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스테이지 파이터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스테이지 파이터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스압)부산 첫 일러스타 페스 행사 후기,,,,,무조건 클릭!! 제피
- 메스가키와 미연시 주인공 연애 숙제
- 특검 "김건희, 도이치 70만주 불법거래 3832회" 구속영장 적 헬마존잘
- 오늘자 딸배헌터.....역대급 금액갱신......jpg pondic
- 가만히 생각해보면 합류초기에는 탱커역할 잘하긴 했음 런갤러
- 싱글벙글 UFC챔피언이 말하는 길거리 실전 최강 무술 복싱
- 미개한 일본식 전통 까는 일본 덮밥 장인.jpg Du_Rove
- [흉흉] 기아 스포티지의 도어 스커프 ㅠㅠ 혁진이
- ■ 수준 높은 MLS를 즐기게 될 사람들을 위한 정보 득점
- 넷플릭스 일본 AV 배우나오는 예능 9월 PV 리뷰 oo
- 싱글벙글 너무 예뻐서 이름까지 요정이 되어버린 새.jpg 수인갤러리
- 사형집행 하나는 쌈빡한 놈들... ㅇㅇ
- 싱글벙글 트위터에서 많은 공감을 받고있는 일본 원폭 ㅇㅇ
- 여자는 남자 능력을 본다는 헛소리의 가장 완벽한 반례 젠슨황
- 대한민국 유일 외국인 사형수 ㅇㅇ
아편전쟁에서 중국군이 패한 과정...JPG
..서양의 군함과 대포 앞에 무력한 모습을 보이던 군대를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방책은 도가의 신비한 방술이나 사찰의 권법을 채용하는 것이었다.예를 들어 무술의 고수들이 물속에서 호흡하지 않고 10시간 이상 머물러 있을 수 있다고 장담하자 이들을 고용해 강물 속에 들어가 영국 전함의 바닥에 구멍을 뚫으려 하기도 했다.(중략)...이렇게 해서 이처럼 나라가 위급한 순간에 경전 연구를 중단하고 몰려든 열정적이지만 미숙한 젊은 서생들로 구성된 대규모 참모진이 구성되었는데, 장교들은 모두 앞다투어 자기 관품에 해당하는 호위병과 보조금 등을 요구했다. 따라서 지휘 계통이 분명히 서지 못했으며, 특히 여러 성에서 파견된 정규군들이 다른 지휘관의 명령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그러나 멋진 깃발, 수를 놓아 장식한 전투복, 번쩍거리는 무기 뒤에 가려 군 내부에 존재하는 이러한 분열은 간과되었다. 이들 서생들은 군 진영 내에서 여러 차례 다회와 연회, 그리고 시사문회 등을 개최하는 등 활기에 차 있었다. 실제 전투에 들어가기 한 달 전에 한 유명한 화가가 강렬한 색채의 아름다운 북송 원체화법으로 전투에서 승리하는 장면을 묘사하기도 했다. 심지어 총사령관 혁경 자신이 한 차례 글짓기 대회를 개최해어느 글이 앞으로 있을 승리를 선포하는 포고문으로 가장 잘 쓰였는지를 결정하느라고 며칠간을 바쁘게 보내기도 했다. 마침내 그는 교전 상황과 각각의 지휘관들이 어떻게 명령을 하달하고 전공을 표창하는지를 가상으로 그린 작품을 하나 골랐다.도광제의 사촌(혁경)이 전투를 언제 개시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를 놓고 어느 정도 고민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가 어느 하루 항저우의 한 사당에서 길일을 점치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되었다. 그는 '호랑이' 점괘를 뽑았다.이를 근거로 공격 시간은 정확히 호랑이에게 길한 임인년 인월 인일 인시, 즉 1842년 3월 10일 새벽 3~5시 사이로 정해졌다.그런데 이떄는 공교롭게도 비가 많이 오는 봄철이었다. 