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K9, 호주 자주포 사업 단독 후보 선정! 1조원 규모 수출될듯!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9.04 10:39:42
조회 1635 추천 16 댓글 37








한화디펜스, 호주 자주포 사업 단독 후보 선정 / 한화디펜스 제공



- ‘K9 30문, K10 15문 납품’ 제안서 평가 진행 … 2021년 계약 목표


- 대한민국 ‘명품 자주포’ 기술력 입증 … 코로나 뚫고 K9 수출 ‘순항’ 




한화디펜스(대표이사 이성수)의 K9 자주포가 아시아와 유럽을 거쳐 오세아니아 지역 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호주 국방부는 3일 K9 자주포를 생산하는 한화디펜스를 호주 육군 현대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Land 8116’ 자주포 획득사업의 단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화디펜스는 호주법인(HDA: Hanwha Defense Australia)을 주축으로 호주 정부와 제안서 평가와 가격 협상 등을 진행한 후 내년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K9 자주포 30문과 K10 탄약운반장갑차 15대, 기타 지원 장비 등을 도입하는 이번 사업에는 총 1조 원 가량의 예산이 편성되어 있다. ※ HDA: 2019년 2월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에 설립


이번 결정은 K9 자주포가 호주 사업 도전 10년 만에 결실을 이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지난 2010년, K9 자주포는 호주 육군 자주포 사업의 최종 우선협상대상 장비로 선정됐지만 현지 사정으로 2012년 사업이 중단된 바 있다.


한국과 호주 정부가 그동안 지속적인 국방·안보 협력을 이어온 점은 이번 성과의 원동력으로 꼽힌다. 양국 정상은 지난해 9월 국방방산 협력을 주요 의제로 정상회담을 개최했으며, 이어 12월엔 양국 외교·국방(2+2) 장관 회의를 열며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한화디펜스가 호주법인을 설립한 이후 현지 생산시설 구축 계획 등 호주 방위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며 적극적인 ‘현지화 노력’을 기울여 온 점도 주효했다.


호주법인 대표인 리차드 조 (Richard Cho) 상무는 “현지 자주포 생산 및 정비 능력을 구축하여 최고 성능의 장비를 호주 육군에 제공할 계획”이라며 “호주군을 통한 K9의 성능개선 활동이 K9 계열 장비를 운용중인 다른 국가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화디펜스는 또한 호주 자주포 생산역량 강화를 위해 현지 중소 업체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유기적인 현지 납품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현지 자주포 생산 시설 등이 구축되면 빅토리아주 질롱 지역에 약 35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K9 자주포는 국내 포함 전 세계 1,700여 대가 운용 중인 대한민국 대표 방산 수출 장비이다. 2001년 터키를 시작으로 폴란드와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에 수출됐으며, 최근 코로나19 여파 속에서도 정상적인 생산 및 해외 납품을 이어가며 구매국가들에게 큰 신뢰를 심어주고 있다.


K9은 155mm, 52구경장 자주포로 압도적인 화력과 높은 기동성 및 생존성을 자랑한다. 장거리 화력지원과 실시간 집중 화력 제공 능력을 바탕으로, 사막에서 설원까지 다양한 작전환경에서의 운용이 가능하다. 호주에는 방호력과 감시·정찰 능력이 한층 강화된 최신 K9 장비가 납품될 예정이다.


호주는 노르웨이에 이어 K10 탄약운반장갑차를 도입하는 두 번째 국가가 될 예정이다. K10은 한번에 104발의 포탄을 적재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자동 탄약 공급으로 K9 자주포의 작전 능력을 극대화시킨다. 특히, 호주 육군에 납품될 K10 차량은 K9 자주포 수준의 방호력을 갖춘 ‘K10 AARV(Armored Ammunition Resupply Vehicle)’ 기종으로 생산될 예정이다.


