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요즘 서양 작품에 많이 등장하는 한국 여자 톰황
- 이준석 25호 공약, 방송광고 역차별 규제 폐지…SNS·OTT와 일원화 고맙슘봐
- 지니어스 우승자와 데블스플랜 우승자의 차이 데갤러
- 싱글벙글 바이럴 대성공 장난감 '라부부' ㅇㅇ
- 초코코로네를 만들어봣서요 뱅붕이
- JB: 인디게임 개발자들에게 해주고싶은 조언 ㅇㅇ
- Zf와 배낭여행3) -히메지-고베- (36장 고봉밥주의) ㅇㅇ
- 싱글벙글 미국인들이 많이사는 나라 순위 ㅇㅇ
- 싱글벙글 더 지니어스3에서 작가가 대형 실수한 사건 ㅇㅇ
- 약혼자를 구하려 주저없이 불길에 뛰어드는 싱가폴녀 ㅇㅇ
- [이벤트] (스압) 아오이와 함께 하는 안마도 백패킹 누우치
- 다시쓰는 아무도 관심없는 플레이 엑스포 다녀온 후기 이문정주
- 플엑 4일참가 후기 수염난감자
- 시작 한달만에 148만 구독자가 된 유튜버 진명2
- 작은 우연들이 어떻게 불행을 만들어내는지 보여주는 영화 장면 ㅇㅇ
스압) 2월 삿포로 동네 뒷산에서 실족 위험 느낀 경험 _18/20차
삿포로에는 모이와 야마 전망대가 있는데그냥 시티뷰여서어차피 21일 홋카이도 여행기간도 기니까바로 옆에 있는 홋카이도 신궁도 구경하고운동도 할 겸 정상의도시 뷰가 비슷한 마루야마 등산을 계획했음.https://maps.app.goo.gl/vjubPc2eLfquEYwT6 円山山頂 · Sapporo, Hokkaido円山山頂 · Sapporo, Hokkaidomaps.app.goo.gl짤은 마루야마 꼭대기 구글맵 이미지 여행 18일차 점심 먹고 스스키노에서 마루야마로 향함마루야마 공원 입구 바로 앞에 있는 식당?건물이 멋져서 사진 찍음 커피차, 분위기는 있는데 손님이 아예 없어눈이 너무 많이 내리니까나무 보호한다고 지주대가 아닌 눈 받침대 설치한 게 이뻐서 찍음시내 건물 울타리용 덤불에도 이렇게 눈 받침대 설치해뒀더라 나무에 붙은 눈사람들 진짜 홋카이도 겨울축제 눈 썰매 타러 왔는데 삿포로 눈축제 쓰도무 회장은 공항버스 사람 너무 많아서 일정 지연 때문에 못 갔고 아사히카와겨울축제장은 가니까 끝나있어서 못 탔고 오타루 눈빛거리축제에는 이번에는 눈 미끄럼틀 없었고 삿포로 모에레누마 공원에서는 갑분 휴점이라 눈썰매 못 빌려서 못 탔고진짜 18일 동안 눈 미끄럼틀 하나도 못 탔어서사람도 없겠다 한 4번 탄듯 홋카이도 신궁 1 도리이?입구 4개던데여차저차 하다보니 4곳 다 보게 됐음작은 사당이 진짜 많더라 홋카이도 18일 05-삿포로_홋카이도 신궁, 北海道神宮 25.02.27.홋카이도 18일 05-삿포로_홋카이도 신궁, 北海道神宮 25.02.27.youtu.be홋카이도 신궁까마귀가 진짜 많은듯제2도리이국내에서도 십원빵 못 먹어봐서500엔 주고 십엔빵 먹어봄맛은 치즈, 초코, 슈크림 있던데 치즈로 먹음애들이 창렬이라고 놀리더라 ㅠㅠ 마루야마 등산 루트최고 높이 200m 밖에 안 되는 뒷산 느낌이라눈도 있으니 넉넉 잡아서왕복 1시간 30분 컷 잡고 출발제3도리이 주차장 앞 도로마루야마 신사? 여기 건너서 왼쪽으로 가면저 빨간색 미니 도리이 있는 쪽이구글맵 등산 루트인데엄청 가팔라서 지그재그 오르막 흙길인데눈이 쌓여 있어서진짜 못 오르겠더라 옆에 마루야마 숲길로 올라가는 곳 있는 지 둘러 보기로 함 오른 쪽에 뭐 취수장? 같은 곳 있는 길3,4월에는 곰 나온다는 경고문 있었음이거 노보리베츠 지옥계곡 뒷쪽천연 족욕온천 갈 때도 이런 길 있었는데 홋카이도 08일-노보리베츠_오유누마 강_大湯沼_천연족탕 1 25.02.17.13:13youtu.be 올라가는데 불상이 엄청 많음아니 근데. 