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피겨스케이팅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피겨스케이팅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되팔이 일침하는 일본 어린이 갈치조림
- 싱글벙글 목수가 된 전 국회의원 페르난도.
- 거짓말이 들어가 있는 경찰 통합채용 사실확인 shrang
- 주황색 상어라니 이로치가이 같은건가? ㅇㅇ
- 지문이 없어서 벌금 낸 아이돌 ㅇㅇ
- 윰댕 댓글창 근황 ㅇㅇ
- 캣맘을 사냥하는 방법 ㅇㅇ
- 50mm로 바라본 뜨거웠던 토요일 영도 사진 (웹피특대고봉) aseven
- 장원영이 멘탈 관리를 하는.. 방법 ..jpg 3dd
- 해뜨는 남큐슈 아래에서 -1- 지엘라
- 싱글벙글 한국 천주교 근황.jpg ㅇㅇ
- 시진핑 150살까지 독재 선언 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
- (스압) MBC의 열병식 보도 변천사.jpg ㅇㅇ
- 김풍이 볼때마다 불태워버린다는 책 ㅇㅇ
- 연평도에서 한국군과 교전한 북한군 반응..jpg ㅇㅇ
파커 50 팔콘 만년필 복원
오랜만에 장편 복원글을 올려 봅니다. 이번에 복원한 파커 50 팔콘입니다. 클립의 도금이 벗겨졌습니다. 본래 무광이었던 닙은 세월의 풍파를 맞아 유광화 되었습니다. 클러치 링은 부식되어 원형을 잃었기에 교환이 필요합니다. 완전 분해 하였습니다. 복원 전 캡 몸통 표면에 기스가 있었습니다. 복원 후 캡 몸통 기스를 제거했습니다. 복원 전 클립 도금이 벗겨진 모습입니다. 표면 정리 후 클립 기스를 제거했습니다. 재 도금 후 클립 본래의 색을 되찾았습니다. 복원 전 닙 상부 유광화가 진행되었습니다. 복원 후 닙 상부 팔콘 닙의 무광 마감을 재현하였습니다. 복원 전 닙 하부 상부와 상태는 동일합니다. 복원 후 닙 하부 동일하게 무광 마감을 진행 했습니다. 본래의 클러치 링 부식의 정도가 심해 형상이 일부 떨어져나가 유실되었기에 복원 전 교체용 클러치 링 교체를 위해 따로 상태가 양호한 클러치 링을 준비했습니다. 그러나 교체용으로 준비한 이 클러치 링도 도금이 벗겨졌습니다. 표면 정리 후 클러치 링 기스를 제거하고 표면을 평탄화 했습니다. 재 도금 후 클러치 링 본래의 색을 되찾아줍니다. 복원 전 배럴 표면에 기스가 있습니다. 복원 후 배럴 기스를 제거했습니다. 모든 파츠의 작업이 끝났습니다. 결합 전 캡 파츠 캡을 결합했습니다. 결합 전 닙 파츠 닙 파츠를 결합하고 배럴과 컨버터를 끼워주고 캡을 놓아주면 작업이 모두 완료됩니다. 이상없이 잘 써 집니다 :) 아래 사진은 복원 전 후 비교 사진입니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wS_u56iQ0-ppTCrdoGOvHZ-ttWodFnXk&feature=shared 복원 과정을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작성자 : 펜공방고정닉
싱글벙글 한중일 타국에서 유래된 음식
너무 인기가 많아 그 나라의 삶의 일부가 된 음식 위주로 설명1. 다쿠앙(단무지)일본 -> 한국17세기 "타쿠앙 소호"가 만들어서 일제강점기때 한국에서 대중화일본은 짠맛이 강하고 한국은 "단"무지라 달고 시원하며 새콤달콤하다고함2. 라면(라멘, 라몐)중국 -> 일본 -> 한국중국현지에선 "라몐"은 요리이름이아니라 국수스타일의 한가닥이라고함 수타면이라는 뜻중국의 기원은 최소 한나라(밀가루로 만든 국수), 수타면(송나라 10~13세기)로 되어있음일본에서 닭육수를 넣은 밀가루로 만든 국수(수타면일 필요없음)를 라멘이라고 부르게 됨 (1870년대) 일본에선 중국음식이라고 여김한국에선 일본에서 보편화된 라멘을 라면으로 칭하며 삼양라면이 출시됨 꼬불꼬불한 면과 칼칼한육수가 특징 (1958년) 한국에선 일본음식인지 중국음식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다 같은 라면이지만 각 나라마다의 라면이 특색이 매우 강함3. 만두(만터우)메소포타미아 -> 중국 -> 한국메소포타미아 요리책에서 "푀겔헨"이라는 요리는 밀가루 반죽에 고기를 얹고 익혀먹는 음식으로 만두랑 거의 똑같은 조리법으로 먹음(푀겔헨)기원전 550년경 페르시아에서 이를 변형한 요시파라를 실크로드를 통해 한나라에 들여오고 "만터우"라는 이름으로 불림13세기 무렵(고려시대)때 몽골이 고려를 침공했는데 이때 중국식 음식문화도 전래됐다고함 이를 "만두"라고 함한국에선 중국유래 음식으로 알려짐4. 김밥(노리마끼)일본 -> 한국노리마끼(에도 시대 중기 1750년대) 김이 종이처럼 얇게 가공되어 밥을 말아서 먹음김밥(일제강점기 20세기 전반) 노리마끼에서 유래되었으며 회나 재료한가지를 넣는 노리마끼와는 다른 재료를 사용다만 노리마끼는 주로 회를 넣고 분식마냥 일상속에서 자주먹는 음식은 아님, 먹어보면 알겠지만 한가지 재료만 넣는등 김밥과는 확연이 다른맛5. 멘타이코(명란젓)한국 -> 일본1800년대 함경도에서 유래또는 부산 동구 초량동에서 유래로 추정 "시의전서"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기록에도 남아있는 요리1949년 "가와하라 도시오"가 일본에 유래함 이름마저(명태 -> 묭타이 -> 멘타이 으로 바뀜, 코는 새끼라는 뜻)다만 한국에서는 잘 먹지않고 일본에서 매우 국민적 요리로 "이거 하나만 있으면 밥먹을수 있다" 1위로 뽑힐정도로 매우 대중적인 음식일본에서도 한국요리라기보단 일본요리라는 인식이 강한듯 일본의 김밥느낌, 수출도 "mentaiko"로 수출된다6. 야키니쿠(불고기)한국 -> 일본조선시대즈음에서 석쇠에 고기를 구워먹는다는 방식1872년대에 야키니쿠(구운고기)라는 이름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재일한국(조선)인이 일본에서 개점하며 인기를끌게됨호르몬(곱창등), 카루비(갈비)도 어떻게보면 야키니쿠에 속하므로 설명하지않음일본에서는 한국의 짜장면같은 포지션, 매우 많이 소비됨한국에서는 의외로 이걸 또 "야키니쿠"라고 하고 메뉴에도 "카루비"라고 수입해서 이름붙임 ㅋㅋ
작성자 : ㅁㅁ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