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세 도보 전투 심층분석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8.22 17:35:02
조회 17991 추천 74 댓글 63

7cf3da36e2f206a26d81f6e44480736e19



기마 전사의 열망


귀족들의 주된 목표는 창을 든 채로 동등한 적과 맞서 싸우고 동료들 앞에서 기량을 과시하는 것이었다. 이는 1346년 크레시, 1356년 푸아티에, 1360년 파리 전투에서처럼 전투 직전에 벌어지는 마상창시합(jousts of war)이나, 1414년 아라스와 1418년 루앙 포위전처럼 포위공격 중간에 합의된 시합에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귀족들은 정찰, 파괴, 약탈과 같은 활동을 통해 적과의 접촉이 잦은 쿠뢰르(coureurs) 역할을 자처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적과의 대결을 모색할 수 있었다. 백년 전쟁을 다룬 네 가지 연대기의 전투 통계 분석에 따르면, 기동 작전 중 약탈은 70%, 정찰은 19%의 확률로 전투로 이어졌다. 공성전의 경우 수비군의 출격이나 구원군의 도착으로 인해 42%의 확률로 전투가 발생했다.


기사, 귀족, 지휘관, 심지어 왕까지도 쿠뢰르 역할을 열망했다. 쿠뢰르 활동은 기사도적인 전투, 구출, 포로 획득, 수익성 있는 몸값, 그리고 개인적인 영광을 얻을 수 있는 훌륭한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기병은 소규모 부대 작전에서 보병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소규모 기병대는 함께 뭉쳐서 이동하기 쉬웠고, 투사체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더 잘 보호할 수 있었다. 기동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쉽게 적의 측면과 후방을 공격할 수 있었고, 보병이 대형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기습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식량을 구하기 위해 흩어진 보병들은 특히 기병에게 취약했는데, 그들의 활동이 분산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특히 적 근처에 있을 때 강력한 기병 지원이 필요했고, 이는 수많은 기마 전투의 무대를 마련했다.


기사도적 명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기마 전투와 귀족적 행동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실제로 그 단어들은 어원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cheval(말), chevalier(기사), chivalry(기사도).


모험을 찾아 노럼(Norham)에 도착한 방랑 기사 윌리엄 마미온(William Marmion)에게 토마스 그레이는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면 도보보다 말을 타고 싸우는 것이 기사도에 더 적합하다"고 말했다. 마미온은 스코틀랜드 군대를 향해 말을 타고 돌격했고, 예상대로 얼굴에 부상을 입고 낙마하여 동료들에 의해 구출되었다.


11세기의 롤랑의 노래에서 전투는 거의 대부분 말을 타고 벌어지며, 대주교는 기마 전투를 칭찬한다. "이러한 용맹은 혈통 있는 기사에게 어울린다. / 무기를 들고 훌륭한 말을 타는 기사에게."


기사였던 토마스 말로리는 "갑옷을 입은 다른 사람들을 말을 타고 창과 칼로 물리칠 수 있는 사람들"을 크게 칭찬했다.


1459년 블로어 히스 전투에서 랭커스터 군은 기마 돌격으로 "명예를 거의 얻지 못했고 이익은 더 적었다"는 것을 깨닫고 나서야 하마하기로 결정했다.


귀족들의 염원은 전장에서 창을 겨누고 기마 돌격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등자와 14세기 후반 흉갑 창대걸이(arrêt de cuirasse)의 발전으로 중장기병은 전례 없는 위력으로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수한 말들은 적의 측면과 후방을 공격하여 기습 공격을 가하는 데 필요한 기동성을 제공하고, 적의 말을 밀어내고, 적 보병을 쓰러뜨리고 발굽으로 짓밟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이튼(Knighton)이 지적했듯이, 1342년 트레가랑텍(Trégarantec) 전투에서 중무장한 프랑스 기병대의 의도는 "말을 타지 않은 영국군을 말발굽 아래 짓밟는 것"이었다. 특히 궁수들은 1356년 푸아티에, 1416년 발몽(Valmont), 1424년 베르뇌유(Verneuil) 전투, 그리고 백년 전쟁 동안 여러 다른 경우에서 이러한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주인을 대신하여 부상을 견딜 수 있는 강력한 말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적을 쓰러뜨리고, 방벽과 창대를 부수고, 탈출을 용이하게 했다. 윌리엄 마샬의 말은 창에 일곱 번이나 찔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달렸고, 1472년 보베 전투에서 장 드 살라자르(Jean de Salezard)의 말은 치명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안전하게 데려왔다.


1358년 자크리 봉기 진압 당시 반군들은 "칼과 말의 힘으로 무너졌다(la rompirent aux glaives et à la force de leurs chevaulx)." 토마스 드 그레이는 "말의 충격과 그의 창으로(de hurt du cheval, et de sa launce)" 적을 쓰러뜨렸고, 헨트 민병대에 맞선 자크 드 랄랭(Jacques de Lalaing)의 공적도 비슷한 용어로 묘사된다. "강하고 용감한 말은 때로는 주인 혼자서 모든 무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큰 피해를 입힌다." 당연히, 잘 무장한 기병대는 스스로를 무적으로 여길 만했다.


중기병대의 주요 전술적 목표는 적진을 돌파한 다음, 돌아서서 다시 돌파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 즉 '끊임없는 회전(roulement perpétuel)'으로 알려진 기동이었다. 이는 이상적인 기마 전투 시나리오였으며, 색슨족과의 전투에서 "적진을 세 번이나 왔다 갔다 하며" 달리는 지크프리트나, 톨레도의 페드로 1세처럼 끊임없이 움직이며 적진을 휘젓고 다니며 적 기병을 낙마시키는 짜릿한 전투였다. 프랑스군은 1435년 제르베루아(Gerberoy)에서, 피카르디군은 1436년 칼레에서 같은 전술을 사용했다.


이 기동의 가치는 끊임없는 움직임에 있었는데, 기병이 공격하기 어려운 목표가 되도록 하고, 공격에 힘을 더하고, 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행동은 본질적으로 포르투갈의 두아르테 1세가 마상 시합에서 경기장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말을 달린 다음, 돌아서서 적절한 다음 목표를 선택하기 전에 하는 행동과 유사했다. 이 전술은 불규칙하게 연속적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보다 말이 덜 피로해진다고 여겨졌다. 기욤 르 브르통에 따르면 1214년 부빈 전투에서 '회전'은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기병이든 보병이든 적들은 기수를 낙마시키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말을 다치게 하거나 죽여서 이 돌격을 저지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더 큰 목표물인 말들은 쇠뇌와 장궁 모두에 부상을 입었고, 창과 칼에 찔렸고, 근접 전투에서 단검에 찔리고 전투 망치에 맞았다. 피에트로 몬테(Pietro Monte)가 말했듯이, "바보들은 말을 놔두고 기수를 공격하지만, 현명한 사람들은 그 반대로 한다."


특히 상대 기사를 죽이지 않고 생포하고 싶을 때, 그들의 말이 대신 표적이 되었다. 1124년 부르테룰드(Bourgthérould)와 1217년 링컨 전투에서 쇠뇌수들은 적 기사들의 말을 쏘도록 명령받았고, 준마들이 도살된 뒤 생포된 기수들의 몸값을 받아냈다. 윌리엄 마샬은 1189년 르망(Le Mans) 근처에서 미래의 리처드 1세를 죽이는 대신 그의 말을 죽였다.


말을 죽이거나 불구로 만드는 것은 종종 그 주인을 불명예스럽게 만드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말에 관련된 명예와 지위를 분명히 보여주는 한 사례는 1346년 라 레올(La Réole) 항복 당시 프랑스 수비대가 도시를 걸어서 떠나지 않기 위해 승리한 영국군에게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말을 산 것이다.


보병에 맞서 중기병대의 주요 목표는 반드시 죽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대형을 뚫고, 열고, 통과하여 혼란과 고립을 야기하는 것이었다. "분리하고, 나누고, 열고, 쓰러뜨리고, 죽인다(séparer, diviser et ouvrir, abatre et occire)." 그러면 그 뒤를 따르는 경무장 기병대가 하마하여 쓰러진 적을 포로로 잡거나 죽일 수 있었다. 반대로 "통과(passer oultre)", 즉 돌파에 실패하면 혼잡, 정체, 그리고 재앙으로 이어졌다.


