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장기전 접어든 우크라이나 전쟁이 우리 예비군에 주는 교훈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4.04 10:41:22
조회 1500 추천 8 댓글 46

2022년1월 우크라이나 예비군들이 러시아군의 침공에 대비해 목총을 들고 훈련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2022년1월 우크라이나 예비군들이 러시아군의 침공에 대비해 목총을 들고 훈련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달력을 보면 정말 많은 기념일들이 있는데요, 지난 1일이 무슨 날이었는지 아시는지요? 많은 분들이 만우절로만 아실텐데요, 제55주년 예비군 창설 기념일이기도 했습니다. 1968년 북 특수부대 청와대 기습사건, 미 정보함 푸에블로함 납치사건 등 북한의 고강도 도발이 잇따르자 박정희 대통령 지시로 예비군이 창설된 날이 1968년4월1일이었습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모두 미흡한 예비군 동원체제 등으로 고전

지난해 2월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에선 드론, 전차·전투기들을 잡는 휴대용 대전차·대공미사일, 하이브리드전 등이 주목을 받고 있지만 1년 넘게 장기전 양상으로 변하면서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우크라이나군이나 러시아군 모두 예비군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우리 예비군, 예비전력에 주는 교훈에 대한 말씀을 드리려 합니다.

지난 2월 우크라이나전쟁 개전 1주년을 맞아 한국국방외교협회는 세미나를 개최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사점과 한국의 국방혁신’이라는 430여쪽 분량의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여기에 장태동 국방대 예비전력 센터장께서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예비전력 평가와 우리의 대응’이라는 흥미로운 논문을 게재했는데요, 그 주요 내용을 소개합니다.

2022년 9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푸틴의 동원령에 반발한 청년 시위대를 경찰이 진압하고 있다. 러시아는 1917년 10월혁명 이후 푸틴의 강압정치 아래서 ‘4번째 겨울’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뉴시스

2022년 9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푸틴의 동원령에 반발한 청년 시위대를 경찰이 진압하고 있다. 러시아는 1917년 10월혁명 이후 푸틴의 강압정치 아래서 ‘4번째 겨울’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뉴시스


현재까지 투입된 총병력은 우크라이나가 정규군 20여만명, 러시아가 주변 우방국 병력 포함 22만여명이고 예비군은 우크라이나가 100만명 이상, 러시아가 200만명 수준이라고 합니다. 우크라이나전 개전 초기 일각에선 우크라이나 예비군 시스템과 훈련이 잘돼 있어 우크라이나가 선전한 것으로 평가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았고 양측 모두 미흡한 동원체제와 평시 훈련이 제대로 돼있지 않았던 예비군 관리 및 유지 시스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는군요.

◇ 우크라이나, 100만명 이상 예비군 동원해 국가총력전으로 대응 중

즉 양국 모두 평시 예비전력 육성에 관심이 매우 부족해 예비군 숫자만 유지했을 뿐 적정 규모의 예비전력을 상황에 따라 동원하고 전선에 투입하는 예비전력 운용계획은 제대로 돼있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얘기라 할 수 있겠지요. 우크라이나 예비군이 강력한 전의를 갖고 러시아군에 맞섰지만 장비와 물자의 부족으로 나무총을 갖고 사격술을 배우는 모습은 우리에게 충격을 주며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던 장면이었습니다.

다만 예비전력 운용개념에 있어선 양측에 차이가 있다는데요, 러시아는 전체 2500만명의 예비군 중 일부만 부분 동원해 상비전력 부족분을 채우겠다는, 즉 상비군의 보조 전력으로 예비군을 운용하는 개념이랍니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20여만명의 상비 전력은 대러시아전 초기 대응에 주력하고, 국가 총동원령 선포를 통해 100만명 이상의 예비군을 총동원해 국가 총력전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북한이 2021년9월9일 정권수립 기념일 73주년을 맞아 자정에 남쪽의 예비군 격인 노농적위군과 경찰 격인 사회안전무력의 열병식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열병식에서는 농기계인 트랙터도 122㎜ 방사포와 불새 대전차미사일 등을 싣고 행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2021년9월9일 정권수립 기념일 73주년을 맞아 자정에 남쪽의 예비군 격인 노농적위군과 경찰 격인 사회안전무력의 열병식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열병식에서는 농기계인 트랙터도 122㎜ 방사포와 불새 대전차미사일 등을 싣고 행진했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공격을 받고 나서야 동원령을 선포하는 등 초기 대응에 실패했고, 전쟁 개시 후 추가 소요되는 자원에 대한 동원 즉응태세가 정립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였다고 장 센터장은 지적했습니다. 예비군 관리와 훈련이 부실했고, 무엇보다 예비군용 장비와 물자, 무기 비축량이 절대 부족해 실제 전쟁이 발발한 후에는 국토 방어를 위한 예비군 역할이 필요했지만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예비군 무장 및 훈련 수준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 북 예비전력, 남한 비해 규모는 2배, 훈련시간은 10~20배