그리하여 군사들은 발이 푹푹 빠지는 길을 힘겹게 걸어와 바퀴 자국들로 어지러운 진창투성이 진지에 투입되어야 했으며, 더욱이 전투 전날 밤까지도 도로 사정 때문에 군수물자가 제대로 조달되지 못해 대부분이 여러 날 굶은 상태였다. 거의 탈진 상태에다 비에 흠뻑 젖은 몸을 이끌고 주린 배를 움켜쥐며 병사들은 공격을 준비했다.공격은 세 방향으로 개시되었다. 원래의 전투 계획에 따르면 36000명이 닝보의 서문과 남문으로 진격하고, 15000명은 전하이를 탈취하며, 1만 명의 수군은 전함이나 어선을 타고 바다를 건너 저우산을 재탈환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 병력의 60%가 참모본부의 호위병으로 파견되었고, 혁경은 술 생산지로 유명한 사오싱에 있는 사령부 주위에 개인 병력 3000명을 주둔시켜놓고 있었다.나머지 지원 부대는 혁경의 참모장의 지휘 아래 닝보와 전하이를 잇는 교량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리하여 실제로는 대략 4000명의 병사만이 공격에 나섰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그마저도 아무도 선봉에 서려고 하지 않았다.이처럼 모두가 머뭇거리고 있는 바람에 닝보 공격의 선봉 역할은 700명의 쓰촨 병사들에게 돌아가고 말았다. 이들은 기습 공격의 원칙을 준수해 최후의 순간까지 총을 쏘지 말라고 명령받았지만베이징어를 거의 할 줄 몰랐던 그들의 지휘관은 이를 총을 절대 휴대해서는 안 된다는 지시로 이해했다. 이로 인해 이들 진촨 토박이들은 칼 한 자루만을 손에 들고 영국 공병대가 매설해놓은 지뢰지대와 아일랜드 병사들의 유탄포 사정거리 안으로 유유히 걸어 들어갔다. 영국군이 발포를 개시하자 다른 미숙한 청군들이 이들 쓰촨 병사들의 후방으로 달려들면서 수천 명이 서문으로 몰리는 상황이 되었고, 곧 주변 거리에는 피가 강물을 이루었다. 영국군은 겁에 질려 우왕좌왕하는 청군들을 차례차례 학살해버렸다. 이 끔찍한 대살육에 영국인들조차 구역질을 느낄 지경이었다.만일 혁경이 지원 부대까지 투입했다면 그들은 아마 이 도시를 탈환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기묘한 아이러니라고 부르기조차 민망한 일이지만 후방의 지원 부대를 지휘하고 있던 그의 참모장은 가마 위에서 아편을 흡연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병력도 필요한 때는 이미 아편에 취한 상태였다. 그의 군관과 병사들은 첫 번째 포성을 듣자마자 도망쳐버렸다.이렇게 되자 단지 저우산 방면의 수군만 남게 되었는데, 그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 본 적이 한 번도 없는 사람들이었다. 항구를 출발하자마자 대부분의 병사들이 뱃멀미를 했고, 지휘관은 영국 함대를 만날까 두려워 이후 20여 일 동안 연해를 따라 배를 몰고 왔다갔다하면서 정기적으로 전투 상황을 허위로 보고했다. 이리하여 아편전쟁에서 청군이 감행한 마지막 공세는 끝났고, 그와 함께 명예로운 강화를 위한 모든 가능성도 사라졌다.존 K. 페어뱅크 - 캠브리지 중국사 10권 中1. 서양유럽이 근대과학으로 무장할때중국군은 전근대적 도가사상이나 권법무술 망상 2. 중국군은 근대식 참모진의 부재로 지휘계통 난립, 보급능력 부족, 무능한 지휘로 어이짐3. 작전구상 없이 공격 날짜를 점괘 미신에 의존중국군 지휘관과 참모장은 아편 빨다가 포성 듣고 도망감4. 결과는 영국의 일방적인 중국군 대살육 ㄷㄷ중국은 이후에도 아편전쟁의 교훈을 얻지 못하고 또 의화단 전쟁으로 서방에게 일방적인 패배 학살을 당하고 만다전훈을 얻고 배워야 하는 이유 ㄷㄷ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심심해서 정리해보는 역대 드라이브 페달 사용기 (초장문 주의)