길이 얼어서 올라가는 게 진짜 힘들더라옆에 삐끗하면 굴러 떨어질 정도던데 차라리 눈 길은 힘들어도 안 미끄러서워 나았음北海道中央児童相談所 방면등산로가 가파른 것도 아닌데얼음길이라 안 미끄러지게 다리랑 발에 계속 힘 주니까진짜 땀이 엄청 나옴 ㅋㅋㅋ 삿포로 시내 방면 편도 40분 계획했는데 등산 30분 경과 이제 겨우 200m 높이의 산,등산로 절반 왔는데길이 얼어서 아이젠도 없이 전투화 신은 걸로는 올라는 가도 내려 갈 때가 문제다 싶어서등산 포기 생각하고 있었는데애들 있는 등산팀 보고 그냥 올라가기로 ㄱ애들 있는 등산팀 보고 그냥 올라가기로 ㄱ했는데등산로 6분의 1 남겨두고갑자기 내리막길 나왔다가 오르막 길 나오는 게산에 봉우리가 2개였던 거지 직접 보니까처음에 계획했던 산 정상은 2봉우리 인데1봉에서 산 정상으로 내리막, 2봉 오르막 생각하면ㄹㅇ 다시 하산할 때 2봉 내리막, 1봉 오르막, 전체 내리막 길 엄두가 안나서하산 ㅋㅋ 어차피 시로이코비이토 파크, 겨울 야간 개장 폐점 오후 7시6시까진 가야 하는데 산 오를 시간도 부족했고 홋카이도 18일-삿포로_마루 야마(산), 円 山 업로드 25.02.27.홋카이도 18일-삿포로_마루 야마(산), 円 山 업로드 25.02.27.youtube.com 홋카이도 18일 07-삿포로_마루 야마(산), 円 山 3 하산 25.02.27.홋카이도 18일 07-삿포로_마루 야마(산), 円 山 3 하산 25.02.27.youtu.be 하산 영상을 산 다 내려오고 찍은 거라 경사가 완만한데ㄹㅇ 눈 얼음길이라위에선 경사가 완만하면 차라리 뛰어내려 가고경사도 가라파르면 옆에 눈 밟고 내려 가기도 힘들어서그냥 얼음길에 엉덩이러 미뜨러져 내려옴 장갑도 흘리고 뭐 사소한 찐빠들이 있었지만청바지라 살았음. 재미도 있긴 했고 ㅋㅋㅋ 등산로에서 제일 처음에 봤던미니 도리이 있는 입구진짜 삿포로 도시 안에 있는 높이 200m 산이라동네 뒷산 계단 있는 등산로 생각하고눈 있어도 그냥 올라갔는데 길이 눈 얼음길이니까아이젠은 커녕 등산스틱도 없이 오르는 게 미친 짓이긴 했던듯 뭐 이 정도 산이면4발로 기어 오르고 기어 내려간다는 의지랑 시간이 있었으면 정상 보는 것도 불가능은 아닌데해외여행에서 부상위험은 둘째치고저기서 다쳐서 도움 요청이라도 했으면 얼마나 민폐였겠나 싶네 일붕이들도앞으로 산에 갈 계획 있으면등산로 상태랑 필요한 장비 확인하고 가길 나머지는 당일 삿포로 여행 사진들마루야마에서 지하철 타러 가는 길에서 본 건물뭐 호텔인가아침에 홋카이도청 홋카이도대학 식물원은 겨울 방학 동안 보수 공사한다고아예 겨울 휴장홋카이도지사공관사진은 못 올렸는데우동 전문점, 잇큐의 냉우동 진짜 맛있었음공장 면이라 국물이랑 면이 따로 노는 게 보통이라우동 자체를 싫어하는데여기 우동은 수타면?인가 여튼 면에 국물이 스며들어서 맛있고, 쫄깃했음고명으러 나오는 쟌기도 맛있었고근데 고명 중에 오뎅튀김은 별 맛이 안나서 굳이 안 시켜도 될 것 같음 홋카이도 18일-삿포로 라멘집 업로드 25.02.27.홋카이도 18일-삿포로 라멘집 업로드 25.02.27.youtu.be나카지마 공원 호수호헤이칸팥공암이랑 일본정원은 겨울 휴장.. 이 다음에 마루야마 공원, 홋카이도 신궁, 마루야마 등산 했다가 홋카이도 18일 10-삿포로_시로이코이비토 파크, 白い恋人パーク 2 25.02.27.홋카이도 18일 10-삿포로_시로이코이비토 파크, 白い恋人パーク 2 25.02.27.youtu.be 홋카이도 18일 14-삿포로_시로이코이비토 파크, 白い恋人パーク 6 25.02.27.홋카이도 18일 14-삿포로_시로이코이비토 파크, 白い恋人パーク 6 25.02.27.youtu.be시로이코비이토 파크지금 보니까 6시에 문 닫는다고 적어뒀는데겨울에는 크리스마스 테마로 꾸며서 7시 개장까지 했나본데짤에 나오는 곳들은 무료 구역둘러보고 사진 찍는데만 1시간 걸림뭐 옆에 걸리버 공원인가 뭔가도 있던데낮에 일찍 가면 옆에 둘러봐도 괜찮을 것 같음 눈 쌓이고 고드름 내려온 자전거 주차장- dc official App
작성자 : 2.1배TQQQ고정닉
싱글벙글 처참한 근현대 호주의 패전 기록
에뮤 전쟁 (1932년 11/2 ~ 12/10)-호주 정부군의 참패-집결한 에뮤군 일만여 마리 중 한달간 최대추산 500여마리의 피해를 입힘-1차대전 직후 전쟁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호주 정부는 공식적인 패전을 선포한 후 호주 서부 인근의 농토를 에뮤에게 양도함토끼 전쟁 (1910 ~ 진행 중)-1859년, 식육용 가축으로 전파된 토끼 24마리가 방목된 이후 야생화 시작-1933년 대량 번성, 농촌파괴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됨-1933년, 과학자 진 맥나마라의 전두지휘 아래에 토끼에게만 발병하는 바이러스 폭탄을 투하-1943년, 토끼의 개체수 감소에 유의미한 결과가 보이지 않아 실험 폐기-1950년, 바이러스 폭탄 실험 재개, 1953년 효과적인 개체수 감소 시작, 전체 개체수의 95% 절멸 확인-이후 살아남은 5%에게 해당 바이러스의 면역이 확인됨.