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野 8개 법안 강행 시도 vs 與 거부권 예고.. 연금개혁 합의는 불발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8 12:45:02
조회 9076 추천 31 댓글 174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e4ca265f5e8e0d6dfce991cd1163f2c25f5899f5d36d84154964a2a36925224ea54

내일 본회의에서는 채상병 특검법 말고도 야당이 강행처리 하겠다고 벼르는 법안, 8개가 있습니다.

여권은 처리되면 거부권 행사를 시사하고 있는데, 키는 김진표 국회의장이 쥐고 있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e4ca264f5e9f785cfdf8e1cda79dd8e9f6750ff337e7545a5ca990d45942390e8

더불어민주당은 내일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8개 법안 강행처리를 추진합니다.

상임위에서 야당 단독으로 처리한 뒤 본회의로 바로 보낸 법안들입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e4ca264f5efe3d6dfce991cd15c515172b1870c8f8c5f4ca9d4c46fa2d4654a8889

전세사기 피해자들에 대한 '선 구제 후 회수'가 핵심인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과 유신반대투쟁, 6월 항쟁 등까지 유공자를 확대하는 민주유공자법,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매입하는 양곡법 개정안 등이 있습니다.

모두 여당이 처리에 반대하는 법안들입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e4ca264f5eee3d6dfce991cd1c854abd840575ccdff38df4af9b43198c748a515e8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e4ca264f5e9e4d6dfce991cd16b84a460393efc6055aafc8de012fcfdf3b7e55581

정부와 여당은 입법 폭주라며 사실상 8개 모두 대통령 거부권 행사를 예고했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e4ca264f5e8e1d6dfce991cd14ae4f5836c61788b85192bdda9c92ee74548673bf3

송미령 농림축산부 장관과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해당 법안들이 처리되면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770e8fda495dec88e17c717df4871e1a1c71d70cd0b717479b5e7a1ea73

여당은 합의되지 않은 안건은 본회의에 올릴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770ecfda495dec88e17c70e2560b827503da235bb5ddc4ee65c7dc773b6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770e9e4f785cfdf8e1cda39293dbe194a3275d18b9a0851e727ef82a2e2ad

김진표 국회의장은 전세사기특별법은 내일 처리하고, 남은 7개 법안은 여야 합의를 기다리겠다는 입장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76007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770eceff785cfdf8e1cda0c5d1dd089276d64e331b6dfff6a6bb8b8afcfc6

21대 국회 막판, 야당 주도로 처리를 압박했던, 연금개혁안, 최종 협상이 결렬되면서 처리는 사실상 물건너 갔습니다.

모수개혁부터 하자는 민주당, 구조개혁을 함께 하자는 국민의힘, 이견은 컸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770ece4f785cfdf8e1cdaac08ea554cde8c79e5e003f00d263433496f28e1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770ede8f785cfdf8e1cdab5a0a1db0e852166797fb71b13208682756b5c33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670effda495dec88e17c7d3dd80080a8449562f5bc4f2a23fa7c39d499e

김진표 국회의장 주재로 여야 원내대표가 만나서도 입장차만 확인하면서 21대 국회 연금개혁안 통과는 사실상 불발됐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670e9eef785cfdf8e1cda2e33571b01efb541ab6af8bf578e5bf1ed95b630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670ebeff785cfdf8e1cda4b4ce9b878b1ee1f33682cd8e2bccd4576ab6252

국민의힘 간사인 유경준 의원은 채널A에 "구조개혁을 포함시키거나 소득대체율 43%으로 해야 합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670ece9f785cfdf8e1cdab11b06d131c59d0ed43db06acd444a399305ccc8

여야 대표의 생각도 명확하게 갈렸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670edeff785cfdf8e1cda0160bfb1029d0068046c8905788f5ca9ab201398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570eefda495dec88e17c7fa6951a8334f473392fab6ffe2924c209ac539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윤상현 의원, 나경원 당선인 등 모수개혁부터 하자는 목소리도 늘고 있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570e9eef785cfdf8e1cda2047cd51722268d98f2d6719a3eed25ce3050e64

나 당선인은 "첫 단추라도 좀 꿰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했고 "이재명 대표의 정략적 의도를 알지만 대승적 차원에서 합의해주는 게 맞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76011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3724e4a63dffe17dc3acb81b13b4a3e5603d86203a67f0fae0bb2ea066713

국민의힘은 "모수개혁과 구조개혁을 따로 하는 건 반쪽짜리"라며 22대 국회로 넘기자고 맞섰습니다.