이런 우크라이나전 상황을 한반도 상황에 적용해보면 너무 걱정돼 식은땀이 흐를 정도입니다. 장 센터장의 논문을 인용해 남북한의 예비전력 역량과 장단점을 몇 개 항목별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북한은 총 762만명의 예비전력을 갖고 있다는데요, 이는 남한 예비전력 310만명(예비군 275만명+전환복무자 35만명)의 2배 이상 숫자입니다. 예비전력 교육훈련 기간은 비교가 안될 정도인데요, 북한은 연간 30~60일간 훈련을 시키는데 이는 남한(연간 3~4일)의 10~20배에 달하고, 훈련 강도도 정규군 수준으로 우리보다 훨씬 센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시에 높은 편성률로 전시(戰時)체제를 갖추고 있는 것도 북 예비전력의 강점으로 꼽히는데요, 교도대, 노농적위대, 붉은청년근위대 등을 편성해 훈련을 하고 있고 교도사단의 경우 평시에 30%의 편성률을 유지한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 동원사단의 평시 병력이 8%에 불과한 것에 비해 22%나 높은 수준입니다. 북한군 열병식에는 노동적위대 등 예비전력이 트랙터에 방사포(다연장로켓)를 끌고 나오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지요.

예비군들은 아직도 구형 M16 소총으로 훈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 뉴시스

예비군들은 아직도 구형 M16 소총으로 훈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 뉴시스


우리 예비군의 심히 걱정되는 실태를 상징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예산과 장비들인데요, 올해 국방비 중 예비전력 사업 예산은 2616억원으로 전체 국방비의 0.45%에 불과한 ‘쥐꼬리 예산’입니다. 국방부와 군 수뇌부가 말로는 예비전력의 중요성을 되뇌이고 있지만 아직도 예비전력 사업 예산이 국방비의 1%에도 못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 예비전력 예산, 국방비의 0.4%에 불과한 ‘쥐꼬리 예산’

예비군 장비에 대해선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 국방위원이 “우리 예비군은 전쟁사 박물관”이라는 표현까지 쓴 적이 있을 정도인데요, 동원(예비군) 부대가 운용하는 전차, 장갑차, 견인화포, 박격포, 통신 등 대부분의 장비가 내구연한을 초과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제작된 155mm 견인포 등 70년 이상 경과된 장비도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침 국방대학교 예비전력연구센터가 예비군 창설 55주년을 맞아 3일 육군회관에서 ‘예비군제도 선진화 방향’ 세미나를 개최했다는데요, 장 센터장 등은 “현역은 초기 전투에서 제한적 역할을 하고 결국은 예비군이 전쟁수행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것이 우크라이나전의 교훈”이라며 “(한국군의) 상비병력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정으로 여기에서 오는 전력 공백을 메우는 핵심은 예비군을 정예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비상기획위 사실상 부활 등 동원체계 개선, 법령 보완 등 서둘러야

인구절벽에 따른 급격한 병력감축, 우크라이나전 교훈 등으로 이제 우리 예비전력(예비군) 제도는 일대 변화와 혁신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동원체계 개선, 관련 법령 보완, 동원 전쟁연습 체계 구축 등 분야별로 세부과제를 도출해 조속히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 행정안전부 1개국으로 축소·약화된 국가 비상대비 전담조직도 과거 국가 비상기획위원회 수준으로 확대 개편하고, 예비군을 국군조직법에 포함시키는 등 법령 개정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원본 보기]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0

