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대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대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굴벙굴 근황 ㅇㅇ
- 한동훈) 계엄해제표결후 본회의장에 남아 있던 이유 BB
- 싱글벙글 수상할 정도로 표절이 많이 보이는 듯한 게임회사 ㅇㅇ
- 키작으면 열등? 한국인의 키 강박...news 배그린
- 천부적인 재능이라는건 존재하지 않는다. ㅇㅇ
- 같이 몸푸는 정후혜성.webp 카디네스
- 오징어게임 3 기념 로블록스 입문기 제 7화 ㅇㅇ
- 인천 미추홀구 버스 근황 ㄷㄷㄷㄷ 겔럭키
- 싱글벙글 미쳐버린 로우킥 이대남...gif ㅇㅇ
- 친구랑 마산 백년된성당, 맛집 다녀옴 밤은짧고목표는
- 연말무대에서 폭죽을 너무 많이 쏴버렸다는 아이브 무대 ㅇㅇ
- 아이오닉 6N 폭발적인 해외 반응 ㄷㄷㄷㄷㄷㄷ rtOS
- 극우정당 해산 검토하는 독일…결정 망설이는 이유 묘냥이
- 아스피날에게 도망가던 존존스 근황 고무다라이통
- 현직 여경 "길거리에서 흉기 활보로 붙잡혀"가족에게 인계 구너
갤럭시 Z 폴드7·플립7 첫인상
더위 먹은 몸을 이끌고 간 삼성 스토어...... 먼저 Z 폴드7 정말정말 얇아졌고 가벼워진 무게도 정말 심하게 체감됐음 이제 진짜 S 울트라 들고다니는 것 같음 SE 만져봤던 입장에서 비교하자면 SE도 압살하는 수준임 SE 사용자들은 체감 바로 될거임 정말 울트라를 펼치는 느낌임 주름은 폴드 SE랑 유사하게 느껴짐 단단해졌다고 하는데 SE만져본지 너무 오래되어서 기억이 잘 안나기 때문에 비교를 못하겠음 어쨌든 폴드6 대비 개선은 확실함 그리고 180도 완전히 펴지는건 매번 그랬듯이 기기마다 약간씩 편차가 있는 것 같음 어떤건 179.5도 정도 펴지는 것 같고 어떤건 완전히 잘 펴지고 근데 일단 내가 간 매장에서는 심하게 덜펴지는 기기는 없었음 힌지는 폴드6 대비 텐션이 약간 더 생긴 것 같음 그러니까 펼치는 느낌이 이제 폴드 SE랑 비슷해짐 두께가 얇기 때문에 열고 닫기 힘든걸 고려해서 텐션을 조금씩 주는 방향으로 가는가 봄 vs 25 울트라 두께 진짜 울트라보다 조금 더 얇은 수준임 그리고 두께를 줄인 만큼 카툭튀가 정말정말 심해졌음 울트라랑 비슷한 두께에 저만큼 튀어나왔다고 생각하면 됨 역대급 카툭튀임ㅋㅋㅋ 근데 이렇게 카메라 섬 하단부에 검정색 선을 넣어서 겉으로 봤을 때는 덜 두꺼워보이게 처리함 카툭튀를 감추려는 삼성의 노력과 워낙 오래 우려먹어서 익숙해진 디자인 때문에 카툭튀가 겉으로 봤을 때는 심하게 느껴지지 않았음 "카툭튀? 뻔뻔하게 드러냈죠" 이지랄 운운했던 5년 전 모습을 생각하면 장족의 발전임... 그리고 올리브링도 유기한 덕분에 카메라 렌즈에 먼지 많이 안끼일 것 같음 세로 가로 누가 영상 레터박스 어느정도 생기냐 물어봐서 유튜브 영상 켜놓은 상태임 특히 가로로 놨을 때는 펀치홀 위치 진짜... 암튼 폴드7의 경우, 가로로 돌려서 영상을 보는 이점이 거의 없음 그러니 영상을 보려면 세로로 봐도 충분하다는 것임 One UI 8.0이 탑재되어 있던데 뭐 7.0 대비 여러 개선점이 있겠지만 그런걸 체험해볼 시간은 없었고 간단하게 만지면서도 7.0 대비 큰 체감은 못했음 다음은 색상임 정확한 색감을 보여주기 위해 영상을 촬영했고 그걸 GIF로 바꿨음 그래서 이렇게 보는게 실물 색감에 가장 정확할거임 먼저 실버 쉐도우 여기 조명이 좀 누래서 그렇지 채도가 폴드6 대비 낮아졌음 S25 엣지의 실버랑 비슷한 느낌인 것 같음 폴드6 너무 딥한 것 같았는데 그것보다 좀 연해져서 마음에 들었음 vs S25 울트라 그레이 이건 폴드6 실버임 예전에 찍었던거 비교해서 보라고 올려봄 두번째로는 제트블랙임 폴드5 이후 2년만에 폴드에서 부활한 제대로된 블랙.. 폴드6 때처럼 카본 블랙같은 개짓거리를 안하고 무난한 무광 블랙으로 내주어 굉장히 마음에 들음 vs S25 울트라 블랙 다음으로 블루 쉐도우임 사진으로만 봤을땐 또 쓰레기같은 용달블루를 뽑았나 싶었는데 실물로 보니 나쁘지 않았음 뭐랑 비슷하냐면 S20+ 블루 색상이 있었던걸로 아는데 그거 무광버전이라고 보면 됨 메탈릭한 느낌이 가장 강하게 드는 색이었음 색상 순위는 1. 실버 2. 블랙 3. 블루 근데 셋 다 그냥 무난하게 잘 뽑힌 것 같음 (민트를 삼성닷컴 단독으로 내서 그렇지 ㅅㅂ.) 