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한동훈, 대구 진화헬기 사고현장 찾는다…“노후화 해결해야” ㅇㅇ
- 싱글벙글 천조국식 돌잡이 근황 Lauren
- 싱글벙글 한국산 소고기와 미국산 소고기 비교 직무매미
- 일본 고졸 구인배수 4.26 최고치 달성 ㄷㄷ ㅇㅇ
- 日택시기사, 20대 여성의 돈을 빼앗고 성폭행까지 (도쿄 아다치구) 난징대파티
- 혐주의) 싱글벙글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잏현
- 싱글벙글 대한민국을 지키는 가장 깊은 힘 ㅇㅇ
- 여수산단 화력발전소 큰 불..1명 부상·16명 대피 묘냥이
- '미키17' 1170억원 손실... 개봉 한달 만에 안방행 ㅇㅇ
- 싱글벙글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 구단주(야구 축구 농구) 싱글벙글참치캔
- 황철순 아내가 한 짓 모음(개씹스압) 보갤러
- AI 에너지, 물 사용량 음모론 완전 반박.jpg ㅇㅇ
- 서양인들 사이에서 진격의 거인 인기 체감.jpg 김녹차
- 이재명, 개헌관련 입장 발표 ㄷㄷ 잼붕이
- 훌쩍훌쩍 한반도 근대 시기 파괴된 건축물 1편 백과사진첩
[8박9일 広島-熊本-鹿児島] 5일차 - 아소산
오늘은 활화산인 아소산에 갔음 구마모토에서 아소산으로 가는 다른 방법은 환승이 필요한데 나같은 경우엔 하루 왕복 1회 있는 아소산 직행버스를 이용했음 구글에 아소산 직행버스라고 검색하면 제일 위에 뜨니까 아소산 뚜벅이로 편하게 가고 싶은 사람 있으면 이용하도록 해 메일로 승차정보가 오는데 그게 승차권 역할도 겸하는 거니까 그냥 버스 탈 때 메일 화면 보여드리고 이름 말하면 됨 버스는 1시간 50분 정도 달려 아소산에 거의 도착 이때부터 식생이 달라진 게 눈에 띔 아소산 화구 근처에는 내리는 곳이 크게 3군데 있는데 순서대로 쿠사센리&화산박물관, 헬기탑승장, 산조터미널 이렇게임 쿠사센리에 정차했을 때 찍은 모습인데 아직 잔디가 안자라서 푸르진 않더라고 말타기 체험도 있는 것 같았음 헬기탑승장을 지나 아소산조터미널에 도착하면 두가지 선택지가 있음 버스를 타고 화구까지 가느냐 vs 걸어서 화구까지 가느냐 나는 걸어서 가기로 했음 걸어 올라가면 아소산의 풍경을 하나하나 눈에 담으면서 올라갈 수 있어서 좋았음 능선의 왼쪽에 있는 건물이 D존 전망대고 그 오른쪽에 있는 건물이 관광안내소임 2/3 쯤 올라와서 뒤돌아 찍은 사진 저기 멀리 있는 흰색 건물이 화산박물관이고 가까이 있는 흰색 건물은 아무것도 아님 터미널은 저 건물 능선 아래에 있음 풀 한 포기 자라지 않는 삭막한 환경이 이곳이 화산임을 상기시켜줌 내가 11시 47분쯤에 출발했고 버스는 12시 정각에 출발한다고 했는데 벌써 추월당했음 젠장 걸어서는 20분 버스로는 5분컷이니 다들 편하고 싶다면 버스 타자 오기 전까지만 해도 날씨 걱정, 가스 걱정 많았는데 다행히 날씨도 좋고 가스도 파란불이더라 여기가 제1 화구 살면서 처음으로 본 화구의 모습은 웅장 그 자체였음 쉼없이 뿜어져나오는 증기와 크고 깊은 화구의 모습은 이루 말로 형용할 수 없지 않을까 싶음 한쪽에서는 빛나는 돌을 팔고 있더라 빛나는 돌이면 그거 피폭당하는 거 아닌가... 이렇게 지금도 끓고 있는 1화구 옆에는 지금은 텅 비어버린 3화구가 있음 그런데 1화구와 3화구는 있는데 2화구는 어디갔나 궁금하겠지? 