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다
뉴비들을 위한 뉴비가 쓰는 체스 입문 시리즈 '체스보드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의 첫번째 페이지에 온 걸 환영한다.
필자에 대한 소개나, 앞으로 어떤 안내서들이 올라올지 궁금한 사람들, 어떤 사람들을 위한 시리즈인지 궁금한 사람들은
저기 위에 달아둔 링크로 0편 - 오리엔테이션을 보고 오길 바란다.
이 글에서 내가 설명하고자 하는 것
이번 글에서 내가 설명하고자 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체스 보드 읽는법
2. 행마법
3. 기본규칙
4. 특수규칙
정말 뉴비들을 위해 적는 시리즈이니 만큼 가장 밑바닥부터 설명하기 위함이니
이미 체스의 기본적인 규칙들을 모두 숙지하고 있는 늅비라면 미련없이 다음 글로 넘어가도 좋다!
1. 체스 보드와 친해지기
사실 몰라도 게임 하는데에 지장이 있진 않을거다!
다만 추후 다음 공략, 혹은 다른 사람의 글을 읽을때 내가 "무슨무슨칸에 나이트가 어쩌고저쩌고, f파일이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글을 작성해놨는데 "그게뭔데씹덕아" 를 내뱉을수도 있으니 원활한 설명을 위해 짚고 넘어가겠다.

짜잔! 이게 바로 체스 보드다
원활한 설명을 위해 보드 위 기물은 잠시 비워두었다
이 보드 위에서 체스 말들이 규칙에 따라 움직이고
치열한 공방, 탁월한 수, 짜릿한 역전, 아름다운 체크메이트까지!
우리가 체스를 하며 바라는 모든 것들이 바로 이 모드 위에서 펼쳐진다
자 눈썰미가 좋은 사람들은 이미 눈치를 챘겠지만 보드 끄트머리에 작은 숫자들과 알파벳들이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세로로 쭉 써져있는 숫자들은 해당 숫자가 써져있는 가로열의 번호를 의미하며, 이 가로열을 "랭크" 라고 부른다
반면, 가로로 쭉 써져있는 알파벳들은 해당 알파벳이 써져있는 세로열에 매겨지며, 이 세로열을 "파일" 이라고 부른다
간단한 예시들을 살펴 보자

이렇게 빨간색으로 강조된 가로 열이 랭크이다!
조금 더 엄밀하게 말해보자면, 각 랭크에 붙여진 숫자를 앞에 붙여서 읽게 되어 4랭크 라고 부르게 된다
만약 숫자 6가 적혀있는 가로열을 부르고 싶다면?
그렇다! 6랭크라고 부르면 되는거다!

또한 이렇게 빨갛게 강조된 세로 열을 "파일" 이라고 부르며
조금 더 엄밀하게 말해 e파일 이라고 부른다!
랭크와 마찬가지로 c 가 새겨진 세로열을 부르고 싶을때는 c파일 이라고 말하면 된다!
이제 이렇게 뭉뜽그려서 하나의 열이나 행을 부르지 말고 특정 칸을 콕 찝어 말하고 싶을때 어떻게 해야할까?
방법은 간단하다 (해당 칸의 파일) + (해당 칸의 랭크) 를 붙여서 부르면 된다!
예를 들어

이렇게 강조된 칸을 부르고 싶을때에는
e 파일의 4랭크에 있는 칸이기 때문에 e4 라고 부르게 된다!
좋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앞으로 지겹도록 마주할 체스보드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봤다!
이젠 이 보드 위에서 움직일 우리들의 체스 기물들과 만나러 가보도록 하자!
2. 체스 기물과 친해지기
자 이제 우리는 체스 기물들이 저 보드 위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볼거다
(폰을 제외한) 모든 기물들은 본인이 이동 가능한 칸에 상대의 기물이 있다면 그 기물을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기물이 이동 가능한 칸이 곧 그 기물의 이동력이며, 행마법을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가장 먼저 폰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렇게 귀엽게 생긴 우리의 폰은 기본적으로 앞으로만 한 칸 전진 할 수 있다
게임을 시작할때 백의 폰은 2랭크에서, 흑의 폰은 7랭크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백은 2랭크에서 3,4,5... 랭크로 앞으로만 전진시킬 수 있고
흑은 7랭크에서 6,5.4... 랭크로 역시 앞으로만 전진시킬 수 있다