-22년, 전체 개체수가 절멸 시도 종전 개체수와 동일 규모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해당 바이러스 면역종)-호주 정부는 공식적인 패전을 인정하고 바이러스 통제 전략을 포기붉은 여우 전쟁 (1845 ~ 진행 중)-1845년, 여우사냥을 위해 방목됨-이후 야생화된 개체가 급격히 번성해 2012년 720만마리 이상으로 추정되며, 감소세 없는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중-최소 10개종 이상의 토착생물군 절멸과, 최소 25개종 이상의 토착생물군 개체수 감소에 직접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됨-대형 육상 포유류가 없는 호주에서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사냥을 통한 개체수 통제는 실패로 돌아갔고, 이후 일어난 포유류 독소 먹잇감 살포 또한 개체수 통제에 실패함-1999년, 호주 정부는 여우를 사냥할 수 있는 또 다른 외래종을 도입하자는 연구를 진행 중(진짜 미친새끼들인가)-테즈메이니아 데블이 여우 사냥에 특화되어 있다는 사례를 통해 테즈메이니아 데블을 호주 본토에 살포하자는 계획이 수립됨 (Fox Free Tasmania program)-2016년, 세금을 슈킹하기 위한 스켐 연구였다는 것이 밝혀지며 프로젝트가 좌초되고 호주 정부는 여우 통제에 공식적인 실패를 인정함고양이 전쟁 (1920 ~ 진행 중)-1788년 호주의 해수 구제를 위해 농촌 사회 중심으로 방류됨-1920년, 호주 본토의 새와 유대류의 개체수 감소의 직접적 원인으로 고양이가 지목됨-1950년, 토끼 개체수 감소를 위해 살포한 세균 감염된 먹이와, 그로인해 사망한 토끼들이 야생고양이들의 먹이 공급원으로 전락 (토끼를 제외한 어떤 종에게도 유해하지 않았던 것이 원인)-앞서 말한 여우는 적어도 토끼 개체수에 타격이라도 주는데 고양이는 여우와 먹잇감을 공유하는 주제에 토끼 개체수 감소도 시도하지 않음-호주 정부는 지난 60년간 야생 고양이 개체수 감소를 위해 19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을 지불했음을 밝힘(비용 소모가 가장 컸던 토끼도 20억달러 선에서 컷이었음)-2016년, 호주정부는 모든 지역에서 고양이 박멸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특정 소수 지역에서만이라도 박멸하겠다는 프로그램을 발표함-2019~2020년, 호주 전지역으로 퍼져나간 초대형 산불로 인해 고양이 개체수 조절 프로그램이 모두 중지됨.-호주의 야생 고양이는 연간 6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을 초래하고 있으며, 최소 22종의 토착 포유류의 멸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음.-매년 호주의 10억 6,700만 마리의 포유류, 3억 9,900만 마리의 조류, 6억 900만 마리의 파충류, 9300만 마리의 개구리, 18억 마리의 무척추동물이 고양이에 의해 죽음.-2020년 기준 호주 본토 내 야생 고양이의 개체수는 1,100만 마리로 추정되며, 지속적인 사살과 TNR 사업에도 불구하고 증가세를 유지 중.-호주의 모든 고양이는 사육시 의무적으로 중성화해야 하고, 수입종은 농림부의 사전인가가 없다면 국내반입이 전면 금지됨.-호주의 고양이 박멸 정책은 TNR 사업의 가장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힘.