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단독]‘쪼개기 알바’ 사상최다… “청년도 사장도 고달파"모바일에서 작성

긷갤러(211.231) 2024.06.28 07:20:23
조회 142 추천 0 댓글 0
														
7ded8075b0856bf43ae6e9e546831b6fe0fab736480e139bedd053c1207aec44475a4b9e58312a6ab7d85bd8b7f19f


대학생 이모 씨(21)는 올 초부터 용돈 벌이를 위해 서울 관악구의 한 카페에서 주 4일 일하고 있다. 근무 시간은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 단 3시간. 이 일을 하기 위해 출퇴근에만 왕복 2시간을 쓴다.

최근 그는 점주에게 아르바이트 시간을 늘려 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주휴수당을 줄 여력이 없어 어렵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이 씨는 “일자리 자체가 많이 없는 데다 몇 군데 면접을 봐도 경력이 없다는 이유로 받아주지 않았다”며 “지금 일하는 곳은 아르바이트가 처음인 사람도 받아줘서 근무 시간이 아쉬워도 그냥 다니고 있다”고 했다.

이 씨처럼 주 15시간 미만 일하는 청년 초단시간 취업자가 지난달 45만 명에 달해 역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열에 아홉 이상이 임금근로자로, 이들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고 연차휴가, 퇴직금 및 각종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있어 고용의 질이 좋지 않다. 얼어붙은 내수에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소상공인들이 쪼개기 고용을 늘리고, 그 피해를 청년들이 보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본보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주 15시간 미만 20, 30대 초단시간 취업자는 1년 전(38만2300명)보다 17.0% 늘어난 44만7200명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1월 이후 모든 달을 통틀어 역대 가장 많다. 반면 지난달 20, 30대 전체 취업자는 910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오히려 1.0% 줄었다. 청년 일자리는 줄고 있는데 쪼개기 고용으로 질 나쁜 일자리만 늘고 있는 셈이다.

청년층에서 초단시간 취업자가 늘어나는 건 사회 전체적으로도 인적자본 저하 등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인건비를 조금이라도 아껴야 하는 영세 업주들은 직원 관리 등의 어려움을 감수하고 ‘쪼개기 고용’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청년층에서 초단시간 일자리가 늘어나는 건 결국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기술을 배우고 인적자본을 축적해야 할 시기에 초단시간 일자리를 전전하면 단순 노동에 머무를 가능성이 커지고 평생 소득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라고 했다.

사장은 인건비에 ‘쪼개기 고용’… 청년은 더 일하고 싶어도 못해




[청년도 사장도 고달픈 ‘쪼개기 알바’]
자영업자, 최저임금 인상에 시름… 수당 부담에 ‘주15시간미만 고용’
초단시간 근로자 지난달 192만명… 최저임금 급등한 2018년부터 급증
20대 32만4600명… 역대 가장 많아

서울 양천구에서 편의점을 하는 40대 이모 씨는 아침과 낮에만 편의점에 출근하고 나머지 시간엔 아르바이트생을 쓴다. 그가 고용하고 있는 인원은 총 7명. 주휴수당을 주지 않으려 14시간 단위로 사람을 쓰다 보니 아르바이트생이 많아졌다. 이 씨는 “한 명이라도 사정상 못 나오게 되면 사장인 내가 대신 나와야 한다. 여러 명을 관리해야 하는 고충이 크지만 인건비 부담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토로했다.

지난달 청년 초단시간 취업자가 역대 최대로 늘어난 건 고금리, 고물가 여파에 내수 산업에 종사하는 영세 상인들의 사정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주휴수당이라도 아끼려 종업원들의 근로시간이 15시간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누적된 최저임금 인상에 인건비 부담이 커져 쪼개기 근로가 계속 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쪼개기 고용 늘리는 최저임금의 역설

본보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15시간 미만 일하는 초단시간 취업자는 1년 전(154만7400명)보다 24.3% 늘어난 192만4000명이었다.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긴 올 2월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초단시간 취업자는 1년 새 7.0% 늘어난 32만4600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고, 30대는 55.7% 급등한 12만2600명으로 역대 네 번째였다. 이 밖에 40대, 50대, 60세 이상 역시 1년 새 30% 안팎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20, 30대 초단시간 취업자 10명 중 4명(38.7%)이 숙박 및 음식점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어 교육 서비스업(18.9%), 도매 및 소매업(14.6%) 등의 순이었다. 대부분이 최근 내수가 얼어붙으며 침체를 겪고 있는 업종이다.