2화구는 1화구와 3화구 사이에 껴있음 고도가 높아서 그런가 눈도 아직 안녹았더라 E존이 화구을 가장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곳인데 걸어서는 못가고 버스로 가는 것 같더라 평소에는 출입금지 상태임 D존으로 가는 길에서 찍은 사진 저 멀리 있는 건물이 아까도 봤던 화산박물관 가까이에 있는 건물은 아까는 못봤던 아소산조 터미널임 D존 전망대는 딱히 화구가 잘 보이는 편은 아닌데 가스가 날아오는 방향에 있다보니 가스가 조금만 많이 나오더라도 규제를 당하는 경우가 잦음 바람이 엄청나게 불더라 날아가버린 누군가의 안경도 있음 화구 한번 더 보고 밥 먹으려고 챙겨온 규동을 먹으러 관광안내소로 갔으나 https://m.dcinside.com/board/nokanto/557079 오늘 나 너무 수치스러웠음 - 일본여행 - 관동이외 마이너 갤러리오전 9시 45분에 구마모토에서 아소산으로 출발하고 오후 4시에 아소산 떠나서 6시 쯤 구마모토 돌아오는 일정이었거든 그래서 아침부터 스키야 가서 규동 하나 포장한 다음에 오후의 홍차 하나 챙겨서 아소산으로 갔음 1시m.dcinside.com암튼 그런 슬픈 일이 있고 나서 스나센리로 향했음 아니 그런데 데크를 걷고 있던 도중 저기 안쪽에 형형색색의 등산복 무리가 보이는 게 아니겠음? 보니까 발자국도 많이 찍혀있고 하길래 아 출입이 가능하구나 싶어서 나도 들어갔음 바위같은 것도 찍고 하면서 사람들이 걸어오던 곳으로 가고 있었는데 어라 저 앞에 울타리 뭐냐 문제는 저쪽에서 오던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은 저 울타리를 넘어서 이쪽으로 오고 어떤 사람들은 내 기준 오른쪽에 있는 언덕 위로 올라간단 말이지 계속 고민하다가 나도 울타리 넘어서 저쪽으로 가긴 했는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어느쪽도 출입금지거나 그런 건 아니었음 지도 아래쪽을 보면 나있는 길이 원래 데크를 따라왔으면 걷게 되는 길이었고 사람들이 오던 쪽은 나카다케로 올라가는 등산로였음 지도에서 빨간 점선 쳐진 부분이 출입금지 구역인데 스나센리는 거기에 포함이 안되어 있기에 결국은 저 울타리는 아무 의미도 없나보더라고 등산로 쪽으로 넘어오면 이렇게 돌무더기 비탈길이 있는데 사람들이 여기를 오르내리고 있더라 밑에서는 길이라는게 전혀 보이질 않음 저기 올라가서 화구 동쪽 전망대로 가면 화구의 모습이 내려다 보인다는데 편도로만 1.5~2시간 걸린다길래 나는 포기하고 돌아갔음 직행버스가 12시부터 4시까지 시간이 있으니 혹시 생각 있는 사람은 바로 저기를 올라간다면 아마 왕복 가능할 것 같음 아까 다른 사람들이 올라가던 길로 따라 올라와서 내려다본 스나센리의 모습 원래는 저 데크길을 따라 걸어와서 이 길을 따라 등산로로 가는 게 정석 코스였음 이제 버스타고 구마모토로 돌아가는데 내려가는 길에 본 불 이게 23일이었는데 구글에 검색해보니 24일에 전날 산불 났었다고 올라온 뉴스가 있더라 두개가 같은 건지는 잘 모르겠음 돌아와서는 구마모토라멘을 먹기 위해 코쿠테이 본점에 갔음 일찍 가서 그런가 웨이팅은 5분 정도 밖에 안 섰음 갠적으로 오노미치 라멘보다 맛있더라 이렇게 여행의 반이 지나갔음 6일차는 마지막 도시인 가고시마로 이동해 센간엔과 사쿠라지마, 이부스키에 다녀온 이야기를 풀어볼게 언제나 긴 글 읽어줘서 고마워
작성자 : 일코중고정닉
성 세실 대성당과 이단 이야기