드라이브 페달 여행 중 기록 차원에서 정리해둔걸 공유해봅니다~ 재미로만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 많을 수 있습니다참고로 저는 미펜 스탠다드를 메인으로, Prs se custom 24를 서브로 사용중입니다 이펙터는 힐릭스 + 꾹꾹이 쓰고있어요1. Ibanez TS808처음 페달보드를 맞출 때 구매해서, 멀티 이펙터로 넘어가기 전까지 메인으로 사용했던 페달이다. 일본 이케베 아키하바라점에서 TS9과 함께 구매했는데, 두 개를 비교해본 결과 808이 더 취향에 맞아 TS9은 바로 처분했다.808과 9은 성향이 꽤 다른데, 좀 더 모던하고 시원한 느낌을 원한다면 TS9, 텁텁하면서도 투명한 오버드라이브를 원한다면 TS808이 적합하다.나는 특별히 빈티지 사운드를 선호하는 편은 아니지만, 808을 켰을 때 미들대역이 확 살아나면서 부드럽고 투명하게 부스팅되는 느낌이 정말 좋았다. 메인 기타가 커스텀샵 60 픽업이 장착된 펜더 스트랫이다 보니 궁합도 매우 좋았다.투명한 성향 덕분에 다른 드라이브 페달과의 조합도 탁월한 편. 뒷단에 어떤 디스토션을 두어도 잘 어울리는 페달이다.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유는 부스팅 시 사운드가 부드러워지면서 동시에 약간 뭉개지는 듯한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터치감이 퍼즈스럽게 퍼지는 감이 있어, 하이게인에서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물론 이 특성이 라이브에서 실수를 커버해주는 장점도 있긴 하다.존 메이어, SRV 같은 블루스 스타일 연주에는 여전히 잘 어울리는 페달. 하나 사두면 평생 써도 좋을 만한 제품이다.2. Xotic BB Preamp Andy Timmons Signature메인 오버드라이브로 잠깐 사용했지만 금방 처분한 페달이다. 당시에는 톤에 대해 아직 미숙했을 때라 아쉬움이 남는다.게인량이 오버드라이브와 디스토션의 중간 정도로 애매하고, TS808과의 조합도 만족스럽지 않아 거의 사용하지 않고 팔았다.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이펙터 자체는 정말 좋은 제품이다. 질감이 상당히 좋고, 게인량도 높은 편이라 활용도가 높다. 미들대역이 꽉 차 있는 느낌이라 게인 부스터로도 좋고, 톤 보정용 프리앰프 역할도 훌륭하다.다시 사용한다면 앞단에 게인 부스터로 활용할 것 같다. 컴프 감도 어느 정도 있어 예쁜 소리를 잘 내준다.Andy Timmons의 Electric Gypsy 톤이 그대로 나오는 페달이다.3. Pro Co Rat 2흔히 구할 수 있는 중국산 RAT2. 펜더류 기타와 궁합이 좋다는 게 국룰처럼 알려져 있어 구매 후 짧게 사용해봤다.하지만 내 취향을 떠나, 다른 연주자들에게도 크게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가장 큰 문제는 스윗스팟이 굉장히 좁다는 것. 좋은 소리가 나는 구간이 명확해서 그 범위를 벗어나면 소리가 애매해진다.또, 기본적인 사운드 자체가 불쾌한(?) 느낌이 있다. 주차장에서 맡을 수 있는 휘발유 냄새가 연상된달까...RAT의 장점 중 하나는 디스트를 많이 올려 퍼즈처럼 쓸 수 있다는 점인데, 이 경우에도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았다.다만 이건 중국산 RAT 한정 이야기고, 과거에 나온 미제 RAT은 소리가 완전히 다르며 훨씬 좋다.그래도 TS 계열과의 조합은 괜찮아서, 10만 원 이하로 구할 수 있다면 나쁘지 않다.4. Fulltone OCD V2BB Preamp와 마찬가지로, 사용법을 잘 모른 채 금방 처분한 페달이다.