말을 타는 또 다른 이점은, 크세노폰이 아나바시스(Anabasis)에서 기병의 유일한 이점이라고 주장한 것처럼, 도주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었다. 중세 전쟁 기록에는 몇 가지 극적인 탈출 사례가 나와 있다. 잔혹왕 페드로의 뛰어난 시리아산 말 페르세페르(Percefer)는 톨레도에서 적들을 땅에 쓰러뜨렸을 뿐만 아니라 적의 어떤 말보다도 빨리 달릴 수 있었다. 페르세페르는 하루에 네 번이나 그의 목숨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30년 앙통(Anthon) 전투에서 오라녜 공의 용감한 말은 부상당한 주인을 빠르게 흐르는 론 강 건너 안전한 곳으로 데려갔다. 로버트 드 비어는 1387년 래드콧 다리 전투에서 "놀라운 용기"로 적들로부터 탈출했는데, 칼과 갑옷을 버리고 빠른 말을 탄 채 템스 강으로 뛰어들었다. 많은 경우에, 더 좋은 말을 탄 사람만이 탈출했다. 1385년 알주바로타(Aljubarrota) 전투에서 "싱싱한 준마"가 카스티야 왕을 안전하게 데려갔다.


말은 또한 공성전 중에 "많은 가치 있는 기사들에게 구원"이었다. 1342년 벤(Vennes)이 함락되기 직전, 올리비에 드 클리송(Olivier de Clisson)을 포함한 몇몇 귀족들은 말을 타고 성문을 통해 도망쳐 목숨을 건졌다. 마찬가지로, 더비 백작에게 베르제라크(Bergerac)에서 포위된 릴 백작(Count de l’Isle)은 대부분의 기사들과 함께 밤에 말을 타고 라 레올로 도망쳤다.


포위된 군대는 또한 적을 혼란에 빠뜨리기 위해 결정적인 순간에 출격해 포위군 진영으로 파괴적인 기마 공격을 가하기 위해 말을 사용할 수 있었다. 1345년 오베로슈(Auberoche) 전투에서 프랑크 할(Sir Frank Halle) 경은 구원군을 지원하고 적의 패배를 완성하기 위해 성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기병과 함께 출격했다. 1423년 크라방(Cravant), 1436년 샤방시(Chavensy), 1436년 칼레, 1472년 보베, 1477년 베주(Vesou), 1492년 라 레이(La Laye)에서 이와 유사한 기마 작전으로 포위가 풀렸다.


기병은 공성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성공적인 출격 작전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적의 출격에 대응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기도 했다. 1421-22년 모(Meaux) 공성전처럼 악천후로 인해, 1431년 루비에(Louviers) 공성전처럼 사료 부족으로 인해, 또는 1428-29년 오를레앙(Orléans) 공성전처럼 기병의 존재가 불필요하다고 여겨져 말을 멀리 보내야 했던 공성군은 사실상 적에게 주도권을 넘겨주었다. 또한 기병은 포위전의 성패를 결정짓는 보급 작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7ff3da36e2f206a26d81f6e44e887c680f



기마 전투의 단점


말은 값비싼 물건이었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했으며, 식량이 부족해지면 가장 먼저 고통받았다. 또한 악천후에 매우 취약했다. "추운 날씨나 비가 오는 밤은 기병대를 망칠 수 있다. 추위나 습기보다 말을 더 빨리 해치는 것은 없었다."


특히 종마는 고집이 세서 종종 대열을 유지하기를 거부했고, 결정적인 순간에 겁을 먹거나 방향을 틀어 창 공격을 망칠 수 있었는데, 세인트 잉글레베르(St. Inglevere)에서의 마상 시합이 그 예시이다. 말들이 너무 가까이 붙어 있으면 서로 발을 걸거나 인접한 기사의 박차에 걸려 낙마시킬 수 있었고, 반대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돌파에 필요한 응집력이 부족했다.


말을 멈추게 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도 있었고, 그렇게 추격 중에 적진으로 끌려가서 포로로 잡히거나 죽는 경우가 많았는데, 1347년 에르(Aire) 시까지 적을 추격한 영국 기사가 그 예시이다. 마찬가지로 한 영국 귀족은 그라블린(Gravelines) 성문까지 너무 맹렬하게 추격하다가 그의 말이 그를 "강제로" 도시 안에 끌고 들어갔고, 루카스라는 이름의 향사는 피카르디군을 추격하다가 아르드르(Ardres)의 성벽까지 따라가 죽었다.


결과적으로 대규모 기병대가 돌격 후에 재집결하고 대형을 재정비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나 지휘 통제가 더 잘되는, 규율이 잘 잡힌 소규모 부대는 가능했다. 따라서 1408년 오테여(Othée) 전투에서 400명의 부르고뉴 기사들은 성공적인 측면 공격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승리를 확보하기 위해 전장으로 돌아왔고, 1452년 니벨(Nivelle) 전투에서는 추격을 마치고 돌아온 일부 부르고뉴 쿠뢰르들이 재앙을 막을 수 있었다.


기병이 보병에게 대패했을 때, 그것은 흔히 형편없는 지휘, 지친 말, 험난한 지형, 그리고 필요한 속도를 낼 수 없는 무능력 때문이었다. 이 모든 요소들은 크레시와 아쟁쿠르에서 프랑스군의 패배에 기여했다.


기수에게 가장 위험한 상황은 정지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면 그는 창을 버리고 칼로 자신과 말을 방어해야 했다. 적대적인 보병들에게 둘러싸인 그는 쉽게 말에서 끌어내려져 살해당하거나, 치명적인 근접 사격에 노출될 수 있었다. 부상당한 말에서 떨어진 기수는 크레시 전투에서처럼 쓰러진 말 아래 깔려 죽거나 꼼짝 못하게 될 수 있었다.


기병, 특히 백마를 탄 사람들은 적의 도시 성벽 근처에 있을 때 특히 포병의 표적이 되었다. 1340년 케누아(Quesnoy)와 고겔(Goguel) 전투에서 기병대는 포탄과 쇠뇌 화살의 공격을 받고 후퇴했다. 용맹공 장과 르 주벵셀(Le Jouvencel)은 적의 도시 근처에서 전투를 벌이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특히 후자는 기병이 시가전에서 제대로 활약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7ef3da36e2f206a26d81f6e44489736e2b



하마 전술의 이유


도보 전투가 더 나은 선택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 이유는 종종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페르브뤼헌(Verbruggen)은 기사들이 하마하는 주된 이유는 보병을 강화하고 용기를 주기 위해서라고 생각했다. 그는 기사들이 수적으로 열세일 때, 그리고 지형이 도보 전투에 더 유리할 때 하마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들은 더욱 발전되고 확장될 수 있다. 때로는 말이 멀리 보내졌거나, 사료 부족으로 죽었거나, 바다를 건너는 동안 죽었을 때는 도보로 싸울 수밖에 없었다. 후자는 십자군 전쟁 동안 중요한 문제로 드러났는데, 행군 중에 말이 죽은 기사들은 기병대 뒤에 대형을 갖추어 지원을 제공했다. 델브뤽은 말이 부족했던 시리아에서 이런 일이 흔하게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1373년 곤트의 존의 기마약탈 동안 거의 모든 말이 사료 부족으로 죽었고, 심지어 일부 기사들은 도보로 이동해야 했으며, 긴급한 행군을 위해 갑옷과 무기를 버렸다. 오를레앙에서 영국군이 후퇴하는 동안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


기마 도주의 용이성은 도보 전투의 주요 이유 중 하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그것은 아군과 적 모두에게 이것이 끝까지 싸우는 전투가 될 것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으며, 도주를 막기 위한 강력한 메시지였다. 매튜 스트릭랜드가 지적했듯이, 일단 하마하면 탈출하기 어렵고, 따라서 더욱 단호하게 싸워야 할 필요성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기사들을 도보로 배치하는 주요 이유로 여겨졌다.


전투에 참여한 다음 하마하여 싸우는 개념은 오랫동안 확립된 앵글로색슨 전쟁의 원칙이었고, 이후 앵글로-노르만 군사 전통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짐 브래드버리는 이 전술이 영국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 프랑크족의 전쟁 방식에서 발전했다고 생각했다. 군인 황제 마우리키우스는 프랑크족이 도주를 경멸하고, 수적으로 열세이거나 강한 압박을 받으면 미리 정해진 신호에 따라 하마하여 싸웠으며, 도보 전투를 선호했다고 언급했다.


