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싱글벙글 유럽연합을 휩쓴 극우파앱에서 작성

라파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8 18:20:02
조회 32627 추천 167 댓글 435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56424f855d6c76167867cf945af9c0668

2024년 유럽의회 선거를 앞두고, 프랑스의 극우 포퓰리즘 정당인 국민연합의 대표 조르당 바르델라는 그가 출연한 TV 인터뷰에서 날카로운 지적을 받았다. "당신네 정당은 과거 유럽연합 탈퇴에 대한 국민 투표를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왜 이제는 그런 주장을 하지 않는 것인가요?


평소에 언변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바르델라는 이렇게 대답했다. "승리를 눈앞에 둔 상황에서 협상 테이블을 박차고 나가지는 않는 법입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d0de0f4d8d2ff39565cdc790a788b93c6

바르델라는 옳았다. 6월 6일부터 9일까지 열린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정당들은 큰 승리를 거두었다. 강성/극우파의 정당 그룹들인 '유럽 보수와 개혁' (ECR)과 '정체성과 민주주의' (ID)는 각각 73석과 58석을 얻었으며, 이들과 성향이 비슷한 독일과 헝가리의 주요 정당 두 곳이 추가로 25석을 얻었다.

언론에서 잘 다뤄지지 않는 얘기까지 해보자. 여기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다른 극우 정당들과 소속만 중도우파 그룹이지 실질적으로 극우인 정당을 합치면 전체 720석 중 192석, 경제는 좌파지만 외교안보와 사회문화는 극우와 유사한 '보수좌파' 성향 정당들까지 합하면 203석이 이들의 손에 떨어졌다. 전체 의석의 27%/28%나 되는 비율이다.


이는 유럽연합 출범 이후 유례가 없는 수치다. 혹자는 바야흐로 극우 전성시대가 열렸다고 평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극우파의 대약진에는 어떤 요인들이 있을까? 이번 선거에서는 이슈가 여러가지 있었는데, 절대 다수는 극우 진영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c7c689d692cf04afd1af66e75dcd82b

극우 세력의 대표적인 상품인 이민부터 보자. 최근 유럽연합은 또다시 불법 이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15~16년에 정점을 찍은 불법이민자의 숫자는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했지만, 최근 다시 늘어나고 있다. 2023년 유럽연합 국경에서 탐지된 불법이민 시도 건수는 약 38만건으로 201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불법 이민자들이 만들어낸 문제는 여러가지다. 이들은 국가적 지원을 통해서 생활비와 주거를 얻었는데, 후술하듯 경제가 안 좋은 상황에서 국민들의 눈초리를 받기에 충분했다. 또한 범죄율이 본국인에 비해 높고, 언어는 물론 문화가 달라 사회적 안정을 해친다. 유럽인들은 점점 이런 불법 이민자들에 적대적으로 변했다.


이민자 문제의 영향이 극우정당의 세와 함께 커지자, 이를 경계한 각국의 비-극우 정부들도 앞다퉈서 불법 이민을 제한하려 들었다. 덴마크의 사회민주당은 유럽에서 거의 가장 강경한 이민 정책을 펼쳤고, 프랑스의 마크롱과 독일의 숄츠 모두 뒤늦게 극우의 반이민 정책을 모방했다. EU의회 내부의 중도우파 그룹인 '유럽 인민당' (EPP) 역시나 최근 들어 극우 진영과 유사한 이민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feb8c5b6bd0dfb6ba5e2ecfc2d0898f

현재 2년하고 4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큰 영향을 끼쳤다. 사실, 이 전쟁이 극우 진영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다. 극우 정당들 내부에서도 아예 반미-친러인 정당부터 러시아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을 조장하는 정당까지 그 스펙트럼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한 에스토니아와 폴란드처럼 반러-친우크라이나 여론이 주류인 국가들과 헝가리, 슬로바키아처럼 우크라이나에 비판적인 국가들의 정서도 매우 다르다. 따라서 이 전쟁이 직접적으로 극우 정당들의 약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의미 없는 일이다.


