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주의 시계 칼럼 #6- 그돈씨? 가성비? 태그와 튜론, JLC와 롤렉스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0 15:55:01
조회 7854 추천 28 댓글 49



0. - 서문


이번에는 칼럼내에 서브 시리즈 같이 그돈씨, 가성비, 원가 마케팅 등등 을 엮어서 두 편에 걸쳐서 이야기 해보려함.

일종의 "가성비 1편" 임.

이 글은 그돈씨란 무엇인가? "그돈씨" 가 많이 언급되는 브랜드와 아닌 브랜드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리고 덤으로 롤렉스는 왜 "그돈씨" 가 잘 없고, 롤렉스는 가지고 JLC와 오메가가 가지지 못한건 무엇일까? 를 얘기 해보겠음.


"가성비 2편" 으로는 그돈씨 보다는 가성비란 무엇일까? 원가대비 가격이 높으면 거품인가? 마케팅, 스토리텔링, 헤리티지 등등 차이는 무엇인가?

를 크리스토퍼 와드 랑 엮어서 얘기해보는 시간 가져보려 함.


여기서 "그돈씨" 랑 "그 돈 이면 씨X 딴거 사지", 그러니 일종의 그 시계, 브랜드 치고는 비싸다, 가성비다 떨어진다 라는 뜻임.


1. - "그돈씨 브랜드"


그돈씨 라고 자주 언급되거나, 그돈주고 그거 살바엔 차라리.. 이렇게 자주 언급되는 브랜드들이 있음.

(이 브랜드 들이 실제로 그돈씨 브랜드 들이라는게 아니라, 자주 언급 된다 임. 까는거 아니고, 어그로 아님. 이걸로 이 글 댓글에서 제발 싸우지마라..)


나는 그 중 큰게 세이코 랑 태그 호이어 라고 생각함.

주로 고가 세이코 다이버 (SJE093 이라던가) 가격이 조금 올라가기 시작하면, 그 시계 얼마나 좋고 헤리티지가 뛰어난지 랑 상관없이 "그 돈을 세이코에 태워?" 이런 반응이 보임.

태그 호이어도 상위 모델인 자사무브 크로노 그래프, 글래스 박스, 스키퍼 같은데서 종종 그럼. (물론 세이코 자사 무브 크로노 그래프는 충분히 그 정도 가치가 있다라는 글도 많음)


세이코나 태그 호이어 같이 "그돈씨" 언급 되는 브랜드는 한가지 공통점이 있음.

바로 만드는 시계 "범위" (range) 가 넓다는 거임.


세이코는 아주 저가 입문용 시계 부터, 그세에도 들어가는 스프링 드라이브를 넣은 모델, 킹세이코, 헤리티지 기반 복각한 고가 다이버 까지 다양한 가격대, 카테고리를 커버함.

당연히 저가용은 저가 무브, 그리고 고가에는 점점더 고가 무브가 들어감.

태그호이어도 셀리타 기반 엔트리 부터, 고가 자사 무브가 들어간 크로노까지. 그리고 럭셔리 워치 브랜드 같이 않게 스마트 워치, 쿼츠 도 만듬.

이게 정말 범위가 넓은게 흔히 명품, 혹은 대중 브랜드라도 기계식 시계 만드는 브랜드 중에서 스마트 워치 만드는 브랜드 뭐임? 물어보면 태그말고 생각나는게 없음.


그래서 이렇게 넓은 범위를 커버하고, 그 범위중 낮은 가격대에 엔트리가 인기와 인지도를 가져가니, 그 브랜드 이미지가 범위의 아래쪽에 더 집중되고 그 위에 사려하면 사람들이 "그 돈 주고 그 브랜드?" 라고 하게 되는거지.


이 그래프는 2024년 5월 9일 기준 미국 웹사이트 기준, 세일/한정판 제외하고 4 엔트리 브랜드 (세이코, 시티즌, 티쏘, 해밀턴) 에서 지금 살수 있는 손목시계중 제일 싼것과 비싼걸 표시한 것임.


3eb8d92dea9c32b6699fe8b115ef046c7de4bb96


보다 싶이 세이코는 같은 일본 브랜드 시티즌과 비교한다 해도 가장 낮은 최저가와 가장높은 최고가를 가지고 있음.