프랑스 남부 Occidtanie // Langue d'oc 지방의 Tarn, 그리고 그곳의 도시 Albi 에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벽돌 성당이 위치해 있다.1282년부터 공사를 시작해서 1480년에 건축이 완료되었는데, 일반적인 성당과는 뭔가 분위기가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을거임. 거의 동시기에 착공을 시작한 노트르 담 드 랭쓰와 비교해보면, 확연한 차이가 나는 걸 볼 수 있다.노트르담 드 랭쓰는 프랑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당 중 하나로 뽑히는데, 하이 고딕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로 굉장히 유명함. 위의 알비의 성 세실 대성당보다 약 100년 이른 시기에 (1345년) 건물의 전체적인 외관과 골격이 완성되었는데, 건물 내부나, 스테인드글라스같은 장식은 이후에도 줄곧 계속 작업이 진행되었으니, 한 15세기 쯤에 모든 작업이 완성되지 않았을까 싶다. 반면, 초기 고딕양식을 보이는 노트르담 드 파리의 경우, 노트르담 드 랭쓰와 마찬가지로 1345년에 건축이 완성되었는데, 파리 대성당은 모든 것이 완성된 시점이 1345년이고, 건축 시작 년도는 1163년으로, 1211년에 건축이 시작된 랭쓰 대성당과는 약 50년의 시간차가 있음.랭쓰 대성당은 프랑스의 전설적인 영웅인 요안나 아르켄시스의 동상도 있고, 샤를 7세 동상도 있는 등,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징 비슷한 곳인데, 마린 르펜은 여기서 쫓겨난 적이 있다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성 세실 대성당은 위 사진, 툴루즈의 자코뱅 수도원처럼 "남부 고딕" 양식을 사용했는데, 이 양식은 알비, 툴루즈 등의 프랑스 남부 지역에서만 발달했다는 특징을 갖고 있음. 이 남부 고딕 양식은 대체적으로 벽돌을 이용해서 건축되었고, 북부 지역의 고딕 양식과는 달리 장식이 많이 달리지 않아, 굉장히 절제되고 엄격하다는 인상을 받기 쉬운데, 프랑스의 여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성당이나 교회와는 달리, 오히려 요새같은 견고함이 느껴질거임.그리고 그렇게 느끼는게 맞다.그런 심리적인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건축 양식임.정확하게는 교회의 권위와 우월성을 내세우기 위한 건축 양식인데, 이건 이 지방의 역사와 크게 관련이 있다.먼 옛날, 1200년대 쯔음에, 발칸반도- 특히 보스니아에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기독교 운동인 "보고밀" 이라는 기독교 이단 종파가 일어남.말은 기독교 이단인데, 오히려 마니교에 영향을 크게 받은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음.이 보고밀이라는 애들은, 세계 최고 (最古) 기독교 종파가 존재한, 아르메니아 지역에서 유래한 기독교 이단 종파인데, 초기 기독교 역사에 존재했으나, 이단 판정을 받아 몰락한 영지주의- 그노시즘과 커다란 연관성을 갖고 있었고, 상술한대로, 이란-페르시아 지역에 기반을 둔 마니교와의 유사성 때문에 박해를 받았음.그노시즘은 그리스-로마신화 (특히 오르페우스 밀교) 까지 올라가는 존-나 어려운 종교-철학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 직접 다루지는 않겠음. 나도 확실하게 아는건 아니라당시 교황은 도이칠란트의 로마 신성-제국 황제가 무릎꿇고 싹싹 빌었던 사건 = 카노사의 굴욕이 있던 1077년 이후로 기세가 하늘을 찌르던 상황이였음.