이 전쟁이 가져온 진정한 결과는 바로 혼돈이다. 안 그래도 트럼프 4년과 코로나 팬데믹으로 흔들리던 국제 경제 질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완전히 박살났다. 우크라이나 출신 난민 수백만명이 유입되었고, 우크라이나를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에 대한 뜨거운 논쟁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e22a8f11297fed6e550fb4a2b303525

여기에 작년 10월에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까지 터졌다. 하마스의 선제 테러 공격으로 시작된 이 전쟁은 이후 이스라엘의 무자비한 반격으로 이어졌고, 유럽 전역에서 또다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대체로 진보적인 정부와 정당일수록 팔레스타인을, 보수적일수록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구도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극우파가 대체로 이득을 보았다.


첫째, 좌파 진영은 팔레스타인 문제를 놓고 내분을 겪었다. 강성 좌파와 극좌파는 하마스 옹호까지는 거의 가지 않을지언정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에 집중했고, 중도좌파 세력들은 반대로 하마스 비판에 집중하며 서로 대립각을 세웠다. 이는 지지층을 갈라놓고 연대의식을 저하시켜 우익에 이득을 가져왔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975c2127dfca134f80d6e6e9d34070f

둘째, 여러 극우 정당들은 반유대주의라는 낙인을 약화시키거나 떼어버릴 수 있었다. 전통적으로 유럽 극우파의 주된 타깃은 유대인들이었다. 2차 대전 이후에도 이런 경향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프랑스의 장 마리 르펜(현 국민연합 마린 르펜의 아버지)은 홀로코스트를 사소한 사건으로 취급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나치 부역자가 대통령이 되기도 했다.


현대 유럽의 극우는 이런 반유대주의, 네오나치라는 비판을 피하는 한편 자신들의 반이슬람 사상을 강조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강력하게 지지한다. 이번 전쟁은 극우 정당들이 이런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기에 적합한 기회를 제공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8260c7e80124661f3561e9feb4fc55771

경제적 문제도 극우 진영이 선전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과 이후 발생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심각한 경제난을 불러왔다. 두 사건으로 인해 지금 한국과는 비교도 안되는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유럽을 덮쳤다. 특히 가스와 전기료가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며 중산층과 서민, 기업체 모두에게 고통을 선사했다.


또한 국가별로도 각자만의 특별한 경제적 문제가 발생했다. 프랑스는 마크롱의 연금개혁이 국민 대다수의 반발에 부딪혔고, 네덜란드는 심각한 주택난을 겪고 있다. 그리고 독일은 경제 모델 자체가 일종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깊숙한 경기 침체의 늪에 빠졌다.


극우는 이런 경제난의 바람을 잘 탔다. 이들은 경제위기의 화살을 정부나 다른 정당들은 물론 이민자나 유럽연합의 관료 조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환경주의 같은 곳들로 돌렸다. 그러면서 노동자와 서민층에 친화적인 언어를 썼고, 이들의 표를 확실히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beb756b0f76331b637d0a2a5aacd0f6ed

마지막으로 특히 이번 선거에서 유독 눈에 띈, 그리고 우파 진영이 이익을 볼 수 있던, 이슈는 바로 환경 문제다. 유럽 전역에서 녹색당을 비롯한 친환경주의자들이 내세운 환경 정책에 대한 거센 반발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친환경을 외치는 녹색당 운동은 환경 문제가 점점 대두되던 2010년대 말부터 큰 탄력을 받으며 201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중도파, 극우파와 함께 크게 약진했다. 녹색당과 환경운동가들은 선거 승리를 통해서 자신들의 환경 아젠다를 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했지만, 곧 반란을 직면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a299c4abc07ae2c6ac6ba262228822f

한 문제는 이들의 엘리트주의였다. 녹색운동은 지지층이나 활동가들이나 근본적으로 부유하고 학력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비중이 높았다. 이들은 전통적인 좌파와 다르게 노동 관련 의제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고, 종종 자신들의 선민의식을 감추지 못했다. 도로를 틀어막으며 노동자들의 출근길을 방해하는 환경시위는 중산층과 서민들이 이들과 괴리감을 느끼게 만들었다.