제일 마음에 들었던 실버의 사진을 몇장 더 올려봄 vs S23 라임 vs S25+ 사실 외부 화면 크기만 보면 플러스와 거의 비슷함 플러스에서 가로 폭이 줄어들은 느낌 하여튼 이번 폴드7은 반사방지, UDC, S펜 등이 빠져서 많이 아쉽지만 그걸 상쇄할 만큼 얇고 가벼워져서 마음에 들었음 하지만 나는 전공 특성상 S펜을 꼭 쓰기 위해 폴드를 사려했던거라 폴드7을 살 일은 없을 듯 함.. (이랬다가 민트색 보면 마음이 또 바뀔지도 모르겠음) 한줄평을 내리자면 살을 주고 뼈를 취하다 이제 Z 플립7임 얇아진거 확실히 체감됐음 특히 가로 길이가 늘어나서 이전보다 훨씬 더 펼쳤을 때 일반 바형 폰 같았음 이번에 확 커진 플렉스 윈도우.. 플립5·6 동안 겨우 다시 확립한 아이덴티티를 버리고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해서 걱정이 많았는데 베젤이 정말 얇고, 두께가 통일되어서 정말 깔끔해보였음 저런 식으로 화면 켰을 때 확실히 나은 것 같음 주름은 이정도임 좀 더 단단해진 것 같기도 하고 줄어들었나? 싶기도 하고 일단 나는 잘 모르겠음 플립6 만져본지 너무 오래되어서 정확한 비교를 못해주겠음 밑에서 플립6 출시 당시 찍었던 주름 사진을 보여줄테니 그냥 보고 판단하셈 vs S23 vs S25+ 가로 길이는 S 기본형과 S 플러스 사이의 느낌임 다음은 색상임 Z 폴드7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색감을 보여주기 위해 GIF를 올림 먼저 코랄레드 렌더링이랑 좀 다른 느낌이었음 이 색은 S25의 삼성닷컴 단독 색상인 코랄 레드와 거의 정확히 일치함 그러니까, 완전한 레드 색감은 절대 아니고 약간의 오렌지색과 핑크색이 첨가된 레드 느낌임 내가 찍었던 S25 코랄레드임 나는 S25 코랄레드를 굉장히 좋아하고, 때문에 플립7의 코랄레드도 굉장히 마음에 들음 특히 플립은 외부화면 때문에 검정색 영역이 많은데 그것과 잘 조화되는 느낌이었음 정말 톡 튀는 색을 사고싶다면 코랄레드를 고르셈 다음은 블루 쉐도우 폴드7 블루 쉐도우와 같은 색임 뭐 그냥 무난무난한 느낌인 것 같은데 폴드7에는 잘 어울렸던 색이 이상하게 플립7에는 좀 안어울리는 것 같았음 그냥 아이스 블루 한번 더 우려먹지.... 마지막으로 제트블랙 폴드7의 제트블랙과 동일한 색상임 플립4 이후 3년만에 부활한 제대로된 무광 블랙임 정말 무난하고 깔끔함 외부화면 영역과 같은 톤이니 일체감이 가장 좋아서 마음에 들었음 색상 순위는 1. 코랄레드 2. 제트블랙 3. 블루 쉐도우 플립은 이제 폼펙터가 정말 완성형이라 생각하고 정점을 찍었다고 생각함 폼펙터 자체는 굉장히 만족스러웠으나.... 아.. 엑시노스 2500 이거 플립7으로 카메라 찍고 웹서핑하고 동영상 보는 등 간단한 작업만 했는데 위쪽 외부화면 있는 쪽이 계속 따뜻해짐... 발열확산이 잘 되는 느낌이었던 폴드7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따뜻한 느낌이었음 여름이라 그런거 아니야? 할텐데 여기 에어컨 빵빵한 실내임... 애초에 발열은 내가 오해한거라 쳐도 출고가 150만원에 육박하는 기기의 성능이 전세대랑 비교해서 겨우 이기는게 말이됨?ㅋㅋ 비슷한 돈 주고 사는 S25+는 그것보다 훨씬 성능 좋은데 소비자 진짜 개좆으로 보나봄 얇아진거 체감되고, 외부화면 커진거 좋고 주름도 개선된 것 같아서 너무 마음에 드는데 진짜 엑시노스가.....다 망침 한줄평은 다 된 폰에 엑시노스 뿌리기 다음은 워치8 시리즈... 였어야 했으나 갔던 매장에 워치8 시리즈가 아직 들어오지 않은 관계로 그나마 있었던 스트랩 사진만 올림 어찌하여 스트랩만 오셨소? 이번에 민트색 스트렙 나왔던데 민트성애자로서 그 색감이 굉장히 마음에 들었음 근데 안그래도 민트색 안어울리는 내가 끼니까 초딩같더라 만약 워치8 산다면 이걸 고르는 일은 없을 듯함 진짜 마지막으로.. 폴드1 vs 폴드7 6년의 시간을 넘어서.... 정말 장족의 발전을 이뤘음 안그래도 폴드7 얇은데 폴드7 만지고나서 폴드1 들어보니 진짜 벽돌같음ㅋㅋ 여전히 폴드1을 서브폰으로 쓰는 이유가 세로 길이가 훨씬 더 긴 비율 때문인데, 영상을 보고, 웹툰과 만화를 보고 하는 등 미니 태블릿으로써의 역할은 폴드1만한게 없다고 생각함 암튼 폴드 시리즈가 폴드7까지 이렇게 발전한게 신기하고 계속 5~6 동안 보여줬던 나태한 모습은 더는 보이지 말고 계속 발전했으면 좋겠음 폴드8에는 S펜 지원 복구 제발.....
작성자 : SundayMove고정닉
세계에서 미친듯이 빨리 성장한 기업들 알아보기