오더릭 바이탈리스(Orderic Vitalis, 1075-1142)에 따르면, "부하들과 함께 하마한 기병은 전장에서 도망치지 않을 것이다. 그는 죽거나 승리할 것이다." 이러한 훈계에는 전술적인 측면이 있었는데, 적 기병대의 공격에 대응하는 것은 기병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궁수와 일부 기병과 함께 하마한 기사들로 보병을 강화하는 것이 훨씬 더 성공 가능성이 높았다. 기사들은 1106년 탱슈브레(Tinchebrai), 1119년 브레뮐(Brémule), 1124년 부르테룰드, 1141년 링컨, 그리고 1138년 스탠더드 전투에서 꾸준히 그들 중 많은 수를 하마시켰고, 하마한 기사들은 궁수들과 섞여 싸웠다.


스티븐 모리요(Stephen Morillo)는 기사들이 말을 타고 싸우려는 자연스러운 욕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앵글로-노르만 왕들이 가진 것과 같은 강력한 권력과, 서로 도망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훈련된 보병대가 필요했고, 그로 인해 기사들의 성공적인 도보 전투가 가능했다고 주장했다. 경험이 많고 서로 신뢰할 수 있는 동료들은 훨씬 더 확고하게 버틸 가능성이 높았다. 그렇지 않으면 신뢰할 수 없는 보병들 사이에 귀중한 기사들을 배치하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는 위험이었다.


영웅적인 차원에서의 하마 전술의 목적은 고전 영시 말돈 전투(Battle of Maldon, 서기 991년)에 잘 나타나 있다. 버트노스(Byrhtnoth) 백작이 부하에게 말을 가져가라고 명령했을 때, 이 행동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질 것임을 의미한다. 백작이 전사한 뒤에도 그의 쎼인(thegn)들은 무기를 더 이상 들 수 없을 때까지 계속 싸웠고, 술잔치 홀에서 주군과 함께 죽겠다는 맹세를 이행했다. "나는 이곳에서 한 발짝도 도망치지 않고, 비록 싸움이 희망 없다는 것을 알지만 계속 전진할 것을 맹세한다." 그들의 약해지는 힘과 강해지는 결의는 가슴 아픈 구절로 표현된다.


그러나 덜 기억에 남지만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버트노스의 죽음 이후의 상황인데, 오다(Odda)의 아들들은 전장에서 도망쳤을 뿐만 아니라 주군의 말을 타고 도망쳐 남은 아군의 패주를 촉발했다. 게르만 법전은 그러한 극악무도한 행동은 평생 불명예를 져야 한다고 명령한다. 왜냐면 그런 행위는 공동체의 정신과 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그러한 정서는 영국에서 중세 후기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크누트의 법은 주군과 동료를 버리고 전투에서 도망친 자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는데, 이는 헨리 1세 법전(Leges Henrici Primi)에도 반복되었다. 영국군의 힘은 응집력 있고 규율이 잡힌 도보 전투에 있었기 때문에, 전체 군대를 혼란에 빠뜨리고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무단 '기마 돌격(roodes)', 또는 '약탈(havoke)', '돌격(mounte)' 또는 '말에 타라(to horse)'라는 외침은 심각한 처벌을 받았다.


1417년 부르고뉴 법령에도 도주 또는 대열 이탈과 관련된 유사한 제재가 포함되었다. 1385년 알주바로타 전투에서 귀족들은 왕과 함께 전장에서 죽겠으며 겁쟁이들은 참수될 것이라고 맹세했다. "한 명의 겁쟁이가 24명의 용감한 사람들을 낙담시키기 때문이다."


하마 전술의 목적은 도주를 막기 위한 것이었지만, 말돈 전투에서처럼 일부 도망자들이 말을 묶어둔 곳으로 향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기마 도주는 특히 귀족 계급 사이에서 전염성이 강했는데,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1346년 크레시 전투에서 부상당한 필리프 왕이 전장을 벗어나자 많은 병사들이 그를 따라갔고, 1356년 푸아티에 전투에서 왕자들이 도망치자 많은 병사들이 따라서 도망쳤다. 아쟁쿠르 전투에서는 프랑스 후위대 전체가 도망쳤다. 1429년 파테(Patay) 전투에서 존 패스톨프 경과 티앙의 서자(bastard of Thian)가 도망치자, 많은 기사들이 전속력으로 그들을 따라갔다. 패스톨프는 불명예를 당하고 가터 훈장을 잃었지만, 나중에 복직되었다.


그러나 그의 행동은 1430년 콩티(Conty) 근처에서 대규모 프랑스군에게 기습을 당했을 때 말을 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도망치기를 거부한 루이스 드 로베사르(Lewis de Robessart)의 행동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그의 부하들이 대부분 근처 성으로 피신하는 동안 로베사르는 하마하여 "매우 용감하게 방어"했다. 도망치면 자신이 속한 기사단에 불명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 로베사르는 적에게 제압될 때까지 계속 싸웠다. 이는 아쟁쿠르 전투의 참전자인 질베르 드 랑누아(Ghillebert de Lannoy, 1386-1462)의 말을 연상시키는데, 그는 도망자 목록에 오르는 것보다 죽은 자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패스톨프와 마찬가지로 오라녜 공은 앙통 전투에서 도망친 후 황금 양모 기사단에서 제명되었다. 다시 한번, 1450년 포르미니(Formigny) 전투에서 영국군이 패배했을 때, 말을 탄 사람들만이 탈출했다.


기병대의 이탈은 남아있는 보병들에게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는데, 1349년 왈레프(Waleffe) 전투에서처럼 군대 전체가 공황 상태에 빠져 도망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1461년 페리브리지(Ferrybridge) 전투에서 워릭 백작(Earl of Warwick)이 자신의 말을 죽인 상징적인 행동을 판단해야 한다. 이는 그가 보병들과 운명을 함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아이러니하게도 1471년 바넷(Barnet) 전투에서 영웅적인 최후의 저항을 한 것은 그의 형제 몬태규였고, 워릭은 도망치다가 죽었다.


기병들에 대한 깊은 의심은 수세기 후 영국이 다시 한번 창과 방패에 맞서 깃발을 펼쳤을 때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1879년 줄루 전쟁에서 보병들이 죽어가는 동안 장교들이 말을 타고 도망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최고 사령부 내에서 심각한 불안을 야기했다. 가넷 울즐리 경(Sir Garnet Wolseley)은 장교가 자신의 부하들을 버리고 도망치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monstrous)" 일이라고 생각했고, 이후 제국 내 모든 연대에 낭독될 명령을 초안했다. 좋든 나쁘든 부하들과 운명을 함께하는 것이 장교의 의무이다. 영국 장교는 항상 그렇게 해왔기 때문에 군대 내에서 지금과 같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분명히 1415년 아쟁쿠르 전투에서 헨리 5세와 그의 수행원들이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하마한 것과, 1424년 베르뇌유 전투에서 임박한 붕괴를 막기 위해 솔즈베리와 베드퍼드가 도보로 싸우는 모범을 보인 것은 부하들을 고무시켰을 뿐만 아니라 영국군의 전통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수적으로 열세일 때 하마하는 것은 오래된 관행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886년부터 912년까지 비잔틴 황제였던 레오 6세는 기병 전투에서 압박을 받으면 "도망치기보다는 하마하여 수적으로 우세한 적에게 등을 맞대고 서 있을 것"이라며 프랑크족의 전술에 대한 마우리키우스의 진술을 되풀이했다.


소규모 접전과 대규모 전투 모두에서 수적으로 열세일 때는 하마하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여겨졌다. 도보로 싸우는 것이 더 안정적인 전투 공간을 제공하고, 적 기병과 그들이 탄 말에 정확하고 강력한 양손 공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크세노폰은 부하들에게 기병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격려했다. "우리는 굳건한 땅에 서서 더 큰 힘으로 공격할 것이고, 더 잘 맞출 것이다."


또한 더 경험이 많고, 무장이 더 좋거나, 더 좋은 말을 탄 적 기병대와의 싸움을 피하고 하마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여겨졌다. 15세기에 카스티야인들은 기병으로 싸우는 것을 선호했지만, 1469년 벨레스-말라가(Vélez-Málaga) 전투에서처럼 수적으로 열세이거나 지형이 기마의 이점을 상쇄할 때는 하마했다.


더 많은 보병들을 상대로 말을 타고 싸우는 것의 단점은 마리 드 프랑스(Marie de France)의 시에 잘 나타나 있다. 티보(Thibault) 경은 말에 탄 채 여러 명의 강도들을 상대하려고 하지만, 그의 말이 죽어서 그는 땅에 엎어지고 그의 아내는 폭행당한다. 반면에 말로리의 라 코트 말 테일(La Cote Male Taile)은 수적으로 크게 열세에 처했을 때 하마해서 싸운다.