필자는 쏜애플을 정말 좋아하는데, 쏜애플 2016년 불구경 때 홍동균이 사용했었다고 한다(버전은 모름). 이번 불구경에서 윤성현이 사용하기도 했더라 ㄷㄷ처분 당시에는 게인량이 애매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 돌아보면 좋은 드라이브 페달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전압도 18V까지 지원하고, 노브 가변성도 좋은 편이다. LP/HP 모드 토글이 있어 상황에 맞게 세팅하기 쉽다.TS 계열과의 조합도 좋고, 특히 펜더류 싱글코일 기타와의 궁합이 굉장히 좋은 편이다.강한 하이게인이 필요하지 않은 음악을 커버한다면 메인 드라이브로 추천할 만하다.단점은 저음부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인데, 이는 제작자의 의도라고 한다. 톤을 아무리 올려도 두툼한 저음이 살아 있어 깁슨류 기타와는 조금 과한 느낌이 날 수 있다고 한다(깁슨이 없어서 이부분은 잘 모르겠어요 ㅎㅎ). 하지만 펜더, 존써, 타일러 등의 스트랫 사용자에게는 정말 좋은 페달이라고 생각한다.버전에 따라 중고가가 천차만별이며, 전반적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V2는 아직 20만 원 초반대에 구할 수 있다.5. Suhr Riot 미니부티크 페달, 하이엔드 페달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존써의 라이엇. 나는 미니 버전으로 구매해서 사용했는데, 당시에 정말 만족하면서 썼다.질감은 모던하고 깔끔하며, 뻗어주는 힘이 좋아서 솔로, 백킹 모두 좋은 사운드를 들려준다. 노이즈도 적은 편이고, 앰프를 잘 안 타며, 다양한 오버드라이브와의 궁합도 좋다. 지금까지 써본 디스토션 중 탑 3 안에 들 정도.단점을 굳이 꼽자면, 너무 깔끔하고 정제된 사운드라 기타 본연의 소리가 살짝 묻힐 수 있다. 빈티지 성향 디스토션 특유의 으르렁거리는 느낌과는 거리가 있어서, 그런 스타일을 좋아하는 사람에겐 불호일 수 있다.요즘 중고가가 많이 올라 20만 원대에 육박하지만, 그 가격에도 충분히 값어치를 하는 페달이다.6. Boss BD-2일본 여행 중 9만 원에 신품으로 구매한 BD-2. 얼마 지나지 않아 통장 사정으로 팔았는데, 지금은 후회 중이다?오버드라이브 페달이 워낙 고가인 시대에, 여전히 10만 원 초중반대의 가격을 유지하면서 좋은 소리를 들려주는 페달.깨끗하고 바삭한 질감에, 게인량도 충분해서 백킹도 문제없이 커버 가능하다.게인 부스터보다는 메인 오버드라이브로 사용하는 걸 추천하며, 특히 일본 노래 커버하는 텔레캐스터 유저들에게 잘 어울릴 것 같다.그린데이의 빌리 조 암스트롱도 Dookie Mod JCM800 앰프에 Bd-2를 켜서 사운드를 만든다고 한다.기타를 가리지 않고 좋은 소리를 내주는, 보스의 최고의 가성비 페달.7. Marshall Shredmaster일본 여행 중 BD-2와 함께 구매한 마샬 슈레드마스터.그 당시 라디오헤드 커버를 열심히 하던 시기였고, 조니 그린우드가 사용하는 페달로 유명해 관심이 갔다.조니는 이 페달과 펜더 텔레캐스터 플러스, 펜더 Eighty Five 앰프, 복스 AC30을 조합해 라디오헤드 2집 The Bends를 녹음했다고 한다.마침 마샬에서 리이슈 제품이 막 출시되던 타이밍이라 일본에서 예약 후 바로 가져왔다.귀국 후 합주 때 종종 사용했는데, 너무 큰 기대 탓인지 생각보단 큰 메리트를 느끼진 못했다.물론 나쁜 페달은 아니고, 사운드는 여전히 좋지만, 이 스타일의 디스토션 페달들이 이후 많이 나와버렸다.가변성 좋은 3밴드 EQ가 필요하면 JHS Angry Charlie, MXR Super Badass라는 선택지가 있고, 앞으로 치고 나오는 드라이브가 필요하면 Dawner Prince Red Rox, Friedman BE-OD라는 선택지가 있다. 