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미국 유학생 감소에 고민하는 일본

건르재(198.7) 2021.08.06 16:09:25
조회 130 추천 0 댓글 0
														
출처
https://asia.nikkei.com/Business/Education/Once-No.-1-Japan-topped-by-Vietnam-and-South-Korea-for-study-in-US
2021-08-06

과거 한때 한국과 베트남을 제치고
미국에서 제일 많이 공부하는 유학생 1위를 차지한 일본

일본인 유학생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 미국 대학의 가파른 등록금 인상

viewimage.php?id=23b8df35f1dd3bad&no=24b0d769e1d32ca73deb86fa11d02831d16706cea37200d6da918d798475dc7e367e093d8ac75b8cb1490215cc3e3ad39f88f69075a44b6096ccb7e1cca0fb5f148496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위치한 예일 대학교. 미국 대학의 비싼 등록금이 미국에서 공부하는 일본인 유학생 감소 원인 중 하나다.

지난 20여 년간 해외에서 공부하는 일본인 유학생의 수가 급감했는데 미국 대학교의 높은 등록금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일본은 더 이상 미국에 공부하러 가장 많은 학생이 나가는 나라가 아니다. 오늘날 중국, 인도, 한국,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공부하러 가는 유학생들이 일본보다 더 많다.

게다가 미국에 공부하러 가는 학생 감소 추세가 코로나 대유행으로 더 가속화될 움직임을 보이자 일본 당국은 감소세를 막기 위해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하기우다 고이치 일본 문부과학성 대신은 코로나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는 대학을 안내함으로써 유학생을 지원할 계획이다.

7월 13일에 하기우다는 기자 회견에서 "여름에 해외로 떠나는 학생들이 그 기회를 잃지 않도록 예방 접종을 진전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지난 6월 일본 문부과학성 교육재건자문위원회는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유지·재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한다는 내용의 권고안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해외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코로나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것이 관심 사안으로 등장한 것은 코로나 위기 속에서 일본인 유학생의 수가 줄어드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다. 또한 선진문화 경험을 가진 영어에 능통한 인재풀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한몫했다.

얼핏 보면 일본인 유학생이 늘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독립행정법인 일본학생지원기구에 따르면 2019 회계연도의 일본인 유학생 수는 10만 7,000명으로 2011 회계연도의 약 2배에 달했다.

그러나 이 수치에는 단기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소속된 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2019 회계연도에 해외 유학 중인 일본인 학생의 3분의 2가 한 달 미만의 단기 교환학생이었다. 이러한 짧은 기간은 언어를 익히거나 선진문화 습득에 참여할 기회를 제한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유학생을 외국의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본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OECD는 일반적으로 해외에서 2년 이상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유학생으로 본다고 한다.

OECD 정의에 따르면 2018년 해외에서 공부하는 일본인 유학생은 58,700명으로 총 8만 명을 돌파한 2004년의 최고치보다 약 30% 감소했다.

삿포로 대학의 명예 교수이자 홋카이도 미·일 협회 부협회장인 미타라이 쇼지에 따르면 숫자가 줄어드는 원인 중 일부는 일본 자체에 있다고 한다.

미타라이는 "일본은 내향적이고 영어 교사와 젊은이를 해외로 보내려는 국가적 노력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추세는 지난 25년간 이어졌다. 미일 교육위원회에 따르면 1994년과 1997년 사이에 미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 중 일본에서 온 유학생이 다른 어떤 국가나 지역보다 많았다. 그러나 2019년과 2020년에 일본은 중국, 인도, 한국, 베트남, 대만에 밀려 8위로 떨어졌다.

도쿄 메이지 대학에서 유학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고바야시 아키라 부교수는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이유, 즉 미국 대학의 연간 등록금 인상에 있다고 지적한다.

고바야시는 "비교적 저렴한 주립대학조차도 생활비를 포함한 교육비가 연간 600만~700만 엔(5만 4900~6만 4,100달러)까지 올랐다. 약 10년 전에는 절반 정도였다"라고 말했다

가처분소득 측면에서 일본이 G7 국가 중 최하위라는 점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일본은 1인당 가처분소득이 2만 9,000달러에 불과하지만 미국은 5만 달러 수준이었다.

