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우울증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우울증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귀여운 아기 상어 만화 모음.manhwa BlackWolfStudi
- [나만의 일본 최애 장소]도야호 헬기투어 LPEZ
- 홍장원, 체포 메모 작성 경위 진술 요청에 횡설수설 ㅇㅇ
- 이진우 “尹이 문 부수라하고 총이란 단어 쓴 것 기억” 檢에 진술 이만희
- 싱글벙글 일본 홋카이도 폭설 상황 수인갤러리
- 산골마을에 10억짜리 초호화 화장실 설치해 논란... 촌장의 용돈벌이?! 난징대파티
- 승민이햄 MBC 방송에 나와 MBC 직격 "오요안나 사건 왜 침묵" 야떡이
- 일본 여성이 무서운이유 서하주
- 퍼플렉시티 독도 영유권 답변 ㅇㅇ
- 투어스 중국 멤버 한진,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해 논란 ㅇㅇ
- 신년계획 무너지는 패턴 whitebean
- 일본 온천가서 서양인이 피부 와다닥 두드러기 났잖아 긷갤러
- 폰카센서무시하지말라고사진잘나온다고방수도잘된다고 iPhone_
- 싱글벙글 日총리 폭탄테러범 근황 LORA
- 네모난꿈) 25U vs 16프맥 게임테스트...jpg 무선샤워기
4년제 대학들 "등록금 올린다"…새로 생긴 '장학금' 신청 법은?
요즘 월세, 등록금, 밥값까지 다 오르면서 대학생들 정말 힘들어졌습니다. 오늘 주제가 이 등록금과 정부 지원 이야기네요.그렇습니다. 우선 등록금 이야기부터 좀 해보겠습니다.전국 4년제 대학은 190곳인데요. 이 중에 54.2%인 103곳에서 올해 등록금 인상을 하게 됐습니다.절반이 지금 등록금을 올리는 겁니다.대학들이 등록금을 올리고 싶다고 막 마음대로 한껏 다 올릴 수 있는 건 아닙니다.교육부가 정해놓은 상한선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5.49%입니다.이 상한선과 아주 근접하게 인상률을 5% 대로 잡은 학교는 총 47곳이 됐고요.5.49%에 딱 맞게 인상한 학교도 5곳이나 됐습니다.가장 적게 인상한 곳은 1% 올렸는데요. 1곳이 이렇게 결정했습니다.안 그래도 힘든데 대학마저 등록금을 올리냐 하실 수 있지만, 이렇게 등록금 올리는 이유, 바로 대학 재정난 때문입니다.2009년 이후 정부가 학생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자 16년간 등록금 동결 기조를 이어 왔죠.2024학년도 기준 대학 평균 등록금은 연 682만 원인데요.2020년 672만 원 대비 불과 1.5%, 4년 동안 10만 원 올랐습니다.물가 인상으로 실질적인 등록금 수입이 3분의 1로 감소한 수준입니다.하지만 이 와중에도 1도 올리지 않겠다 의결한 학교도 있는데요.총 43곳으로 전체의 22.6%에 해당합니다.하지만 나머지 44개 학교의 등록금 인상이 아직 결정되지 않아서 인상 대학은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물론 대학의 입장도 이해가 됩니다만, 학생과 학부모 입장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잖아요. 이런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학금 받는 방법 알려주신다고요?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기초 차상위 학생들은 한 달에 최대 20만 원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올해 주거 안정 장학금 제도가 신설된 건데요.구체적으로 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전·월세 같은 임차료나 주거 유지비, 수도비, 이자상환액 같은 주거 관련으로 지출한 모든 비용 즉 '자취' 비용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기초 차상위 대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이니 지급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을 겁니다.첫 달의 경우 선지급되고요. 이후에는 '자기 진술서'를 대학에 내면 장학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여기서 궁금한 점, 원거리 통학이 어느 정도 거리냐 일 텐데요.원거리 대학 진학 여부는 대학이 위치한 소재지와 부모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있는지 기준으로 판단을 합니다.