중세 시대 내내, 낙마했거나 말을 잃은 기병들이 적의 말을 공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윌리엄 마샬의 말이 죽었을 때, 그는 울타리에 등을 대고 도보로 계속 싸웠고 적의 말 여섯 마리를 죽였다. 리처드 드 배스커빌(Richard de Baskerville)은 낙마한 후 구출될 때까지 칼로 프랑스 적들의 말을 공격하여 자신과 자신의 말을 보호했다.


말로리가 강조했듯이, 귀중한 말이 다칠까 봐 두려워하는 것은 하마 전술의 강력한 동기였다. "그래서 트리스탄 경은 적들이 그의 말을 죽이지 못하도록 말에서 내렸다." 가웨인 경은 마르하우스 경이 하마하지 않으면 그의 말을 죽이겠다고 위협한다.


스칼라크로니카(Scalacronica)에 묘사된 전투에서 말들은 창, 특히 보병의 창에 의해 공격당했다. 피오레 데이 리베리(Fiore Dei Liberi)의 전투의 꽃과 피에트로 몬테(Pietro Monte)의 저술과 같은 중세 전투 교본들은 창, 투창, 또는 칼로 무장한 채 기병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수많은 예를 제시한다.


기병들은 긴 창을 가진 보병들을 두려워했고, 1346년 보템(Vottem) 전투와 1459년 블로어 히스 전투에서처럼 말과 자신의 안전을 걱정하여 하마한 동료들을 도와 적 보병대와 교전하기를 거부하기도 했다.


따라서 소규모 전투와 대규모 전투 모두에서, 한쪽이 하마하면, 다른 쪽도 종종 똑같이 하마했다. 게다가 기병으로 먼저 교전해서 돌파에 실패했을 때도 한쪽이 하마하면 곧 다른 쪽도 따라서 하마했다.


하마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말을 화살, 특히 장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었다. 이는 말이 화살에 맞았을 때 발생하는 혼란과 붕괴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장 르 벨(Jean le Bel)은 프랑스군이 푸아티에 전투에서 하마한 이유를 영국 궁수들이 항상 말을 공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반면에 근접 사격을 받지 않는 한, 하마한 기사들은 장궁에 거의 해를 입지 않았는데, 1364년 코슈렐(Cocherel) 전투와 오레(Auray) 전투에서처럼 그들은 "너무 잘 무장하고 방패로 보호되었기 때문이다." 전열에 설치된 파비스(pavise) 방패도 화살 공격을 무력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데, 이 전술은 1356년 고드프루아 드 아르쿠르(Godefroy de Harcourt)를 패배시켰다. 따라서 장궁은 크레시 전투에서 죽은 엄청난 수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본질적으로 대기병 무기였다.


게다가 도주 중에 따라잡힐 가능성에 직면했을 때 하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다시 개인적인 행동이거나 집단적인 행동일 수 있었다. 영국군의 용병 에티엔 하트(Etienne Hart)는 귀리에 대한 논쟁 끝에 장대 도끼로 무장한 화난 상인과 부하들에게 맹렬히 추격당했을 때, 말을 탄 자신의 취약성을 깨닫고 하마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칼을 뽑아서 성공적으로 자신을 방어했다.


1352년 아르드르 전투에서 영국군은 생토메르(St. Omer) 근처를 습격한 후, 말들이 지쳤기 때문에 추격자들과 맞서기 위해 하마했다. 1358년 피농(Pinon) 영주가 60명의 기사들과 함께 크레유(Creil) 근처에서 대규모 나바라 군대와 마주쳤을 때, 그들은 처음에는 도망쳤다. 그러나 더 좋은 말을 타고 있었던 나바라 군대가 그들을 따라잡자, 피농은 도랑과 울타리로 둘러싸인 장소를 발견하고 하마하라는 명령을 내리며, 도망치다가 죽거나 포로로 잡히는 것보다 그곳에 머물면서 승리의 기회를 잡는 것이 낫다고 외쳤다. 그러한 행동은 일반적으로 아르드르 전투에서처럼 추격자들에게 신속한 공격 대신 질서 정연한 대열을 강요했고, 그들 또한 하마하도록 강요함으로써 지원군이 도착할 시간을 벌었다.


기습을 당했을 때도 적이 하마하도록 강요하여 적의 초기 이점을 무력화하려고 시도할 수 있었다. 영국군과 가스코뉴군으로 구성된 혼성 부대를 이끌던 엘리오 드 플레삭(Heliot de Plaisac)은 1378년 라 로셸 근처에서 프랑스군에게 기습을 당했다. 첫 번째 돌격에서 그의 부하 여러 명이 낙마했을 때, 그는 "하마하라, 하마하라! 아무도 도망치지 말고 말을 놓아줘라! 만약 승리한다면 우리는 충분한 말을 얻을 것이고, 패배한다면 우리는 어떤 말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외쳤다. 가스코뉴군과 영국군은 질서 정연하게 도보로 대형을 갖추었고, 말이 적의 창과 칼에 다칠까 봐 두려워한 프랑스군도 따라서 하마했다. 엘리오는 결국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지만, 오랜 시간 동안 백병전을 벌인 끝에야 그렇게 되었다. 1385년 발베르데(Valverde) 전투에서 수적으로 크게 열세였던 포르투갈군은 종자들에게 말을 맡기고 밀집 대형을 이룬 채 카스티야군을 향해 창을 겨누었고, 카스티야군은 오랜 고민 끝에 마찬가지로 하마했다.


마찬가지로, 1355년 토마스 그레이가 스코틀랜드군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을 때, 그의 모든 부하들은 "말에서 내려 놀라운 용기로 그들을 공격했다." 다시 한번, 1360년 드뢰(Dreux) 근처에서 뷔슈(Buch) 백작이 24명의 프랑스 기사들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을 때, 양측 모두 하마했고, 격렬한 전투 끝에 영국군과 가스코뉴군이 승리했다.


1356년 푸아티에 전투에서처럼 도보 전투는 일반적으로 장시간의 잔혹한 백병전으로 이어졌고, 승자조차도 부상을 입거나 탈진하게 만들었다. 1370년 본발(Bonneval) 전투에서 "양측 모두 거의 죽을 뻔했고," 1346년 레스텔루(Restellou) 전투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영국군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도주는 안전을 보장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세 명의 용감한 사람이 12명의 도망자를 제압하고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주에 대한 유일한 명예로운 대안은 싸우다 죽거나 포로가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높은 지위의 사람들이 절망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 일반적으로 혼란스러운 패주 중에 살해당할 위험을 감수하기보다는 하마하여 계속 싸우면서 인정받고 포로로 잡혀 몸값을 받기를 바라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여겨졌다.


스트릭랜드는 기사들이 하마하거나 낙마하여 도보로 싸운 전투에서 포로가 될 확률이 높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한 상황에서의 항복은 명예로운 것으로 여겨졌다. 푸아티에 전투에서 장 왕은 자신과 아들이 "범죄자나 겁쟁이 도망자처럼 구석에 숨어서 잡힌 것이 아니라 고귀한 기사처럼 잡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애썼다. 포로를 잡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포로를 잘 보살폈는데, 그들이 죽으면 몸값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격렬한 전투에서 항복을 시도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었다. 솔즈베리 백작과 서퍽 백작이 수적으로 열세라는 것을 깨닫고 하마하여 싸우다가 결국 포로로 잡혔을 때, 그들의 수행원 중 한 명은 살해당했다. 알비 십자군 동안 랑베르 드 튀리(Lambert de Thury)와 그의 소규모 부대는 말이 죽은 후에도 계속 싸우다가, 죽거나 불구가 되지 않고 다른 사람의 통제하에 놓이지 않고 명예로운 감금 상태에서 몸값을 받는다는 조건으로 항복하기로 동의했다. 이는 항복과 관련된 위험을 암시하며, 실제로 그들에게 약속된 것은 지켜지지 않았다.


많은 것이 적에게 달려 있었다. 스위스인들은 포로를 잡지 않는 것으로 악명 높았고, 특히 내전 시기에 전장에서의 살인과 처형은 자주 발생했다. 그레고리 연대기에 따르면, 1461년 토턴 전투에서 랭커스터파 기사 42명이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는데, 이는 도보 전투가 잘못되었을 때 탈출하기가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보여준다. 로베르 드 벨렘(Robert de Bellême)은 포로를 고문하는 데 사디스트적인 쾌감을 느꼈고, 올리비에 드 클리송은 거의 포로를 잡지 않아서 '도살자'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1370년 퐁발랭(Pontvallain) 전투에서 이미 베르트랑 뒤 게클랭에게 항복한 토마스 그랜디슨(Sir Thomas Grandison) 경을 죽이려고 했다. 게다가 포로에 대한 소유권 분쟁이 발생하면, 1370년 브레쉬르(Bressuire) 전투에서처럼 부나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 즉결 처형될 수 있었다.