일본 정부는 2022 회계연도까지 OECD가 정의한 유학생 수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장학금 확대만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고바야시는 "글로벌 인재의 수를 늘리려면 기업이 교육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유학지원 제도를 대폭 강화하는 민관기금을 설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의 채용 관습은 또 다른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매년 봄마다 일괄적으로 한 기수씩 새로운 근로자들을 고용한다. 채용을 희망하는 일본 대학생들은 인턴십 참석과 취업 박람회를 방문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일본의 인턴십 참석과 취업 박람회를 방문해야 하는 과정은 유학생의 학부 3, 4학년 공부 기간과 겹친다. 게다가 일본에서 대부분의 신입 사원은 4월에 일을 시작하지만 미국 학교는 일반적으로 5월이나 6월에 졸업식을 한다.


이런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일본 대학 시작 학년을 가을로 옮기는 것이다. 지난해 아베 정부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학교 휴교로 생긴 수업 결손을 만회하기 위해 4월이 아닌 9월 새 학년 개학을 검토했다.

여당인 자민당은 결국 '국민적 합의'에 시간이 필요하다며 계획을 보류했다. 입법 회의록을 검토한 결과 올해 가을인 9월 새 학년 개학을 지지하는 의원 발표는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일본 문부과학성 교육재건자문위원회는 새 학년의 시작을 4월에서 9월로 일률적으로 전환해서는 안 된다면서, 대신 새 학년 시작 시점에 대해서 학교 측에 다양성과 유연성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을 채용 혹은 연중 수시 채용에 대해서 일본 재개는 점차 유연하게 바뀌고 있지만, 이 같은 행보가 결과적으로 유학생 숫자를 끌어올릴지는 미지수다.

-----------------------------------------------------------------------------------------

