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칼융 #2

ㅇㅇ(121.88) 2021.03.23 06:46:18
조회 58 추천 0 댓글 3

어느 날 융은 호텔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는데 순간 뒷머리에 참을 수 없는 통증을 느꼈다. 그 순간 그의 환자 가운데 한 사람이 권총자살을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총알은 마침 융이 심한 통증을 느낀 부 분에 박혀 있었다. 1918년 융은 영국인 수용소의 지휘자로 있으면서, 자기(Self)의 세계에서 끊임없이 형 상화되어 나타나는 像을 그림으로 옮겼다. 그 그림은 황금의 성 모양을 한 만다라였다. 얼마 뒤에 리햐르 트 빌헬름이 융에게 보낸 책 안에는 융이 그렸던 만다라 그림이 놓여있었던 것이다.
융은 이러한 정신적 사건과 물질적 사건의 의미있는 일치를 동시성(Synchronicity) 이론[11]으로 부르 고, 이와 같은 정신현상에 대하여 진지하게 논의한다. 사실 융이 최초로 이론화한 동시성 이론은 우리시 대의 양자물리학적 세계상의 정신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12] 오늘날의 많은 과학자들은 융의 저 이론 에 대하여 다각도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13] 실로 융에게 있어서 텔레파시나 예언현상은 신비한 체험 이나 주관적 환상이 아니라 자명한 현실이었던 것이다.
5. 결론 : 칼 융이 주는 의미
첫째, 융은 우리의 의식이 우리의 중심이 아님을 말하고 있다. 우리의 의식은 문명화된 의식이다. 의식 은 자아의 세계이다. 이 <자아>라는 것은 <자기>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는 우리의 중심이 아니다. 오히려 자아는 우리의 중심인 자기를 향해 나아가야 하겠다. 우리는 자아의 세계가 전부 로만 착각하며 살아간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자기의 세계와 같이 설명되지 않는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시대에 있어서 의식과 무의식의 해리는 자아의 세계를 전부로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주인의 자리에서 노예의 자리로 추방당하였다. 우리는 중심을 상실하였 다. 현대인의 마음은 에덴동산을 상실한 보헤미안의 서글픈 운명이 맺혀 있다.
융은 희미한 잔영으로만 남아있는 자기의 세계에 대한 탐구를 계속 해 왔고, 오늘 우리에게 그 세계는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건네주고 있다. 태초로부터 지금까지 우리 내면 가장 깊은 곳에 고여 있는 자 기의 세계는 너와 내가 서로 넘나드는 화해의 세계이고 통합의 세계이다. 그 세계는 보다 보편적이며 진 실한 세계이고 영원한 세계이다. 오히려 그곳은 그늘에 가리워진 세계가 아니라 빛의 세계이다. 그리고 중심의 세계이다. 그렇다면 꿈을 통하여, 신화를 통하여, 상징을 통하여 자기의 세계에서 자아의 세계를 향해 건네주는 메세지에 우리는 귀를 모아야 하겠다. 왜냐하면 의식의 치명적인 손실은 꿈에 의해 보완되 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엇보다도 저 깊은 내면의 무의식을 향해 마음을 열어야 하겠다.