안전한 항복에 대한 프루아사르의 언급에는 끔찍한 아이러니가 담겨 있다. 그가 1385년 알주바로타 전투의 맥락에서 그런 말을 했기 때문이다. 알주바로타 전투에서 프랑스 포로들은 처음에는 친절하게 대우받았지만, 카스티야군이 다시 공격하기 시작하자 계급에 관계없이 처형되었다.


아쟁쿠르 전투에서처럼 이러한 학살은 싸우기 위해 하마했고 적보다 수적으로 적었던 군대에 의해 자행되었다. 포로를 감시하려면 충분한 기병이 필요했다. 또한 노획한 말과 소를 몰고 다니고 부리기 위해서도 기병이 필요했다. 이는 백년 전쟁 후기에 프랑스보다 기마 기사가 적었던 영국군에게 문제가 되었는데, 그들은 특히 기마약탈(chevauchée)에서 돌아올 때 전통적인 도보 방진에 의존했다. 1416년 존 패스톨프 경은 루앙(Rouen) 시의 6마일 이내를 습격하여 500명의 포로를 잡았지만, 추격군의 반격을 받았을 때 그들을 유지할 수 없었다. 윌리엄 드 라 폴(William de la Pole)은 1423년 라 그라벨(La Gravelle) 전투에서 패배했는데, 포로와 소를 너무 많이 데리고 있었기 때문에 전방에서 병력을 빼내 그들을 지켜야 했다. 1422년 피에르퐁(Pierepont) 전투에서 영국 궁수들은 많은 프랑스 기사들을 포로로 잡았지만, 기병 없이는 그들을 붙잡아 둘 수 없었다.


따라서 아쟁쿠르와 알주바로타에서 포로를 학살한 것에는 잔혹한 논리가 있었다. 맨앳암즈를 포함해 많은 수의 포로들이 전장에서 무기를 주워 반란을 일으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1434년 비부앵(Vivoin) 전투에서 영국군이 패배했을 때 그런 일이 일어났다. 이 모든 것은 항복한 적을 포로로 잡아 "전투에서 끌어낼(hors de la bataille)" 수 있는 기사도와는 거리가 멀었다.


할리우드식 전투에서 기수들은 말에 박차를 가하여 적진으로 돌진하고 적군 몇 명을 밀어낸 다음 하마하여 도보로 계속 싸우는데, 이는 영웅적인 서사시나 현실에서도 흔한 시나리오다. 말들은 보통 대열 세 줄을 뚫고 들어가면 균형을 잃고 비틀거리기 때문이다. 니벨룽겐의 노래(Nibelungenlied)는 색슨족과의 전투 중에 "많은 기사들이 적진 한가운데서 하마했다. 지크프리트와 류데거(Liudeger)는 도보로 서로를 공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흑태자의 이베리아 원정 동안 그의 부하들은 말을 타고 방어 대형을 뚫고 들어온 다음 하마하여 도보로 계속 싸웠다. 1385년 알주바로타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같은 전술을 시도하여 말을 타고 방어 진지를 뚫고 들어온 다음 하마하여 전투 도끼로 포르투갈 군대를 공격했다. 같은 시기 멜로즈 전투에서 아치볼드 더글러스 경은 말을 타고 영국군에게 돌격한 다음 하마하여 양손검으로 그들을 공격했다. 1427년 마르슈누아르(Marchenoir)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두 명씩 말 하나에 타고 돌격한 다음, 뒤에 탄 기사들이 바로 하마해 도보로 싸웠다. 플러스카르딘의 책(Book of Pluscarden)은 1424년 베르뇌유 전투에서 이탈리아 기사들이 영국군 진영을 뚫고 들어온 후 하마하여 계속 싸웠어야 했다고 주장한다.


영웅적인 하마는 또한 주군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말을 포기할 때 발생했다. 이것은 매우 기사도적이지만 매우 위험한 행동이었고 대부분 포로가 되거나 죽음으로 이어졌다. 1214년 부빈 전투에서 피에르 트리스탄은 이런 식으로 군주의 목숨을 구했고, 1304년 몽상페벨(Mons-en-Pévèle) 전투에서 필리프 4세가 다시 말에 타는 것을 도운 기사들은 모두 죽었다. 1495년 세미나라(Seminara) 전투에서 쓰러진 말 아래 깔린 아라곤의 페르디난드를 구출한 후안 데 알타빌라(Juan de Altavilla)도 곧바로 전사했다.


하마는 또한 방어시설에서 싸울 때와 승리 후 포로와 전리품을 확보하기 위한 추격에서 이루어졌다. 승리는 종종 부주의와 분산을 동반했기 때문에 특히 위험한 시기였다. 1432년 비부앵 전투에서 프랑스군 부대 하나를 물리친 후 영국군은 무질서해졌다. 어떤 사람들은 말을 탄 채로 남아 있었고, 어떤 사람들은 포로를 잡기 위해 하마했고, 어떤 사람들은 포로로 잡은 무기와 전리품을 말에 싣고 있었다. 그때 다른 프랑스 기병대가 나타나자 말을 탄 채로 남아 있을지, 도보로 싸울지 결정하지 못한 채, 그들은 프랑스군의 공격을 받고 패주했다. 영국군은 1441년 앙주의 생드니 수도원에서 비슷한 상황에 처했다. 르 주벵셀은 이러한 상황에서 항상 기사들의 일부가 말을 탄 채로 남아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도시 입구를 가로막는 목책은 종종 저항의 장소가 되었는데, 투사체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제공하고 기병에게 장애물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1345년 옥스퍼드 백작을 포로로 잡은 가스코뉴군은 영국군에게 맹렬히 추격당했지만, 페리고르의 장벽에서 하마하여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베르나르 쿠랑(Bernard Courant)은 랑그랑(Languerant) 영주를 죽인 후 같은 행동을 했다. 1372년 플랑시(Plancy)에서는 "사랑의 장벽(la barrière amoureuse)"으로 알려진 더 정교한 구조물이 작은 요새 역할을 했고, 그 뒤에서 50명의 프랑스 기사들이 더 많은 수의 영국군에 맞서 도시를 방어했다.




79f3da36e2f206a26d81f6e64082706e96



장애물 및 대기병 장비


도보로 기병에 맞서는 것은 두려운 일이었다. 대열 내에서 약간의 동요나 불확실성만 있어도 모든 것이 끝났다. 따라서 돌격을 분쇄하여 기병이 멈추거나, 돌아서거나, 하마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스트라테기콘(Strategikon)은 "말 억제기(horsebreakers)"로 알려진 구덩이에 대해 언급하는데, 이 구덩이는 지름이 약 1피트, 깊이가 2~3피트였으며, 때로는 바닥에 날카로운 말뚝이 박혀 있었다. 그것들은 번갈아 가며 약 3피트 간격으로 파였고, 1342년 모를레(Morlaix) 전투에서처럼 건초나 덤불로 덮어 숨길 수 있었다. 구덩이는 1314년 배넉번, 1346년 크레시, 1450년 포르미니 전투에서도 파였고, 1545년 앵크럼 무어(Ancrum Moor)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의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전투에서 선두에 선 말들이 비틀거리며 쓰러졌고, 뒤따르던 말들은 넘어진 말들을 피하기 위해 늪으로 빠지거나, 돌아서서 자기편 보병과 충돌했다.


트리불리(tribuli) 또는 쇼스 트라프(chausse trappes)라고도 알려진 마름쇠(caltrops)는 베게티우스와 스트라테기콘 모두에서 설명된다. 네 개의 뾰족한 철제 가시가 튀어나와 있어 땅에 어떤 방식으로 흩뿌려지든 항상 한 개의 가시가 위를 향하게 되어 있었다. 때로는 여러 개의 마름쇠가 끈으로 묶여 있어 더 쉽게 배치하고 수거할 수 있었다. 중세 후기에는 대부분 요새화된 야영지를 방어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휴이트(Hewitt)는 기사들이 기병의 추격을 막기 위해 박차를 마름쇠 대신 사용한 예를 제시한다.


