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빛 좋은 개살구' 흔들리는 K-드라마, 돌파구는 어디에?

복꼬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4.24 10:01:40
조회 223 추천 0 댓글 0

◆ 제작비 폭등 이유?…출연료 뿐만 아니었다

먼저, 제작사에 위기를 불러온 가장 큰 원인으로는 '제작비의 증가'를 꼽을 수 있다. KCA에서 발표한 '제작비 폭등에 따른 국내 드라마 시장의 변화와 개선방안' 리포트에 따르면, 2018년 이후 국내 드라마들의 평균 전체 제작비는 약 344억 원이고 회당 평균 제작비는 약 31억 원이다. 최근 방영됐던 tvN 토일드라마 '별들에게 물어봐',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만 해도 각 500억 원, 600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제작비의 폭등은 2021년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성공 이후로 더욱 극대화됐다. 한 A 제작사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업이 늘어나며 콘텐츠의 기획 단계부터 글로벌 경쟁력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퀄리티 향상과 제작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 규모가 자연스럽게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먼저 제작비가 상승한 가장 큰 요인으로는 배우들의 출연료가 꼽힌다. 최근 톱스타 배우들의 드라마 회당 출연료는 억대를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OTT 플랫폼이 K 콘텐츠 제작에 뛰어들면서 높은 출연료를 제시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한번 올라간 출연료가 쉽게 내려가기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사전제작 시스템인 '프리프로덕션' 비중이 올라간바, 편성을 수월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스타 감독과 스타작가, 톱배우의 캐스팅을 포기할 수 없다. 또한 해외 판권 판매 비중이 늘어나면서 해외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배우를 캐스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다른 요인으로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을 꼽을 수 있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작되면서 이전보다 촬영 일수가 늘어났고, 이로 인해 스태프 근로시간도 증가했다. 그러면서 인건비뿐만 아니라 촬영 장비나 세트의 사용 일수, 이동비 등이 추가돼 실제 제작비는 이전보다 2~3배 가까이 늘어났다.

여기에 CG, VFC, 미술, 믹싱 등 후반작업(Post-Production)의 비중이 높아진 점도 큰 원인이 됐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제작비에는 인건비 외에도 기술적 퀄리티 향상을 위한 후반 작업 비용, 촬영 인프라 강화, 세트 및 로케이션 확장, 해외 시장을 고려한 자막·더빙 등 로컬라이징 작업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포함된다. 이전보다 분야가 확장되면서 작품에 참여하는 스태프 수가 증가하고 인건비 비중도 높아지게 됐다.

◆ 오르지 않는 시청률, 방송광고 위축으로

제작사의 곡소리를 부추기는 외부적 요인으로는 광고 시장의 축소가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달 26일 발표한 '2024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결과에 따르면 2023년 방송광고 시장 매출은 2조 357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5% 감소했다.

전체 광고시장 매출과 함께 봤을 때 낙폭은 더 크게 다가온다. 2023년 국내 전체 광고시장은 전년 대비 0.6% 감소한 13조 8017억원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이러한 가운데, 전체 광고시장 대비 방송광고 시장 비중은 17.6%로 축소됐다. 2021년 22.7%에서 3년 연속 하락한 수치다. 반면 OTT 등을 포함한 디지털 광고 비중은 전년 대비 2.3%포인트 늘어난 60.7%를 기록했다.

실제로 B 제작사 관계자는 "광고시장이 침체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방송사 드라마에 광고가 안 붙으니 (제작사는) OTT를 먼저 찾고 가장 마지막으로 방송사를 찾는다. 판도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한탄했다. 광고가 줄어드니 제작비 충당이 어려워졌다고, 투자가 활발한 OTT 채널을 선호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OTT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서비스 확산에 따라 디지털 광고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했고, 방송사 드라마 시청률이 예전만 하지 못하니 작품도, 시청자도, 광고도 OTT로 몰리고 있는 상황 속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방통위는 "광고 대행사 등은 방송광고를 집행할 수 없으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가장 많이 선택(60.9%)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플랫폼으로의 시청행태 변화, 디지털 광고 기술의 진화에 따라 광고시장에서 방송광고 비중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방송광고시장의 암울한 미래를 내다봤다.



◆ K-드라마 시장, '포스트 넷플릭스' 대비할 때

넷플릭스의 경우 한국 콘텐츠 작품 수가 2022년 21개에서 2023년 30개로 증가했다. 그러나 K-드라마의 호재는 아니다. 드라마로 범위를 좁혀봤을 때, 2022년 11개에서 23년 13개로 단 두 편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넷플릭스를 포함한 일부 글로벌 OTT는 최근 들어 제작비 이슈로 한국보다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싼 일본, 태국 등에서 드라마를 만들겠다는 움직임을 보인다.