특히 이 그래프 만으로는 안보이지만, 세이코는 최고가 근처에도 꽤 많은 시계들이 분포해 있는데 반해서, 시티즌, 티소, 해밀턴은 최고가를 끌어 올리는 특별한 시계 한두개, 그리고 대부분 밑에 가격대에 분포되어있음 (그 그래프도 만들 순 있지만 시간 너무 오래 걸릴거 같아서 안만들었어..).


세이코 말고 엔트리 럭셔리를 맞고 있는 튜태론을 비교해보자.

똑같은 날짜, 미국 웹사이트 기준, 한정판 제외하고 임.

(참고로, 이번에 나온 태그의 1억 넘은 모나코 두개랑 튜더의 금통 블베는 제외함. 두개다 다른 시계랑 몇배씩 차이나고, 컨셉으로 낸거 같은 시계들이라.

가격대 분포 그래프에 중간값 했으면 넣어도 말하고자 하는 트랜드를 보여줄 수 있으니 넣었겠는데, 지금은 그냥 최고, 최저만 보니 잘못된 트랜드 전달 될거 같아서.)



39bcd768efc23f8650bbd58b3680726cdcd2

이그래프를 보면 세이코랑 똑같이 비슷한 등급의 엔트리 럭셔리 브랜드들과 비교했을때 태그가 확실히 커버하는 가격대 범위가 넓음.


론진은 태그 같이 쿼츠를 만들어서 저점은 낮지만 고점도 태그보다 낮고.

튜더는 저점도 높고 고점도 낮아서 범위를 더 좁게 가져감.


론진, 튜더랑 비교를 했어도 가끔 론진은 몇백만원, 천만원 넘어가는 론진 보이면 "그 돈주고 론진을?" 하는 글도 종종 보이지만.

튜더는 가격대를 더 좁게 가져가기때문에 저 가격대 안에서 "그돈씨" 반응이 잘 안나오는 거임. 그 브랜드 이미지 가격대랑 실제 커버하는 범위 차이가 크지 않으니.


2. - 왜 이런 현상이 일어 날까?


이런 "그돈씨" 현상은 나는 꽤 현대에 와서 일어난 일이라 생각함.


예전에는 저렇게 넓은 범위를 파는게 이상한 일이 아니였음. 티쏘랑, 론진에서도 럭셔리, 고가 브랜드를 팔던게 당연했음.


하지만 쿼츠 파동을 거치면서 많은 브랜드들이 큰 그룹내에 편입되고, 그룹내 브랜드 끼리 자가포식, 서로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담당하는 가격대" 가 생겨버림.


그래서 모두가 넓게 다양한 카테고리와 가격대를 커버하면서 브랜드 끼리 경쟁하는 시대에서, 그룹끼리 가격대에 한 브랜드를 두고 경쟁하는 시대가 와버림.


당연히 예전에도 브랜드 별 가격대 인식이 있었지만 지금보다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고, 조금더 그걸 넓게 봤다면, 요즘은 이 브랜드는 "이 급" 이렇게 한정되게 포지셔닝이 되거 소비자들도 그렇게 보게 된거지.


여기서 왜 세이코랑 태그호이어는 거기서 조금 벗어나서 더 넓은 가격대를 커버할수 있는지 알아볼수 있음.



2fafd128e1c173a978bac4a31fd43373eb4998df7fec220db5bce9d8fe34



세이코는 일본 시계 브랜드 라는 데서 그 차이를 알아볼수 있음.

스위스 시계시장은 스와치, LVMH, 리치몬드 등등 큰 그룹들이 대부분의 시장, 브랜드를 먹어버림. 그래서 그룹내의 브랜드 별로 담담하는 가격대, "급" 이 더 명확해져버림.

하지만 세이코는 그룹이기는 하지만, 그 그룹을 이루는 브랜드를 보면 내수용 고가 라인 크레도어, 럭셔리 세이코.

그룹내이기는 하지만 따로 운영되는 오리엔트. 듣도보도 못한 펄서랑 알바.


세이코는 스와치 그룹같이 모든 가격대를 커버하는 많은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그냥 세이코 - 그랜드 세이코로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

그래서 그랜드 세이코 밑의 모든 가격대를 세이코 안에서 프로스펙스, 세이코 5, 프레사지, 등등 브랜드 내의 세부 라인으로 나눠서 팔고 있지.