크레피앙라오누아(Crespy-en-Laonnois) 공성전에서 마름쇠가 사방에 흩뿌려져 있었기 때문에, 하마한 부르고뉴 기사들은 철제 사바톤(sabatons)을 착용했는지 확인했다. 1452년 헨트 전쟁 동안 부르고뉴군은 1452년 로케런(Lokeren) 전투와 니벨 전투에서처럼 말뚝과 마름쇠가 흩뿌려진 경작지를 통과하기 위해 자주 하마해야 했다. 마름쇠는 말과 사람 모두에게 해로웠지만, 1461년 제2차 세인트 올번스 전투에서 앤드류 트롤롭(Andrew Trollope)의 활약에서 알 수 있듯이 하마한 기사가 싸우는 것을 확실히 막지는 못했다.


구덩이와 마름쇠는 고정된 방어 시설이었고, 이러한 지역을 통과하는 안전한 통로가 남아 있었지만, 전투의 혼란 속에서는 아군과 적군 모두의 진격을 방해했다. 말뚝은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했지만 딱딱한 땅에 세우기 어려웠고, 군대가 진격하면 위치를 변경하거나 그대로 버려둬야 했다. 1423년 라 그라벨 전투에서처럼, 진영 전체를 덮지 못할 수도 있었고 기병에 밀려 쓰러질 수도 있었다.


도시들은 종종 거리에 튼튼한 사슬을 설치했는데, 1359-60년 랭스(Reims)와 1355년 카르카손에서는 기병이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로마다 10~12개의 사슬이 설치되어 있어 영국군이 하마하여 도보로 싸워야 했다. 사슬은 또한 방어측의 기마 출격으로부터 공성 야영지를 보호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부러진 창대, 창날, 못과 같은 전장의 흔한 잔해들 또한 기병에게 위험할 수 있었다. 윌리엄 마샬은 자신의 말이 이런 식으로 다리를 다치는 바람에 하마해서 새로 노획한 준마를 타야 했다.


마지막으로, 죽거나 쓰러진 말들은 1288년 보링겐(Worringen) 전투나 1346년 크레시 전투에서처럼 기마 공격에 대한 든든한 방어 수단이었다. 실제로 1217년 링컨 전투에서 윌리엄 마샬은 대기병 방벽을 세우기 위해 200명의 부하들에게 그들의 말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78f3da36e2f206a26d81f6e44388726cb6



울타리와 포도밭


구덩이를 파고, 마름쇠를 깔고, 말뚝을 세우는 데는 시간이 걸렸지만, 울타리와 포도밭과 같은 지형지물은 쉽게 이용할 수 있었고, 종종 적을 하마하게 만드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했다.


울타리는 대규모 전투와 소규모 전투 모두에서 도보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은 특히 영국군과 관련이 있었고, 울타리(haie)는 병사, 말뚝, 수레, 또는 베르뇌유의 말뚝 장벽 등과 관련하여 모든 방어 시설에 대한 은유로 사용되었다. 중세 프랑스의 산울타리는 높이가 약 6피트였고, 종종 도랑 옆에 자라나 있었다. 크레시의 계단식 제방처럼 궁수들이 높은 지대에 있지 않는 한 울타리 너머로 화살을 쏘는 것은 불가능했다.


소규모 전투에서 일반적인 배치는 하마한 기사들이 울타리에 등을 대고 일렬로 서 있고, 궁수들은 그 앞에서 "울타리의 그늘 아래(l’ombre d’une haie)" 또는 "울타리를 따라(au longe d’une haie)" 배치되는 것이었다. 때로는 영국군이 루이 드 아르쿠르를 물리쳤을 때처럼 반대로 기사들이 앞에, 궁수들이 뒤에 배치되기도 했다. 더 큰 규모의 전투인 1352년 모롱(Mauron) 전투에서 영국 기사들은 울타리에 등을 대고, 궁수들은 양 측면에 배치되었는데, 그중 한쪽은 프랑스 기병대에 의해 휩쓸려 갔다.


울타리는 기병을 막는 데 말뚝과 도랑보다 훨씬 효과적이었다. 기병이 울타리를 통과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1296년 베릭 전투와 1351년 아르드르 전투에서처럼 도랑은 뛰어넘을 수 있었지만, 기병이 울타리를 뚫고 나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일반적으로 기병의 돌격을 멈추기 위해서는 보병 대형이 두꺼워야 했지만, 울타리는 기병이 "통과할(passer oultre) 수 없었기" 때문에 더 적은 병력으로 방어할 수 있었다. 기병들은 추진력을 잃고 돌아서야 했고, 말들은 공격에 노출되어 다리를 베이거나, 배를 찔리거나, 고통에 날뛰어 기수가 떨어지게 만들 수 있었다. 등자 가죽은 잘리고, 고삐는 끊어지고, 기수는 갈고리에 걸려 안장에서 끌어내려졌다. 창을 버리고 칼을 든 기병은 오른쪽에서만 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고, 따라서 말의 앞부분을 보호할 수 없었으며, 긴 창을 가진 보병에 비해 불리했다. 가스만이 지적했듯이, "기병이 하는 모든 공격은 반격에 노출된다." 기수 자신은 갑옷에 의해 잘 보호되었지만, 넓은 표면적을 방어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멈춘 말의 방향을 돌리는 것은 비교적 느린 과정이었고, 기수와 말 사이의 "불가피한 의사소통 지연(unavoidable lag in communication)"으로 인해 악화되었다. 그동안 기병과 말들은 하마한 기사들의 지원을 받는 궁수들의 치명적인 근접 사격에 노출되었다. 첫 번째 공격에서 죽은 말들의 시체는 추가적인 침입을 방해하는 장벽 역할을 했다.


울타리 방어 전술은 영국군의 필수적인 전술로 유명했기 때문에 라 로슈 데리앙(La Roche Derrien)에서 블루아의 샤를은 포위 진영 주변 1마일의 모든 울타리를 평평하게 자르고 도랑을 메우라고 명령했다. 나이튼에 따르면, 프랑스군은 끊임없이 영국군을 도랑, 울타리, 숲, 또는 늪이 없는 탁 트인 전장에서 싸우도록 유인하려고 노력했다. 프랑스군은 종종 기병 돌격을 감행하기 전에 지형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정찰병을 파견했다. 보랭(Waurin)은 윌리엄 드 라 폴이 1423년 라 그라벨 전투에서 울타리에 등을 대고 있었다면 패배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영국군은 울타리를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방어 위치를 찾는 데 능숙한 것으로 여겨졌다. 1385년 알주바로타 전투에서 포르투갈 왕은 "큰 나무와 울타리와 덤불(grands arbres et de haies et de buissons)"을 찾으라는 영국인들의 조언을 따랐다. 푸아티에 전투에서처럼 질서 정연한 보병 대열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좁은 통로만이 남겨졌다.


기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마시키는 것은 울타리 방어 진영에 대한 공격을 성공할 가능성을 높였지만, 휴전 기간이 끝난 뒤 시작된 백년 전쟁의 후반기에 프랑스군은 이 전술을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 했고, 이는 연대기 작가들을 매우 분노하게 했다.


1422년, 200명의 전투원을 이끌던 장 드 벨레(Jehan de Bellay)는 60~80명의 병력을 이끌던 윌리엄 커크비(William Kirkeby)와 마주쳤다. 영국군은 즉시 "울타리를 따라(au longe d’une haye)"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 단 한 명도 "하마하지 않았기(sans mettre pié a terre)" 때문에 프랑스군의 공격은 실패했다.


1427년 윌리엄 호든할(William Hodenhal)의 부대에 대한 유사한 공격으로 프랑스군의 말 대부분이 장궁 사격에 의해 죽었다. 데 위르생(Des Ursins)과 토마스 바쟁(Thomas Basin)은 이러한 실패를 경험 부족으로 탓했다. 그러나 결국 하마 전술은 것은 1432년 아르장탱(Argentin), 1430년 레니쉬르마른(Laigny-sur-Marne), 1432년 프레네르비콩트(Fresnay-le-Vicomte)에서 프랑스군에게 승리를 가져다주었다.


울타리는 또한 부상자들에게 안식처를 제공했고, 악천후로부터 피난처를 제공했다. 푸아티에 전투에서 울타리는 말뿐만 아니라 부상병들도 숨기고 보호했다. "우리 병사들은 부상자들을 덤불과 울타리 아래에 두었다." 전투가 끝날 무렵, 심각한 부상을 입은 제임스 오들리 경은 산울타리 아래로 옮겨져 갑옷을 벗고 상처를 치료받았다. 1364년 오레 전투 후, 몽포르 백작과 다른 귀족들은 산울타리 그늘을 찾아 휴식을 취하고 무장을 해제했다.


