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언리쉬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언리쉬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대통령실도 14일 입수"...'부동산 통계 왜곡' 결국 소송으로 ㅇㅇ
- 장원영 비방 영상 제작한 유튜버 2심도 징역 2년에 집유 3년 지민정
- 로맨스스캠 잘못 걸리면 처벌 받을 수도 있음 ㅇㅇ
- 커뮤에서 떠들썩한 남편&아내 조건 정리 ㅇㅇ
- 싱글벙글 아들이 아버지를 싫어하는 이유 ㅇㅇ
- ★카제나 최신 떡밥 풀어보는 만화★ ㅇㅇ
- 싱글벙글 한녀들 먹버하고 도망간 일본픽업아티스트 근황 ㅇㅇ
- 싱글벙글 군 제대 후 복학한 대학생 원룸 꾸며줌 ㅇㅇ
- 한국여자들이 정말 살기 힘든 이유 ㅇㅇ
- 싱글벙글 수학이 최고 어려운 학문인 이유 개판1분전
- 싱글벙글 유독 사치부리는걸 싫어한다는 오타니 가족들 ㅇㅇ
- 싱글벙글 연봉 300억대 일본 만화가의 사치? 부리기 ㅇㅇ
- 이재명 "현수막 혐오·허위정보 엄중 처벌" NiKe
- 600년만에 모습 드러낸 보물선... 현존 유일 조선시대 선박! 난징대파티
- 국제올림픽위원회, 트랜스젠더 여성 올림픽 참가 금지 딸배왕왕웨이
원산지 논란 백종원 무혐의…법인·실무자만 송치
하오.....- 백종원, '국내산 덮죽' 무혐의...'농약통 주스'는 내사 종결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6161168?sid=101 백종원, '국내산 덮죽' 무혐의...'농약통 주스'는 내사 종결더본코리아 제품의 재료 원산지 허위 표시 의혹으로 경찰 조사를 받은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사진=뉴스1) 서울 강남경찰서는 지난달 말 백 대표에 대해 식품표시광고법n.news.naver.com[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더본코리아 제품의 재료 원산지 허위 표시 의혹으로 경찰 조사를 받은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서울 강남경찰서는 지난달 말 백 대표에 대해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검찰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고 10일 밝혔다. 더본코리아 법인과 실무자 2명은 검찰에 불구속 송치됐다.백 대표는 더본코리아의 ‘덮죽’과 빽다방의 ‘쫀득 고구마빵’을 홍보하며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오인하게 했다는 의혹 등을 받아 지난 3월 경찰에 고발됐다.앞서 서울 강남구청은 올해 3월 “더본코리아 덮죽 광고에 ‘자연산 새우’를 표기한 건 허위 사실”이라는 국민신문고 민원을 접수해 조사에 나섰다.이후 더본코리아 직원을 불러 “덮죽에 들어가는 새우가 자연산인지 별도로 확인하지 않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구청은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에 따른 시정 명령을 통보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문제의 제품은 백 대표가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에 출연했을 당시 맛집 레시피를 활용해 개발한 간편식 제품이다.해당 제품의 상세 페이지에는 ‘국내산 다시마, 새우, 멸치를 사용해 만든 특제 비법 죽육수’, ‘덮죽 토핑의 화룡점정 자연산 새우’ 등이라고 기재돼 있다. 하지만 제품 원재료명에는 ‘새우(베트남)’으로 표기돼 있다.문제가 제기되자 더본코리아는 해당 제품 소개 문구를 ‘국내산 다시마를 사용해 만든 특제 비법 죽육수’, ‘덮죽 토핑의 화룡점정 통통한 새우’로 수정했다.같은 시기 더본코리아는 빽다방의 ‘쫀득 고구마빵’에 대해서도 외국산 원료를 쓰고 ‘우리 농산물’로 홍보했다는 지적을 받았다.이에 백 대표는 사과문을 내고 “원산지 표기 문제를 포함해 모든 제품의 설명 문구에 대해 철저히 검사하고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상시 감시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바비큐 축제에서 사과주스를 농약통 분무기에 담아 고기에 살포하는 등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진정이 접수된 4건에 대해서는 무혐의로 입건 전 조사(내사) 종결 처분했다.박지혜(noname@edaily.co.kr)================================농약통은 아예 무혐의, 원산지 허위표기는 꼬리자르기 느낌이네
작성자 : NiKe고정닉
中회사 손실나면 우리 세금으로 보전? 철회도 못하는 불평등 협정
지난달 18일 첫 운항을 시작한 제주-중국 칭다오 화물선 1968년 제주항이 무역항으로 지정된 이후 처음 열린 국제 화물 항로임 하지만 화물선 운항 한 달도 안 돼 물동량 확보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음 해당 화물선의 적재 용량은 712TEU로, 6미터 길이의 컨테이너 712개를 실을 수 있음 첫 주 수입 38개, 수출 6개로 시작했지만 둘째 주 12개, 1개, 셋째 주엔 1개, 2개로 갈수록 줄어듦 주로 페트칩과 어망, 석재 등이 수입됐고, 가공식품과 냉동 고등어 등이 수출됐음 물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제주도는 협정에 따라 중국 선사 측에 손실 보전금을 지급해야 함 첫 지급일은 10일로, 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특히 제주도와 중국 선사 간 협정서를 보면, 사업 철회 권한이 제주도가 아닌 중국 선사 측에만 있는 것으로 돼 있음 제주도 입장에선 협정 구조가 불평등할 수 있는 것 제주도는 물동량 확보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지만, 단기간 내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함 댓글든 반응처럼 진짜 어이가 없을 수밖에 없는 상황 자 그래서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어떤 사람인가 ... 진짜 섬이라고 가만 놔뒀더니 장난하나 당장 제주도 자치권 회수하고 중앙 정부가 직접 관리해야한다고 봄 강원도랑 전라북도도 움직임이 심상치 않던데 그냥 특별자치도라는 걸 없애는 게 맞는 것 같음 특별자치도도 아닌 이런 기초자치단체까지 말같지도 않은 짓을 하며 설쳐대는데 그보다 훨씬 더 많은 권한을 준 특별자치도가 개지랄 하는 거도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지 이참에 헛짓거리하는 지자체들은 아예 박살을 내버리고 권한을 축소시키는 게 맞을듯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