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사우나 오래 버티기 + 냉탕 오래 버티기해서 핀란드인 이긴 곽동연 감돌
- 싱글벙글 정신승리 단어의 유래가 된 소설.jpg 최강한화이글스
- 동덕여대 리부트) 1. 혜화캠 학꾸 유애사랑은역시
- 싱글벙글 공식 설정으로 수입된 포켓몬 설정.jpg sakuri
- 서울행방불명 5화 해성*
- 계엄 8일 전 "오직 응징만"…까면 깔수록 치밀한 계획? 마스널
- 우크라 언론에 잘 설명된 북한 신형함 방구석KMDB
- 임용고시 준비 중인데... 휴민트솜솜이
- (바리글)커브타고 이포보갔다가 납치당하고 왔습니다 판타즘.
- 무안공항 콘크리트 지지대 문제없다? 해외 공항은 어떨까 ALABOZA ㅇㅇ
- 모르는 사람이 비싼 장난감을 사줌...jpg 칠삼칠삼
- 무안공항 참사....이승환 천안공연 취소....jpg 건전맨
- 오늘자 엠팍...영구정지 레전드 ㄹㅇ...jpg Adidas
- 삼촌!! 나 몰컴용 컴퓨터 만들어줘.jpg 컴갤러
- 2024년 세계에서 가장 핫한 곳 ㅇㅇ
국토부가 규정위반한거 맞는듯
- 관련게시물 : "있어서는 안 되는 구조물" 활주로 끝 콘크리트 둔덕, 화 키웠나.jpg1. 국내 모든 공항시설 설계와 건설은 국토부가 총괄 2. 공항 안전 운영기준과 국토교통부예규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 지침에서 충돌 시 비행기에 심한 손상을 야기하는 돌출되거나 단단한 시설물의 설치를 지양해야 한다는 규정 3. 공항 안전 운영기준 제41조 '포장구역의 관리' 1항에 따르면 공항 운영자는 공항 포장지역(활주로)와 비포장지역(비활주로) 사이 7.5㎝ 이상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 하라는 규정 4. 국토교통부예규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지침 제25조는 로컬라이저 등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공항 장비와 설치물은 항공기가 충돌했을 때 최소한의 손상만을 입히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 *콘크리트와 같은 단단한 설비는 지양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 5. 공항 측은 지난해 로컬라이저를 교체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둔덕을 세운 것, 로컬라이저의 내구연한(15년)이 끝나 장비를 교체하면서 기초재를 보강했다 1, 5번 규정 빼고 나머지 2, 3, 4번 규정 위반함 ㅇㅇ 1, 5번은 시설에 관한 직접적인 규정은 아니고 핵심 규정이 2~4번 규정인데 전부 안지킴 ㅇㅇ 링크 https://n.news.naver.com/article/087/0001089749 - dc official App- 둔덕 관련 정리했어우선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국토부는 둔덕에 대해 이렇게 해명했어저게 틀린말인지 알아보기 전에일단 무안공항이 현행법 적용 받는지살펴보아야 할텐데,2023년에 국제선개항을 위해뭔가 허가를 받을 때 공항시설법에 따른실시계획변경승인을 받았는지 알아야함이건 일단 찾아볼수가 없는데다가국토부는 현행법을 기준으로 말하고있으니현행법 기준으로 저 말에 반박해볼게저 종단안전거리는 비행장설치규정에“착륙대의 종단”으로부터 240미터라고 되어있어같은 법에 ”착륙대“란활주로+정지로+여유공간이라고 되어있음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그런데 국토부의 설명은“착륙대”가 아닌 “활주로”의 종단에서259미터 떨어져있다고 되어있어국토부는 종단안전거리가지도상 거리측정한거의 왼쪽꺼라고 본거지하지만 이건 틀린것 같아.