둘째, 우리의 세계는 설명 가능한 세계만이 전부가 아님을 말하고 있다. 특히 자아의 세계 안에서의 '이성'이라는 것은 지극히 불완전하기 때문에, 우리의 이성으로는 마음의 전체성을 결코 파악할 수 없 다.[14] 융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판적 이성이 지배하면 할 수록 인생은 그만큼 빈곤해진다. 그러나 무의식과 신화를 우리가 의식하면 의식할 수록 우리는 더 많은 삶을 통합할 수 있다."[15] 의식을 넘어선 세계에 대한 겸허함을 상실한 채, 이성의 왕국으로만 전진하려는 현대문명의 기나긴 행렬은 사실 막대한 손실을 지불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현대문명은 합리성에 의하여 바벨탑을 축조하였다. 완고한 탑의 벽돌 하나 하나에 깃들어 있는 합리성 의 질료는 비합리성을 신화로 매도하었다. 왜냐하면 바벨탑의 세계에서는, "설명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포하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의 시대는 비합리성이 사멸한 시대이다. 그렇다면 비합리성은 존 재하지 않는가. 단지 이성의 등불이 건져내지 못하는 심연의 세계를 존재하지 않는다고 당당하게 선포할 수 있는가. 우리는 여기에서 바벨탑이 감내해야 할 불길한 징후를 예감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심연의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마치 빛이 소멸하고 어둠에 깃든 저 밤하늘에는 단지 우리 눈에 보이 는 저 별만 존재한다고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심연은 존재를 망각케 한다. 하지만 존재는 심연에 앞선다. 오히려 존재는 어둠을 품는다. 심연과 어둠 에 서 있는 존재는, 비록 설명되지 않을지언정, 자명한 존재이다. 그래서 은폐되어 있고 불가해한 존재 (essentia absconditus et incomprehensibilis)는 모르는 존재(essentia ignotus)가 아니다.[16] 사실 '비합리 적인 것'은 모르는 것이나 인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그것은 우리와 전혀 상관이 없다. 심지어 우리는 그것에 관하여 '비합리적인 것'이라고 조차도 이름붙일 수 없을 것이 다.[17] 이름은 존재의 징표이기 때문이다. 실로 융의 동시성 이론이나 죽은 자와의 대화는 우리의 이성 이 얼마나 빈약한 기능인가를 예증해 준다. 오히려 눈에 보이지는 않고 설명되지는 않는 세계가 우리 가 까이에 있고, 그리고 그 세계가 우리를 인도한다고 융은 말한다.
셋째, 융은 우리 각자의 生이 매우 소중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모든 인간 심성의 뿌리에는 저 깊은 무 의식의 세계, 전체의 세계와 닿아 있다. 그렇다면 각자의 生은 결코 가볍거나 보잘 것 없는 生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生은 우주를 닮아 있다. 영원의 세계인 무의식의 현현이 각자의 生인 것이다. 플레로마의 세계에서 클레아투라의 세계로 뛰어든 최초의 사건이 生이다.[18] 우리의 生은 불멸의 무한한 세계가 유 한한 세계 속으로 뛰어든 사건이다. 더 나아가 우리의 生은 끊임없는 성숙을 지향하는 존재이다. 그 지향 이 바로 '개성화'인 것이다.[19]
우리는 융을 통하여 살아있음(生)이 결코 예사스럽지 않음을 발견한다. 이제 생은 환희이고 생명은 경 이로움이다. 하늘을 향해 날개를 펄럭거리며 비상하는 저 새를 보자. 새는 날기 위하여 얼마나 지난한 시 간동안 새가 되려는 꿈을 꾸었을까. 인간은 인간이 되고 싶어서 얼마나 긴 계절을 인간의 꿈을 꾸었을까. 인간은 백 년의 삶을 만나기 위하여 백 만년 동안, 그 한 순간 만을 꿈꾸어 온 존재이다. 백 만년 겨울잠 의 기나긴 제의를 통하여 우리의 삶은 주어진 것이다. 우리 삶의 밑둥에는 백 만년의 지난한 세월을 견 뎌온 뿌리가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지금 단지 백 년을 사는 삶이 아니다. 우리는 백 만년을 몸으로 살아 가는 푸른 생명나무이다. 그 생명나무가 가장 찬연한 열매를 맺는 그 순간, 그 절묘한 순간이 바로 지금 의 生이다. 그러기에 生은 저 영원의 빛의 드러남이다. 또한 지금의 生은 자신의 고유한 모습을 구현 (Individuation)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어디론가 나아간다.
마지막으로, 꿈은 인류를 구원하는 유일한 길임을 우리에게 예언한다. 꿈이란 자기와 자아가 체험하는 두 지대의 합이다. 그렇기 때문에 꿈은 삶을 회복할 수 있게 해주는 중심의 소리이다. 꿈은 삶의 해리를 통합한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아름다움이 이 세상을 구원하리라!"고 고백하였다면, 융은 "꿈이 이 세상을 구원하리라!"고 지금 우리에게 고백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구원은 꿈을 타고 우리에게 건너오기 때문이다.