4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아이돌 그룹 보다 솔로 활동 후 더 잘 풀린 스타는? 운영자 23/09/25 - -
849 고위력미사일, L-SAM...국군의날 행사서 첨단 신무기 대거 첫 공개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447 8
848 핵 추진 잠수함 왜 필요한가?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2 599 6
847 조롱 대상 된 북 전술핵잠수함! 그렇다고 우리에게 위협이 안될까?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9 1196 3
846 '궁극의 공병무기' 국산 장애물개척전차 '코뿔소' 2대 우크라이나 지원!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8 620 2
845 국군의 날, 주한미군 전투부대 첫 행진... ‘괴물 미사일’ 현무-5도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4 806 12
844 이번엔 3조2000억 폴란드 잠수함 사업… K방산 또 잭팟 터트리나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7 712 5
843 현장 경찰에 보급한다는 저위험 권총 [5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3302 5
842 “특수임무 인정 명예회복 해달라” 일부 UDT 출신들의 하소연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761 7
841 <인터뷰> 김진표 국회의장 “북핵 대응 위해 과학기술軍 사관학교 세워야”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581 0
840 초음속 대함미사일도 잡는다… 국산 ‘해궁’ 미사일의 90도 꺾기 요격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762 6
839 1등보다 10년 빨랐지만 이젠 10년 뒤진 한국군 무인기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5 1015 5
838 공군, 北 순항 미사일 추적·요격 훈련 실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4 615 6
837 “지휘부 도주” 같은 北 가짜뉴스 대비... 한미 첫 공동대응 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3 591 6
836 日에 7개 유엔 기지… 한반도 유사시 병력·무기 즉각 제공 [25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2 3465 49
835 항모 아닌 독도함서도 이착륙 가능… 美 첨단 킬러드론 ‘샤크’ 떴다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2450 6
834 <만물상> 홀인원 미사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651 2
833 FA-50, 폴란드 국민 환호 속 '유럽 하늘 첫 비행' 새역사 쓰다!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7 611 9
832 미사일 꽂은 곳에 또 꽂았다… 국산 '장사정포 킬러'의 놀라운 홀인원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1982 18
831 대피 시설만으로 50% 이상 피해 감소… 시급해진 核 민방위 체제 구축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4 1598 12
830 로켓 날아오자 쾅… 北신형전차, 우리 ‘흑표’에도 없는 요격무기가?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1298 4
829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 부부, 103년 만에 서울현충원 합장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729 17
828 장난감 같던 北 무인기, 이젠 장난 아니다 [2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 2554 14
827 트럼프가 재집권한다면? “확장억제 실질 강화 남은 골든타임은 1년 반”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 982 4
826 日서 탄약 580만t 출동대기… 文이 불신한 유엔사, 유사시엔 우리 생명 [3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1652 33
825 우리도 못만든 세계 최고 무인기를?… ‘북한판 글로벌호크’ 미스터리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080 4
824 단 1발로 표적함 산산조각...콜롬비아 수출된 해성 미사일 위력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923 13
823 한화의 레드백, 3조원 규모 호주 장갑차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1229 18
822 한-프 공군, 사상 첫 연합공중훈련 및 추모비행 풀사진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1368 25
821 美 ‘핵억제 실행의지’… 핵잠 떠난지 사흘만에, 제주에 핵추진 잠수함 [5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3796 23
820 “최대 600대 목표” FA-50 미국 수출 위한 민관군 ‘원팀’ 떴다 [2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2147 17
819 일본에서 처음으로 열린 한국 예비역 장군의 출판 기념회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9 966 16
818 우크라 드론 두려워… ‘철망 우산’까지 쓴 러시아 전차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956 2
817 KAI, 계약 10개월만 폴란드 수출형 FA-50GF 납품 개시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830 15
816 K방산 수출 다음 주역은 군함? 美가 우리 군함에 눈독 들이는 이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3 999 22
815 남편 이어 외아들까지 전투기 추락사, 한 여인의 기막힌 사연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1985 30
813 1발 안에 새끼 포탄 40여발... 美가 우크라에 주는 ‘강철비’ 집속탄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683 6
812 순직 父 뒤를 이어 조종사의 길 선택한 故 박인철 소령, AI로 복원되다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6 1062 16
811 美 토마호크 뺨친다? 北 순항미사일 ‘화살’, 초저공 비행능력의 비밀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875 2
810 워싱턴 선언으로 강화된 한국형 확장억제… 독자 핵무장 잠재력 확보는?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0 795 8
809 마지막 시제기까지 비행 성공한 KF-21… 인공지능 스텔스기로 변신한다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983 29
808 ‘게임 체인저’ 극초음속 미사일 잡아라… 가열되는 ‘창’과 ‘방패’ 대결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754 1
807 조끼 대신 ‘영웅의 제복’ 입은 참전용사들... “위대한 헌신에 감사”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1458 49
806 <단독 인터뷰> 김관진 前 국방부장관 6년 만에 언론 인터뷰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91 43
805 尹정부 외교안보 1년… 당당한 외교와 건강한 한중관계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824 14
804 20밀리 벌컨포 무인수상정 '해검', LIG넥스원의 최신 MUM-T 기술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852 25
803 ‘참수작전’ 특수부대도 태운다... 부산 온 美 핵잠수함의 비밀무기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746 10
802 北 도발 응징할 ‘3天’ 모였다, 백령도에 대거 배치된 신무기들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894 7
801 가짜 무기도 한눈에 알아본다… 불붙은 초소형 영상 레이더 위성 전쟁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4045 19
800 함정서 100발 퍼붓는다... ‘떠다니는 미사일 기지’ 세계 첫 도입 [4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2815 28
799 “軍에만 애국 페이 강요 안돼… 같은 직급 공무원 대우를” [2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357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