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998년 과학기술부를 처음 만들어 과학기술선진국 만든 김대중"

ㅇㅇ(1.234) 2024.06.28 19:18:34
조회 71 추천 0 댓글 1
														


"1998년 과학기술부를 처음 만들어 과학기술 선진국 만든 김대중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역사가 된 과학대통령 김대중의 업적"


“세계 일류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자가 존경받는 사회가 돼야 한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2년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던 소희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6일 국장이 끝났다. 23일 영결식을 마치고 국립묘지에 안장되는 모습은 전국민에게 숙연함을 불러 일으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업적으로 외환위기 극복과 정보화 선진국으로의 발돋움 등을 꼽는다. 하지만 그 이면에 과학기술 체제 전반에 대한 변혁을 일으키고, 현재의 국가과학기술체제를 수립한 공적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주산업 육성 시작… 나로호 발사의 숨은 공로자
외환위기 시절 ‘신임 대통령 김대중’에게 주어졌던 첫 숙제는 경제회복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위기의 시절에도 단순히 경제회복’만을 생각하지는 않았다. 항공우주 등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지원은 아끼지 않았다.
그는 외환위기 시절 먼저 IMF와의 협의를 통해 재벌그룹간 빅딜을 단행했는데, 이 때 출범시킨 기업 중 하나가 1999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다.
KAI는 현재 한국의 항공우주 산업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T-50 고등훈련기 개발하는 등 국내 항공, 항공우주산업발전에 일익을 담당해왔다. 차세대 한국형 헬리콥터 개발에도 매진하는 등 중요 사업에는 모두 참여하고 있다. 이 기업은 25일 우주로 나아갈 나로호(KSLV-1) 개발 때도 추력기 시스템을 제작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2001년 12월 21일. 김대중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았던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6T 정책’을 발표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6T 정책은 IT(정보통신기술), BT(바이오기술), NT(나노기술) 이외에 ET(환경공학기술), CT(문화콘텐츠기술) 등을 추가 육성하겠다는 구상이었다. ST(우주항공기술)이 포함된 것은 물론이다.
이런 결과 나로우주센터와 나로호(KSLV-1) 사업은 모두 국민의 정부 시절 추진됐다. 나로호는 2002년 8월 개발사업에 착수했으며, 나로우주센터는 2000년 12월 건설사업에 착수했다. 이번에 쏘아 올린 ‘과학기술위성2호’도 2002년 10월 개발이 시작됐다.

현 국가 과학기술 행정체제 기틀 마련
이명박 현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한 다음 날인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 31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위원회는 국민의 정부 시절 만들어진 과학기술정책 최고기관”이라며 “김 전 대통령의 뜻을 되새겨 기초과학기술 예산 증액과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 노력하자”고 말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최고결정기구는 대통령이나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아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이하 국과위)’이다.
당시 DJ 정권은 부처서열 17위이던 과학기술처를 8위의 ‘과학기술부'로 승격시켰다.
1999년 과학기술부가 존폐위기에 처하자 여러 기획부처의 의견을 꺾고 존속을 유지했던 적도 있다.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는 국과위를 출범한 것도 이 무렵이다. 당시 국과위 간사는 과기부 장관이 맡았는데, 이 시스템이 참여정부로 이어져지면서 과학기술부 부총리 제도로 발전하기도 했다. 다만 현 이명박 정부에서는 과기부와 교육부를 통합해 ‘교육과학기술부’를 출범시켜 당초 의도가 흐려진 것은 안타깝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 대학 이공계 인력들을 지원해 온 BK21사업 역시 김대중 정부 시절 시작됐다.
BK21의 성과로 1997년 세계 과학기술순위 28위에서 2002년엔 10~12위까지 급등했다.
세계적인 전문학술지에 게재한 논문 숫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는데, 1998년 78편에서 5년만에 12배인 940편(2003년)으로 증가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과학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전문학술지 게재 논문 건수는 1993년 2962건에서 2003년 1만8635건으로 증가해 세계 28위에서 14위로 뛰어올랐다.

IT 강국의 포석을 깔다
"한국이 미래의 디지털을 좌우 할 것이다." 2004년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츈은 김대중 정권의 업적을 이같이 분석했다. 당시 포츈은 ‘지식강국으로 재탄생시킨다는 목표를 세운 김대중 대통령은 한편으로는 과감한 규제완화와 다른 한편으로는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통해, 또 다른 한편으론 인터넷과 통신 분야 기업의 투자를 촉진해 IT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이끌어 냈다고 분석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재임 시절 “컴퓨터 가장 잘 쓰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런 사상을 이어받아 2001년 국민의 정부는 전자정부특별위원회를 발족했는데, 현재의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로 발전했다. 범정부 정보화 추진체계의 골을 만든 셈이다.
IT육성도 항공우주분야 육성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눈앞의 시장이익과 미래를 내다보는 지원책 두가지를 항상 함께 배치했다.
그가 선택한 방법은 ‘벤처기업 육성’. 취임과 동시에 김대중 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벤처기업 자금으로 9000억원을 마련했다. 벤처기업 2만개를 창업시키자는 것이 그의 목표였다. 흔히 DJ노믹스라 부르는 경제정책의 핵심 코드가 IT와 벤처기업 육성이었다.
NHN이나 엔씨소프트, 최근 운영체제 시장까지 뛰어든 티맥스소프트 등 IT 대표 기업이 모두 이 당시 창업했다. 이런 결과 김대중 정권 초기 163만명에 불과했던 인터넷 이용자는 5년만에 2600만명을 돌파했다. 700만명이 안되던 이동전화 가입자도 3200만명을 넘었다.