15년전인 2010년과 현재 기업가치 비교 우버 (미국) 2010년 = 약 2조원 2025년 = 약 257조원 자율주행, 승차 공유서비스, 음식 배달 등을 제공하는 미국의 기술기업이다. 스타트업에서 현재 전세계 70개국 15,000개 도시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거대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현재 시가총액은 257조원 수준으로 15년만에 회사가 100배이상 커졌다.. 스포티파이 (스.웨덴) 2010년 = 약 1조원 2025년 = 약 237조원 스.웨덴 IT기업이자 세계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AI기반의 뛰어난 알고리즘 기술로 각광받아 현재 글로벌 스트리밍 점유율 40%를 차지하고있으며, 이는 경쟁사인 애플 뮤직과 유튜브 뮤직을 합친것보다도 높은수준이다. 현재 시가총액은 237조원으로 과거보다 200배넘게 커진 상황. ARM (영국) 2010년 = 약 14조원 2025년 = 약 261조원 영국 반도체 기업으로 세계 모바일 칩 라이센스 점유율 99%를 차지하고있는 반독점 기업이다. 애플의 M칩, 삼성의 엑시노스, 퀄컴의 스냅드래곤, 미디어텍의 디멘시티까지 모두 ARM 아키텍처 기반으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PC에서도 인텔의 x86을 제치고 절대강자로 군림했다. 그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 시가총액은 261조원까지 치솟았다. 레볼루트 (영국) 2010년 = 기업이 존재하지않음 2025년 = 약 203조원 영국 핀테크 기업으로 2015년 설립되어 단 10년만에 수백조원 가치의 대기업이 되었다. 이는 핀테크 역사상 가장 빠른속도다. 단순 디지털 송금뿐만 아니라 앱 하나로 투자, 가상화폐, 보험, 채권 등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슈퍼앱이다. 레볼루트의 초고성장은 런던과 월스트리트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조달받아 해외시장을 빠르게 공략했기에 가능했다. AMD (미국) 2010년 = 약 9조원 2025년 = 약 352조원 미국 반도체 기업으로 CPU, GPU, 시스템온칩, 고성능컴퓨팅 솔루션 설계까지 다방면에서 인텔과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AMD는 2010년대 초반 인텔이 장악한 시장에서 도태되어 파산위기를 맞았지만 리사수 신임 CEO의 강력한 리더십으로 기술혁신과 체질개선에 집중했고 결국 현재는 350조원이 넘는 거대기업으로 올라서게되었다. 오히려 지금은 인텔이 몰락한상태. 팔란티어 (미국) 2010년 = 약 2조원 2025년 = 약 413조원 대규모 감시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는 미국의 신흥 IT기업이다. 군대와 테러대응 방어기술을 개발하고있으며 주요고객에는 미국 정보부와 미국 국방부가 존재한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의 신원 정보를 감지하고 확보, 수집하는데 활약하고있으며 에어버스, 라인메탈, 롤스로이스와 같은 유럽 대형 방산업체와도 협력하고 있다. 최근 말도안되는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오픈AI (미국) 2010년 = 기업이 존재하지않음 2025년 = 약 446조원 2020년대 이후 전세계적인 AI붐을 일으킨 장본인. 2015년 설립되어 2022년 현재 우리 모두가쓰고있는 챗GPT를 세상에 공개하여 알파고 쇼크이후 두번째 AI충격을 주었다. 생성형AI 기술에서 구글, 메타와 같은 빅테크 기업을 상대로도 우위를 점하고있어 호평을 받아왔지만, 이제는 오픈AI 본인들도 빅테크로 성장해버렸다. 노보 노디스크 (덴마크) 2010년 = 약 34조원 2025년 = 약 514조원 덴마크의 제약회사이자 유럽 최대 제약회사, 전세계 시가총액 2위 제약회사다. 원래는 당뇨치료제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회사였으나 의도치않게 체중감량 효과를 발견했고, 이를 역이용하여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것이 2023년 세상에 공개된 기적의 비만약 위고비였고, 이제 손쉽게 살을 뺄수있다며 제약산업과 소비자 시장에 쇼크를 일으켰다. 