정부는 5월 경제활동 인구 조사 기간에 휴일이 포함되며 취업 시간이 전반적으로 줄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초단시간 일자리는 최저임금이 빠르게 올라가기 시작한 2018년 이후 본격적인 오름세를 보여왔다. 월평균 100만 명을 밑돌던 초단시간 취업자는 최저임금이 급등한 2018년 전년보다 14.1% 늘어나며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겼다. 이후에도 매년 늘어 올 1∼5월엔 월평균 175만1000명의 초단시간 취업자가 생겨났다.

● 자영업자 1년 새 11만 명 ↓

고령층, 워킹맘 등을 중심으로 초단시간 일자리 수요가 늘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청년층이 숙련도를 쌓기 어려운 초단시간 일자리에 몰리는 현상을 긍정적으로 보기는 어렵다.

실제로 짧은 시간 일하면서도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청년들은 점점 느는 추세다. 지난달 15시간 미만 일한 청년 중 더 많은 시간 일하길 원했다고 응답한 20, 30대는 7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명 늘었다. 36시간 미만 일한 청년 중에서도 25만2000명이 더 일하길 원했다고 했다. 1년 전보다 8.8% 늘어난 규모다.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에 따라 36시간 미만 취업자 중 더 많이 일하길 원한 사람은 넓은 의미의 실업자로 분류된다.