7ce4897e6e37dce6e46c0a38e328aee5f66b8e605c127b170c4233d3485007e2bcc16a6add8dc95e74371fb5a093c37970dbf937e55556d6b06774d1871f8ce595df019f0cfed8ec11e4bf8e62931498519998e83a644b74e8b3c5ecab11dae528c9674e0ec299031ad36c75b78ca5d6d889120dc33db62948d48c3f3468b4e63b1a811c8bfd







[김대중정부 과학기술정책 결산]



예산 2배 확대… 국가 경쟁력 10계단 '껑충'



중앙일보 2002.12.26




최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6백9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국민의 정부'의 산업기술지원정책 가운데 지난 5년간 가장 잘한 시책으로 '과학기술예산의 지속적인 확대'가 1위(23.9%)에 올랐다.



실제 '국민의 정부' 출범 이전인 1997년 한해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는 2조7천57억원으로 정부예산 가운데 3.6%에 불과했으나 올해의 경우 4조9천5백56억원으로 2배 가까이 불어났으며 정부예산대비 4.7%로 김대중 대통령의 공약사항이던 5%에 육박했다.



서울대 김도연(금속공학) 교수는 "BK21,프론티업사업 등 굵직굵직한 프로젝트들이 속속 발주되면서 연구비에 갈증을 느껴온 지방대에도 혜택이 두루 돌아갔다"며 "IMF 위기를 겪으면서도 연구개발 투자는 줄이지 않아 외국의 과학자들로부터 자기 나라의 국가수반을 바꾸자는 농담을 듣기도 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가 꾸준하게 늘어나면서 민간부문의 연구개발 투자의 경우 97년 8조8천억원에서 98년 8조원으로 떨어졌으나 올해 12조3천억원으로 덩달아 상승했다.총 연구개발인력도 97년 21만2천여명에서 지난해말 26만1천여명으로 늘었다.



연구개발투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연구수준을 나타내는 SCI 논문수가 97년 7천8백52편(세계 18위)에서 지난해 1만4천6백73편으로 세계 15위에 기록됐다.



외국 기관의 평가도 좋아졌다. 청소년의 과학소양 수준 1위(2001년·OECD), 특허등록·기술수출 등 과학기술 성취 지수 5위(2001년·UNDP) 등 각종 순위에서 상위에 올라섰다.


특히 지난 4월 스위스 국제경영평가단(IMD)이 발표한 과학경쟁력에서 한국은 지난해 21위에서 10위로 껑충 뛰어 올랐다.



이에 고무된 '국민의 정부'는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을 수립하고 미래 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서 국가기술지도를 작성하는 등 중장기 계획을 세우며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미 2006년까지 정보기술(IT)· 항공우주기술(ST)·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환경공학기술(ET)· 문화기술(CT)등 6T 분야를 중심으로 35조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한다는 내용의 5개년 계획을 세워 진행 중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d7024bbfb763f24fd2a7ebe268a03355c57b12d52906d4c4b73541abca92fc6467ccab39460d4817069d1e0ca10

1997년 한국 제조업 경쟁력 세계 14위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d7024bbfb763f24fd2a7fb6258f03355c578ca173bb7a8440d4cc62f95d19aba404da6b3a19cd15daef5e5e01b8

