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5층 아파트 5분내 초토화...러가 우크라 투입한 시가전 ‘터미네이터’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0 11:15:25
조회 3441 추천 7 댓글 41



◇ 영화 속 ‘킬러 로봇’처럼 생긴 ‘터미네이터’ 우크라전 투입 영상 공개

러시아가 강력한 무장을 장착해 ‘시가전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BMPT ‘터미네이터’ 화력지원 전투차량을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MPT 계열 전투차량은 미군도 ‘괴물무기’라고 표현하며 위협적인 무기로 평가했지만 우크라이전에선 현재까지 10여대 가량 소수만 투입돼 전세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군 BMPT ‘터미네이터’의 우크라이나전 투입은 지난 1월 우크라이나 동부 스바토베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 보병을 공격하는 모습이 유튜브 등 SNS를 통해 전파되면서 논란을 불렀다. 러시아가 공개한 것으로 알려진 영상들에서 공상과학영화속에 등장하는 ‘킬러 로봇’처럼 생긴 BMPT는 30㎜ 기관포들이 레이저 광선을 쏘듯 연발 사격으로 건물 등을 파괴하는 가공할 위력을 보여줬다. 일부 영상에선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BMPT 공격에 별다른 저항도 못하고 후퇴하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터미네이터3'란 별명을 가진 러시아 전투지원장갑차 BMPT.  30mm 기관포 2문과 대전차미사일 등으로 무장하고 있어 시가전의 끝판왕으로 불린다. /러시아 국방부

'터미네이터3'란 별명을 가진 러시아 전투지원장갑차 BMPT. 30mm 기관포 2문과 대전차미사일 등으로 무장하고 있어 시가전의 끝판왕으로 불린다. /러시아 국방부


◇ 30mm 기관포, 대전차 미사일 등으로 중무장

일부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교묘하게 편집해 BMPT의 위력을 과장했다는 평가가 내놓았지만 BMPT가 위협적인 무기라는 데에는 대체로 비슷한 평가를 하고 있다. BMPT는 러시아로 ‘전차지원 전투차량’의 약어다. 시가전을 종결한다는 의미로 터미네이터라는 별칭이 붙었다. 2000년 7월 러시아 우랄 제2차 군비 및 군사 장비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뒤 2005년부터 러시아군에 실전배치됐다. 제1차 체첸전쟁(1994년 12월~1996년 8월)의 교훈을 토대로 시가전 및 근접 전투에 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보병전투 장갑차를 능가하는 중장갑과 강력한 화기로 중무장한 것이 특징이다.

2A42 30㎜ 쌍열기관포, 7.62㎜ 기관총 1문, 9M120 아타카(Ataka)-T 대전차 미사일 4발이 장착된 포탑으로 무장하고 있다. 차체 양 측면에는 AG-17D 30㎜ 고속유탄 기관포 사수를 배치하는 등 총 5명의 승무원이 탑승해 운용한다. 30㎜ 고속유탄 기관포는 분당 420발의 속도로 수류탄과 비슷한 위력을 갖는30㎜ 유탄을 발사할 수 있어 시가전에서 적 보병과의 근접전 시 위력적인 지역 제압 능력을 갖고 있다. 러시아군은 BMPT 계열 전투차량 1대의 전투력이 BMP 장갑차 6대와 완전무장한 보병 40명과 같은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있다고 한다.




◇ 미 주력 전차.장갑차보다 먼 거리서 교전 가능

30㎜ 쌍열기관포는 급속 사격은 분당 550발, 지속 사격은 분당 200〜300발의 성능을 갖추고 있다. 유효 사거리는 1.5㎞이며 인마 살상 목적의 연성 표적을 대상으론 4㎞까지 교전할 수 있다. 드론, 헬기 등 항공 표적은 최대 2㎞ 고도까지 교전이 가능하다. 아타카 대전차 미사일은 폭발반응장갑(ERA)을 파괴한 뒤에도 800㎜ 장갑을 관통할 수 있어 대부분의 3세대 전차를 격파할 수 있다.

아타카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는 6㎞에 달해 전차포 유효 사거리 2㎞보다 3배나 길다. 미국 M2A2 보병전투장갑차는 물론 M1A2 주력전차와의 교전에서도 BMPT가 유리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 M1A2 에이브럼스 전차의 경우 120㎜ 주포로 최대 3.5㎞, M2A2 브래들리 보병전투장갑차의 경우 토우 대전차 미사일로 최대 3.75㎞ 거리의 적과 교전할 수 있다.