앞서 기본적으로 폰을 제외한 기물들은 자신이 이동 가능한 칸을 공격한다고 설명했던것을 기억할 것이다
반대로 말해, 폰은 자신이 이동 가능한 1칸 앞을 공격하지 못한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면 폰은 어떤 칸을 공격 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자
폰은 아래 사진과 같이 본인의 전방 좌/우 대각선 1칸을 공격한다

만약 저 대각선 안에 상대방의 기물이 있다면, 그 기물을 잡으면서 대각선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저 대각선 안에 상대방의 기물이 없고, 바로 폰의 앞에 상대방의 기물이 있다면
그 기물을 잡지 못하기에 폰을 더 전진시킬 수 없다
좋다, 그럼 이번엔 나이트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나이트의 행마법은 글로 설명하기에 퍽 곤란한 면이 있다 다른 모든 기물들이 상하좌우나 대각선, 혹은 그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는데에 반해
나이트의 행마법은 꽤나 독보적이기 때문이다
그럼 사진으로 보도록 하자

나이트는 기본적으로 ㄱ자 모양? 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저게 끝이 아니다! 나이트의 강력한 점은 하나가 더 있다
그건 바로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점이다
체스에서 내가 기물을 옮기고자 할 때에 만약 가고자 하는 경로의 다른 기물(내 기물, 상대 기물 모두)이 있는 경우에는 넘어서 지나갈 수 없다
하지만 나이트는 그런 제한 없이 기물들을 언제든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다!

* 백의 폰들이 길을 가로막고 있지만, 나이트는 문제 없이 넘어가 목표하는 지점인 d6에 도달할 수 있다
좋다 이제 폰과 나이트의 행마법을 알아보았으니 이번엔 비숍 에 대해 알아볼 차례다
비숍은 대각선으로 움직인다
정확히 말해 대각선으로 (다른 기물이 가로막고 있지 않다면)보드의 끝에서 끝까지 무한정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비숍의 "대각선으로 움직인다" 는 특성 탓에 꽤 재미있는 특성이 나타나는데
그건 바로 비숍은 처음 시작한 칸과 다른 색의 칸으론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시작할때 검정 칸에 놓여진 비숍은 검정 칸으로만
흰 칸에 놓여진 비숍은 흰 칸으로만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번엔 룩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룩은 매우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행마법을 가지는데, 그건 바로 상하좌우 직선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직선적인 움직임은 비숍과 비슷해 보이지만
비숍과 다르게 칸의 색에 구애받지 않고 직선으로 어디든 움직인다는 점 탓에 더 강력하다
이번에는 체스판의 슈퍼스타 여왕님 퀸 을 알아보자
퀸은 정말 단순하게 비숍과 룩을 합쳐놓은 행마법을 가지는데

이 단순무식하고 강력한 행마법 덕분에 체스에서 가장 강력한 기물 이라는 위치를 당당히 차지하고 있다
허무하게 잃지 않도록 소중히 다루어 주도록 하자
마지막으로 우리가 가장 소중히 관리하고 신경써줘야 하는 마지막 기물 킹 의 행마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킹은 퀸과 똑같이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일 수 있는 칸수가 단 1칸이라는 차이가 있다(못난 남편)
다만 본인의 전방위를 모두 공격하는건 단 1칸만이라도 꽤 강력한 편이라
그 탓에 서로의 기물이 거의 없는 엔드게임(게임이 거의 끝나가는 때)에 중앙으로 꾸물꾸물 기어나와서 활약을 펼친다
자! 이제 길고도 지루한 행마법 설명이 모두 끝났다!
이제 이러한 기물들을 가지고 어떤 규칙에 따라 게임을 하는지
그리고 결정적으로 어떻게 해야 체스에서 이기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3. 체스의 기본적인 규칙
자 이제 어떻게 하면 게임을 이기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기본중의 기본인 체크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체크의 사전적인 정의는 "킹이 공격받고 있는 상태" 를 뜻한다

* 흑의 킹이 백의 e2 룩에게 공격받고 있다! 체크!
위 사진과 같은 상황을 체크라고 하며, 만약 체크를 당한다면 이번 턴 안에 무조건 체크를 해결해야 한다
체크를 당한 상태에서 체크를 해결하지 않는 수(킹을 피하거나, 막거나 공격하는 기물을 제거하거나)를 두지 않고
다른 수를 둘 수 없다
또한 스스로 체크가 되는 수를 둘 수 없다
간단한 예시들을 보도록 하자