2003년 한국 제조업 경쟁력 세계 5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외모와 달리 술 일절 못 마셔 가장 의외인 스타는? 운영자 24/07/01 - -
15435864 김수현빠들은 히어로 제친 변우석을 너무 무시하노 [2] ㅇㅇ(118.235) 00:26 172 0
15435863 변우석 진짜 임영웅 잡은건 미친듯.. [9] 3dd(121.183) 00:26 597 0
15435862 이제 벽갤도 없는지 오래 ㅇㅇ(211.36) 00:26 40 0
15435861 브평하고 갤럽은 전혀안맞음 [2] ㅇㅇ(211.118) 00:26 89 0
15435860 서드어 김김이 무조건 이긴다 성지순례와라ㅋㅋ [6] ㅇㅇ(211.234) 00:26 431 0
15435859 변우석 미팅 가는 사람 손등에 2024년 월 일 적어줘 ... 실존 미친년내가정말나쁜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6 139 0
15435858 제발회 김수현은 뭐였을까 [1] ㅇㅇ(118.235) 00:25 372 0
15435857 진정의 월드망붕은 변김였네 [1] ㅇㅇ(103.235) 00:25 189 0
15435856 네이버웹툰 신작 중에 시든 꽃에 눈물을? [1] ㅇㅇ(61.76) 00:25 71 0
15435855 일본에서 첨보는 여자애랑 잤는데 심리 파악좀 긷갤러(118.235) 00:25 34 0
15435854 눈여 후속 슬의였음 그것도 엄청 잘 나왔겠다 [2] ㅇㅇ(49.1) 00:25 173 0
15435853 변우석 내가 오판했어 [5] ㅇㅇ(211.235) 00:25 584 0
15435852 도쿄올림픽 때 시간이 맞아서 긷갤에서 긷갤러(58.78) 00:25 37 0
15435851 변할매들 트롯갤서 딴놈빨다 [2] ㅇㅇ(211.118) 00:25 70 0
15435850 김수현 그래픽티 일부러 노린거지? [9] ㅇㅇ(223.39) 00:25 795 0
15435849 올림픽 앞으론 선진국은 안할듯 [1] ㅇㅇ(211.105) 00:25 71 0
15435848 낮과밤이 다른그녀 요새 젤 잼나는 듯 [17] ㅇㅇ(180.66) 00:24 316 0
15435847 잘려고 칼슘마그네슘 코큐텐 오메가3 달맞이꽃종자유 이노시톨 [3] 마릴린녹즙(119.197) 00:24 56 0
15435846 내일 회사가기 시러 ㅇㅇ(222.100) 00:24 24 0
15435845 김수현이 뭐 사귈것도 아닌데 1년을 공들여서 잘해준게 말이되나? [2] ㅇㅇ(113.61) 00:24 456 0
15435844 참다참다 생크림빵 하나조졋다 ㅇㅇ(118.235) 00:24 27 0
15435843 눈여 후속이 끝났다그러니까 존나 갑자기 체감 확된다 [2] ㅇㅇ(119.193) 00:24 183 0
15435842 눈여 블레코멘 궁금 [3] ㅇㅇ(118.235) 00:24 400 0
15435841 변우석 전부 서울팬미를 위한 빌드업인거같음 [4] 긷갤러(218.145) 00:24 590 0
15435840 김다미드 남주 뜨겠지? [6] ㅇㅇ(223.39) 00:24 183 0
15435839 변우석 사진 구해 왔다 [3] ㅇㅇ(185.183) 00:24 423 0
15435837 방안에 거미있어 ㅇㅇ(218.236) 00:23 25 0
15435836 1일에 차기작 기사 많이 뜨는편이야? [3] 긷갤러(58.78) 00:23 182 0
15435835 변기는 단체샷은 못올리고 ㅋㅋ ㅇㅇ(211.118) 00:23 155 0
15435834 낮과밤 12부작이야? [1] ㅇㅇ(118.235) 00:23 143 0
15435833 돌풍이 한동훈이랑 노무현 연상시키긴 함 [7] ㅇㅇ(118.235) 00:23 363 2
15435832 토마토 도현 긷갤러(223.39) 00:22 43 0
15435831 주로 노인네들이 실명쓰며 브평작업함 ㅇㅇ(211.118) 00:22 27 0
15435830 수줌도 웃긴데 변줌도 너무 웃김 [5] ㅇㅇ(113.61) 00:22 205 0
15435829 이년들아 변우석은 코어되게 만드는 그런게 있어 [4] 긷갤러(218.145) 00:22 263 0
15435828 변우석이 현 국내 남배우 인기 1위는 맞겠지 [4] ㅇㅇ(117.111) 00:22 368 0
15435826 변우석 팬들이랑 찍는 셀카 [5] ㅇㅇ(223.38) 00:21 501 0
15435827 올림픽 보다 월드컵이 재밋음 [1] 긷갤러(58.78) 00:22 43 0
15435825 월드망붕 외치는 시간에 그냥 투표해라 ㅇㅇ(103.235) 00:22 33 0
15435824 다리 예쁜애들은 따로 ㅇㅇ(223.39) 00:22 48 0
15435823 김김 찐이 아니면 설명이 안된느게 넘 많아 [4] ㅇㅇ(118.235) 00:21 631 0
15435822 걸그룹 공연하는 보면 축구랑 좀 비슷한 점이 있어 상남자(14.56) 00:21 40 0
15435821 김김 빠들이랑 해외망붕들이 변김네보다도 적어? ㅇㅇ(106.102) 00:21 110 0
15435820 수줌 변줌 손잡고 무승부 하면 안되냐? ㅇㅇ(118.235) 00:21 33 0
15435819 낮과밤 최진혁이 이정은 정체 알아? [1] ㅇㅇ(118.235) 00:21 169 0
15435818 너목들 작가가 이보영 주인공으로 메디컬드라마 [9] 긷갤러(211.36) 00:21 170 0
15435817 저아래 59.5 김지원삐인지 유사인지 그런애다 ㅇㅇ(223.39) 00:21 53 0
15435816 김수현 프린팅티는 진짜ㅋㅋㅋㅋㅋ ㅇㅇ(118.235) 00:21 315 0
15435814 고민시 강하늘드 계자가 전날 푼거 맞을거 같냐? [3] ㅇㅇ(223.39) 00:20 208 0
15435813 박서준 고민시 케미 괜찮네 [12] ㅇㅇ(223.39) 00:20 456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