그러면서 민주당 제안이 다단계 금융사기 수법인 '폰지사기'나 다름없다고 비판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372494b63dffe17dc69219161456dd574083f8ee6a3e5815bdb5d79f37fe7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372484863dffe17dc06eda134aa636de1b3f82f1020a067f708effa67ff90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0724a5f30cfef00dce668f3748b2e21d1d82400a706f46263e2ec1ff05c

당 안팎에서는 아쉬운 점이 있지만 모수개혁안이라도 처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민주당 제안이 거짓말이라고 했던 나경원 당선자도 사실상 찬성 입장을 냈고, 윤상현 의원은 모수개혁 합의만으로도 큰 진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0724c4663dffe17dc2c39d554393c584a712e64af7e87a179d06db75da57a

민주당은 내일 본회의에 연금개혁안이 오르지 못하더라도 21대 국회가 종료되는 오는 29일까지 추가 협상을 시도한다는 계획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94508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072484c63dffe17dcc89e56be895dafc0962e867dc24d6a2e82216b32ef50

국민연금 얼마나 내고, 얼마나 받을지 그 숫자를 두고 의견을 좁히는 데에만 17년이 걸렸습니다. 그런데 보신 것처럼 이제는 연금의 틀을 바꾸는 '구조개혁'을 두고 다투고 있습니다.

구조개혁은 무엇이고 전문가들은 어떻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는지 이어서 성화선 기자가 짚어드립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172495f30cfef00dcf1d512fb69c46b1315d1480e4fe022610174709647

국민연금을 둘러싸고 내는 돈, 보험료율은 13%로 받는 돈, 소득대체율은 44%로 여야 의견이 좁혀졌습니다.

모수개혁에는 대체로 동의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1724c4963dffe17dc8fe6b50028e001014c9b921eaaf5cfff6e724ce30828

이대로 개혁안이 처리된다면 보험료율은 26년, 소득대체율은 17년 만에 손을 보는 겁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1724f4663dffe17dc4eb3614a94e9c59d3e6e4b17d83b7db1fcc58b6f8dba

하지만 초고령화와 저출산 등으로 인해 한계가 있습니다.

연금 고갈 시점을 기존 2055년에서 2064년으로 9년 늘리는 데 그칩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172494d63dffe17dc7c7f5890b840de8d7339325b9c7ac29079eb8db53143

이 때문에 구조개혁이 함께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노후에는 국민연금뿐 아니라, 기초연금, 퇴직연금에 공무원연금 같은 직역연금 등을 통해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 일부 연금을 통합하는 등 전체 연금 제도의 틀을 바꾸는 게 구조개혁입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172484c63dffe17dca9eadfd3cf4cd23aa3140ed8c34f9f925a3c6a6608b2

전문가들은 모수와 구조개혁 모두 필요하지만, 모수부터 우선 조정해야 한다고 합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172484863dffe17dce83986e31c7a914eb451760f0324cad96c99bbad642c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e72485f30cfef00dc1d0612aa7fd040f65a95e634d86a1f5e51f5c7c010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e724c4c63dffe17dc8bb710f138b966a6fe3184925246bac69c814861d58a

하지만 연금개혁안은 연금개혁특위와 법사위를 통과해야 하는데, 위원장이 모두 여당 소속이라 개의 자체가 쉽지 않습니다.

결국 22대 국회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e724f4b63dffe17dc70b5c30ef91815e395b2a65bab1b86ce231698ab9e92

시민단체는 여야 모두 "노후 안전망을 버렸다"고 비판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94510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1