우리가 처음 서늘하게 만났던 융에 대한 감정은 이제는 따스한 할아버지로, 예리한 관조의 시선을 통 하여 우리의 상한 영혼을 치유해 주는 영혼의 의사로, 오늘의 가난한 마음과 가난한 문명에 한 줄기 빛 을 선사하는 천상의 헤르메스로 새롭게 다가오고 있다.
....
꿈은 마음의 가장 깊고, 가장 은밀한 곳에 숨어 있는 작은 문(門)이며 그 문은 저 우주의 태고적 밤을 향하여 연다. 그것은 아직 자아의식이 없던 시기의 마음이었고 자아의식이 일찍이 도달할 만한 곳을 훨씬 넘어서 있는 마 음이 될 태초의 밤이다.[20]  
- 칼 구스타프 융 -

■ 각  주
 
[1] 융은 1875년 스위스 산간지방인 케스빌에서 태어났다. 이 저서를 쓴 시기가 1961년, 융은 이 저서를 탈고한지 10 일 후 병들어 누워 영면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저서야말로 융의 유작이라 할 것이다. 융은 여든 일곱에 이 저 서를 기록하였다. 한 생을 인간의 인간다움을 위하여 전심전력을 기울여 살았던 탁월한 의사요 심리학자로서, 이 저서는 그의 인간이해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융에게 있어서 이 저서는 모든 비전문적인 독자들에게 전하는 소 중한 삶의 언어이다. 그리고 융의 인간적인 면이 흠뻑 배어나오는 사랑의 언어이다. Man and His Symbols는 국내 에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다양한 번역서 가운데 추천할 만한 것은 집문당에서 출판한 이부영 역의 <인간과 무의 식의 상징>이다. 이부영 교수는 스위스 융 연구소를 직접 거친 독보적인 융 전문가(Jungdian)이다.
[2] 아니엘라 야훼(이부영 역),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서울: 집문당, 1989), p.17.
[3] C. G. Jung,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Belief in Spirits, The Collected Works, vol. 8 (New York :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303-4.
[4] C. G. Jung, Answer to Job, The Collected Works, vol. 11, p.386.
[5] C. G. Jung, Man and his Symbols (London: Aldus Books, 1964), p.85.
[6] Ibid., p.58.
[7]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집문당, 1978), p.196 ; "I have no theory about dreams, I do not know how dreams arise. And I am not at all sure that - my way of handling dreams even deserves the name of a 'method.'" C. G. Jung, The aims of Psychotheraphy, The Collected Works, vol. 16, p.42.
[8] Man and his Symbols, p.58.
[9] {회상, 꿈 그리고 사상}, pp.434-47.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예능 출연 한방으로 인생 바뀐 스타는? 운영자 25/02/03 - -
766441 1050 중고가가 아직도 10만원이네 [2] ㅇㅇ(222.235) 21.04.03 95 0
766440 아무리 생각해도 내구성은 옛날본체가 더 좋음 [1] 가젯트(222.120) 21.04.03 63 0
766439 슬램덩크 ㅋㅋ ㅇㅇ(119.197) 21.04.03 24 0
766438 아틱 p14 쓰는 사람들 질문좀 [8] ㅇㅇㄱ(121.168) 21.04.03 99 0
766437 컴퓨터 200만원 100만원 사이 어느정도 맞출수있음??? [2] ㅇㅇ(211.198) 21.04.03 96 0
766436 컴잘알 형님들 컴살려는데 요즘 cpu는 뭐가 좋습니까 [8] 짜증나는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58 0
766435 vga검출되지않음 뭐가 문제임 어캐하면 될까 ㅇㅇ(183.96) 21.04.03 32 0
766434 컴린이 조립중인데 이거 어떻게 처리해야함? [1] 붕붕(125.134) 21.04.03 59 0
766433 kvm스위치중에서 이렇게 되는거 있음? [11] 컴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92 0
766432 무거운 엑셀 프로그램 쓰는데 5600x로 바꾸면 빨라지냐?? [8] 매일십프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96 0
766430 4750G 하나만 있으면 좆같은 브가 필요도없다 [3] 이타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155 0
