비행에 실패한 끝에 2022년 12월 9일에야 ARRW 최종 시제품 발사에 성공하였다.


이처럼 북한은 2022년 1월에 극초음속 미사일 최종 시험을 끝내고 대량 생산에 들어간 반면 미국은 2022년 12월에야 처음으로 시험에 성공하였다. 시험을 반복해 안정성, 신뢰성을 확보한 뒤 대량 생산을 해서 실전 배치하려면 아직도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이다. 극초음속 미사일 경쟁에서 미국이 북한에 밀렸다.


극초음속 미사일 말고 차량 이동식 대륙간 탄도미사일도 미국은 개발을 중도 포기했으나 북한은 오래전에 완성하였다. 또 북한은 미국에 없는 저수지 발사 탄도미사일이나 철도 이동식 탄도미사일 같은 무기도 개발하였다. 이런 무기들은 다양한 전술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북한이 몇 가지 첨단무기 개발에서 미국을 앞질렀다고 해서 전체 군사력까지 앞선다고 보는 건 무리라고 얘기할 수도 있다. 여전히 미국은 전반 무기 분야에서 훨씬 다양하고 성능 좋은 무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 무기 비축량도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군사 과학기술 강국만이 개발할 수 있다던 극초음속 미사일을 비롯한 첨단 무기 분야에서 북한이 앞선 현실은 미국의 첨단 무기 개발 분야에 심각한 허점이 있음을 말해준다.