* f3에 있던 백의 룩이 d3로 움직이며 흑에게 체크를 걸었다
그와 동시에 백의 g2칸 비숍이 흑의 퀸을 공격하고 있으나, 흑은 체크를 먼저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백의 비숍을 잡거나 퀸을 피할 수 없어 퀸이 잡히게 된다

* 흑의 킹은 스스로 체크가 되는 수인 c8이나 c7으로 이동할 수 없을 뿐더러
나이트를 움직이는 순간 백의 d1 룩에게 스스로 체크를 당하므로 나이트를 움직일 수도 없다
이제 체크에 대해 배웠으니 체크메이트 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자
체크메이트를 성공시키면 게임에서 승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체스라는 게임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대방을 체크메이트 시키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체크메이트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듯 우리가 아까 배웠던 체크의 상위호환 느낌이 물씬 풍긴다면 정답이다
체크메이트의 사전적 의미는 "체크를 당했을때 이를 해결할 방법이 전혀 없는 상태" 를 말한다
예시를 보자

* 흑의 킹이 백의 퀸에게 체크당했지만 백의 퀸을 잡을수도, 도망갈 방법도 없다. 체크메이트!
하지만 체스에서는 늘 저런 승리와 패배가 나누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중 하나가 바로 스테일메이트 이다
앞서 "스스로 체크가 되는 수는 둘 수 없다' 라고 말했던 것 기억하는가?
체스에서는 무조건 내 차례에 수를 두어야 한다 두지 않는 선택지는 없다
하지만 만약 둘 수 있는 수가 스스로 체크를 당하는 수 밖에 없다면?
이러한 경우를 바로 스테일메이트 라고 한다

* 백이 1수만에 흑을 체크메이트 시킬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지금이 흑의 차례라면 이 경기는 비기게 된다
흑의 폰은 백의 룩에게 가로막혀 움직일 수 없고, 킹이 움직일 수 있는 칸은 백의 룩과 킹에게 통제되고 있다! 스테일메이트! 흑에겐 짜릿한 무승부가 될거다
스테일메이트를 제외하고도 무승부가 되는 경우가 왕왕 있는 편인데
먼저 3회 동형이 있다
어려워보이지만 간단하다, 체스를 두다가 같은 모양이 3번 나오게 되면 무승부가 된다
두번째로는 기물 부족에 의한 무승부가 있다
상대를 체크메이트 시켜야 이기는 체스 게임에서, 양쪽 모두 상대를 체크메이트 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은 기물을 가지고 있을때 무승부가 된다
서로 킹만 남은 경우, 한개뿐인 나이트나 비숍, 서로 같은 색의 비숍만 2개 이상 있는 경우, 나이트만 2개 있는 경우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마지막으로 기물이 잡힌 수로부터 50수가 지나면 무승부가 된다
자 이제 이 페이지의 마지막 장으로 달려보도록 하자
4. 체스의 특수 규칙
앞서 설명한 행마법/승리,패배 조건/무승부 조건 이외에도 체스에는 4가지의 특수 규칙이 있다
먼저 처음 움직이는 폰은 2칸을 움직일 수 있다
말 그대로 원래 폰은 1칸 전진이 기본이지만 처음으로 움직이는 폰은 예외적으로 2칸 앞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원래대로 1칸만 움직여도 좋다

* 이렇게 폰을 2칸 움직일 수 있다!
아직 움직이지 않은 나머지 폰들도 2칸씩 움직여도 된다
다음으로 알아볼 규칙은 이 첫 폰 규칙과 연결되는 앙파상(En passant) 이라는 규칙이다
체스는 본디 인도의 '차투랑가' 라는 게임에서 유례되었는데, 현대 체스 이전에 많은 규칙의 창안과 변경이 있었다
그런데 앞서 서술한 처음 움직이는 폰을 2칸 움직여도 되도록 하는 규칙에서 문제가 생겼다
바로 그 규칙을 통해 옆에 있는 상대의 폰을 무시하고 지나가버리는게 가능해져 버린것!