766429 게이밍노트북 사라니까 등신들아 ㅇㅇ(42.82) 21.04.03 56 0
766427 c드라이브 d드라이브 이름바꿔도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66 0
766426 내장그래픽이랑 글카 둘 다 쓰려면 케이블 2개써야돼? ㅇㅇ(121.130) 21.04.03 61 0
766425 얘 와꾸보면 몇살처럼 보임? [1] ㅇㅇ(211.114) 21.04.03 66 0
766424 3060이 채굴성능하난 지리네 ㄹㅇ [4] ㅇㅇ(118.235) 21.04.03 154 0
766423 전원 포트 다 안들어 간 거 같은데 괜찮아? [2] ㅇㅇ(211.42) 21.04.03 43 0
766422 나 정신 나갈것 같아!!!! ㅇㅇ(211.215) 21.04.03 53 0
766420 어제 학교에서 일하다 조선시대 노예된 기분들음 ㅇㅇ(39.127) 21.04.03 41 0
766419 3090 160만원일때 살걸 [2] 불가시경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157 0
766418 컴본갤 행성이의 만행 위니(110.9) 21.04.03 89 1
766417 글카값 아직도 이러냐 ㅇㅇ(118.32) 21.04.03 77 0
766416 위선 무능 내로남불이 특정 정당 유추되는 단어임? [4] ㅇㅇ(223.38) 21.04.03 55 2
766415 아 RC400이 [1] ㅇㅇ(121.139) 21.04.03 123 0
766414 올해는 컴 맞추는거 글렀다고 봐야되냐?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84 0
766412 지금 조립하고있는데 도와주셈 [4] 붕붕(221.152) 21.04.03 63 3
766411 산속에서 갱이 봤는데 위니(110.9) 21.04.03 43 0
766410 아 시발 좆박기전에 3070 저번달에 팔았는데 [1] 이타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105 0
766409 실시간 도움좀 3 [1] ㅇㅇ(211.36) 21.04.03 64 0
766408 3080시세가 200이네 ㅇㅇ(220.70) 21.04.03 73 0
766406 지금 제일 후회하는일 [14] HallOfFam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200 1
766405 일본 좋아하는데 이상하게 겜이나 애니일본말은 왜케 좆같냐 [2] (112.160) 21.04.03 64 0
766404 ㅎㅇ 갤럼들 [1] 갱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38 0
766401 유투버 하는거 구독자는 큰 의미없음? [2] 가젯트(222.120) 21.04.03 50 0
766400 140mm 케이스 쿨링팬 추천점 [5] ㅇㅇㄱ(121.168) 21.04.03 126 0
766399 4way 해쉬 계산해봄 [2] 33d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68 0
766397 Q9550은 명기였다. [1] ㅇㅇ(118.37) 21.04.03 49 0
766395 4090 pcb 벌써 나왔노 [3] ㅇㅇ(118.235) 21.04.03 104 0
766394 RTX 3050 성능 1060급은 되는거냐? [5] ㅇㅇ(120.142) 21.04.03 209 0
766393 아니 코일떨림음 fsp 종특이노? [1] ㅇㅇ(39.7) 21.04.03 144 0
766392 비트코인은 망해야됨 ilililIllI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47 0
766391 오픈월드 게임 자유도 너무 높으면 제작 불가냐? [6] 가젯트(222.120) 21.04.03 72 0
766389 9400f에서 5800x로 업글 vs 디딸5 존버 [2] ㅇㅇ(39.123) 21.04.03 77 0
766388 11900k 가 5900x 쳐바르는데?ㅋㅋ [3] ㅇㅇ(175.210) 21.04.03 153 1
766387 컴린이 견적 피드백좀 해주실래요 [19] 뚱이(39.122) 21.04.03 119 0
766386 작년 3월에 주식 약간 침체되었다고 하던데 [1] 레이븐릿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49 0
766385 3090 hof 사서 [2] ㅇㅇ(223.38) 21.04.03 94 0
766384 3050ti인가 구라벤치라고 뜬적있었는데 [5] ㅇㅇ(211.204) 21.04.03 103 0
766383 전기세 많이나와도 조사없음 [6] 고기먹다걸린스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85 0
766382 요즘 여고생들 발육 실화임??? [3] ㅇㅇ(43.230) 21.04.03 150 0
뉴스 “X같아도 일해야지”…‘미키 17’, 로버트 패틴슨 극한직업 포스터 디시트렌드 02.0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