만약에 세이코도 스와치 그룹처럼 여러가지 브랜드로 다 따로 독립시켜서 보급형은 세이코 5, 중간은 프로스펙스, 드레스는 프레사지, 준고가는 킹세이코 나눠서 했으면 브랜드별 "그돈씨" 는 안들었을걸? 가격 범위가 좁아지니.


태그 호이어도 비슷한 상황임. LVMH 그룹내에서 시계 브랜드를 럭셔리~하이엔드 인 제니스, 위블로, 불가리 뿐임 (보석, 다른 명품 브랜드 몇개 포함해도)

그러니 그 밑의 가격대를 커버할 브랜드가 태그 호이어 하나 뿐이라는거지. 스와치는 훨씬 많은 브랜드를 가지고 여러가지 가격대를 더 세분화 해서 가져갈수 있는거랑 차이가 나지.

LVMH 는 태그 호이어 하나로 티해미 상위 가격, 라도, 론진, 오메가 하위 가격 까지의 가격대를 다 담당해야 하는거지.



3. 롤렉스 vs. 오메가와 다른 럭셔리 브랜드


세이코, 태그 는 엔트리, 엔트리 럭셔리 에 포함되는 브랜드 이니 저런 소리가 난다고 할수도 있지만 종종 오메가, JLC 같은 걸 살때 댓글로 "그 돈이면 차라리 롤렉스를 사지" 라는 말이 자주보임.


물론 롤렉스 환급성, 가치보존에 대한 말일수도 있지만, 나는 여기도 비슷한 "그돈씨"의 영역이 펼쳐진다고 생각함.


롤렉스는 오메가, JLC는 가지지 못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으니.


이걸 알아보려면 판매되는 시계의 평균값 을 보면됨.


(여기서 부터는 워낙 다이아 몬드 설탕 바르고 시계보단 보석, 팔찌 같은거, 판매용 아닌 컨셉, 차력쇼 시계들이 분포되있어서 최고가, 최저가 안알아봤음. 가격 표시 안되거나 일부로 가격대별 정렬 안하게 막아둔대도 많고. 가격대 분포 자료를 만들면 그거랑 상관없이 볼 수 있겠지만, 만들기가 좀 그렇다..)


먼저 모건 스탠리랑 럭스가 발표한 2023년 스위스 시계산업 통게를 보면,

팔린 시계의 평균 리테일 값은 롤렉스가 $12,218, 오메가는 $6,573, 그리고 까르띠에는 $5,712


흔히 롤오까 라고 불리는 럭셔리 3대장인대도 팔리는 시계 하나당 가격이 오메가, 까르띠에의 두배임.

그리고 롤렉스 보다 윗급이라고 보는 JLC 도 $8,753임. 비슷한 IWC $7,019 도다 훨씬 높고, 오히려 하이엔드 브레게 $15,332 랑 가까움.

(눈물의 글라슈테 오리지널의 $5,200... 이래서 글오가 하이엔드 대접 잘 못받음)

(통계 이미 많이들 봤겠지만 궁금하면: News: The Top 50 Swiss Watch Companies of 2023 According to Morgan Stanley (monochrome-watches.com))


그이유는 바로 Upgradability, "업그래이드 가능성"에 있음 (미안하다.. 이걸 한국말로 표현을 잘 못하겠다. 밑에 설명 읽어보고 이런 느낌 살린 단어 생각나면 댓글 부탁!)


생각보다 롤렉스, 까르띠에, 오메가 에서 인기 있는 엔트리 시계들은 가격대가 다 비슷함. 대부분 $6,000~$10,000, $15,000 에서 씨마, 섭마, 산토스, 익스, 아쿠아테라, 스마, 듀몽트, 데젓 등등 다 분포되어있음. (쿼츠 탱크는 좀 낮지만, 그래서 까르띠에가 좀더 낮지)


그런데 가격이 이렇게 차이가 나는건 위에서 언급한 "업그래이드 가능성" 임.


오메가랑 까르띠에 같은건 보든 인기 모델이 "스틸" 에서 멈춘다는거.

문워치를 사던, 탱크를 사던, 씨마스터를 사던, 산토스를 사던, 엔트리 스틸 모델에서 끝나고,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그 엔트리 시계들을 사는거지.

그게 오메가, 까르띠에 평균 판매값에거 보임. 둘다 $5,712, $6,573 엔트리 스틸 모델 가격이니.