일본은 미국으로 유학 가는 학생이 적다고 난리다.
반면에 한국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402838 카뱅 바로 복구하노 ㅋㅋㅋㅋ ㅇㅇ(1.219) 21.08.09 69 0
1402837 이노엔ㅋㅋ이래도 손절안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4] ㅇㅇ(175.204) 21.08.09 188 0
1402836 카뱅 현재가 평단 미래.jpg ㅇㅇ(112.170) 21.08.09 175 0
1402835 결국 카뱅도 비상장거래소 가격대 이상으로왔네 ㅇㅇ(121.186) 21.08.09 71 0
1402834 오늘 코스모신소재로 19퍼 이득봤다ㅋ ㅇㅇ(175.114) 21.08.09 58 0
1402833 어어 카뱅 점마 저거 어디가노? ㅁㅈㄷㄱ(114.202) 21.08.09 54 0
1402832 이노 운지 ㅇㅇ(45.112) 21.08.09 43 0
1402831 카뱅 쓰면 편한점 뭐 있냐? [4] ㅇㅇ(175.126) 21.08.09 99 0
1402830 데브시스터즈 카카오뱅크보고 느낀점 ㅇㅇ(125.177) 21.08.09 149 0
1402829 슥바사 시즌종료임? ㅇㅇ(1.214) 21.08.09 47 0
1402828 어어 카뱅아 밀지마라... ㅇㅇ(124.111) 21.08.09 39 0
1402827 카뱅 점마어디가노 ㅇㅇ(223.38) 21.08.09 41 0
1402826 사면 vs 가석방 삼전의 운명은? (223.39) 21.08.09 64 0
1402825 87층가는중 ㅇㅇ(106.101) 21.08.09 41 0
1402824 아... 21살 학식인데... ㅇㅇ(210.95) 21.08.09 64 0
1402823 카뱅 다팔았다 127프로 먹고. 골드만삭스탠리(203.229) 21.08.09 74 0
1402822 외국인씾새들아 ㅇㅇ(112.144) 21.08.09 46 0
1402821 카뱅 어디가노 ㅇㅇ(121.173) 21.08.09 49 0
1402820 연예인들 다시 조선시대 백정처럼 될거같지 않음? ㅋㅋ ㅇㅇ(223.62) 21.08.09 100 0
1402819 카뱅 오늘 소액 사고팔고 정리해봄 ㅇㅇ(39.7) 21.08.09 64 0
1402818 카카오초콜릿은 상장안하냐 씨발련들아 ㅇㅇ(118.217) 21.08.09 27 0
1402817 이번 생에 난 부자되기 글렀음 ㅇㅌ(218.144) 21.08.09 46 0
1402816 크래프톤 떡상하겠네 ㅋㅋㅋㅋ (223.39) 21.08.09 95 0
1402815 이재용 사면 확정 ㅇㅇ(42.23) 21.08.09 144 0
1402814 에코 평단 8만 초반인데 ㅇㅇ(223.38) 21.08.09 57 0
1402813 카뱅이 거품인이유 정확하게 알려준다.. ㅇㅇ(1.219) 21.08.09 146 0
1402812 카뱅 호가창 힘을 못쓰네 ~~ ㅇㅇ(125.244) 21.08.09 29 0
1402811 카뱅 내일이면 거품 빠지려나 ㅇㅇ(117.111) 21.08.09 74 0
1402810 카뱅 지금 들어가서 상 먹고 나오면 진짜 야수 인정한다 [4] ㅇㅇ(61.100) 21.08.09 105 0
1402809 근데 ㄹㅇ 기관 외국인이 지리네 ㅋㅋㅋㅋ ㅇㅇ(14.33) 21.08.09 157 1
1402808 칩스앤미디어 와라 ㅇㅇ(118.217) 21.08.09 38 0
1402807 카뱅 도망쳐 ㅂㅅ드라ㅋㅋ [2] ㅇㅇ(175.223) 21.08.09 234 1
1402806 89를 못가냐 [1] ㅇㅇ(112.170) 21.08.09 79 0
1402805 어차피 이 쥐좆시드 새끼들이 거품이라 하든 말든 [2] ㅇㅇ(115.137) 21.08.09 60 0
1402804 카카오는 조용히 오르고 있누 [1] ㅇㅇ(118.34) 21.08.09 63 0
1402803 이노엔은 지금 추진력을 모으는 중 입니다 [1] ㅇㅇ(175.223) 21.08.09 112 0
1402802 이노엔은 다들 호평밖에 없더니 결국 ㅋㅋㅋ [5] ㅇㅇ(59.0) 21.08.09 209 0
1402801 푸짐하게 함버거 묵는법 ㅎㅎ [2] ㅇㅇ(118.235) 21.08.09 87 0
1402799 카뱅덕에 오랫만에 국장 존나 재미있네 ㅋㅋㅋ [2] ㅇㅇ(223.38) 21.08.09 128 0
1402798 시발 어이가 없네 카뱅 이노엔 [1] ㅇㅇ(118.235) 21.08.09 175 0
1402797 금호석유 분할매수 ㅇㅇ(211.36) 21.08.09 102 0
1402796 카뱅 9시 5분만에 9천원 오르는거 보고 2천만원 몰빵함 [5] beric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273 2
1402795 카뱅 89매도벽 사라질때 실시간으로봄 ㅋㅋㅋㅋㅋㅋ ㅇㅇ(180.70) 21.08.09 79 0
1402794 철강 사놓고 문재앙탓을 하네 ㅇㅇ(211.213) 21.08.09 52 0
1402793 카뱅이 거품이건 고평가건 돈 버는 게 고수지ㅇㅇ ㅇㅇ(118.235) 21.08.09 75 3
1402792 사람이 세번만 안 당하면 된댔어 공격력증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3 0
1402791 어제부터 카카오 주가떨어진다고 도배하며 깝치던새끼 [1] ㅇㅇ(118.235) 21.08.09 57 1
1402790 jyp 박스권 돌파했네. [6] ㅇㅇ(58.226) 21.08.09 128 0
1402788 시발 대한민국 주식판 걍 아줌미들이 ㅇㅇ(112.144) 21.08.09 74 0
1402787 카카오 페이도 광기 나오겠지 ㅇㅇ(118.34) 21.08.09 5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