2023년2월 우크라이나 세르히 하이다이 루한스크 주지사가 올린 영상에서 러시아군 화력지원 장갑차 BMPT-72 '터미네이터'가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받고 폭발하고 있다. /루한스크 주지사 SNS 영상 캡처

2023년2월 우크라이나 세르히 하이다이 루한스크 주지사가 올린 영상에서 러시아군 화력지원 장갑차 BMPT-72 '터미네이터'가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받고 폭발하고 있다. /루한스크 주지사 SNS 영상 캡처


◇ 미 육군 “미군 위협할 가장 치명적 무기 중 하나” 평가

BMPT 계열 전투차량은 초기형(수출용)인 BMPT-72와 러시아 육군용 BMPT-92, 그리고 가장 최신형인 BMPT-14 등 세종류가 있다. BMPT-72는 T-72 전차의 차체를 활용한 것으로, 염가형 광학 탐지 및 화력 통제 장비가 장착됐다. 카자흐스탄 육군(10대)과 알제리 육군(300대)에 수출됐다. BMPT-92는 T-90 계열 전차 차체를 활용한 것으로 BMPT-72보다 일부 광학·조준장비 성능이 향상됐다. 최신형인 BMPT-14는 T-14 아르마타 차체를 활용했지만 T-14 생산이 지연되면서 도입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T-72·90 전차나 T-14 아르마타 전차 차체를 활용해 BMPT는 여느 장갑차보다 방호능력도 뛰어나다.초기형인 BMPT-72를 시작으로 BMPT-92와 가장 최신형인 BMPT-14까지 모든 화력을 집중할 경우 5분 이내에 현대식 15층 아파트 1동을 완전히 초토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육군 역시 BMPT 계열 전투 차량을 가까운 미래에 미 육군을 위협하는 가장 치명적인 지상 무기체계 중 하나로 평가했다.

하지만 BMPT가 우크라이나전에선 아직까지 전세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2월엔 처음으로 BMPT-72가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파괴되는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세르히 하이다이 루한스크 주지사는 “러시아군의 장갑차 ‘BMPT-72 터미네이터’ 1대가 루한스크의 크레민나 인근 숲에서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에 의해 폭파됐다”며 영상을 SNS에 공개했다.

러시아군 BMPT '터미네이터'의 주요 무장과 장비들. 강력한 무장을 갖춰 '시가전의 끝판왕'으로 불린다. /네이버 무기백과

러시아군 BMPT '터미네이터'의 주요 무장과 장비들. 강력한 무장을 갖춰 '시가전의 끝판왕'으로 불린다. /네이버 무기백과


◇ 그로즈니 전투 참패를 교훈으로 시가전, 근접전 특화 무기 개발

러시아가 이런 괴물무기를 개발한 데엔 제1차 체첸전쟁 중 그로즈니 전투의 처참한 패배가 큰 영향을 끼쳤다. 그로즈니 전투에 투입된 러시아 제131 차량화 소총여단은 전차 26대 중 20대, 장갑차 120대 중 102대, 야전방공시스템 퉁구스카는 6대 모두를 잃었다. 여단장 사빈 대령을 포함한 병력 1500명이 죽거나 부상, 78명이 포로가 되면서 말 그대로 궤멸됐다. 제19기보사단의 33소총연대는 전체 병력의 20%에 불과한 병사 24명과 장교 1명만 살아남았다.

러시아군이 참패한 것은 러시아군 무기들의 고질적인 결함외에도 체첸군이 러시아 기갑장비의 한계를 명확히 알고 시가전 전술을 폈기 때문이었다. 체첸군은 러시아 T-72나 T-80 전차들이 포신을 올려 대응 사격할 수 없는 근거리에 위치한 건물의 2층이나 3층에서 RPG 대전차 로켓을 전차의 상부 장갑을 향해 발사했다.