그런데 롤렉스의 차이점은 많은 소비자들이 콤비나 금통, 화골, 등등으로 업그레이드를 많이하고, 그걸 자연스럽게 하는거지.

데젓을 사던, 썹마를 사던 콤비나 귀금속으로 되어 있는 모델들을 자연스럽게 고려하고 많이 사는거야.


그리고 롤렉스는 그 업그레이드가 자연스럽게 되게 컬렉션 설계를 정말 전략적으로 잘해놨음.

아애 엔트리를 담당하는 OP를 제외하고 대부분 스틸 모델들은 색 선택이 제한 되어 있음.

그러니 기본적이고 무난한 색의 스틸을 선택할수도 있고, 인기 있거나 특이한 색을 원할시 콤비나, 금통, 로골 등으로 가야하지.


그리고 롤렉스 스러운 플루티드 베젤이나 쥬블리, 프레지던트 브슬? 그걸 원하면 자연스럽게 화골이나 귀금속으로 올라가는거지.


오메가랑 비교했을때, 오메가는 제일 인기많은 스피드 마스터 문워치 는 제일 인기많고, 헤리티지 높은걸 그냥 스틸에 제일 싸게 사갈수 있음.

그리고 씨마만 해도 엔트리 스틸에 정말 다양한 색에 다양한 한정판이 넘쳐남.

물론 싼 가격에 다양한걸 즐길수 있는게 장점일수도 있지만, 오메가는 롤렉스랑 대비해서 귀금속으로 만들어진 시계들을 소비자들한태 매력적으로 어필 하지 못했고, 자연스러운 업그래이드를 할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두지 않았어.



29bcc932eadc39e864afd19528d52703409fa8a58dcd


3eadd523e1df39b57abac4fb1cc1231db90795bbd68b23a0a413



예를 들어, 누가 "난 씨마스터 300 금 콤비로 $12,700 (약 천오백만원) 쓸거야!" 하면, 많은 사람들이 "그 돈이면 차라리 롤렉스나 하이엔드 사지?" 이럴거야.

근데 누가 "난 서브마리너 사면서 금 콤비로 $15,500 쓸거야!" 하면 그 돈으로 하이엔드를 사라던지, 다른 브랜드를 사라고 하지 않잖아.

데젓 같은거는 오히려 콤비를 좋아하고 사고 싶어하는 사람도 많고.

데젓 스틸과 많이 고민하는 아쿠아 테라나, 산토스 살때 콤비나, 귀금속을 사고 싶어 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3eb8d168efc23f8650bbd58b368473646ba4


3ea8d268efc23f8650bbd58b3683716e69a7



이게 롤렉스가 더 비싼 귀금속으로 업그래이드 하는걸 소비자들한태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고 자연스럽다고 납득을 시킨거지.


4. - 롤렉스 vs. JLC


그 반대 예가 오메가이고, JLC 도 포함.

오메가 에서 이야기 했듯 JLC도 인기 모델을 그냥 스틸 엔트리에서 끝낼수 있음.

오메가에서 제일 인기많고 헤리티지 많은 문워치를 엔트리 스틸 가격에 살수 있는데 더 비싼 오메가를 왜삼? 처럼, JLC 하면 생각나는 시계가 뭐야?

리베르소.


오메가랑 비슷하게 제일 인기가 많은 리베르소를 $7,000~$8,000 에서 사고 끝낼수 있는거야.

그런데 굳이 금통이나 로골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더 비싼 모델을 살 이유를 소비자들이 잘 못느끼는 거고.



0ebcc032f0c03de864afd19528d5270373d8a3fc8c92


3fb8c623f7c137f720b5c6b236ef203ea0e70feb586b30

업그레이드를 하기도 전에 이미 제일 인기 많은 모델 리베르소 스틸에서 오메가 처럼 다양한 색, 다양한 디자인, 많은 사이즈, 다른 무브먼트 등등 수많은 선택지를 주는데 굳이 업그레이드를 하겠냐는 거지.

롤렉스 서브마리너, 데이토나 같은걸 보면 엔트리 스틸에서는 블랙, 같이 한두가지 초이스. 더 다양하고 특이한 색을 사고 싶으면 업그래이드.


그래서 JLC 사면서 리베르소 가격을 넘어선 $15,000 을 쓴다 하면 "굳이 그 돈주고 JLC 를?" 이란 반응이 나오는 거지.