푸아티에 전투와 1364년 코슈렐 전투에서처럼 추격에서 돌아오는 병사들을 위한 집결 지점을 알리기 위한 깃발들은 울타리 위에 세워졌다. 코슈렐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뷔슈 백작이 깃발을 세운 덤불을 점령했고, 그렇게 해서 그의 부하들이 집결하는 것을 막았다. 크레시 전투에서 짐과 말이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산울타리 지대는 오래된 지도에서 깃발(le Guidon) 또는 기사의 깃발(Knight's Pennant)이라고 불린다. 전투에서 도망친 사람들은 울타리에 숨어서 목숨을 구하려고 했지만, 크레시와 생토메르 전투에서 추격자들은 그들을 찾아냈다.


울타리는 매복 공격이나 공세적인 방어 작전에도 사용될 수 있었는데, 적군을 숨길 뿐만 아니라 적의 수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1340년 서퍽 백작과 솔즈베리 백작은 도랑과 빽빽한 산울타리로 둘러싸인 길에서 매복 공격을 당했다. 1374년 리크(Liques) 근처에서 존 할스턴(John Harleston)과 20명의 기병들은 하마한 기사들이 울타리에 등을 기대고 궁수들이 그들 앞에 배치된 지역으로 아무것도 모르는 프랑스군을 유인했다. 장시간의 전투 끝에 프랑스군이 패배했고, 샤티용 영주가 300명의 지원군을 이끌고 도착했지만 그는 울타리 방벽을 한 번 보고는 그냥 돌아갔다. 프랑스 기병들은 울타리 근처에 있는 적을 공격하기를 거부하고 더 개방된 지형으로 유인하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산울타리로 둘러싸인 지형은 더욱 강력한 방어 위치를 제공했는데, 오레 전투에서 영국군이 울타리로 둘러싸인 들판 안에 진을 친 프랑스군을 공격하기를 거부한 것이 그 예시이다. 1429년 몽에필루아(Mont Epiloy) 전투에서 베드퍼드 공작은 측면과 후방이 빽빽한 가시덤불로 잘 보호되도록 했고, 프랑스군은 결국 이를 공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런 지형은 1416년 발몽 전투와 1427년 몽타르지(Montargis) 전투에서처럼 최후의 방어선으로 사용되었다. 패배한 군대는 그곳에서 낮동안 버티다가 밤에 탈출했다. 1435년 제르베루아 전투에서 영국군의 마지막 저항은 포병과 기병과 보병의 합동 공격으로 결국 돌파되었다.


1356년 쿠탕스(Coutances) 전투는 그러한 지형을 극복하는 어려움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야전 진지의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을 보여준다. 고드프루아 드 아르쿠르는 영국군과 나바라군을 이끌고 약탈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대규모 프랑스군에게 추격당했다. 그는 부하들에게 하마해서 방어 진형을 세우라고 올바르게 명령했지만, 명령은 완전히 지켜지지 않았고 피에르 드 사캉빌(Pierres de Saquanville)과 다른 사람들은 수적으로 크게 열세라는 것을 알고 도망쳤다. 혼자 남겨진 아르쿠르는 울타리 앞에 부하들을 배치했다. 프랑스군은 병력의 일부를 하마시키고 파비스로 보호받는 병사들을 앞세워 진격했고, 영국 궁수들은 화살을 낭비했다. 아르쿠르의 부대가 패배한 뒤 남은 병력은 포도밭의 울타리로 둘러싸인 구역으로 후퇴하여 다시 저항했고,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프랑스군은 그 안으로 진입할 수 없었다. 하마한 채 싸우던 병사들도 대부분 도망쳤음에도 불구하고 아르쿠르는 두 명의 프랑스군이 다시 말에 타고 창을 겨누고 돌격할 때까지 유일한 입구를 계속해서 굳건히 방어했다.


이 전투는 여러 국적의 병사들로 구성된 부대가 하마해서 끝까지 저항하라는 명령에 복종하도록 하는 일의 어려움, 도보로 싸울 때 대열 유지의 중요성, 하마한 기사의 전투 능력, 울타리로 둘러싸인 지형이 주는 안전성, 그리고 장궁 사격이 무력화되면 기병과 보병의 조합으로 그러한 지형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1416년 발몽 전투와 1427년 몽타르지 전투에서처럼 울타리를 피난처로 삼은 부대들은 그곳을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있었다. 게다가 많은 경우 공격자들은 너무 지쳐서 나중에 도착한 지원군에 의해 쉽게 패배했다.


포도밭 또한 기병으로부터 상당한 안전을 제공했다. 포도밭은 브르타뉴를 포함한 프랑스 전역에 흔했다. 모든 교회는 성찬식을 위해 와인이 필요했고, 와인은 건강에 좋은 것으로 여겨졌다. 포도나무 자체는 수직 기둥이나 격자에서 자랐다. 숙성을 촉진하기 위해 종종 포도나무 주위에 돌담을 쌓았고, 야생 동물로부터 포도를 보호하기 위해 주위에 가시덤불을 심었다. 포도나무는 종종 너무 높이 자라서 그 아래로 걸어 들어갈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기병을 방해했다. 실제로 푸아티에 전투에서처럼 "울타리와 포도나무와 덤불 사이(entre haies et vignes et buissons)"에 있는 장애물들의 조합은 기병에 대한 거의 난공불락의 방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윌리엄 마샬의 일대기는 기병이 포도나무 그루터기에 걸려 넘어지고, 말들이 기수를 내던지고 짓밟는 광경을 생생히 묘사한다. 포도밭 방어 진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마해서 신중하게 공격해야 했다.


포도밭이 마을과 도시에 가까이 있는 것은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1430년 클레르몽 공성전 동안 뒷문 근처의 포도밭을 따라 소수의 병력이 눈에 띄지 않고 도시 안으로 침입할 수 있었고, 1423년 크라방 전투에서는 프랑스 수비대에게 탈출 수단을 제공했다. 1412년 퐁트누아(Fontenoy) 전투에서 수비대는 포도밭의 비밀 통로를 통해 출격했고, 1431년 이게루엘라(Higueruela) 전투에서 무슬림들은 카스티야 기병대의 돌격을 방해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포도밭과 올리브 숲에 병력을 배치했다.


포도밭은 또한 1438년 로드리고 데 빌란드라도(Rodrigo de Villandrado) 휘하의 프랑스군이 보르도에 접근했을 때처럼 완벽한 매복 장소를 제공했다. 보르도 시는 "수목만큼 높은" 격자가 있는 포도밭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프랑스군은 그곳에 상당한 병력을 숨길 수 있었다. 적들이 이미 후퇴한 줄 알고 영국군이 도시를 떠났을 때, 그들은 예상치 못한 공격을 받았고, 뒤이은 전투에서 약 800명이 죽었다. 1430년 라 크루아제트(La Croisette) 전투에서 라 이르(La Hire)의 이복형제는 400명의 기병을 이끌고 포도나무로 가려진 길을 따라 영국군을 기습했다.




-Michael John Harbinson, To Fight on Horse or Foot? Dismounting in the Age of Chivalry



중세 도보 전투 심층분석 2


7bf3da36e2f206a26d81f6e44e84766d67



하마 전술의 장단점


앞서 언급했듯이, 도보 전투의 주요 이점은 크레시 전투에서 흑태자가 "말과 사람 모두를 향해 강력한 공격"을 가했던 것처럼, 말을 꿰뚫고 기수를 쓰러뜨리는 등 강력한 공격을 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하마는 더 응집력 있는 방어 진형과 더 나은 지휘 통제를 가능하게 했다.


14세기와 15세기의 고전적인 영국 전술에서 하마한 기사들의 지원을 받는 궁수들은 장궁의 파괴적인 화력을 쏟아냈다. 영국군은 적 보병을 혼란에 빠뜨리고, 적의 말을 괴롭히고 무력화시킬 수 있었다. 그런 다음 영국 기사들은 말에 타고 추격하여 적을 완전히 패주시킬 수 있었다.


르 베이커는 전투마를 예비로 유지한 채 도보로 싸운다는 아이디어가 1314년 배넉번 전투의 스코틀랜드군에게서 유래했다고 생각했다. 이 전술은 1332년 더플린 무어(Dupplin Moor), 1333년 할리던 힐(Halidon Hill), 1346년 크레시, 1356년 푸아티에, 1402년 호밀던 힐(Homildon Hill) 전투에서 승리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영국군만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부르고뉴군은 1412년 생 레미(St. Remy) 전투에서 기사들을 하마시키고 궁수와 쇠뇌수들을 측면에 배치했고, 르 주벵셀 역시 비슷한 배치를 권장했다.


