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단독] 한동훈 선거 캠프 이름은 '시작'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11.234) 2024.06.23 15:20:02
조회 23088 추천 227 댓글 864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ca34f83d2d6cfb4b6c5c41446088c8bddc39a1fa7bb49364b3ff145e324f3e8b1e52cabe736f9177bb3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ca34f83d2d6cfbab7c2c41446088c8b4426f81a1c6d6429524b0360782a22598ce7e1363a6cbbd7db6228


실시간 소름돋는 한동훈 등장 ㄷㄷㄷ




가슴이 웅장



현재 소통관 1층 로비 상황.GIF(한동훈 지지자들)



양쪽에 정말 많이 오셨다.


한동훈 기디라는 국민들.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341a34d340121953632738e458f04c6b8b9271a15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341a04e3401219522805ccb75efa45974594648a9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341a74c340121955f42fd5d229ce7d4e48063b695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341a643340121955b42d39955eebb9b8c50adc24a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241a34c34012195e931d11fac94d61cbe566ce691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241a143340121957e5c8c5ff89e48135287314e47


05b2de23fcd139ab2eed86e7429c746bebde74c328da888bd041a64a34012195d55141855c200b4c849f3a0de9






한동훈 당대표 출마선언문 전문


사랑하는 당원 동지 여러분, 존경하는 동료 시민 여러분.

주권자 국민의 민심은 절묘하고 준엄합니다.

그토록 염원했던 총선 승리였지만 결과는 너무도 뼈아팠습니다.

오로지 저의 책임입니다. 어떻게든 제가 더 잘했어야 했습니다.

주권자 국민들께서 집권여당과 정부를 냉혹하게 심판하면서 명령했던 것은,

우리의 변화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변화하고 있습니까?

정권심판론으로 뒤덮였던 총선 기간 내내, 우리는 민심에 반응하겠다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겠다고 외쳤습니다.

지금 우리는, 국민의 눈높이에서 민심에 반응하고 있습니까?

지난 두 달은 반성과 혁신의 몸부림을 보여드렸어야 할 골든타임이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국민의 요구에 묵묵부답, 오히려 퇴보하는 모습만을 보여드렸습니다.

국민들께서는 우리에게 마치 갈라파고스에 사는 사람들 같다,

심판받은 사람들이 맞느냐, 심지어 이긴 사람들처럼 행동하고 있다는 말씀까지 하십니다.

거대야당의 상임위 독식, 입법 독주, 일극체제 완성을 민심이 강하게 제지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를 향해, ‘너희 국민의힘은 더 혼나봐야 한다’는 국민의 심판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라는 명령에 우리는 응해야 합니다.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절박한 상황을 희망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지난 두 달간 복기와 성찰의 시간을 보내면서 이러한 국민의 준엄한 요구를 생각했습니다.

고심 끝에 저는, 오랫동안 정치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바꿨습니다.

지금 시기의 국민의힘 당대표는 할 수 있는 것도 없고

죽기 딱 좋은 위험하기만 한 자리라고들 합니다.

저는 용기 내어 헌신하기로 결심했고, 결심했으니 주저하지 않겠습니다.

제가 총선 내내 진심을 다해 외친, 민심에 반응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국민의힘을 만들기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것으로

진짜 책임을 다하려 합니다.

막힌 곳은 뚫고, 끊긴 곳은 잇고, 무너진 곳은 바로 세우겠습니다.

패배의 경험을 변화와 승리, 정권재창출의 토양으로 삼겠습니다.

당정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쇄신하겠습니다.

보수정치를 혁신적으로 재건하겠습니다.

그리고 국민의힘을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정당으로 만들겠습니다.

첫째, 당정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고, 실용적으로 쇄신하겠습니다.

지난 2년간 9번이나 집권여당의 리더가 바뀌었습니다.

그 배경이나 과정이 무리하다고 의문을 갖고 비판하시는 국민들이 많았습니다.

당이 정부의 정책 방향 혹은 정무적인 결정에 대해 합리적인 비판이나 수정 제안을 해야 할 때, 그럴 엄두조차 못내는 상황들이 반복되었습니다.