한화디펜스 이성수 대표이사는 “호주 K9 도입 결정은 한-호주 국방·방산협력의 값진 결실이자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입증한 쾌거”라며 “호주 정부와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지 생산시설 구축과 인력양성 등에 힘써 호주 방위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상)







K9 노르웨이 시험평가
 






K10 탄약운반장갑차
 





 
K9 자주포 K10 탄약 보급

 

 

 

 

K9 자주포 성능 및 수출 현황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디펜스가 10년 간에 걸쳐 국내기술로 독자 개발한 제품(‘98년 개발 완료)으로, 압도적인 화력과 높은 기동성 및 생존성을 갖추고 있다.


최대사거리 40km의 장거리 화력지원, 실시간 집중 화력 제공을 위한 15초 내 빠른 발사속도, 분당 최대 6발의 사격 능력 등 사막에서 설원까지 다양한 작전환경에서 운용이 가능한 장비이다.


이러한 검증된 성능을 인정받아 K9 자주포는 대한민국 방산 수출을 이끌고 있다. 2001년 한국 방산 기업으로는 최초로 터키와 기술이전을 통한 현지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한 이후, 폴란드,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과 연이어 수출 계약을 맺었다. 현재까지 약 600여 문의 K9 자주포가 수출됐고, 추가 수출 협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 포함 1700여 대의 K9 자주포가 전 세계에서 운용 중이다.


스톡홀롬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지난 2000~2017년 세계 자주포 수출 시장에서 K9 자주포가 4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최강 자주포 중 하나로 평가받는 독일 PzH 2000보다 높은 수출 실적이다.



주요 성능


K9 자주포의 주요 특성으로는 구경 155mm, 52구경장으로 길이 8m에 달하는 포신에서 발사되는 포탄의 최대 사거리가 40km에 달하여 대(對) 화력전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개발 당시 NATO는 10년 이후에 적용할 화포와 관련해 사거리 40km의 무장과 탄약에 관한 탄도협정을 체결했는데 이 기준을 K9 자주포 개발에 적용해 당시 운용하던 화포의 취약성인 사거리 문제를 보강할 수 있도록 했다.


K9 자주포는 자동화된 사격통제장비, 포탄 이송과 장전장치를 탑재하여 사격 명령을 접수한지 30초 이내에 탄을 발사할 수 있으며, 15초 이내에 최대 3발을, 3분 동안 연속 18발을 사격할 수 있어 초기에 적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기존 곡사포가 사격명령을 받으면 첫 사격을 할 때까지 2분에서 길게는 11분까지 걸리는 시간을 30초에서 1분으로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K9 자주포 1문이 기존 포의 3배를 사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비의 성능과 반응성을 높였다.


국내에서 개발한 고강도강(High strength steel)으로 장갑화해, 적의 화기와 포탄 파편으로부터 전투요원을 보호하는 높은 생존성을 갖췄다. 또한, 산악지역이 많은 한국의 지형부터, 넓고 광활한 평원, 눈이 쌓인 설원, 정글, 사막 등 다양한 환경에서 주행이 가능한 뛰어난 기동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격 후 신속한 진지변환(Shoot&scoot)의 전술운용에 최적화되어 있다.


K9 성능개량도 가속화되고 있다. 2018년부터 보조동력장치, 열상형 야간잠망경, 자동사격통제장치 등이 추가된 K9A1 성능개량 모델이 순차적으로 우리 군에 납품되고 있다. 향후 고반응 원격 자동화포 기술 등이 접목되고 원격 무인화·자동화가 가능한 K9A2가 개발될 예정이다. 더 나아가 포탑 및 기동 완전 무인화가 가능한 K9 개발도 2030년 이후에 진행될 전망이다.



<주요 제원>


전투 중량 : 47톤
전장/전폭/전고 : 12m / 3.5m / 3.4m
최고속도/항속거리 : 67km/h / 360km
엔진출력 : 최대 1,000마력 / 톤당 21.3마력
주무장/부무장 : 155mm / 52 강선포 (최대 사거리 40km) / 12.7mm K6 기관총
발사속도 : 급속 3발/15초, 최대 6발/분(3분간), 지속 2발/분(1시간)
초탄발사 : 정지 시 30초 이내, 기동 시 60초 이내
탄약적재량 : 48발



K10 탄약운반장갑차


K10 탄약운반장갑차은 세계 최초의 자동화 탄약 운반용 장갑차이다. K9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한번에 104발의 포탄을 장착할 수 있다.