낙타 전쟁 (2008년 ~ 진행 중)-19세기 희귀 짐승으로 수입되던 낙타가 '우연히' 야생으로 방류됨-2008년, 호주 중부의 야생 낙타 개체수는 약 100만 마리로 추산되며, 8년마다 두 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야생 낙타는 소, 양, 염소와 같은 가축에 적대적이고 캥거루와 토착 유대류와 같은 식량을 공유하는 것으로 중부지방 목축업에 피해를 입힘.-2009년, 밀레니엄 가뭄(00~10년 이어진 호주의 대가뭄)으로 낙타 개체수가 크게 감소-2009년~2013년, 야생 낙타 도태 프로잭트 진행. 최소 13만 마리 이상의 낙타를 제거했으나 유의미한 개체수 조절에 실패.-이후 야생 낙타 도태 프로잭트 전면 중지.-2020년 호주 산불 사태로 황폐화된 중부지방에서 낙타 개체수가 통제를 벗어남.-사막화된 중부 지방에서 수원을 찾아 떠나는 낙타들이 이제 중부 전역으로 산개됨.-호주 정부는 공식적으로 낙타 개체수 완전 통제에 실패를 공표함.큰유황앵무의 변 (2012 ~ 진행 중)-1880년, 큰유황앵무의 개체수 증가에 대한 언급이 시작.-1990년,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교외에서 대규모 무리가 관찰-2020년, 빅토리아주 내의 야생 유황앵무의 개체수가 770만 마리로 증가.-2023년, 주정부는 시드니 남부 앵무새를 대상으로 한 독 먹이 프로잭트를 진행.-농작물 피해가 연간 약 3억달러, 그 외에 부리로 부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파괴하는 앵무새의 특성 탓에 개별 가정의 피해는 산출 불가.-머리가 좋은 짐승이라 쓰레기통을 열고 뒤지고, 창문을 깨고 침입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중.-지붕과 목재 구조물 전반을 파괴하며 가로등 커버까지 박살내 2018년 연간 앵무류로 인한 가로등 수리 접수건이 250건을 돌파-그러나 호주 정부는 개인에 의한 앵무새 사냥은 불법으로 규정하는 기조를 유지 중.잉어 대재앙(1980 ~ 진행 중)-19세기 식육 목적으로 수입된 잉어가 1950년, 1970년 발생한 홍수로 인해 수역 전체에 방류됨.-2022년, 호주의 한 분지(머레이-달링 분지)에서만 확인된 개체수가 3억 7,500만마리로 추산됨.-해당 지역 전체 어류 생물량의 90%가 잉어로 대체됨-연간 1,180만 달러 ~ 5억 달러 가량의 손실(생태, 사회, 관광문화, 수질저하로 인한 하류 영향, 기반시설 및 2차 영향 통괄 추산)이 발생하는 중.-2016년, 호주 정부는 국가 잉어 통제 계획(NCCP)을 발표. 잉어 바이러스를 상류에 살포하는 계획을 추진 중.-2024년, 연방 정부는 300만 달러의 연구자금을 추가로 추진-2025년, 아직 시행된 사업은 확인되지 않음.사탕수수 두꺼비의 난 (1940 ~ 진행 중)-1935년, 호주의 사탕수수 농장의 해충(사탕수수 딱정벌레)를 박멸하기 위해 102마리가 수입되고, 이후 야생화가 시작됨.-2011년, 야생화된 사탕수수 두꺼비의 개체수는 약 2억여 마리로 추산 됨.-점점 더 먼 서쪽으로 퍼지기 위해 뒷다리 크기가 50여년 만에 더 커지는 급격한 진화 과정을 거쳤음이 확인됨.-1994년, 사탕수수 두꺼비는 연간 60km를 이동하며 번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짐.-알에서부터 성체까지 모든 개체가 독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양서류를 포식하는 '모든' 종류의 토착 생물군을 광범위하게 절멸시키는 중.-주 먹잇감인 쇠똥구리의 개체수 감소로 인해 목축농가 내에서 소의 질병률이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됨.-두꺼비를 먹잇감으로 삼는 최소 2종의 악어와 70종의 민물거북이 멸종 위기에 놓임.-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두꺼비 개체수 감소를 위한 모든 대책이 실패로 돌아감 (RSPCA 지침 인용)걍 호주 << 이새끼들은 전쟁을 못함ㅇㅇ;;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