지난 21일 열린 '넷플릭스 인사이트'에서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총괄은 이러한 점을 인정하면서도 "규모를 꾸준히 확장하며 투자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그만큼 K 콘텐츠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우려를 말끔히 지우기는 역부족이다. 제작비 상승과 광고 축소로 몸살을 앓는 제작사와 투자 규모를 점점 줄이는 글로벌 OTT. 살아남기 위해서는 '포스트 넷플릭스' 전략을 도모할 수밖에 없는 시기를 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현지화 전략이 있다.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은 미국 제작사 스카이댄스와 글로벌 OTT 애플TV 플러스에서 미국 드라마 '운명을 읽는 기계'를 함께 만들었다. 또한 국내 제작사 SLL도 미국 유명 제작사 윕을 인수해 넷플릭스 미국 드라마 '보드킨', 프라임 비디오 미국 드라마 '내가 예뻐진 그 여름' 시즌3 등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방송 시장 규모가 더 큰 해외 시장을 노리는 것은 위기에서 벗어날 해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영화 시장처럼 외부 투자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활발한 정보 공유가 이뤄져야 할 필요도 있다. 대부분의 드라마는 방송사, OTT가 투자하고 편성하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투자로 제작비를 끌어오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렇기에 투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선 제작비 대비 성과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데이터를 활발하게 공유해야 한다.