국민들과 당원들께서 실망하셨습니다.

지금 우리가 눈치 봐야 할 대상은 오로지 국민입니다.

의석수가 부족한 국민의힘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국민의 마음을 얻는 길뿐이기 때문입니다.

당이나 정이 민심과 다른 길을 가면,

한쪽에서 견고하고 단호하게 민심의 길로 견인해야 합니다.

어느 한쪽이 이끄는 대로 무조건 따르는 것이 아니라,

상호 존중 속에서 치열한 토론을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런 건강하고 수평적이며 실용적인 당정관계를

대다수 국민들과 지지자들, 당원들이 정말 바라고 있습니다.

제가 그 역할을 하겠습니다.

집권여당은 대통령실, 정부와 서로 존중하고 긴밀하게 소통, 협력하면서 일해야 합니다. 다른 이유가 아니라, 그래야 시너지를 내서 국민들께 더 잘 봉사할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고물가와 고금리 대응, 불합리한 세제 개혁,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 등

민생 경제문제 해결 앞에서 당정은 적극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겠습니다.

당이 정부와 충실히 협력하지만,

꼭 필요할 땐 합리적인 견제와 비판, 수정 제안을 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겠습니다.

기준은 오로지 ‘민심’과 ‘국민의 눈높이’여야 합니다.

중요한 사안마다 그 절대적 기준을 당과 정 모두가 공유하면서 협력하겠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어렵게 탄생시킨 윤석열 정부를 흔들림 없이 지켜내고

정권을 재창출하는 길이라 믿습니다.

둘째, 보수정치를 재건하고 혁신하겠습니다.

지난 총선 기간, 저는 우리 보수정치를 지지하시는 지지자들의 애국심, 유연성,

전략적 판단 능력에 놀랐고 깊이 감동했습니다.

3월 말, 4월 초, 정권심판이라는 민심의 매서운 파도 아래

보수정치가 속절없이 무너질 위기 앞에서,

정치인들이 아니라 우리 지지자들이 나서주셨습니다.

부산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여러분이 나라를 살려주십시오’라는

참 구식처럼 보이는 저의 호소에 개헌저지선을 지켜주셨습니다.

그 절박한 상황을 함께 했던 뜨거운 마음들을 잊을 수 없습니다.

지금의 보수정치는 지지자들이 정치인들보다

더 애국적이고, 더 유연하고, 더 전략적이고, 더 절박합니다.

저는 우리 보수정치인들이 더도 말고 딱 우리 지지자들만큼만

애국적이고, 유연하고, 전략적이고, 절박해진다면,

대선이든 지선이든 승리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보수정치의 재건과 혁신은, 보수의 정치인들이 지지자들만큼

훌륭해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우선, 지역 현장 중심의 풀뿌리 정치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이번 선거에서 보았듯이, 늘 어려울 때 나라를 지켜준 전통적인 지지자분들을

소중하게 여기고 늘 감사드리는 정치를 해야 합니다.

여러분, 그분들의 지지는 당연한 게 아닙니다.

그분들이 우리 대한민국의 지금을 만든 자부심이고, 출발점이자 보루입니다.

동시에 중도, 수도권, 청년 정치를 향한 확장 없이는 우리 당의 미래가 없다는 것을

모든 당원과 지지자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한 발은 보수의 심장인 전통 지지층에 두고

한 발은 수도권과 청년을 향해 과감히 나가야 합니다.

헬무트 콜 독일 총리는 17세의 나이에 보수정당에 입당하여 체계적으로 훈련받고,

보수정당의 추천으로 작은 선거부터 나가며 정치적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리고 훗날 콜 총리는 독일 통일이란 대업을 달성하였습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대학시절 지방선거 자원봉사자로 정치를 시작해

서른에 공천탈락의 고배를 마시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조르주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십대부터 정당활동을 시작해

서른이 되기 전에 하원의원에 당선되었습니다.

저는 그런 길을 가지 못했지만

우리 당은 이제 콜을, 마크롱을, 멜라니를 키워내야 합니다.

우리는 지금 어떻습니까.