고정닉 11

29

원본 첨부파일 34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41690
썸네일
[위갤] 위증리) 기원 증류소 투어 후기 (스압)
[31]
알중아니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906 25
241688
썸네일
[이갤] 한국 VIP 고객에 고소당한 해외 명품 브랜드 CEO
[395]
이갤러(210.179) 06.23 43455 227
241687
썸네일
[싱갤] 사자의 투쟁
[2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1531 221
241685
썸네일
[탈갤] 적정온도 26도는 개소리임.
[969]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8109 835
241683
썸네일
[주갤] (스압) 현재 군대 비하로 난리난 광고영상
[913]
주갤러(106.101) 06.23 47277 1181
241682
썸네일
[대갤] 파키스탄, 코란 훼손했다며 경찰서 부수고 살해... 시체도 불태워
[449]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4898 508
241680
썸네일
[싱갤] 로스쿨 없애야 한다는 현강 1타강사
[1226]
싱붕이(1.177) 06.23 57731 752
241678
썸네일
[무갤] 애완동물 폭증중인 태거한
[247]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1759 219
241677
썸네일
[의갤] 미국 유명 암센터 종신 교수가 보는 한의학으로 암치료
[472]
ㅇㅇ(172.225) 06.23 29868 176
241675
썸네일
[주갤] 우크라이나 한심한 근황(여성 징병 안하는 미래 나거한)
[10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0911 1026
2416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럽의 요일들을 알아보자
[114]
도시드워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3236 57
241670
썸네일
[이갤] 유쾌한 아일랜드인들 만난 여행 유튜버 .jpg
[14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7493 148
241668
썸네일
[일갤] J2리그 가고시마 경기 직관하고옴
[45]
닛산노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945 34
241667
썸네일
[배갤] 뉴진스럽다 기사 떴다 ㅋㅋㅋㅋ
[1993]
ㅇㅇ(223.39) 06.23 72378 1492
241663
썸네일
[대갤] 이탈리아에 나타난 평화의 소녀상...일본 정부 방해 단호히 차단한 이태리
[59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0648 446
241662
썸네일
[기갤] [단독] 한동훈 선거 캠프 이름은 '시작'
[864]
ㅇㅇ(211.234) 06.23 23000 226
241660
썸네일
[부갤] 이런 중국에선 못살겠다! 중국 부자들 대탈출
[392]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0391 341
2416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성년자 여제자 앞에서 무릎꿇고 미안해 사랑해
[362]
가상현실여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7370 133
241655
썸네일
[이갤] 미국여자가 생각하는 ㄱㅊ 사이즈.jpg
[733]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73631 286
241653
썸네일
[메갤] 일본이 발전 할 수 없는 이유
[688]
ㅇㅇ(218.53) 06.23 45026 350
241652
썸네일
[카연] 드래곤과 폴리모프 이야기
[260]
제랏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6079 502
24165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커뮤에서 정년까지 쌉가능하다는 대기업 근황
[490]
ㅇㅇ(116.121) 06.23 58478 288
241648
썸네일
[부갤] 결혼을 약속한 남자에게 집주소를 속였습니다
[304]
ㅇㅇ(152.44) 06.23 42112 348
241647
썸네일
[야갤] 성공한야붕이.. 화끈하게 불금 호캉스 FLEX~
[360]
ㅇㅇ(118.235) 06.23 43222 656
241645
썸네일
[싱갤] 100만 유튜버 달씨 전세사기 폭탄돌리기 논란
[1146]
정복자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81073 973
241643
썸네일
[이갤] 유진박 2024년 최신 근황.jpg
[301]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6998 232
241642
썸네일
[대갤] 중국, 대만 독립파는 사형시키겠다... 대만은 반발하며 동요 억제 주력
[47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3379 291
241640
썸네일
[해갤] [유로2024] 크리스티아누호날두 > 브페 어시장면 gif
[164]
ㅇㅇ(183.97) 06.23 17956 115
241637
썸네일
[싱갤] 한국 핵무장론 확산
[1297]
초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4118 573
241635
썸네일
[군갤] 할리우드식 전쟁영화 고증.jpg
[208]
군지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7621 440
241633
썸네일
[기갤] 헐... 북한에도 배달 어플이 있다고?.jpg
[25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3240 73
241632
썸네일
[이갤] AV 여배우.. 아들 자랑 ..jpg
[1092]
3dd(121.183) 06.23 79161 523
241630
썸네일
[싱갤] 2000년대 한국 일진들 사진..JPG
[626]
방파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5223 173
241628
썸네일
[더갤] 유시민 "애완견 한마디에 난리…그런 태도로 윤석열과 싸워 봐라"
[619]
고닉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9068 165
241627
썸네일
[대갤] 중국 남부 최악의 폭우로 최소 50명 이상 사망... 북부는 최악의 가뭄
[34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8735 285
241625
썸네일
[싱갤] 냉혹한....해적으로 전직한 중국 해경의 세계...jpg
[242]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5223 317
241623
썸네일
[디갤] 2024 상반기 결산 - 서브바디편 (50장)
[29]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976 12
241622
썸네일
[유갤] 전성기 할리우드 고전 여배우들의 와꾸...gif
[299]
leel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3570 450
241620
썸네일
[카연] [전쟁으로 보는 한국사] 고구려-수나라 전쟁.manhwa
[315]
브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4482 169
241618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국공립 대학교 전체 비상
[692]
ㅇㅇ(14.43) 06.23 65164 803
241615
썸네일
[대갤] 충격! 선거 게시판에 독도는 일본 땅 도배... 장당 9만원 돈벌이
[36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0014 204
241613
썸네일
[이갤] 가수 이홍기가 제일 싫어하는 타입.jpg
[536]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7946 678
241612
썸네일
[야갤] 전주 공장...19세 노동자 사망 ㄹㅇ...jpg
[1253]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0185 985
2416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의 몰락, 그리고 미국과 유럽.jpg
[1035]
ㅇㅇ(1.218) 06.23 32943 186
241608
썸네일
[도갤] 한국건축의 이해 - 9부 [탑파건축 개론]
[44]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227 44
241607
썸네일
[기갤] '가만두지 않겠어', 황소 돌진해오자 번개처럼 나타나.jpg
[2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4394 86
241605
썸네일
[싱갤] 아무도 모르는 성경책의 위력 JPG
[344]
잼민이(222.120) 06.23 44617 184
241603
썸네일
[이갤] 경품 행사 당첨되어 200여개 회사에 경품 받으러 갔다가 망한 중국인
[13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9574 167
241602
썸네일
[디갤] 태국의 꽃들
[28]
북극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366 28
241598
썸네일
[싱갤] 중국중국 중국에서 유래된 음식
[717]
콘스탄티니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1979 14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