교통권은 대도시권, 시지역, 군지역 이렇게 구분을 하고요.대도시권은 다시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대전권 이런 식으로 또 나뉩니다.이 권역이 달라야 지원받을 수 있는 건데요.예를 들어 대전에 있는 대학에 다니는 학생의 부모님 주소가 서울일 경우 학교는 대전권인데 부모님 주소는 수도권 이렇게 교통권이 나뉘죠.그렇기 때문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또 다른 예를 들어보면, 학생이 다니는 대학이 부산인데 부모님 주소가 경남 창원이다.이러면 둘 다 부산권에 해당하기 때문에 지원대상이 아닙니다.하지만 예외는 있습니다.같은 교통권이라도 실제 통학시간이 편도로 2시간 이상 걸릴 경우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증빙은 내비게이션 화면 캡처로 가능합니다.말씀하신 조건에 드는 학생은 모두 신청할 수 있는 건지도 궁금한데 우선 어떻게 신청하는 건지 알려주시죠.주거 안정 장학금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은 일반 대학 162개와 전문대학 93개에서 총 255개 대학입니다.이번에 신청을 원한다 하시면 소속 대학이 사업에 참여하는지를 우선 확인하셔야겠죠.어제부터 신청은 시작됐고요.다음 달 18일 저녁 6시까지 하시면 되는데,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과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지금 화면에 보이는 주소로 들어가셔서 하면 되고요.24시간 신청할 수 있으니 편하신 시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또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전화상담을 받거나 각 지역 재단 센터를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스압) 최장 소요시간 KTX 탑승기
이번 설 연휴에 목포 놀러왔다가 행신 가려고 표를 봤는데15시 50분 차가 싹다 매진이더라고.. 그래서 바로 다음차가 30분 뒤에 있었는데 그게 4시간 18분 걸리더라..그렇다고 그 다음 차 타기엔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서 어쩔 수 없이 488열차 탐 ㅋㅋ1. 목포역 도착 (16시 00분)오랜만에 왔는데 여전히 변함이 없더라..2. 목포역 내부이용객 수에 비해 역이 좀 작다고 느낌3. KTX 시간표진심 KTX인지 새마을인지 구분이 안감..알아보니까 국내 고속열차 중 가장 소요시간이 긴 열차더라..4. 승강장 (16시 12분)출발시간이 되서 승강장으로 내려왔음5. 열차 탑승내 허리는 소중하니까 특실로 끊어서 갔음 ㅋㅋㅋ6. 목포역 출발타고 얼마 안 있다가 바로 출발하더라7. 임성리역 통과남해선은 접속부 부분까지 공사가 이미 끝났고 호남고속선은 한창 공사 중이더라8. 나주역 통과 (16시 53분)탄지 얼마 안 됐는데 오만가지 생각이 다 들었음..나주역 통과 후 바로 속도 끌어올리더니 200까지 밟더라.. 9. 광주송정 도착 (17시 00분)30분 정도 달려서 송정 도착하고 바로 출발함10. 장성, 김제 도착 (17시 16분, 17시 47분)이런데는 KTX가 왜 서는건지 의문이더라..11. 익산역 도착 (18시 03분)여기서 4054열차하고 연결을 위해 약 6분간 정차하고 바로 출발했음12. 계룡역 도착 (18시 52분)이때부터 점점 피곤해지기 시작하더라..13. 서대전역 도착 (19시 07분)목포 출발한지 2시간 41분만에 서대전에 도착했음이제부터 고속선을 이용하기 시작함..14. 오송역 도착고속선 진입 후 좀 밟더니 바로 오송역 도착..15. 천안아산 통과 (19시 41분)시원하게 통과하더라이날 488열차의 최고 속도는 298.4km/h였음16. 광명역 도착 (20시 01분)진짜 쓰러지기 직전이었음..17. 금천구청 통과 (20시 07분)출발한지 3시간 41분만에 서울 진입함.. 진짜 스크린도어가 이렇게 반가울 줄 몰랐음18. 용산역 도착 (20시 16분)3시간 50분만에 서울의 첫 번째 정차역인 용산역 도착여기서 상당히 많이 내리시더라19. 서울역 도착 (20시 25분)그리고 두 번째 정차역인 서울역 도착..3~4분 정도 정차했다가 바로 출발함20. 행신역 도착 (20시 48분)그리고 대망의 행신역에 4시간 22분만에 도착했음..내리기 전에 좌석 한번 찍고 내림..너무 피곤해서 바로 집가서 뻗어버림 ㅋㅋㅋㅋ진짜 표를 미리미리 끊어야겠다는 생각 밖에 안 들더라.. 너무 힘들었었음..
작성자 : Ieo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