당선 가능성이 없는걸 알면서도 자청해서 출마한 광주의 박은식,

연고가 없음에도 당의 요청으로 도전한 오산의 김효은 같은 젊은 인재들에게

우리 당은 자신 있게 ‘앞으로도 생활인으로서 정치 계속하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까?

지금처럼 선거철만 되면 벼락치기식으로 청년 인재를 영입하여 험지로 보내고,

그 귀한 인재들을 일회용으로 사라지게 두실 겁니까?

우리가 먼저 변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경쟁력 있는 중도, 수도권, 청년 정치인들이 우리 국민의힘에 오지 않을 겁니다.

사명감과 경쟁력을 가진 수도권의 정치인들, 청년 정치인들이

우리 국민의힘을 플랫폼 삼아 오랫동안 꿈을 펼칠 수 있는 방법은 하나가 아닐 겁니다.

저는 그 방법들을 여러분과 함께 끊임없이 찾을 겁니다.

그 방법 중 하나로,

저는 우리의 원외 정치신인들이 평소에도 지역 현장에서

민심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생활 정치를 할 수 있도록,

원외 정치인들의 현장사무실 개설 허용을 제안 드립니다.

다행히 선관위와 민주당은 이미 찬성하고 있으니, 우리가 결심하면 됩니다.

20년 전 차떼기 사건을 계기로 지구당이 폐지된 것을 이유로

이런 현장사무실 지역밀착정치가 부패를 부활시킬지도 모른다고 우려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저는 당시 차떼기 사건을 직접 밝혀냈고

누구보다 정치인의 부패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단호한 생각에 공감합니다.

그러나, 20년 동안 세상이 변했고, 회계는 얼마든지 투명하게 감시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지금 시점에서는 혈세로 선거보조금, 정당보조금 더 받겠다고

의원 꿔주는 편법을 근절하는 것이 더 시대에 맞는 반부패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시스템은 현직 국회의원들과 정치신인들을 차별하고 격차를 벌리고 있습니다.

차별이나 격차 없이 꿈과 열정만 있으면 정치할 수 있어야,

참신하고 좋은 사람들이 정치에 뛰어들 것이고, 그것이 곧 정치개혁입니다.

물론 제가 총선과정에서 제안하고 모두가 약속했던 불체포특권 포기,

출판기념회 정치자금 수수 금지, 금고형 이상 시 세비반납 등 정치개혁 약속들도

반드시 실천되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국민들께서 우리가 ‘정말로 좋은 정치하고 싶어 하는구나’ 하는

진심을 알아주실 겁니다.

정치에서 얻을 수 있는 사적인 이익과 특권을 없애면서도,

정치인이 공적으로 봉사하는 것을 막는 규제는 풀어내어

우리 당을 보다 활기차고 젊은 정당으로 변화시키겠습니다.

다음으로, 여의도연구원 등 당의 정책기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여

당의 체질을 바꾸겠습니다.

국민의힘이 과거의 성과를 지금 시대에 맞게 보완하고

버릴 것은 버리고 수정할 것을 정교하게 수정하여

정책 중심의 유능한 보수정당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우리당의 정책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 여의도연구원을 명실상부한 싱크탱크로 재탄생시키겠습니다.

아울러, 여의도연구원 자체뿐 아니라

보수, 중도의 수준 높은 민간 브레인들에 정책과 전략에 대한

아웃소싱을 활성화하겠습니다.

그것이 우리 정책과 전략이 더 유연해지는 것을 도울 뿐 아니라,

보수나 중도 정책전문가들이나 전략전문가들과의

선순환 생태계를 만드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겁니다.

우리의 상대는 이미 오래전부터 그렇게 하고 있지 않습니까.

여러분, 우리에겐 108명의 일당백 국회의원도 있지만,

어려운 선거에서 처절하게 분투하면서 값진 경험을 쌓은

163명의 걸출한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있습니다.

탄탄한 실력의 지방자치 의원들이 있고, 뛰어난 역량의 보좌진들이 있고,

당의 기둥인 당료들이 있습니다.

이들이 정책위와 여연과 연계해 각자 정책전문성을 키우고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대로 정책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평가와 보상 체계를 마련하겠습니다.

나아가, 국민의힘 정치의 저변을 끊임없이 확대해야 합니다.