정지로(<<표시) 끝에서여유공간 60미터 더 확장된 공간이현행법에서 정의하는 “착륙대”인거임무안공항 현황도는 대략 이런형태야즉,현행법 기준으로는B737-800기종 운행을 위한 분류3의 활주로는정지로 끝단에서 여유공간 60미터 확장된 곳이착륙대의 종단이고,종단안전거리는 그 착륙대의 종단에서240미터 까지를 뜻하므로,정지로 끝에서 총 300미터까지는모든 돌출부가부서지기 쉬운 재질이어야 한다는 것 같아이건 부서지기 쉬운 구조가 절대 아니지정지로 끝에서 140미터 지점에 설치된 저 둔덕은현행법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것 아닐까- dc official App- 무안공항 항공사진이랑 위성사진 2004년~2024년까지2004년처음부터 둔덕이 있었던걸로 보임.그러니까 원래 설계가 둔덕이 포함돼있다는 말2011년2013년2017년2019년2021년2021년에 보강 수리 시작아마 이때 콘크리트로 보강했나봄2021년 보강 수리 완료이때부터 바닥에 하얗고 넓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보임2022년2023년2024년
작성자 : l부릉부릉l고정닉
아시아나 항공을 살려준 히로시마 로컬라이저
아시아나 항공 162편인천 출발 목적지 히로시마2015년 4월 14일, 아시아나 oz162는 히로시마에 도착.안개가 짙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으나, 기장은 착륙을 속행, 지면 충돌 직전에서야 복행을 시도, 이마저도 실패하여 정상활공각보다 낮은 각도로 활주로를 고속으로 이탈하게 된다. 기장은 '''착륙결심고도'''에 이르러서도 활주로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착륙을 강행하였으며,부기장은 낮은 고도 접근을 알고 있었지만, 조종실 내 엄격한 위계관계로 인해 기장을 거스르지 못했다. (보고서에 '유교적 상하관계' 등장)결국 아시아나162편은 활주로를 벗어나 구조물을 부순다음에야 돌면서 착륙하게 된다. 81명 전원 생존, 부상자 27명.후에 공식 보고서에 명시된 바, 명백한 휴면에러, 즉 조종사 과실이다.이렇게 탑승한 일본인 46명을 죽일 뻔한 후 히로시마 공항 시설을 개박살낸 이후 아시아나 관계자들은 시모노세키를 통해 일본에서 도망치려다가 잡혔다.아시아나의 무책임한 태도에 히로시마는 임시예산 편성하여 공항을 복구할 수 밖에 없었다.이 사건으로 일본에서 아시아나 항공 이미지가 급격히 실추되었으며, 해당 기체는 폐기 처분되었다.현재도 기장과 부기장은 현재도 일본에서 기소된 상태라 일본에 입국하지 못한다.그리고 이 사건에서 162편이 충돌했다고 하는 바로 그 구조물이,제주항공이 부딪혀서 폭발해버린 바로 그 '로컬라이저'이다.히로시마 공항에 설치되어 있던 저 로컬라이저는 무안 공항에 있던 것보다 훨씬 안전한 철골형태의 구조물로 되어있어,무안사태처럼 처참한 결말로 끝나지 않았던 것.날개 쪽이 약간 파손되었을 뿐이다.만약 저게 무안 공항처럼 돼있었다면, 사망자가 대량 발생하여 엄청난 국제문제가 되었을 것이다.아시아나는 책임을 회피하긴 커녕 아예 파산했을 가능성이 높다.비행기 사고로 망한 항공사들 :https://gall.dcinside.com/singlebungle1472/1608080- 로컬라이저 둔덕 충돌 사고 사례1. 아시아나 162편 로컬라이저 충돌 / 전원 생존히로시마 공항2. 대한항공 631편 로컬라이저 충돌 / 전원 생존필리핀 막탄 세부 공항3. 제주항공 2212편 로컬라이저 충돌 / 99% 사망무안공항오전 11시부터 계속 주장 했던건데 이거를 지역비하라고 억까하고 천안문 하는 놈들이 있더라
작성자 : ㅁㅇㄹㄹ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