<주요 제원>


전투 중량 : 47톤
전장/전폭/전고 : 8.5m
최고속도/항속거리 : 67km/h / 360km
엔진출력 : 최대 1,000마력
승조원 : 3명(탄약반장, 탄약병, 조종수)
탄두 적재량 : 104발
이송능력 : 분당 12발



K9 수출국 브랜드


K9 자주포의 수출 성공 비결은 단순한 무기 수출뿐 아니라 상대국이 필요로 하는 부품과 기술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맞춤형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브랜드 역시 K9 Thunder(천둥)라는 공식 명칭 외 각 나라 특성에 맞는 브랜드를 채택하고 있다.


1) 터키
 계약년도 – ‘01년
 브랜드명 – T-155 Firtina: 강풍, 폭풍으로 인한 파도나 모래 물결을 의미, 거친 운용 환경 특성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부각


2) 폴란드
 계약년도 –‘14년
 브랜드명 – KRAB: crab의 폴란드어, ‘단단한 껍질을 가진 게’를 택해 고강도강(High strength steel)의 차체 성능 부각


3) 인도
 계약년도 - ‘17년
 K9 Vajra-T: 한화디펜스가 인도 현지 생산을 담당하는 파트너사인 L&T와 협의해 명칭을 지음. 바지라는 힌디어로 천둥(K9 Thunder와 유사)을 뜻하며, 인도 고대 무기인 ‘금강저’에서 따온 것임


4) 핀란드
 계약년도 – ‘17년
 브랜드명 - K9 MOUKARI: 북유럽 전통의 무기 중 하나인 슬렛지 해머(sledge hammer, 일명 오함마(쇠망치))를 뜻하며, 강력한 화력 성능을 부각


5) 노르웨이
 계약년도 – ‘17년
 브랜드명 – K9 VIDAR: 노르웨이 국방부의 신형 자주포 도입 사업명이었던 ‘Versatile InDirect ARtillery system’의 약어이자 북유럽 신화 속 신 ‘비다르’를 의미함


6) 에스토니아
 계약년도 – ‘18년
 브랜드명 – K9 Kõu: 에스토니아어로 천둥(Thunder)의미, K9 자주포의 화력, 기동 능력을 드러내는 수출 브랜드명 활용


7) 호주
 계약년도 – ‘21년 예상
 브랜드명 – K9 Huntsman (미확정): 덩치가 큰 거미라는 뜻으로 힘과 속도를 기반으로 돌아다니며 사냥하는 특성이 있음. 이러한 특성이 견인포 대비 이동 및 대응이 빠른 자주포의 특성과 연관된다고 판단하여 가칭으로 사용 (최종 확정은 아님). 호주 서식 독거미의 이름을 딴 레드백(Redback) 궤도장갑차와의 연계성도 고려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bemil.chosun.com/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3