지금처럼 선거 때만 반짝 저변 확대를 시도해서는 선거에서 이길 수 없습니다.

제가 지향하는 보수의 핵심가치는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장려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없앰과 동시에 경쟁의 룰 준수를 보장하며,

경쟁에 탈락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인간적 삶을 보장하는 것에 있습니다.

거기에 국가안보에 대한 확고한 생각과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겠다는 강한 의지는 기본이겠죠.

자유와 자율, 공정과 경쟁을 핵심 가치로 삼되,

더 나아가 공동체를 튼튼하게 지키며 동료 시민들과 연대하는 보수정치를 저는 꿈꿉니다.

과거 우리 당이 국민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을 시기에는,

비주류 소장파들이 활동할 공간이 열려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2년간 우리당은 어떠했습니까.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배제하고 낙인찍고 공격하거나

심지어 발붙일 공간을 허용하지 않는 뺄셈의 정치를 해오지는 않았는지 돌이켜봐야 합니다.

우리를 찍어주셨던 국민들을 하나둘씩 등 돌리게 했고, 상처받게 했습니다.

지난 2022년 대선에서 1,639만명의 유권자들이 우리 당을 선택하셨고,

이번 총선에서 1,318만명의 유권자들이 우리당을 선택하셨습니다.

잃어버린 320만명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지난 대선 당시 우리 국민의힘을 선택해 주셨던 분들은

단일한 생각을 가진 하나의 균질한 지지층이 아니었습니다.

정권교체를 위해 뭉쳤던, 다양한 생각과 철학을 가진 유권자들의 연합이었습니다.

이 유권자 연합을 복원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더 많은 유권자들이 우리 국민의힘을 바라보고 선택할 수 있게

당의 외연을 확대하겠습니다.

당대표가 되면 우리의 자유민주주의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한,

되도록 다양한 사람들이 우리와 함께 정치할 수 있도록

포용성과 유연성, 개방성을 갖고 당을 운영하겠습니다.

청년들이, 미래세대가 보수를 구태라고 오해하거나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도록, 국민의힘이 자랑스러운 선택지가 되도록 체질을 변화시킵시다.

보수라는 긍지를 느끼게 해 드립시다.

그래야만 이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길 수 있습니다.

셋째,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겠습니다.

2024년의 대한민국은 안으로는 인구 구조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의료건보재정, 국민연금, 지방소멸, 국방 등

사회 각 분야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밖으로는 첨단산업 및 기술 패권경쟁과 공급망 재편,

디지털 전환을 넘어선 에너지, AI 전환의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국민들께서는 우리 정치권에 이러한 시대적 도전과 과제에 대한

고민과 비전, 해결 방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정치가 수준 높은 우리 국민들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지,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있진 않은지, 저부터 반성합니다.

진영을 떠나 지금 정치가 할 일은, 근시안적인 어젠다에 매몰되어

내가 맞다 네가 맞다 싸우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시대적 사명이 무엇인지 함께 고민하고,

향후 5년, 10년, 30년을 바라보는 비전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군대의 사령관 같은 권위적 리더십이 아니라,

히말라야를 함께 등반하는 셰르파 같은 동반자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주인공은 정치인이 아니라 국민이어야 하고,

충분히 듣고, 이해하고, 설명하고 또 설명해야 합니다.

경청하고 설득하는 데에서 유능한 국민의힘이 되어야 합니다.

저출산, 인구감소, 지방소멸, 연금개혁 등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전을 앞으로 차례차례 제시하겠습니다.

국민들께 통보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께 설명하고, 검증받고, 토론하고, 당의 노선으로 정착시키겠습니다.

그 과정에서 특히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귀담아듣겠습니다.

선배 세대와 저희 세대가 누려온 대한민국의 성취와 번영을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기 위한 고민을 앞장서서 하겠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전체의 국익과 파이를 키우는 반도체, AI, 에너지, 바이오 등

과학기술과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그 과정에서 정치인의 의견이 아니라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존중하겠습니다.