더 큰 문제는 바로 이들의 비타협적 이상주의였다. 녹색운동은 종종 현실적으로 힘든 목표치를 제시했고, 이에 대해 정치에서 필수적인 기술인 타협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화석연료 사용 중단을 외치면서 동시에 탈원전을 추구하는 등 지나치게 많은 목표를 한꺼번에 달성하려고 무리했다.


가장 큰건 외부적인 요인들이었다. 앞서 말했듯이, 이민과 전쟁, 경제적 문제 같은 요인들이 이번 선거의 주된 이슈였다. 당장 맞닥뜨린 문제들 앞에서 환경 문제 같이 아직은 견딜만한 일에 대한 걱정은 후순위로 밀려난다.


이러한 엘리트주의 성격과 고집스러운 이상주의가 유럽연합이 맞이한 복합적인 위기와 결합되자, 파멸적인 화학 반응이 일어났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5a7f7b5dc6ea8528fe2220a59b9d615

대표적으로 환경주의자들이 내세운 농업 정책이 있다. 현대 농업은 분명히 탄소 배출과 지구온난화에 큰 지분을 차지하고 개혁이 필요하다. 하지만 녹색당이 밀어붙인 정책들은 너무 급진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럽연합 차원에서 농업 보조금을 깎는 한편 2030년까지 비료 사용량은 20%, 살충제 사용량은 50%씩 줄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도 국가별로 아예 살충제 사용을 금지시키거나 탄소세를 부과하려는 등의 움직임도 있었다.


이런 조치들은 안 그래도 경기침체와 흉작, 생산비 증가와 우크라이나산 값싼 농산물의 유입으로 고생하던 농민들이 이성의 끈을 놓게 만들었다. 프랑스의 파리부터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 독일의 베를린에서 폴란드의 바르샤바까지, 4개국을 제외한 모든 EU 회원국에서 농부들이 대대적인 봉기를 일으켰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66478112f90bba886e34ca86405d69459

수만대의 트랙터들이 각국의 수도로 진군해 도로와 항만을 점거, 포위했다. 일부 농민들은 썩은 달걀과 거름을 정부 청사에 던지기도 했다. 잠시동안, 유럽은 농민반란이 빈번하던 16세기로 돌아간 듯 했다. 단지 가발 쓴 영주들이 양복을 입은 환경주의자들로, 농민들의 낫과 횃불이 트랙터와 콤바인으로 바뀌었을 뿐이었다.


농민들은 대중의 지지를 받는데 성공했고, 결국 유럽연합과 각국 정부들은 이들의 반발에 굴복했다. 여러 친환경 규제들은 기존 계획안보다 완화된 채 도입되거나 아예 폐기되었다. 이는 환경주의에 뼈아픈 정치적 패배였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76de524ffcbefe95c55ec9a8f8a8e108f

'친환경 에너지 정책' 또한 문제를 보였다. 독일에서는 신규 난방 시설들의 친환경 의무화 정책이 추진되었고, 유럽연합 차원에서는 2035년까지 석유와 디젤 차량을 금지하려고 했다. 대부분 유럽국가의 환경운동가들은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과 탈원전을 동시에 추구했다.


그러나 경제•에너지 위기 속에서 이런 조치들은 기업체들은 물론 일반 국민들에게도 와닿지 않았다. 당장의 일상 생활도 벅찬데, 친환경 전환을 위해 추가적으로 비용을 내고 싶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특히 자동차와 에너지 정책은 현실적으로 힘들어보였다.