이 외에도 마샬류는 차고넘친다.그래서 지금 시점에서는 다른대안이 더 매력적인 것 같다.하지만 라디오헤드, 특히 조니 그린우드 팬이라면 팬심으로 충분히 사용할 만하다.외관도 크고 투박한 느낌이라 정말 멋있다. 요즘 페달들과는 다르게 눌렀을 때 ‘딸깍’이 아니라 ‘철컥’ 하는 감성적인 클릭감도 좋다.스트라이몬 3대장이 올라간 대형 보드에 올리면 비주얼은 진짜 끝내준다.다른 오버드라이브 페달들과의 조합도 좋다. 잔레이, 튜브스크리머, Timmy 등과 잘 어울린다.8. MXR TimmyMXR과 Paul Cochrane의 콜라보로 탄생한 작은 사이즈의 Timmy 페달.오리지널 Timmy는 나는 가수다 시즌 1 당시 거의 모든 기타 세션들의 보드에 있었다고 할 정도로 인기 있었다고 한다.이 페달의 가장 큰 장점은 게인 부스터로 사용할 때라고 느꼈다.튜브스크리머와 달리 사운드를 깨끗하게 부스팅해준다. 마치 페달에 게인 노브가 하나 더 달려 있어서, 그걸 올리는 느낌이랄까? 이런 비슷한 느낌으로 RC 부스터가 있다고 한다.기분 좋게 게인만 올라가는 느낌이라, 페달 조합을 까다롭게 타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다.프리앰프처럼 앞단에 둬도 좋고, 게인을 끝까지 올려 부스팅하면 덤블 스타일 사운드도 낼 수 있다.가격도 합리적이고, 외관도 예뻐서 추천하고 싶은 페달.지금은 없지만, Helix 안의 Timmy 시뮬레이션을 여전히 잘 쓰고 있을 만큼 깔끔한 게인 부스터로 마음에 들었던 제품이다.9. MXR Classic 108 Fuzz 이케베 아키하바라점에서 귀국 직전 충동구매한 퍼즈 페달.실리콘 퍼즈페이스 기반 제품으로, 버퍼 스위치가 있어서 페달보드 내 시그널 순서 제한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던롭 퍼즈페이스보다는 사용하기 쉬운 사운드를 들려주며, 퍼즈를 끝까지 올려도 퍼즈양도 그리 많지 않다.퍼즈 입문자나 "질감만 가볍게 찍먹"하고 싶은 사람에게 가격, 크기, 실용성 면에서 모두 좋은 선택이다.이상순 씨도 이 퍼즈를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무난하고 실용적인 실리콘 퍼즈를 찾는다면 매우 좋은 옵션.10. Dawner Prince Red Rox현재 메인 드라이브로 아주 잘 사용 중인 다우너 프린스의 Red Rox.버즈비 출시 이후 극찬을 받았고, 기어타임즈 시연 디스토션으로도 잘 알려진 제품이다.이 페달의 가장 큰 매력은 기름칠된 돌덩이 같은 묵직한 톤이다. 다른 페달들과는 다르게 파워코드에서 나오는 밀어주는 힘이 압도적이다.스윗스팟이 넓어 세팅이 쉬우며, 여러 상황에서 빠르게 좋은 톤을 만들 수 있다.합주 위주의 연주자라면 톤 잡을 시간 없이 '그냥 꽂고 치면 되는' 이런 페달이 최고다.단점이라면 두 가지가 있다.첫번째는 노이즈가 많다는 점이다. 특히 빈티지 펜더류에는 다소 불리할 수 있다. 좋은 파워서플라이(Strymon Zuma, Voodoo Lab 등)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두번째는 앰프를 가린다는 점이다. 나는 마샬 JCM2000, 펜더 트윈리버브, Vox AC30에서는 모두 좋은 소리를 얻었지만, 레이니, 블랙스타, 오렌지 등 비주류 앰프에서는 좀 별로였다는 후기를 종종 볼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힘 있고 기름진 디스토션을 원한다면 강력 추천.18V 전원 연결 시 더 넓은 헤드룸과 입자감을 얻을 수 있다.11. Wampler Pantheon Deluxe적재 밴드의 기타리스트 최원석님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된 페달. 