게다가 인류의 전쟁 역사를 보면 한두 가지 첨단 무기가 승패를 가르거나 전황을 뒤바꾸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1680년 패권국 이집트를 무너뜨린 힉소스인의 ‘전차’, 임진왜란 때 활약한 ‘신기전기화차’와 ‘거북선’, 1898년 500명의 영국군이 1만 4천 명의 수단 무장세력을 단 40분 만에 제압하게 만든 ‘기관총’, 1차 세계대전 한복판에 등장한 영국군의 신무기 ‘MK-1 전차’ 등 신무기가 전쟁에서 결정적 변수가 된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공지 중소기업 갤러리 이용 안내 [36] 운영자 22.03.18 46513 47
852749 그냥 어디가서 직업 얘기하고 반응만 봐도  중갤러(121.64) 20:59 1 0
852748 너무 우울하다 살자하고 싶다 중갤러(222.100) 20:59 2 0
852747 돈은 최대한 아끼면서 살아야한다 [2] ㅇㅇ(211.234) 20:57 8 1
852746 내일은 그림도 그리고해야겠다 [3] 박하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6 11 0
852745 고졸무직백수ADHD 편부모 흙수저 신체 장애있는데 산업안전기사 [2] ㅇㅇ(193.37) 20:56 11 1
852744 한국 틀딱은 일이 커져야 심각성을 아네 [1] ㅇㅇ(211.185) 20:56 17 0
852743 난 10~1월에 연차 자주쓰는데 [1] 중갤러(220.118) 20:54 12 1
852742 이게 먼지 아는사람 잇노? 중갤러(211.234) 20:54 11 0
852741 스펙 평가좀 ㅇㅇ(211.231) 20:54 6 0
852740 외국대규모 채굴장)서울 성형외과 파이코인(휴대폰 채굴) 결제도입. ..@.@..(59.29) 20:54 5 0
852739 그냥 어디가서 직업 얘기하고 반응만 봐도 알잖아 [1] 중갤러(106.102) 20:54 12 2
852737 .⭐중고차 전액 할부+여유자금 바로지급⭐.. .. [1] 중갤러(223.38) 20:53 7 0
852736 9억짜리 아파트 사도되겠지? [1] 중갤러(39.7) 20:52 16 1
852735 한달에 2개씩 썻더니, 이제 5개 남앗ㄴ.. 중갤러(59.15) 20:51 11 0
852733 교순소는 공시생들도 무시한다 [1] ㅇㅇ(223.62) 20:50 14 0
852732 6년만에 여친 생겼노 [5] 중갤러(223.39) 20:50 40 0
852731 인간고라니년때문에 죽다살아남 [1] ㅇㅇ(223.39) 20:49 21 0
852730 밸런스맞냐? 33세 1억 vs 61세 15억  ㅋㅋ(223.39) 20:49 6 0
852729 사람은 역시 일해야돼 하루쉬니 근질하노 [1] 중갤러(59.15) 20:49 27 1
852728 좆팔육 특) 그놈의 노동자인권 외쳐대면서 회사가면 가스라이팅 시전함 ㅇㅇ(223.38) 20:48 12 0
852727 포괄있는데 중소기업 가는건 뭐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6 45 0
852726 짬이 낮은애한테 가스라이팅 더 심한듯 ㅇㅇ(223.38) 20:45 24 1
852724 이야 좀 놀아주니까 [12] ㅇㅇ(175.214) 20:44 159 8
852723 교대근무랑 주간 주6일중에 뭐가 나음? [5] ㅇㅇ(220.122) 20:44 31 0
852720 광고를 처 할꺼면 좀 썎끈한 사진좀 팍팍 들고와라 중갤러(58.29) 20:42 13 0
852719 연 잘끊는것도 실력이다 [2] 박하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2 38 3
852718 주4일제 되면 진짜 살맛 나겠노 [2] 중갤러(223.39) 20:42 37 0
852716 실제로 늦은게 맞으니까 늦었다는 생각이 드는거겠지 ㅇㅇ(223.38) 20:40 29 1
852714 X살이면 존나 늦은거 맞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7 54 4
852713 친구없는애들아 안우울함? [6] 중갤러(175.201) 20:37 66 2
852712 중갤러(223.39) 20:36 11 0
852711 단체생활 잘하는 사람들이 부럽다 [3] ㅇㅇ(116.121) 20:36 38 0
852710 중소기업 갤러리에 공식 채팅방은 없습니다 주의하세요 ㅇㅇ(223.38) 20:36 11 0
852707 31살 2억 모았는데 여친도 없고 좆나 우울하네 [4] 중갤러(121.137) 20:35 53 0
852706 난 동안이다 이쁘게 생겼다 이런말만 들은듯 ㅇㅇ(223.38) 20:35 16 0
852705 좆갤에 항상 올라오는 멍청한 질문들 [6] Adri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5 35 2
852704 대기업 다닌다고 다 마음 여유로운거 아니더라 [4] 분노페페(110.11) 20:34 67 3
852703 군인 소장 별하나 달기 ㅇㅅㅇ 사단장? 국회의원 중갤러(223.39) 20:34 10 0
852702 회사에서 중요한 일 하니까 딴사람들이 우스워보이네 [1] 중갤러(221.160) 20:33 28 1
852701 어차피 여기 애들 90퍼는 교순소도 못 들어갈텐데 ㅋ [1] ㅇㅇ(59.21) 20:33 24 1
852700 부모운이 없노 중갤러(223.38) 20:33 11 0
852699 진지하게 백수갤 애들이 인성 더좋더라 [26] 박하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2 67 2
852698 근데 늦었다고 안할꺼임? [2] 중갤러(58.29) 20:32 24 0
852697 인생은 노력이다 ㅋ 뒤통수한방(1.213) 20:31 9 1
852696 양아치같이 생겼다는 게 ㅈ같이 생긴 건 아니지? [6] 중갤러(121.137) 20:31 32 0
852695 한달동안 야근하면 흰머리 생김? [2] ㅇㅇ(223.38) 20:31 22 1
852694 서른넘어서 첫취업이면 스펙이 어떻게되는거냐 [1] 중갤러(180.64) 20:31 34 1
852693 생각할수록 어이가 읍네 중갤러(58.29) 20:31 10 0
852692 만29 첫취업늦냐? [2] ㅇㅇ(223.62) 20:30 2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