극우파는 이런 환경주의에 대한 피로 정서를 잘 활용했다. 이들은 녹색당을 비롯한 친환경주의 좌파 진영을 경제 위기를 일으키고 일반 국민들과 동떨어진 엘리트 기득권으로 몰아가며 대중의 지지를 호소했다. 이들은 값싼 화석연료와 원자력을 옹호했다. 그리고 이 포퓰리스트 전략은 잘 먹혀들어갔다. 녹색당 그룹은 북유럽에서는 괜찮은 성적을 보여줬으나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무너지며 큰 피해를 입었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76c162bd738749161a8d225980a48ef9e

유럽의 극우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나라를 가리지 않고 세력을 불려왔고, 상술한 요인들로 큰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과연 이들의 부상은 필연적이며 앞으로도 성장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들이 유럽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인가? 이 부분에 있어서는 조심스러워야 한다.


첫째, 유럽의 극우는 내부적으로 분열되어있다. 유럽의회의 두 극우 교섭단체 ID와 ECR만 봐도 그렇다. ECR 소속 정당들은 대체로 경제적 우파에 외교적으로 친서방, 친우크라이나, 국제주의 성향이 강한 편이다. 반면, ID 소속 정당들은 대체로 경제적 포퓰리즘 성향이 강하고, 러시아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한편 유럽연합과 NATO, 우크라이나에 보다 비판적이다. 이런 노선 차이는 두 진영의 폭넓은 협력을 제한시킨다. 무소속 정당들을 포함하기 전에도 말이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76f0f4d023f2dc9e36ed57cddb7a213cb

둘째, 이들이 승리했다고 해서 획기적 변화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선, 유럽연합 의회 자체가 실권이 생각보다 약하다. 유럽연합은 주요 기관 7개가 권력을 나눠갖는 기괴하고 복잡한 권력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유럽의회는 법안 발의권조차 없다. 또한, 유럽의회에서는 여전히 중도좌파와 중도우파의 세력이 제일 강력하다. 따라서 극우파의 승리가 실제 유럽연합 정책에 미칠 영향은 생각보다 미미할 것이다. 진짜 힘을 행사하는 것에는 각국의 정부를 장악하는 편이 훨씬 쉽다.


한편, 유럽의회의 중도좌파 - 중도 - 중도우파 연대는 여전히 의석의 56%를 점유하고 있다. 이들 중 극우 정당들과 협력의 여지가 있는 중도우파 EPP는 일단은 중도 연대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는 모양새다. 극우 정당들은 세력은 불렸을지언정 여전히 전반적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없는 것이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76eb2bd8ba9514f4d422640c93088636f

셋째, 이번 선거의 압승은 극우가 거의 야당이라는 점도 컸다. 유럽연합이 맞이한 여러 위기들은 각국 정부들의 평판에 악영향을 끼쳤고, 이에 분노한 유권자들이 대체로 권력에서 배제되고 정부에 비판적인 극우 정당들에 투표했다는 것이다. 즉, 성향이 극우라기보다는 기성 정치와 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극우에 표를 던진 사람들도 적지 않다.


실제로 극우가 정부에 참여하고 있는 핀란드, 그리고 정부에 직접 참여는 안하지만 동맹을 맺고 있는 스웨덴의 경우, 오히려 좌익 진영이 승리하고 우파와 극우는 쓴맛을 보았다. 극우 진영의 대표 주자인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 또한 중도우파 성향 야당에게 상당한 표를 뺏겼고, 최근 범우파 진영이 '네덜란드 역사상 가장 극우적인' 정부를 수립한 네덜란드에서는 중도좌파와 녹색당의 연합이 극우를 제치고 근소한 차이로 1등을 얻는 이변을 일으켰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76970ea714bb29c66e6a744d61fd2dd3a

그렇다고 해서 극우의 약진을 과소평가 해서도 안된다. 한 때 좌파진영과 함께 극우를 배척하던 EPP 소속의 유럽 중도우파 정당들은 갈수록 극우 정당들의 일부 정책을 모방하며 부분적으로 협력하는 것을 꺼리지 않고 있다. 범우파는 주로 이민과 범죄 정책에서 합을 맞추고 있고, 최근에는 환경 문제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 극우 정당들은 충분히 EPP와 협력해서 자신들이 원하는 이민, 환경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정 운영에 참여하는 극우 정당들 중에서 약진한 경우도 있다. 극우 진영의 떠오르는 대표 인사인 이탈리아의 멜로니 총리의 정당이 거의 30%를 득표했다. 멜로니 본인의 무난한 국정 운영 능력 덕이다. 극우파라고 해도 일만 괜찮게 하면 충분히 지지해준다는 것이 오늘날 적잖은 유럽 유권자들의 생각이다.