원석님이 항상 보드에 올려두는 페달이라 관심을 가졌고, 결국 메인 오버드라이브로 선택했다.현재 내가 가장 만족하는 드라이브 페달이다. 소리가 정말 좋다. 오른쪽 채널은 블루스 브레이커 기반의 모던한 사운드고 왼쪽 채널은 아날로그맨 King of Tone을 연상시키는 따뜻하고 풍성한 로우게인 사운드이다.각 채널마다 EQ도 잘 작동하고, 채널 순서 변경도 가능하다.둘 다 단독으로도 훌륭하지만, 스택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소리를 들려준다.특히 디스토션과 달리 오버드라이브 페달은 스택 시에도 한 음 한 음 구분이 잘 되고, 코드의 줄 구분도 명확하게 들리는 편이다.그 덕분에 음을 또렷하게 쳐야 하는 연주에서 두 채널을 함께 켜서 자주 활용한다.게인량이 많지 않아도 소리가 치고 나오는 성향이라 연주 중 귀에 확 꽂히는 장점도 있다.내가 사용하는 빈티지 성향 펜더류 기타와도 아주 잘 어울리고, 타일러, 앤더슨 같은 모던 기타와의 궁합도 훌륭하다.모던한 음악뿐 아니라 블루지한 톤에도 어울려서 존 메이어 스타일의 톤도 쉽게 만들 수 있다.또 하나의 큰 장점은 MIDI 제어 기능이다.MIDI 입력이 가능해서 Helix와 연동해두면, 별도의 탭댄스 없이 버튼 한 번으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나는 Helix에서 MIDI 커맨드를 설정해서 Helix를 컨트롤러처럼 사용 중인데, 편의성이 정말 좋다.유일한 단점은 높은 가격대인 것 같다.중고가는 20만 원 후반대로 다소 고가이지만, 듀얼리스트나 Protein 같은 페달들이 30만 원을 훌쩍 넘는 걸 감안하면, 기능성과 소리모두 고려했을 때 메리트가 충분한 제품이라고 생각한다.블루스 성향 연주자는 듀얼리스트, 모던성향 연주자는 판테온 디럭스를 추천하는 편이다.12. Radial Tonebone Hot British V9악기점에서 레스폴 시연하다가 우연히 써보고 깜짝 놀라 중고로 9만 원에 구매한 디스토션 페달.그날 사용했던 앰프가 펜더 트위드였는데, 이 페달을 켜자마자 앰프가 마샬 JCM처럼 변한 것 같은 소리가 나서 정말 놀랐다.질감도 일반적인 페달 느낌보다는 앰프 게인에 가까운 느낌이어서, 입자감이 아주 좋다.처음 사용한 제품은 좌우로 길쭉한 구형 모델이었고, 전원도 15V를 요구하며 진공관이 내장된 버전이었다.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이 V9 버전은 전원이 9V로 변경되었고, 내부 진공관 제거된 솔리드 스테이트 방식이며 외형도 컴팩트하게 바뀌었다.진공관이 없어진 건 아쉽지만, 내구성은 더 좋아졌고 사운드도 큰 차이 없이 훌륭하다.이 페달은 아직 합주나 라이브 등 실전에서 사용해보진 않고, 악기점에서 시연과 집에서 앰프 시뮬레이터를 통한 테스트 정도만 해봤다.지금 사용하는 Red Rox 대신 보드에 올려 실전 테스트해보고, 어느 쪽이 더 맞는지 결정할 생각이다.세컨보드를 짜게 된다면, 이 페달은 무조건 메인 드라이브로 올라갈 것 같다.의외로 사용자도 적고 유명하지 않아서 매물도 드물며, 가격도 매우 저렴한 편이다.조금 더 테스트가 필요하긴 하지만, 이 가격대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좋은 퀄리티의 페달이라고 생각된다.디자인은 요즘 감성과는 다르게 투박하지만, Radial 특유의 묵직한 느낌이 살아있다.마샬 JCM 계열 사운드를 좋아한다면, 한 번 써볼 만한 디스토션 페달인 것 같다.다음에는 공간계/모듈레이션도 적어볼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성자 : 깁슨이갖고싶은펜더유저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