영세 소상공인 입장에서도 관리할 직원이 늘어나는 상황은 달갑지 않다. 하지만 소상공인의 폐업이 이어질 만큼 내수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쪼개기 고용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달 자영업자 수는 568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 명(1.9%) 줄었다. 자영업자는 2021년 10월부터 24개월간 전년 대비 늘었지만, 올 2월부터는 4개월 연속 줄고 감소 폭도 확대되고 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5431852 라이브 자주 해준댕 [6] ㅇㅇ(175.192) 17:44 341 0
15431851 송혜교는 표독스럽고 입냄새나게 생겼어 [12] ㅇㅇ(211.235) 17:43 236 6
15431850 망소희빠야 한소희 유흥이나 걱정해 [1] ㅇㅇ(118.235) 17:43 54 0
15431849 대구 수성구 범어동인데 이 아파트는 왜케 싸냐? [1] ㅇㅇ(223.39) 17:43 123 0
15431846 여기 황인엽 엄청 무시하는데 여신강림 쇼츠로보는데 ㅇㅇ(118.235) 17:43 94 1
15431845 이영자 생각보다 적게 먹지않냐? [4] ㅇㅇ(106.101) 17:43 128 1
15431844 김지원 차기작 멜로코 한대 [26] ㅇㅇ(118.235) 17:42 757 1
15431843 세종줌=서특=호줎=유니=동일인물=원빈광빠 다중이=김하늘빠 =고수광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2 11 0
15431842 낮밤 이정은 춤 왜케 잘춤 ㅋㅋㅋ [1] ㅇㅇ(223.38) 17:42 49 0
15431841 허훈빠인지 뭔지 지 형 이용해서 틈새영업질하는거 토나오네 [1] ㅇㅇ(106.102) 17:42 53 0
15431839 김새론이랑 진짜 잘어울리는데 [2] ㅇㅇ(118.235) 17:42 60 1
15431838 여름한영 그냥 망하겠네 ㅇㅇ(223.38) 17:42 36 0
15431836 내일 캐스팅편성 많이 떴으면 좋겠다 [2] ㅇㅇ(115.20) 17:42 61 0
15431835 미아리 텍사스에서 유명해지신 건희룡 후보님 [1] ㅇㅇ(61.255) 17:42 46 0
15431834 체불확인서 사장이 작성할때 노동청 출석안하고 전화로만 대답하고 작성해도 [1] ㅇㅇ(223.39) 17:42 18 0
15431833 과자 자랑하는 변우석 [5] ㅇㅇ(223.39) 17:42 490 2
15431832 윤석열 까는 건 이해하는데 [4] 긷갤러(211.198) 17:42 54 0
15431831 긷갤은 평일 낮이 주말보다 리젠 높은게 신기해 [2] ㅇㅇ(223.38) 17:42 56 0
15431830 존예 [2] ㅇㅇ(122.43) 17:42 94 0
15431827 3.3조은데왜난리야 자경매니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1 18 0
15431826 한동훈 고닉줌 3개 올리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1 38 0
15431825 세종줌=서특=호줎=유니=동일인물=원빈광빠 다중이=김하늘빠 =고수광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1 6 0
15431824 디올 황인엽은 엠버인거야 뭐야 [2] ㅇㅇ(106.101) 17:41 151 0
15431823 변기가 엠버하기에는 너무 거인이다 ㅇㅇ(106.101) 17:41 57 0
15431821 고수광까=세종줌=서특=호줎=유니=동일인물=원빈광빠 다중이=김하늘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1 5 0
15431820 돌풍 재밌음? 검색해보니 경수 신작이네 [1] ㅇㅇ(39.7) 17:41 30 0
15431819 사실상 죽음의조는 일본이 아니라 북한 ㅇㅇ(39.7) 17:40 30 0
15431818 노을진 창가에 앉아 갓혜윤(49.142) 17:40 20 0
15431817 이분은 골프도 수준급임 [2] ㅇㅇ(39.7) 17:40 293 0
15431816 심심해 [1] ㅇㅇ(211.234) 17:40 12 0
15431815 변우석 파리 안간대 프라다 물건너 갔나봄 ㅇㅇ(115.144) 17:39 244 0
15431814 송혜교 vs 김지원 [15] ㅇㅇ(211.235) 17:39 443 1
15431813 카톡 너무 짜증나 ㅇㅇ(106.101) 17:39 41 0
15431812 표치수가 중기랑 같은 소속사야? [4] 긷갤러(221.149) 17:39 112 0
15431811 김유정은 차은우랑 망붕가능한데 [9] ㅇㅇ(39.7) 17:39 274 1
15431810 ❗+테무 시발 진짜주노? 10만원 받은거 인증.jpg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9 14 0
15431809 박상수 페북 업(한동훈 지원) [24] ㅇㅇ(211.235) 17:38 411 23
15431808 만약 커뮤 고인물들 끼리 독립해서 나라를 하나 만들면 [2] 긷갤러(211.198) 17:38 25 0
15431807 이번이 스위트홈3 어떨것같음 [4] 긷갤러(121.152) 17:38 79 0
15431806 (유튜브) 이 영상은 10초만 공개한다 긷갤러(89.147) 17:38 9 0
15431805 송혜교도 50대 되면 최지우처럼 될텐데 [8] ㅇㅇ(223.39) 17:38 107 0
15431804 가브리엘 박보검 와꾸 [3] ㅇㅇ(211.36) 17:38 124 0
15431803 돌풍 소재는 재밌는데 쉴틈없이 전개되는게 [3] ㅇㅇ(106.102) 17:38 63 0
15431802 푹쉬면에 목걸이한 남자 누구 ㅇㅇ(223.62) 17:38 19 0
15431801 김김 결혼하면 김수현이 김지원 말 잘 들을듯 [19] ㅇㅇ(223.38) 17:37 928 0
15431799 난 진심이야 김지원은 이쪽이 어울림 [5] ㅇㅇ(39.7) 17:37 342 0
15431800 알있망붕 멍충해서 지들이 꼭 먼저 마데 소환함 [2] ㅇㅇ(118.235) 17:37 110 1
15431797 일본에서 첨보는 여자애랑 잤는데 뭘 잘못함 내가? 긷갤러(118.235) 17:37 25 0
15431796 변기 모델 출신이 밀라노 간게 뭐라고 [2] ㅇㅇ(211.234) 17:37 170 0
15431795 날씨 선선하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7 2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