즉, 극우는 더이상 유럽 정치의 사생아가 아니라 엄연히 하나의 존중받는, 그리고 갈수록 강해지는 세력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이들은 유럽 정치와 사회의 엄연한 일부분으로 인정 받는데 성공했고, 이 중요한 사실은 되돌릴 수 없어 보인다.




7be4807fb5816cf436e981ed45807768920a7ade08676c446e4e3f686e171f

수십년동안 유럽의 주류 정치에서는 오랫동안 극우라는 존재가 금기시 되었다. 그러나 유럽 사회가 갈수록 피폐해지고, 좌파에서 중도우파를 아우르는 공동 전선이 무너지면서, 한 유령이 다시 한번 그 자리를 비집고 들어오고 있다.






극우라는 유령이.








​자료 출처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67

고정닉 40

17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2682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엘디아인
[521/2]
김대중개새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8361 856
226826
썸네일
[새갤] 콘돌리자 라이스의 김대중, 노무현 평가
[543]
한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5684 278
2268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계적인 방산업체들의 무기들.jpg
[237]
ㅇㅇ(115.137) 04.27 32615 89
226820
썸네일
[주갤] 요즘 에타 미러링 반응ㅋㅋㅋㅋ
[919]
주갤러(110.70) 04.27 57420 1173
226818
썸네일
[싱갤] 일본 궁도의 과녁 거리가 심히 짧은 이유
[908]
ㅇㅇ(218.39) 04.27 53490 306
226816
썸네일
[야갤] 찐따들 수치사 하게 만든 너드학개론 ㅋㅋ
[539]
야갤러(223.38) 04.27 53054 222
226814
썸네일
[대갤] 日, 66세 스시남이 마음의 안정을 찾는 비결
[17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6156 206
2268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시인의 의도를 파악하시오
[2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4948 460
226810
썸네일
[싱갤] 어질어질 중고거래 한놈만 걸려라.. jpg
[371]
ㅇㅇ(218.232) 04.27 48225 251
226808
썸네일
[카연] 신도림 보는 만화
[132]
기음갤석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2875 101
226804
썸네일
[기음] 익산역 피순대와 3500원 탕수육.jpg
[349]
dd(182.213) 04.27 40503 310
226802
썸네일
[이갤] "한국인은 안받아요" 일본 식당근황...jpg
[66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53425 465
226800
썸네일
[야갤] 한국 방문해서 현금 3450만원 잃어버린 일본 가부키 배우 근황.jpg
[644]
야갤러(223.38) 04.27 41851 367
226798
썸네일
[싱갤] 의외의외 아직까지도 이어지는 가문.jpg
[458]
ㅇㅇ(14.53) 04.27 64151 553
226796
썸네일
[주갤] 한녀단체 은평시스터즈 근황 jpg
[493]
주갤러(211.235) 04.27 49897 1515
226794
썸네일
[야갤] 네이처 멤버 유흥업소 근무...결국 해체 ㄹㅇ...jpg
[450]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57737 257
226792
썸네일
[대갤] 음침한 쪽본, 928만건 개인정보 유출한 NTT는 약한 제재
[84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2928 260
226790
썸네일
[싱갤] 부글부글 한 의사가 만난 급성 편도염 환자 썰
[426]
ㅇㅇ(221.168) 04.27 37401 138
226788
썸네일
[미갤] "꼰대·열정민폐"...유노윤호 저격한 전직 아이돌, 충격적인 폭로
[348]
ㅇㅇ(118.235) 04.27 35883 211
226784
썸네일
[미갤] (스압) 도라에몽 아빠 에피소드 레전드.jpg
[1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4258 320
226782
썸네일
[싱갤] ㅅㅂㅅㅂ 실시간 광화문 근황 ㅋㅋㅋㅋㅋㅋ
[438]
ㅇㅇ(180.80) 04.27 61918 770
226780
썸네일
[기갤] 이쁘지도 않은게 애가 만졌다고 난리야
[438]
긷갤러(223.38) 04.27 47541 153
226778
썸네일
[리갤] 피넛이 젠지를 떠난 이유 jpg..
[216]
ㅇㅇ(118.235) 04.27 46868 976
226774
썸네일
[박갤] 포켓몬 잡기..manhwa 풀버전
[227]
ㅇㅇ(116.124) 04.27 31139 800