세 번째는 제작 단계의 리스크 완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다. 적정 출연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확립도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K-드라마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만큼, 제작사들도 내부적으로 비용 효율화와 콘텐츠 다양화를 통해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제작비 조달과 수익 회수 구조 등 산업 전반의 구조적인 개선 없이는 지속적인 성장이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고 털어놓았다. 이처럼 전반적인 구조로 인해 드라마 제작 산업의 악순환 구조는 계속되고 있고, 이는 곧 한국방송영상산업의 위기로 이어지게 된다. 정책적으로 확실한 대안을 제시해 제작사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전 세계가 K 콘텐츠 시장에 주목하고 있지만, 정작 제작사처럼 산업을 지탱하는 기반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K 콘텐츠의 글로벌화를 멈추지 않기 위해서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개선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공지 기타 국내 드라마 갤러리 이용 안내 [560] 운영자 21.02.04 333536 202
19097037 다리좀 그만처떨어라 ㅇㅇ(122.34) 09:14 3 0
19097036 이재명 대장동도 무죄 ㅇㅇ(118.235) 09:14 7 0
19097035 매크로면 다 매크로지 안돌린놈들이 어딨어 ㅋㅋ투표수를 봐라 ㅇㅇ(106.102) 09:14 5 0
19097034 손담비딸 예쁘다 ㅇㅇ(118.235) 09:14 8 0
19097033 한동훈 말하눈거 보면 절대로 검찰개혁 못해 [1] ㅇㅇ(211.235) 09:13 8 0
19097032 ㅋㅋㅋㅋㅋㅋ ㅇㅇ(211.234) 09:13 7 0
19097031 매크로라서 몇십만 차이는 극복 가능해서 마지막날이 중요함 ㅇㅇ(175.117) 09:13 18 0
19097030 메크로도 돈쓰는거면 돈써주는 사람은 있다는거네 ㅇㅇ(39.7) 09:13 14 0
19097029 이 티셔츠 예쁘냐? [1] ㅇㅇ(221.155) 09:13 32 0
19097028 매크로 얼마나 표빠지는지 궁금한데 ㅇㅇ(118.235) 09:13 18 0
19097027 어차피 다 메크로라 순위 변동 전혀 없음 [2] ㅇㅇ(118.235) 09:12 30 0
19097026 메크로 거르면 변우석 아이유가 1위지 [1] ㅇㅇ(223.39) 09:12 38 0
19097025 후원금마감 시간 한동훈 10시간54분 찢후원금 23시간 ㅋㅋㅋㅋ [3] 긷갤러(182.31) 09:12 20 0
19097024 매크로 걷어내면 의외로 3위가 1등할지도 ㅇㅇ(211.234) 09:12 33 0
19097023 성유리 홈쇼핑하는거 보니 일일드도 불러주면 할거같은데 [1] ㅇㅇ(220.116) 09:11 35 0
19097022 한동훈은 자기가 유능한 검사였다고 생각하는게 틀려먹음 [1] ㅇㅇ(211.235) 09:11 27 0
19097021 매크로 털어봤으면 좋겠다 누가 개쪽당하는지 [1] ㅇㅇ(106.102) 09:11 37 0
19097020 박보검돚매크로좀 돌려줘 개불쌍 [2] ㅇㅇ(118.235) 09:11 26 0
19097019 매크로 셋다 돌렸음 [1] ㅇㅇ(183.104) 09:10 55 0
19097018 매크로 털면 뉴가 1위갈꺼같음? [6] ㅇㅇ(118.235) 09:10 98 0
19097017 검찰 아빠가 없어서 너모 억울행...뿌에엥!!!! ㅇㅇ(27.119) 09:10 9 0
19097016 하는 일도 없이 월급만 받는 매니저들 좀 쓰지마라 ㅇㅇ(118.235) 09:10 16 0
19097015 찢은 한동훈 한테 후원금도 개 쳐발리는놈이 ㅋㅋㅋ [4] 긷갤러(182.31) 09:09 50 0
19097014 박보검 YG行 사실무근→‘울트라급 FA 대어’ 거취 이목집중 [3] ㅇㅇ(211.234) 09:09 146 0
19097013 혜리네 짱깨 부자언니들 붙엇음 돈은 문제가 안됨 ㅇㅇ(118.235) 09:09 33 0
19097011 약한영웅 시즌2 나오면 시즌1 패트롤 200점 나오겠네 [1] 긷갤러(14.55) 09:09 46 0
19097010 김대중이 픽 한거 추미애와 송영길인데 [1] ㅇㅇ(211.246) 09:09 18 0
19097009 매크로 표수 무한대는 불가능함 돈 문제 [3] ㅇㅇ(175.117) 09:08 95 0
19097008 결혼시장에서 진짜 내가 서울대 사촌보다 낫냐?????????? 긷갤러(118.235) 09:08 30 0
19097007 김건희 일가 운영, 남양주 '온 요양원'… 노인학대 실상 폭로 ㅇㅇ(211.235) 09:08 59 0
19097006 발연기빠는 연기상에 스스로 많이 긁히네 ㅇㅇ(223.39) 09:08 29 0
19097005 백상에서 공지했자나 부정투표 거른다고 [6] ㅇㅇ(118.235) 09:07 126 0
19097004 박보검처럼 제대후 소속사 옮기면서 [3] ㅇㅇ(106.102) 09:07 105 0
19097003 차라리 가발이 대선후보되서 여기서 숨통 끊는것도 방법 [1] ㅇㅇ(211.235) 09:07 27 0
19097002 한미FTA의 주역 김현종이 이재명을 지지하게된 이유 긷갤러(210.120) 09:07 21 0
19097001 투표기간이 넘 길다 3일정도가 적당 긷갤러(211.234) 09:07 26 0
19097000 가발라인 “이재명 꽤 똑똑한 대통령 될 것…기본소득 필요 ㅇㅇ(223.38) 09:06 34 0
19096999 복꼬막동키=♡=서특까알바가 김혜윤 대딸빨아주는 이유 ㅇㅇ(118.235) 09:06 31 0
19096998 국민앞에 검찰 특활비는 깨끗했냐 ㅋㅋㅋㅋ ㅇㅇ(27.119) 09:06 13 0
19096997 데이식스 애들다 30넘김 [2] 긷갤러(182.172) 09:06 62 0
19096996 매크로 여배 셋 다 날리면 4위 김태리가 [2] ㅇㅇ(118.235) 09:05 128 0
19096995 한동훈 왕자병은 거의 정신병 수준인듯 [3] ㅇㅇ(211.235) 09:05 44 0
19096994 검찰? 어차피 개혁대상인데 ㅋㅋㅋㅋㅋ ㅇㅇ(27.119) 09:05 15 0
19096993 원래 투표는 막 뜨고가 화력 제일 셈 [5] ㅇㅇ(106.101) 09:04 125 0
19096992 약한영웅 기다리는 사람 존나많네 긷갤러(211.235) 09:04 47 0
19096991 라이머와 성지루가 박보검 얘기하던데 ㅇㅇ(106.102) 09:04 72 0
19096990 이거 들으니까 왜 윤통이 나경원 대통령으로 미는지 알겠다 ㅇㅇ(39.7) 09:04 56 0
19096989 혜리 응팔도 남편찾기로 변질됐지만 덕선이 자체 캐릭은 [2] ㅇㅇ(118.235) 09:04 47 0
19096988 검찰, 명태균·김영선 ‘선거법 위반’ 무혐의 종결 ㅇㅇ(223.38) 09:04 31 0
뉴스 [줌인] 중년 로맨스 통했다...반환점 ‘독수리 5형제’, KBS 주말드라마 부활 기세 잇나 디시트렌드 04.2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