더 낮은 "급" 브랜드인 롤렉스를 그 돈주고 산다 하면 그런 반응이 안나오는데 말이야.


(이게 롤렉스가 좋다, JLC, 오메가 가 나쁘다는게 아니라 왜 롤렉스는 "그돈씨" 가 안나오고 둘은 나오느냐 를 설명하는거임.)

(난 문워치를 그가격에, 리베르소를 이 가격에 살수 있어서 정말 좋음. 엔트리에 소비자 선택을 늘려주는게 소비자 친화적인거라 볼수있고)


JLC 가 아무리 워치 메이커 들의 워치메이커, 하이엔드도 우리 무브 씀! 이렇게 해도 평균 소비 단가가 낮을수 밖에 없는 이유고, 가격인상을 하면 엄청 욕을 먹는 이유지.


JLC 무브먼트, 기술, 역량은 엄청 높지만 소비자들이 소비하고, 생각하는 브랜드의 가격대는 리베르소니까.


마치며...


계속 말하지만 난 언급한 브랜드들이 "그돈씨" 브랜드다 라고 하는것도 아니고, 롤렉스가 오메가, JLC 보다 낫다 라고 말하는게 아님.


다만, 왜 소비자들 입장에서 "그 돈이면 다른 브랜드" 라는 생각이 드는지 분석한거고, 왜 롤렉스는 평균 단가가 높은지, 롤렉스 보다 윗급의 브랜드 시계 가격을 써도 왜 "그 돈이면 하이엔드" 라는 말이 다른 럭셔리 브랜드대비 안나오는지 설명하고 싶었던거임.


가성비 1편은 마치고, 다음은 가성비 2편으로 "크리스토퍼 와드는 정말 가성비가 좋은가?" 라는 (어그로 잔뜩 끌릴 제목) 으로 시계의 가성비, 원가, 마케팅, 헤리티지 을 주제로 돌아올게!