226772
썸네일
[당갤] 실시간 당근 빡대가리 레전드
[676]
ㅇㅇ(118.235) 04.27 50746 602
22677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삼국지 귀큰놈 올타임 레전드
[430]
ㅇㅇ(101.235) 04.27 29030 241
226768
썸네일
[무갤] “시끄럽다” 이웃에 가스총 발사 60대 체포.news
[305]
ㅇㅇ(14.37) 04.27 21082 86
226766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17
[137]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3621 68
226763
썸네일
[치갤] 하스여신 아옳이 최근근황 ㄷㄷ
[416]
ㅇㅇ(125.183) 04.27 75436 539
226761
썸네일
[싱갤] 어제자 일본 주오대학 똥군기 영상 논란
[3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3897 267
226759
썸네일
[주갤] 혜화역 페미시위. 아름다운 추억
[1143]
주갤러(14.4) 04.27 42440 1205
226758
썸네일
[새갤] 홍범도 흉상 '육사 존치' 적극 검토
[73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9536 84
226756
썸네일
[야갤] 수학 전문가들의 수능 수학 시험 결과.jpg
[12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7972 539
22675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킥복싱의 정점이 UFC로 넘어오자 생겨난일
[382]
ㅇㅇ(222.235) 04.27 37860 246
226752
썸네일
[이갤] 역대 전대물 여자캐릭터 와꾸 TOP 10..gif
[309]
leel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5658 97
226750
썸네일
[대갤] 日, 초중교 급식에 불량 우유 제공... 피해학생 655명 이상
[301]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0986 176
226748
썸네일
[카연] 닌자와 음침녀 3화 .MANHWA
[51]
군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5841 148
226747
썸네일
[싱갤] 실시간 달러/엔 157돌파에 씹창난 일본 민심...jpg
[7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56805 185
226743
썸네일
[디갤] 풍경에서 스트릿으로 장르를 바꿔본 이유
[48]
스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1758 34
226742
썸네일
[국갤] 윤석열 한동훈 중재 나선 이복현
[268]
ㅇㅇ(223.38) 04.27 21049 185
226740
썸네일
[야갤] 트와이스 사나 시구.gif
[393]
ㅇㅇ(14.40) 04.27 40240 352
226738
썸네일
[싱갤] 스압)싱글벙글 우주 문명의 5단계 (카르다쇼프 척도)
[24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1942 70
226737
썸네일
[야갤] 카페가면 꼭있는 핸드폰 중독 직원 jpg
[327]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8193 114
226735
썸네일
[새갤] 해병사령관 "장관 통화기록 삭제" 증거인멸 있었나?
[36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9416 137
226733
썸네일
[싱갤] 냉혹한 한식 열풍 K-김밥...라이벌 등장의 세계.....jpg
[727]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60573 541
226732
썸네일
[야갤]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주작없는 에피소드.jpg
[463]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4598 502
226730
썸네일
[중갤] 현재 논란중인 블라인드 공무원 vs 중소기업
[954]
ㅇㅇ(221.147) 04.27 43635 145
226728
썸네일
[미갤] 27살 여성이 도배 일 배운다고 할 때 실제로 들은 말들.jpg
[7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49182 291
226727
썸네일
[전갤] 황재균 퇴장당한 투구.wepb
[3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3585 104
226723
썸네일
[싱갤] 1편. 부산에 가면 무슨 회를 어디서 먹으면 좋을까요?
[279]
수산물학살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9204 18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