◇ 우리도 유사시 북한 지역 시가전, 안정화 작전 대비 필요

반응장갑이 장착된 전차는 대물 저격총으로 사격, 반응장갑을 폭파한 후 대전차 로켓으로 사격했다. 전차가 격파되면서 전차의 뒤를 따라오던 BTR 장갑차들은 사방에서 날아온 총탄과 대전차포에 무력하게 격파됐고, 기갑차량에서 하차한 보병들은 체첸 시민들에게 폭행 당하거나 소화기 공격을 받아 전사하기 일쑤였다. BMPT는 이를 교훈 삼아 근거리 건물 2,3층도 타격할 수 있는 등 시가전, 근접전 능력을 대폭 강화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전에 투입된 러시아 BMPT 전투차량이 우리에게도 교훈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유사시 북한 지역에서 시가전을 벌이거나 지역 안정화 작전을 펴야 하는데 BMPT 같은 화력지원 전투차량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군 소식통은 “북한도 우크라이나전을 예의주시하며 시가전 등에 대한 교훈을 심층 분석할 것으로 보여 우리도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교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원본 보기]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2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든 이성 꼬실 수 있을 것 같은 플러팅 장인 스타는? 운영자 23/10/02 - -
849 고위력미사일, L-SAM...국군의날 행사서 첨단 신무기 대거 첫 공개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528 8
848 핵 추진 잠수함 왜 필요한가?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2 657 6
847 조롱 대상 된 북 전술핵잠수함! 그렇다고 우리에게 위협이 안될까?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9 1241 3
846 '궁극의 공병무기' 국산 장애물개척전차 '코뿔소' 2대 우크라이나 지원!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8 659 2
845 국군의 날, 주한미군 전투부대 첫 행진... ‘괴물 미사일’ 현무-5도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4 843 12
844 이번엔 3조2000억 폴란드 잠수함 사업… K방산 또 잭팟 터트리나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 746 5
843 현장 경찰에 보급한다는 저위험 권총 [5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3334 5
842 “특수임무 인정 명예회복 해달라” 일부 UDT 출신들의 하소연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791 7
841 <인터뷰> 김진표 국회의장 “북핵 대응 위해 과학기술軍 사관학교 세워야”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606 0
840 초음속 대함미사일도 잡는다… 국산 ‘해궁’ 미사일의 90도 꺾기 요격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793 6
839 1등보다 10년 빨랐지만 이젠 10년 뒤진 한국군 무인기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5 1037 5
838 공군, 北 순항 미사일 추적·요격 훈련 실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4 639 6
837 “지휘부 도주” 같은 北 가짜뉴스 대비... 한미 첫 공동대응 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613 6
836 日에 7개 유엔 기지… 한반도 유사시 병력·무기 즉각 제공 [25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3495 49
835 항모 아닌 독도함서도 이착륙 가능… 美 첨단 킬러드론 ‘샤크’ 떴다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2467 6
834 <만물상> 홀인원 미사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677 2
833 FA-50, 폴란드 국민 환호 속 '유럽 하늘 첫 비행' 새역사 쓰다!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7 631 9
832 미사일 꽂은 곳에 또 꽂았다… 국산 '장사정포 킬러'의 놀라운 홀인원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008 18
831 대피 시설만으로 50% 이상 피해 감소… 시급해진 核 민방위 체제 구축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1612 12
830 로켓 날아오자 쾅… 北신형전차, 우리 ‘흑표’에도 없는 요격무기가?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1324 4
829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 부부, 103년 만에 서울현충원 합장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741 17
828 장난감 같던 北 무인기, 이젠 장난 아니다 [2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 2564 14
827 트럼프가 재집권한다면? “확장억제 실질 강화 남은 골든타임은 1년 반”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 999 4
826 日서 탄약 580만t 출동대기… 文이 불신한 유엔사, 유사시엔 우리 생명 [3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1665 33
825 우리도 못만든 세계 최고 무인기를?… ‘북한판 글로벌호크’ 미스터리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090 4
824 단 1발로 표적함 산산조각...콜롬비아 수출된 해성 미사일 위력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933 13
823 한화의 레드백, 3조원 규모 호주 장갑차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1242 18
822 한-프 공군, 사상 첫 연합공중훈련 및 추모비행 풀사진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1378 25
821 美 ‘핵억제 실행의지’… 핵잠 떠난지 사흘만에, 제주에 핵추진 잠수함 [5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3806 23
820 “최대 600대 목표” FA-50 미국 수출 위한 민관군 ‘원팀’ 떴다 [2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2159 17
819 일본에서 처음으로 열린 한국 예비역 장군의 출판 기념회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9 975 16
818 우크라 드론 두려워… ‘철망 우산’까지 쓴 러시아 전차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964 2
817 KAI, 계약 10개월만 폴란드 수출형 FA-50GF 납품 개시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838 15
816 K방산 수출 다음 주역은 군함? 美가 우리 군함에 눈독 들이는 이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3 1010 22
815 남편 이어 외아들까지 전투기 추락사, 한 여인의 기막힌 사연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2009 30
813 1발 안에 새끼 포탄 40여발... 美가 우크라에 주는 ‘강철비’ 집속탄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691 6
812 순직 父 뒤를 이어 조종사의 길 선택한 故 박인철 소령, AI로 복원되다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079 16
811 美 토마호크 뺨친다? 北 순항미사일 ‘화살’, 초저공 비행능력의 비밀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884 2
810 워싱턴 선언으로 강화된 한국형 확장억제… 독자 핵무장 잠재력 확보는?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0 808 8
809 마지막 시제기까지 비행 성공한 KF-21… 인공지능 스텔스기로 변신한다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995 29
808 ‘게임 체인저’ 극초음속 미사일 잡아라… 가열되는 ‘창’과 ‘방패’ 대결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765 1
807 조끼 대신 ‘영웅의 제복’ 입은 참전용사들... “위대한 헌신에 감사”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1468 49
806 <단독 인터뷰> 김관진 前 국방부장관 6년 만에 언론 인터뷰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102 43
805 尹정부 외교안보 1년… 당당한 외교와 건강한 한중관계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834 14
804 20밀리 벌컨포 무인수상정 '해검', LIG넥스원의 최신 MUM-T 기술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865 25
803 ‘참수작전’ 특수부대도 태운다... 부산 온 美 핵잠수함의 비밀무기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756 10
802 北 도발 응징할 ‘3天’ 모였다, 백령도에 대거 배치된 신무기들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910 7
801 가짜 무기도 한눈에 알아본다… 불붙은 초소형 영상 레이더 위성 전쟁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4053 19
800 함정서 100발 퍼붓는다... ‘떠다니는 미사일 기지’ 세계 첫 도입 [4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2826 28
799 “軍에만 애국 페이 강요 안돼… 같은 직급 공무원 대우를” [2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370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