최근 서울공대 신임 학장의 인터뷰에서 뼈아픈 지적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과학기술이 정쟁화하는 것이 문제다, 에너지 분야를 예로 들면 원전, 신재생 에너지, 영일만 유전까지 정쟁화 이슈가 많아지고 그 폭도 넓어지고 있다”라는 것입니다.

보수 정치의 핵심은 실용주의와 미래를 향한 유연성입니다.

에너지는 정치를 모릅니다.

원전, 유전은 우파의 것이고 신재생에너지는 좌파의 것이라는 식의

구태의연한 정치적 도식의 장벽을 깨부수겠습니다.

정치가 해야 할 일은 과학과 에너지에 정쟁과 이념을 덧씌우는 것이 아니라

선견지명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I 시대를 맞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향후 몇 년 안에

전력 소비량이 엄청나게 폭증할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앞으로 5년, 10년을 바라보고 지금 대비해야 합니다.

정치가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일은, 송전망을 파격적으로 증설하고

소형모듈원전 등을 도입해 전기 발전량을 확보하여

풍부하고 저렴한 전력을 기업들과 연구소, 대학들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한다면 우리 대한민국은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유치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 확실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겁니다.

이런 사안들은 정부와 실천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집권당이 도전적으로 나서면서

야당과의 협력을 이끌어야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앞장서겠습니다.

과학기술 및 에너지를 비롯한 국가적 핵심 정책들에서

‘이념’의 때를 벗기고 ‘실사구시’하겠습니다.

먹고사는 문제에서 정치가 민생을 잡아먹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미래와 번영을 위한 싸움이 국가 간에,

국경의 장벽을 뛰어넘은 기업 간에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후드티를 입은 마크 저커버그가 대표하던 자리는

일론 머스크를 거쳐 가죽점퍼 입은 젠슨 황의 몫이 됐습니다.

대만 출신 미국인 젠슨황은 세계 경제는 물론 양안 관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의 말 한 마디에 우리 대기업의 주가가 출렁거립니다.

그러니 양안 관계는 우리와 상관없다는 누군가의 말은 틀렸습니다.

방탄, 강행, 보이콧 이런 단어를 휘두르며 좁은 여의도 안에서 싸울 일이 아닙니다.

우리의 싸움은 더 넓은 무대에서 더 치열하게 치러져야 합니다.

그 역할은 정부에, 집권여당에, 그리고 야당에게도 주어진 국민의 명령일 것입니다.

우리 지지자들께서는 국민의힘이 소수당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면서

지리멸렬하고 끌려다닐까 걱정하십니다.

구심점 없이 중구난방 식으로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당하기만 하지 않을까 걱정하십니다.

제가 이 난국을 타개하는 구심점이 되겠습니다.

야당과도 자주 만나 논쟁하고 설득하겠습니다.

국민을 위해 설득당해야 할 사안이라면 기꺼이 설득당하기도 하겠습니다.

이제 상대당이 못하기만을 바라는 정치,

상대가 못해서 운 좋게 이기려 하는 어부지리 정치에서 저부터 벗어나겠습니다.

대한민국을 여기까지 오게 한 자유민주주의의 힘으로, 자강의 자신감으로,

강한 여당, 이기는 여당을 만들겠습니다.

누군가는 저에게 조금 기다리면 당이 더 극도로 어려워질 것이고

역설적으로 저 개인에게는 쉬운 꽃길이 찾아올 거라고들 합니다.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그런 계산기 두드리는 정치, 하지 않을 겁니다.

무엇보다, 저는 바로 지금이

지선과 대선을 앞두고 우리 국민의힘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보다 더 당이 국민의 신뢰를 잃고 더 어려워지면 우리 모두에게 다음은 없습니다.

지난 추운 겨울 뜨거웠던 108일 동안, 제가 준비 없이 달리기만 해야 했을 때,

저는 제게 당의 리더로서 선거운동에 돌입하기 이전에

당을 개혁하고 체제를 정비할 시간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자주 했습니다.

저는 가장 절실할 때 가장 어려울 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몸으로 체감했기에

당이 무엇을 바꿔야 할지를 잘 압니다. 그러니 저는 워밍업이 필요 없습니다.

제가 앞장서서 바꾸겠습니다.