출처: 오토마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14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36683
썸네일
[일갤] 초스압, 십덕주의) 6박7일 후쿠오카 5일차 (하카타 - 덴진)
[41]
미즈에나오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653 23
236681
썸네일
[야갤] 일본차 '거짓 인증' 파문 확산‥"국민차도 속여 팔았다".jpg
[3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7190 190
236679
썸네일
[디갤] 오랜만에 디사갤 이용권 제출시간이다!!
[19]
띵동다랑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5790 13
236676
썸네일
[블갤] 블아 애니 오프닝 파스타 해먹어보기
[251]
피폐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4927 186
236673
썸네일
[닌갤] 젤다만화)고독한 영걸13-토마토 피자
[44]
heydo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987 144
236667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반년만에 살쪄버린 여자친구.manwa
[115]
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7764 154
236664
썸네일
[토갤] 수강생하고 같이 작업한 거 올려봄 9
[82]
리림11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0354 45
236661
썸네일
[디갤] 28mm원툴 제주 당일치기 上
[15]
갬성몰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4347 15
236658
썸네일
[인갤] 죽창게임 개발일지 #1 (움짤 많음)
[54]
스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102 47
236655
썸네일
[싱갤] 법의학자도 감탄한 일본의 보험 살인사건..JPG
[218]
방파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23837 271
236652
썸네일
[도갤] 잠수교 진짜 문제점은 컨셉자체가 개구라라는거임
[184]
도미갤러(175.214) 06.04 23016 188
236649
썸네일
[M갤] 메츠 디백스 직관다녀왔습니다
[13]
Manhatt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5566 20
236646
썸네일
[디갤] 아직 쿨타임인데 걍 쓰는 TMI 모음집 7
[28]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8467 18
23664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지우의 에이스포켓몬들을 알아보자.jpg
[154]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7331 68
236637
썸네일
[기갤] 도자기로 키캡 만들어서 졸업전시했었음 (사진多)
[82]
키붕이(121.161) 06.04 11385 69
236635
썸네일
[프갤] 2020년도 WWE 최고의 경기 TOP 50
[37]
ㅇㅇ(118.217) 06.04 14289 38
236633
썸네일
[위갤] 선넘는 라벨 컴파스박스 4종 버티컬 그림리뷰!
[48]
이탄들린모코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2650 42
236631
썸네일
[싱갤] 꼴w릿꼴5릿 허벅지
[212]
헌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55717 338
236629
썸네일
[필갤] 숨겨왔던 옙쁜 사진들 (디첩 포함)
[60]
비비디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5417 26
236627
썸네일
[인갤] <스펠봄버> 개발일지 #2 - 전투 시스템 개발
[48]
Boof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2908 43
236625
썸네일
[이갤] 전세계에서 한국만 나온다는 천연 자원 ㄷㄷㄷ
[669]
정복자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64043 665
236623
썸네일
[카연] 결정된 인류의 취조실에 대해
[129]
셋하나둘은둘셋하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9758 135
236621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은 시바견
[160]
野獣先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31636 216
236617
썸네일
[야갤] 90% i 성향이라 부끄러운 씬 위스키 원샷했다는 여배우.jpg
[2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45260 66
236615
썸네일
[유갤] 베지밀을 너무 좋아해서 한국 광고까지 받은 일본인
[374/1]
ㅇㅇ(146.70) 06.04 35850 406
236609
썸네일
[비갤] 여시) 비만은 유전이라고 꾸득꾸득 우기는 백시들
[929]
ㅇㅇ(211.246) 06.03 47885 317
23660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청나라의 완전한 멸망일
[164]
슬러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7922 114
236605
썸네일
[미갤] 지샥 시계가 성공한 과정 ㄷㄷ.jpg
[3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5775 429
236603
썸네일
[야갤] 류수영 '두부조림' 레시피.jpg
[24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4536 144
236601
썸네일
[카연] 강아지 사진 찍을 때 공감!
[115]
sgtHw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5915 146
23659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공포 체험 하던 30대가 사망한 사건
[301]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45502 263
236597
썸네일
[이갤] 대부분이 잘못하고 있다는 달리기 운동
[52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40571 134
236596
썸네일
[야갤] "여아 조기입학, 노인은 해외로", 이런 저출생 대책?.jpg
[6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2188 331
236593
썸네일
[자갤] 렉서스도 관리 안하고 타면 걍 답 없음 ㅋㅋ
[356]
차갤러(61.255) 06.03 35827 180
236591
썸네일
[기음] 미국 시골 마을 레스토랑에서 파는 '로키산맥의 굴' 의 정체
[86]
ㅇㅇ(46.165) 06.03 25809 97
236587
썸네일
[멍갤] 한재웅 수의사가 동물농장 출연 10년만에 첫 제보를 하게된 이유
[184]
ㅇㅇ(185.114) 06.03 25662 233
236583
썸네일
[기갤] 미우새, 아버님들이 아내한테 갑자기 사랑한다고 했을 때.jpg
[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5049 89
236581
썸네일
[야갤] 군대를 싹다 바꿔버린 남자.JPG
[973]
코브라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61418 444
236579
썸네일
[미갤] 서비스직을 묘하게 거슬리게 하는 6가지.jpg
[6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50900 306
23657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AI로 그린 메이플 캐릭터
[288]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5916 331
236573
썸네일
[카연] 여자는 처음이라.manhwa
[146]
알알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2200 51
236571
썸네일
[기갤] 때이른 모기 기승, 지난해보다 7배 늘었다.jpg
[2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2036 120
236567
썸네일
[디갤] EL_Clear (흥이) 3D 렌더링 및 후보정 ~ 3차(완성)
[62]
돌아온핫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2701 56
236565
썸네일
[야갤] 홍콩반점 점바점에 백종원 버스트콜 발동 ㅋㅋㅋ
[867]
ㅇㅇ(146.70) 06.03 46246 656
236563
썸네일
[M갤] 야구로 기싸움하는 남자
[35]
T.Lincec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4832 101
23656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당신 슈퍼맨이죠?
[159]
ㅇㅇ(211.38) 06.03 24699 162
236559
썸네일
[야갤] 멸종위기 상괭이, 한려해상서 자주 발견되는 이유는?.jpg
[1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1828 113
236557
썸네일
[이갤] 한국사람들은 자기 문화를 너무 촌스럽게생각한다...jpg
[1168/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50146 350
236555
썸네일
[카연] 잉여인간이 되어 동거를 요청하는 백수누나 만화
[210]
마카(211.234) 06.03 28096 189
23655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레전드 찍은 백종원 치킨 다큐멘터리.gif
[24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8616 13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