이로인해 2030년에는 위고비가 전세계 매출액 1위 블록버스터 신약이 될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있고 이로인해 기업가치는 천정부지로 솟아올라 현재는 500조원을 넘었다. ASML (네덜란드) 2010년 = 약 39조원 2025년 = 약 582조원 네덜란드 반도체기업이자 현재 전세계 반도체 시가총액 4위 기업이다. 3나노공정 이하 최첨단 칩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극자외선 노광장비(EUV)를 독점적으로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ASML의 EUV와 DUV장비가 없다면 삼성전자, TSMC, 인텔은 반도체를 만들수가 없다.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97%에 달하며 그 지배력을 인정받아 기업가치가 반도체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현재는 거의 600조원에 달하고있다. SAP (독일) 2010년 = 약 71조원 2025년 = 약 634조원 독일의 빅테크 기업으로 오라클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ERP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이다. 포춘 500대 기업중 486개의 기업이 SAP의 ERP를 사용하고있을정도다. 원래는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이었지만 2020년대 이후 AI 플랫폼 쥴을 개발하여 이를 자사의 ERP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적용했다. AI 기업으로 탈바꿈하여 2020년대 글로벌 AI붐을 타 주가가 급등했고 현재는 유럽 최대의 IT기업이 되었다. 넷플릭스 (미국) 2010년 = 약 9조원 2025년 = 약 825조원 미국 빅테크 기업이자 세계 최대 OTT플랫폼. 2010년대 모바일 혁명이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도 점차 영화관에서 OTT로 넘어가기 시작했고 이 수혜를 가장 크게 받은 기업이 바로 넷플릭스다. 경쟁사 대비 방대한 컨텐츠와 자체 오리지널시리즈 개척으로 각광받았고 현재 글로벌 OTT점유율 50%를 차지중. 테슬라 (미국) 2010년 = 약 1조원 2025년 = 약 1410조원 미국의 전기자동차 기업이자 전세계 자동차 시가총액 압도적 1위.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산업을 전기+자율주행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완전히 뒤바꿔놓았으며 현재도 여전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물론 메르세데스 벤츠, BMW, 폭스바겐 그룹, BYD와 같은 경쟁기업들도 자체적인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했고 테슬라와 격차를 줄여나가고있어 예전보다는 압도적이지 않다는 의견이 우세하지만, 여전히 주가는 고공행진중이다. 결국 자동차기업이 빅테크 수준으로 가는 경지까지 도달했다. 엔비디아 (미국) 2010년 = 약 4조원 2025년 = 약 5213조원 미국의 빅테크 기업이자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비싼 기업이다. 예전에는 컴퓨터에 들어가는 그래픽카드 제조회사 그이상도 이하도 아니였지만 2020년대이후 오픈AI발 생성형 AI 혁명이 터지면서 AI를 훈련시키는데 고성능 GPU가 많이 필요하게되었고, 그로인해 GPU강자였던 엔비디아가 포텐이 터진것이다. 시장 패러다임이 PC에서 데이터센터로 패권이 넘어가고, 자연스럽게 CPU보다 GPU가 더 중요하게되자 인텔이 완전히 몰락하고 엔비디아가 패권을 잡게되었다. 애플, 구글, MS, 아마존, 메타같은 기업들은 15년전에도 세계 최대 기업들이었으니 제외한다. 2010년과 2025년 현재를 비교하면 신흥 거인들이 얼마나 많아졌는지 느낄수있다. 삼성전자가 분명 15년전보다 규모가 더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유럽 회사들이 너무 빠르게 성장하니 답이 안보이는것..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