바꾸는 과정에서 충분히 여러분과 대화하고 설명하겠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고, 승리의 기반을 다시 만들 기회를 저에게 주십시오.

저의 모든 것을 바쳐, 제가 제일 먼저 바뀌어서 우리 당을 바꾸고,

보수정치를 혁신적으로 재건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겠습니다.

당원 동지 여러분, 동료 시민 여러분.

우리가 바라는 변화의 시작, 함께 해주십시오.

고맙습니다.

장동혁 "한동훈, 국힘이 민심을 얻기 위해 대통령과 차별화 할 것"



a65609aa252769e87eb1d19528d527036fb3c9d7e3b67a16


a65609aa25276ae87eb1d19528d52703c7d369a927f72437


a65609aa25276be87eb1d19528d5270318b4f22acfec2f


a65609aa25276ce87eb1d19528d52703a38b8c553e4610


a65609aa25276de87eb1d19528d52703cb594358e6860e


a65609aa25276ee87eb1d19528d5270395fe1933694b28


a65609aa25276fe87eb1d19528d52703581322d2f840fe


a65609aa252760e87eb1d19528d52703d1977f99aed25d


a65609aa252761e87eb1d19528d52703814473d675eebd


a65609aa252769f620afd8b236ef203e8892489ba55e1f93


a65609aa252769f720afd8b236ef203ee574aca91bd6edc1





출처: 기타 국내 드라마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27

고정닉 70

26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25047
썸네일
[싱갤] 싱기방기 우리나라의 연령별 범죄곡선
[5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44268 721
225046
썸네일
[자갤] ㅈ같은 교통위반 신고할 때 꿀팁..jpg
[1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9612 311
225042
썸네일
[싱갤] 내국인 / 외국인이 평가한 제주도 여행 (2023년)
[1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6547 24
225040
썸네일
[카연] 바다거북 탐정과 어느 모텔의 안전수칙 (완결편)
[45]
염승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0492 109
225038
썸네일
[유갤] 반전영화의 대가 M.나이트 샤말란..근황...jpg
[223]
ㅇㅇ(175.119) 04.21 28425 108
225036
썸네일
[싱갤] 늦둥이 낳고 입양한 엄마
[186]
모카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2857 176
225034
썸네일
[주갤] 오피셜) 한국, 저출산으로 이미 망했다.jpg
[27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80685 2140
22503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국에서 한 번쯤 가볼만하다는 곳
[405]
ㅇㅇ(58.127) 04.21 36340 132
225028
썸네일
[필갤] [나의여행지] 참가에 의의를 두는 샌프란시스코
[15]
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9815 16
225026
썸네일
[새갤] 미친놈들 전성시대, 재보궐로 당선된 영국 이슬람빠 “조지 갤러웨이”
[105]
천하람의햄버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8093 84
2250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조선시대 과거 시험 난이도
[1333]
ㅇㅇ(211.172) 04.21 64705 472
225022
썸네일
[해갤] 해병대 훈련소 특A급 아쎄이.......JPG
[219]
ㅇㅇ(223.39) 04.21 41138 368
225021
썸네일
[박갤] 일본 부동산 시장을 노린 한국기업
[1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4497 82
225018
썸네일
[싱갤] 기묘기묘 이상하게 생긴 저격총 (영화 자칼의 날 1973)
[8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5953 118
225017
썸네일
[중갤] 20세기 역사를 바꿔버린 책.jpg
[336]
ㅇㅇ(110.12) 04.20 40446 184
225015
썸네일
[기갤] 잘생겨서 여고 교생실습 거부 당했던 신현준 과거
[3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7626 341
225011
썸네일
[싱갤] 장문)트젠수술 하고싶다는 아빠
[412]
막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5532 52
225010
썸네일
[카연] 어릴때 결혼약속하는 만화 (채색버전).manhwa
[67]
윤등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1649 218
225006
썸네일
[부갤] 정보글) 대출 낀 영끌이가 망하는 구체적인 과정.jpg
[221]
ㅇㅇ(39.124) 04.20 38615 284
225005
썸네일
[유갤] 동양인이 백인을 절대 이길수 없는 이유...JPG
[1397]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61914 658