궁수와 하마한 기사들이 어떻게 배치되었는지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다. 대규모 전투에서는 궁수들이 소규모 전투에서처럼 전선 전체에 배치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차 사격을 가할 수 있는 측면에도 배치되었을까? 몽스트렐레(Monstrelet)는 베르뇌유 전투에서 두 가지 방법이 모두 사용되었다고 말한다. 르 주벵셀은 궁수들이 적의 측면으로 사격할 수 있도록 측면에 배치되어야 하고, 양쪽 측면에서 "소규모 중기병 부대(petis tropelets de gens d’armes)"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용담공 샤를도 1476년에 비슷한 배치를 권장했다.


문제는 말과 짐이 후방에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었는가였다. 중세 자료들은 이 문제에 대해 모호하며, 종종 말들이 "멀리 보내졌다"거나 "후방으로 향했다"고만 말한다. 일반적으로 마차와 짐수레는 군대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해 둥글게 배치되어 말, 환자, 비전투원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거나, 1339년 모를레 전투와 뷔롱포스(Buironfosse) 전투에서처럼 아마도 전선에서 100야드 떨어진 근처 숲에 숨겨졌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기마 수비대를 배정받았는데, 1412년 생 레미 전투에서는 종자들이 그 역할을 맡았다.


말들은 투사체 공격과 포획으로부터 안전해야 했고, 병사들의 도망 욕구를 억제할 수 있는 거리에 있어야 했지만, 그러면서도 성공적인 추격이나 조직적인 후퇴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는 안 .되었다. 그리고 병사들은 여자들, 아이들, 동물, 그리고 물건들이 전투에 너무 가까이 보이면 주의가 산만해졌다.


1356



출처: 군사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74

고정닉 22

3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축의금 적게 내면 눈치 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11/11 - -
27868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50년 경력 요리사가 알려주는 떡볶이
[4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7458 191
278680
썸네일
[주갤] 블라인드 '국제결혼 경각심을 가져야해
[637]
주갤러(118.235) 11.06 41934 647
278678
썸네일
[카연] [함자] 집에 왔더니 아빠가 야망가를 보고 있었다 (2)
[103]
헬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6894 250
27867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주식,코인으로 돈버는걸 좋게 생각 안한다.JPG
[288]
Secret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59494 695
2786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격투기 체험하는 에로배우
[221]
배달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7926 260
278668
썸네일
[야갤] 트럼프 당선을 대비해서 미리 해놓은 것
[493]
ㅇㅇ(106.101) 11.06 57330 566
278666
썸네일
[근갤] 101층 20kg 증량해서 31분컷내는 여기자
[507]
근붕이(175.125) 11.06 49760 150
278664
썸네일
[싱갤] (장문)싱글벙글 자기가 성인 ADHD인지 알아보자.txt
[376]
모하비배달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6634 65
278662
썸네일
[A갤] 일본 최저임금 1500엔은 정말로 나쁜 선택일까?
[409]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6704 140
278660
썸네일
[붕갤] 호요랜드 관리 업체 썰 떳는데 상상이상이네
[1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6087 296
278659
썸네일
[슈갤] 한한령 때문에... 현대기아차그룹이 폭스바겐그룹을 추월한다?!
[311]
시마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7660 310
2786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러시아하고 사업만 하면 대박나는 대한민국(feat 누리호)
[654]
리즈릿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3790 689
278656
썸네일
[이갤] 아이슬란드에서 도둑당한 유튜버
[442]
ㅇㅇ(172.98) 11.06 34323 336
278655
썸네일
[중갤] 젤렌스키 '트럼프 축하' VS 윤석열 '바이든과 회담'
[504]
ㅇㅇ(121.173) 11.06 38612 281
278652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퍼리 축제
[167]
ㅇㅇ(119.206) 11.06 30644 269
278651
썸네일
[군갤] 트럼프가 요구한 분담금 70조, 어느정도일까?
[937]
Anthrax83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7718 330
278649
썸네일
[국갤] 비혼녀들이 반드시 망하는 이유.jpg
[7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57963 673
278648
썸네일
[로갤] 에베레스팅을 감미한 싸이버폰도 하오뺑뻉이 + 시흥뺑뺑이 관람후기
[69]
비엠씨스프린트리볼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1180 51
2786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이와중 해리스 근황.....jpg
[58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67787 686
278645
썸네일
[해갤] 스압) 직장을 금방금방 그만둬서 고민임
[291]
해갤러(104.129) 11.06 33948 74
278643
썸네일
[자갤] 싱글벙글 운전면허갤 2024년 top3 엑기스.jpg
[171]
ㅇㅇ(118.235) 11.06 26281 173
278642
썸네일
[미갤] 14명의 아이를 폭행한 언어재활사의 어이없는 변명
[180]
미갤러(89.41) 11.06 18781 70
278640
썸네일
[싱갤] 호불호 순두부 열라면
[306]
Babuy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4034 72
278639
썸네일
[이갤] [단독] "여사가 캠프에 김영선 책상 하나 준 것"…명태균 녹취 속 '캠프 구성 의혹'
[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3318 60
278636
썸네일
[싱갤] 3D로 보는 6.25 직전 남북한 육군전력 차이
[359]
ㅇㅇ(219.240) 11.06 43291 302
278634
썸네일
[해갤] 레알을 박살낸 AC밀란 감독이 평가하는 손흥민 ㄷㄷㄷㄷㄷ
[280]
박광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9708 401
278633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3년전 항문 자위로 죽은 남자.jpg
[395]
ㅊㅌ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66100 320
278631
썸네일
[카연] 게임에서 만난 친구가 알고보니.manhwa
[172]
뀌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2221 482
278630
썸네일
[미갤] 초스압) 신안 염전에 알바하러 간 유튜버
[343]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8572 82
278628
썸네일
[자갤] 경적 울리는데도 어린 딸 앞세워 무단횡단하는 빌런
[257]
ㅇㅇ(185.236) 11.06 19650 129
2786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시장을 정복한 일본라면
[374]
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4653 112
278625
썸네일
[주갤] 트럼프 당선......언냐들 반응......jpg
[755]
ㅇㅇ(59.19) 11.06 57822 753
2786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고양이 캣휠에 발전기를 달면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까?
[205]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29744 208
2786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부산 최고의 떡볶이.jpg
[356]
ㅇㅇ(218.144) 11.06 34056 126
278619
썸네일
[주갤] 백종원 무량공처 피규어 만들어 봤다 ㅁㅌㅊ?
[184]
나도이젠탈모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9418 382
278618
썸네일
[디갤] 슈퍼레이스 최종전
[26]
마일드세븐F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9871 16
27861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 현지의 중급 레스토랑
[267]
프록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9652 248
278612
썸네일
[리갤] 뉴욕타임스에 나와버린 페이커
[544]
레츠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93243 1423
278611
썸네일
[더갤] 속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당선
[12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59831 482
278609
썸네일
[주갤] 여보, 나 플스 사도 될까?
[247]
주갤러(211.234) 11.06 45303 264
27860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제로 음료에 대해 말하는 사람..jpg
[505]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7418 85
278606
썸네일
[퓨갤] 돔구연에게 낚인 한사람..jpg
[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5271 107
278605
썸네일
[미갤] 일론 머스크) 해리스 당선되면 저 진짜 ㅈ됩니다.
[484]
천무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50134 604
278602
썸네일
[기갤] [단독] '빚투' 한식대가 이영숙, '흑백요리사' 출연료도 압류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0883 188
278601
썸네일
[이갤] 우주에 외계인은 무조건 있으나 만나는건 불가능한 이유.jpg
[499]
슈붕이(154.47) 11.06 25365 101
278599
썸네일
[나갤] 바이든 아내, 트럼프에게 투표 가능성
[262]
나붕이(1.219) 11.06 30736 284
27859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근육코스츔
[248]
알랑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5360 338
278596
썸네일
[야갤] 취재중 150m옆에 날라온 미사일 .레바논. 전쟁속에 살아가는 사람들.
[152]
앨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7580 45
278594
썸네일
[부갤] 분노한 일본시민. 일본총선 벼랑끝에몰린 자민당과 이시바
[176]
앨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8780 63
278593
썸네일
[치갤] 바람의 나라 클래식 오피셜 ㅋㅋ
[2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4150 5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