* 흑은 백이 f 폰을 밀지 못하게 f3 칸을 폰으로 통제하고 있었다

* 이런!! 백이 그냥 폰을 2칸 밀어버렸다!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생긴 앙파상이라는 규칙은
백이 방금과 같이 폰을 2칸 밀어버렸을때, 만약 상대가 한칸만 밀었다면 잡을 수 있는 폰이었을 경우
한칸만 이동한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폰을 폰으로만 되잡을 수 있게 한 규칙이라고 보면 된다

* 아까와 같은 상황에서

* 백의 f 폰을 한칸만 움직인것으로 간주하고 잡아버릴 수 있다(폰이 아닌 다른 기물로 f3칸을 공격해서 잡을 순 없다)
다음으로 알아볼건 이번에도!! 폰에 관한 규칙인데 그건 바로 폰이 상대 진영 끝까지 도달하면
그 폰을 내가 원하는 기물(킹과 폰을 제외한)로 바꿀 수 있는 프로모션 이라는 규칙이다

* 이런식으로 폰이 상대 진영 끝까지 도달하게 되면

* 이렇게 원하는 기물로 바꿀 수 있다!
이렇기에 잘 밀어둔 폰은 게임의 막바지에 도달해서 매우 강력한 기물로 탈바꿈할 수 있다!
이제 정말 마지막으로 알아볼 것은 캐슬링 이라는 규칙이다
이름부터 단단한 성을 지을 것 같은 이 규칙은 말 그대로
한 턴만에 킹과 룩의 위치를 크로스 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말로 설명하기엔 어려우니 먼저 사진으로 보도록 하자

* 이러한 상황에서

* 이런식으로 킹사이드 캐슬링을 할 수 있고

* 이런식으로 퀸사이드 캐슬링을 할 수도 있다
한눈에 봐도 좋아보이지 않는가?
중앙에 있던 킹이 보드 구석 폰들 뒤로 살포시 숨으면서 구석에 박혀있던 룩이 중앙으로 나올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강력한 캐슬링이니만큼 꽤 까다로운 조건들을 요구하는데
1. 킹이 한번도 움직이지 않았을 것
킹이 단 한번이라도 움직였다면,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오더라도 캐슬링을 할 수 없다
2. 룩이 한번도 움직이지 않았을 것
만약 킹사이드 캐슬링을 할거라면 킹쪽 룩이
퀸사이드 캐슬링을 할거라면 퀸쪽 룩이 단 한번도 움직이지 않았어야 한다
3. 킹과 룩 사이에 어떤 장1애물도 없을것
사이에 다른 기물이 있다면 캐슬링을 할 수 없다
4. 캐슬링을 하며 킹이 움직이는 경로가 공격받고 있지 않을 것

* 킹사이드 캐슬링을 하기 위해서는 킹이 g1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위 사진처럼 캐슬링 경로가 공격받고 있다면 캐슬링을 할 수 없다
자! 이제 길고도 긴 체스의 기본중의 기본에 대한 내용이 끝났다!
지루하다면 지루했을 내용인데 꾹 참고 읽어주어 매우 고맙다
본인이 늅비라면 이 글을 다 읽고 바로 체스를 두러 가보는걸 추천한다
처참하게 깨질지, 아니면 짜릿한 승리를 맛볼지는 모를 일이다
다만 배운 내용들을 써먹어보며 익히는것도 퍽 중요한 일이다
만약 체스를 두어봤는데 아직은 낯설고 어렵다면 다음에 올라올 글을 기다려주면 고마울 것 같다
다음 글은 오프닝에 관한 내용으로 올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한다
p.s 체스의 기본 내용들을 글 하나에 압축해서 적다보니 생각하던거보다 너무너무 길어진 감이 있다
내가 글재주가 좀 없는 편이라 장황하고 두서 없는 글을 써놓고 퇴고하면서 완성해서 올리는거다 보니
설명이 조금 부실하거나 모자라 보이는 부분이나
필요 없어보이는 설명이 과히 길게 설명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해당 부분에 대한 피드백이나, 내용상 틀린 부분은 얼마던지 댓글로 피드백해주면 좋겠다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하거나, 다음 글에는 더 다듬어 볼 수 있도록 도움받는게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모르겠다
그리고 대체 왜 장1애물의 장1애가 등록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단어인지 도무지 모르겠다 덕분에 어감이 매우 이상해졌다 ㅠ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