22500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취두부 튀김 먹는 맛있는 녀석들.jpg
[18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4080 95
225001
썸네일
[디갤]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62]
otoh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9433 38
225000
썸네일
[이갤] 중국이 중진국 함정 확정인 이유...jpg
[7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2133 465
224998
썸네일
[싱갤] 110년 전 남자들의 책임감과 기사도 정신...jpg
[532]
ㅇㅇ(115.92) 04.20 35316 115
224996
썸네일
[부갤] 한국은 이미 악순환이 시작됐다. 서울에 전부 다 있어서 출산율이 떨어지는
[808]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7242 221
224995
썸네일
[카연] 지방발령 히어로!!! 18
[20]
준한준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2334 50
224993
썸네일
[싱갤] 꼴릿꼴릿 본인작품을 리뷰하는 av배우 jpg
[202]
ㅇㅇ(211.235) 04.20 76277 141
224990
썸네일
[주갤] [블라] 국결하려는 알파남에게 발악하는 블줌마들.jpg
[799]
주갤러(211.220) 04.20 45103 1005
224988
썸네일
[유갤] 잘만든 아시아..MCU(마블)...슈퍼히어로....jpg
[154]
ㅇㅇ(175.119) 04.20 21809 53
224986
썸네일
[중갤] 총선결과 여소야대에 정신이 나가버린 전한길
[1007]
축리웹염탐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7605 1210
2249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본인 데뷔곡을 싫어했던 아이돌 밴드맨..jpg
[1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1121 34
224983
썸네일
[기갤] 미국인과 상성이 안 좋다는 핀란드인
[3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0883 378
224981
썸네일
[야갤] 허경영 성추행 사건 근황 ..jpg
[192]
야갤러(119.193) 04.20 44986 394
224980
썸네일
[도갤] 순천이 전봇대 수백 개를 뽑아버린 이유
[496]
ㅇㅇ(106.101) 04.20 36774 451
2249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곡성 아역배우 김환희 근황
[3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9162 151
224976
썸네일
[필갤] [나의여행지] -40 ℃
[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7849 53
224975
썸네일
[무갤] 관세 피하는 '쪼개기 직구'에 중소기업은 '휘청
[797]
쌍쌍b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8147 115
224971
썸네일
[싱갤] 내게 사기친 사기꾼 2년 6개월 선고받았네
[223]
ㅇㅇ(183.107) 04.20 60381 336
224970
썸네일
[알갤] 일론머스크도 한국여성 좋아하네
[88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1371 791
224968
썸네일
[주갤] "폰허브에 내 영상 돌아다니면 한국에서 호구 한남 못잡는단 말야"
[1339]
36살아기(122.202) 04.20 90183 1260
224967
썸네일
[카연] 전쟁 순애 감동 로맨스 만화
[125]
전기톱장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1087 346
224965
썸네일
[미갤] 일본 시골 여행중 한국인 쾌남을 만난 유튜버
[3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0315 361
224963
썸네일
[일갤] 에피폰의 창립 고향에 가보다 *스압
[36]
기상캐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1808 29
224961
썸네일
[무갤] 중동 위기 최고조 '불안'...세계 경제 심각한 타격 예고
[132]
ㅇㅇ(118.43) 04.20 21752 47
224960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패륜이지만 존속 살해는 아니었던 사건
[386]
권유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1559 570
224958
썸네일
[해갤] ■이강인, 대한민국에서 받아온 대우...jpg■
[699]
ㅇㅇ(118.235) 04.20 46961 1256
224955
썸네일
[새갤] 정성글) 당신이 보는 건 진짜인가요? <가스등>
[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8707 112
224953
썸네일
[싱갤] 신기신기 한국의 특급 주술사 해외로 진출
[766]
ㅇㅇ(210.91) 04.20 59556 697
224951
썸네일
[부갤] 국가 주도의 납치, 노예노동의 역사 서산개척단 ㄷㄷㄷ
[316]
부갤러(61.82) 04.20 22275 194
224950
썸네일
[싱갤] 키득키득 오세훈 성인페스티벌 해명 근황 (+댓글반응)
[1167]
사데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0156 86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