4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951 한·미 공군, AIM-9X 등 공대공·공대지 실사격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04 0
950 방추위, '한국형 사드' L-SAM 2, 천궁2 개량형 개발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67 1
949 北 정찰위성발사 주장 도발 대응…공격편대군 비행 및 적 지역 타격 훈련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332 11
948 국산 명품 헬기 수리온 최종호기 수락시험비행 완료 / 육군 제공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512 6
947 록히드마틴 시코르스키, ‘한국군 특수전 대형헬기 사업’ 시동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291 8
946 합참, '24년 연합·합동 폭발물처리 세미나 및 훈련 실시 / 합참 제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400 1
945 한화, 루마니아 방산 전시회 첫 참가…수출 앞둔 K9 자주포 전시로 총력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752 2
944 공군, '24년 전반기 소링 이글… 주야간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673 1
943 국산 장갑차 30대 페루행! 현대로템, 페루 육군과 전략 파트너십 체결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544 8
942 한·미 공군, F-35A·F-22 연합훈련 / 공군 제공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677 2
941 육군, 美모하비 사막에서 '2024년 미 NTC 소부대 연합훈련' 성료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889 4
940 공군작전사령부, 적 대규모 공중항체 침투대응 합동훈련 / 공군 제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63 2
939 한화시스템, 전투기용 AESA 레이더 해외 첫 수출…레오나르도와 공급계약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5 734 5
938 국산 해상 유도무기 삼총사 해궁·해룡·해성, 합동 전투탄 실사격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987 6
937 ‘팬텀 필승편대’, 49년 만의 국토순례 비행 / 공군 제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1122 7
936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전반기 합동 도서방어훈련 실시 / 해병대 제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257 2
935 LIG넥스원, 천궁II과 해궁 필두로 동남아 시장 공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447 5
934 <BEMIL 현장취재> 한화오션 부스 현장 브리핑 | YIDEX202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87 3
933 <BEMIL 현장취재>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 부스 | YIDEX202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379 3
932 현대로템, 페루에 K808 차륜형장갑차 첫 수출 쾌거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86 2
931 한화 방산 3사, YIDEX서 함정사업 역량 과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42 3
930 <BEMIL 현장취재> 시민들에게 위용을 보여주는 F-4E 팬텀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120 2
929 <BEMIL 현장취재> 파도처럼 적진으로 상륙하는 해병대…합동상륙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428 2
928 지지부진 수출 작업, 탄력받을까? 폴란드 신정부 방산대표단 방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626 3
927 일본에서 할 뻔한 ‘F-35 스텔스기 창정비’, 우리 손으로 한다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501 11
926 HD현대중공업, 중남미 최대 규모 함정 수주 계약 성공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379 6
925 기아 소형전술차량 초도물량 8개월 만에 폴란드 납품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245 14
924 육군37사단, 조우전 개념 적용한 소부대 전투기술 숙달 / 37사단 제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917 8
923 호주, 캐나다 함정 수출 추진…HD현대重, GE에어로 등 美방산사 협력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728 4
922 악천후에도 북 감시정찰하는 첫 고성능 대형 SAR 위성 지구궤도 올랐다!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572 14
921 캐나다, 호주 등 ‘K-함정’ 보러 내방…9개국 군관계자 HD현대重 시찰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838 4
920 3천톤급 ‘신채호함’ 해군 인도…SLBM 장착한 우리 군 핵심전력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1329 4
919 ‘K-전투기 파트너’ GE에어로스페이스, 독립 상장기업으로 새롭게 출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242 7
918 “중남미 방산 수출 새역사 썼다” HD현대중공업, 페루 함정 4척 수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753 4
917 미 해병대 최초 참가, 한미연합 KCTC훈련 실시 / 육군 제공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222 3
916 해군, 서해수호의 날 계기 전 해역에서 해상기동훈련 / 해군 제공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002 5
915 <BEMIL 현장취재>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 현장 취재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509 2
914 ‘K13 신형 기관단총’ 오작용으로 파손…특전사 해당총기 사용 잠정 중단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1262 3
913 ‘KF-21’ 공중급유 시험비행 첫 성공…‘하늘의 주유소’ 시그너스 투입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304 10
912 <BEMIL 현장취재> 육군 수도기계화사단, 한미연합 통합화력훈련 현장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795 4
911 이라크 고위 장성, 국산헬기 ‘수리온’ 탑승하러 방한…첫 수출 기대감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553 2
910 KAI, FA-50 단좌형 개발에 355억 투입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3187 10
909 <BEMIL 현장취재> 12.7mm 대물저격총 위력 시범 최초공개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442 7
908 오늘부터 한미연습… 美전략폭격기·핵추진잠수함 전개 가능성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1243 7
907 금전적 보상만으론 어렵다… ROTC 지원 급감 해결책은?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598 4
906 “한층만 맘대로 내려가도 탈영”... ‘도심 빌딩 방공 GOP’ 가보니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1198 2
905 K-함정 호주에 팔릴까? 호주 국방부, ‘대구급 호위함’ 장바구니 목록에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2140 8
904 우크라전의 교훈...美, 2조6000억원 헬기사업 전격 취소한 까닭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3410 17
903 4대 세습 포기? 김정은의 전면전 도발이 어려운 진짜 이유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974 10
901 美항모 11척 중 5척, 총선 전후 한반도 일대 모인다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2301 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