발칸반도의 보고밀 파 신도들이, 상인으로써 또는 순례자로써 북이탈리아를 (밀라노) 횡단해, 남프랑스까지 신앙을 전파하게 되었다.당시 남프랑스- Langue d'oc 지역은, 이름 그대로, "오크어" 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오일어" 를 사용하던 북프랑스와는 사이가 그렇게 좋지않은 상태였음.비록 프랑스 왕국 밑으로 들어가긴 했지만, 언어도 다르고 자치를 바라던 동네였으니까.이 남프랑스 지역은 자신들만의 문화를 갖고 있었고, 자치를 중요하게 여기다보니 외부 권력을 별로 안좋아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는데, 여기에 프랑스 판 보고밀파인 "카타리 파" 가 스며들고, 또 이곳 귀족들의 보호를 받게 되면서, 이 지역은 교황의 눈길을 끌게 됨.남프랑스는, 알다시피 이탈리아 반도와 그렇게 멀지 않은 지역인데, 이탈리아 반도와 매우 가까운 지역에 대규모 이단이 존재한다는 건,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입장에서는 전혀 달가운 게 아니였음.프랑스 남부에 대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싶었던 당시 프랑스 국왕과 교황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자, 1208년, 교황은카타리파의 3대 거점인 툴루즈 - 알비 - 카르카손에 대한 성전을 선포하고,북부, "오일어" 사용지역의 기사들이 남프랑스를 침공하게 된다.전쟁은 1029년까지 약 20년동안 지속되지만, 십자군 전쟁 이후로도 카타리파 신자들의 반란과 불만은 지속적으로 일어났음. 알비 십자군 전쟁 이전에도 툴루즈에서는 카타리파 교리를 반박해, 대중들을 카톨릭으로 다시 되돌리기 위한 수도사들의 조직이 활동하고 있었고,이 설교의 십자군들은 이후,교황의 인준을 받아 창립자의 이름을 따 도미니코 회라는 이름을 얻게된다.이 도미니코 회 수도사들은 이단심문관이 되어 남프랑스에 잔존한 카타리파 신자들을 뿌리 뽑아버림.이렇듯, 알비 십자군 이후, 남프랑스 카타리파 이교 지역에 건축된 건물들은 교황의 권위를 내세우고, 이교도들에게 위압감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되엇음.러시아 외무부 건물이 스탈린주의 양식으로 건축 되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몇년이 지난 지금, 아직도 그 마왕성 같다는 인상이 떠오르는 걸 보면, 이 남부 고딕 양식이 13세기의 스탈린주의 양식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드네.알비의 성 세실 대성당 내부는 이런 모습임.설령 건물 외부는 성당보다는 하느님의 요새 같은 느낌이지만, 내부는 일반적인 성당이랑 똑같음.하지만 지옥을 묘사하는 이런 벽화도 그려져 있는 만큼, 건축 의도는 확실하게 알 수 있다.카타리파에 대한 성전, '알비 십자군' 이 끝난 이후, 교황은 동방의 정교회와 서방의 카톨릭 사이에서 줄을 타던, 보고밀파의 총본산인 보스니아로 눈을 돌림.교황은 보고밀파에 대한 성전, '보스니아 십자군' 을 일으키면서, 유럽 대륙 내의 보고밀 계열 이단 종파는 모두 사멸하고 맘.피비린내 나는 이야기는 끝났지만, 역사는 건축물이라는 형태로, 예술이라는 형태로 아직까지 내려오고 있구나.------끝
작성자 : 도시드워프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