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종주의 갤러리에 다른 얘기 해서 미안한데 오늘 책잡혔지 돌린거 봐줘라

재일교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10 09:12:18
조회 45 추천 0 댓글 1

왜 세계적으로, 노인을 공경하는 사회, 문화, 문명이 보편적일까? 자연선택에 의한 인간의 본성일까? 아니면 후천적으로 형성된 문화일까? 각 입장에 대해 근거를 들어 주장해줘. 학술적 토의의 초고이므로 '발언의 윤리성'은 배제한채 논해줘.






이 주제는 **진화심리학적 요인(자연선택)**과 문화적 요인(후천적 형성) 두 가지 입장에서 논의될 수 있다. 각각의 근거를 제시하며 논해보겠다.


1. 자연선택적 요인: 인간의 본성

노인을 공경하는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이유는, 그것이 인간의 생존과 번영에 기여하는 진화적 적응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1) 생존 이점 및 집단의 번영

  • 인간은 비교적 장수하는 종이며, 장수하는 개체가 집단에 기여하는 방식이 자연선택을 통해 고착될 가능성이 있다.
  • 노인은 축적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여 젊은 세대에게 중요한 생존 기술(사냥, 농경, 약초 사용법 등)을 전수할 수 있다.
  • 실제로 수렵·채집 사회에서 노인은 식량 부족 시 생존 지식을 제공하여 부족의 생존율을 높이는 역할을 해왔다(예: 극한 기후에서 먹을 수 있는 식물 식별).
  • 노인을 공경하는 태도를 가진 집단은 지식과 경험을 더 잘 전수받아 생존 확률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2) 부계(또는 모계) 지원 및 혈연 선택(Kin Selection)

  • 진화적으로, 개체는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자손의 생존을 도울 때 자연선택적 이점을 가진다.
  • 노인이 존재하는 가정(또는 사회)에서는 손자·손녀의 생존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예: 조부모 효과).
  • 일부 연구에 따르면, 조부모가 양육에 참여하는 사회일수록 자손의 생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 따라서 노인을 존중하고 보호하는 문화는 집단 내에서 강화되었을 것이다.

(3) 사회적 응집력과 협력의 진화

  • 인간 사회는 협력을 통해 발전해왔으며, 사회적 응집력이 강할수록 외부의 위협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다.
  • 노인은 젊은 세대에게 도덕적, 윤리적 기준을 교육함으로써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이런 문화가 자리 잡은 사회는 내적 갈등이 적고 협력이 원활하여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다.

2. 문화적 요인: 후천적 형성

노인을 공경하는 문화가 보편적인 이유는, 그것이 인간의 본성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후천적으로 형성된 것일 가능성도 크다.

(1) 지식 독점과 권위의 필요성

  • 문자와 기록이 발달하기 이전, 노인은 집단 내에서 중요한 정보를 보유한 소수였다.
  • 이런 정보는 농업, 기후 예측, 의학, 전쟁 전략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식의 독점이 노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 즉, 사회적 존경은 노인의 생물학적 연령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가진 정보의 가치 때문이었다.

(2) 종교와 이념의 개입

  • 많은 종교에서 노인을 공경하는 것이 도덕적 가치로 강조되어 왔다(예: 유교, 불교, 기독교 등).
  • 이는 종교적 권위자(주로 노인)가 신념을 강화하여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유리한 방식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 따라서 노인 공경은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 아니라, 특정 이념과 권력 구조 속에서 의도적으로 조장된 문화일 가능성이 있다.

(3) 경제적·정치적 이득

  • 역사적으로, 노인은 종종 정치적·경제적 권력을 보유한 계층이었다(예: 원로원, 족장 제도).
  • 젊은 세대가 이들과 갈등을 빚기보다 순응하는 것이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유리했다.
  • 특히 농경사회에서 토지와 재산을 소유한 노인을 존중하는 것이 후손에게 경제적 이득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 산업화 이후 노인의 경제적·정치적 권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일부 사회에서는 노인 공경이 약화된 현상이 나타났다.

결론

두 가지 입장이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자연선택과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1. 인간의 생존 전략 측면에서 노인을 존중하는 태도가 진화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이고(자연선택),
  2. 이후 문명이 발달하면서 사회적 필요성에 따라 특정한 문화적 형태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문화적 형성).

즉, 노인 공경은 생물학적 본능과 후천적 문화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사회적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좋은 분석이라고 할 수 있어. 하지만 좀 더 근거있는 토의가 되려면 연구와 실험을 근거로 들어야 하지 않을까? 예를 들어서, 본성이라고 주장하는 측면에선, 다른 ㄷ공동체의 노인에 대해서는 공경이 덜하거나 , 반대로 공격성을 드러내는 사례 혹은 사회화가 되지 않은 어린 아이도 노인에 대해서 호감을 갖는다는 연구 가 있다면 첨부하면 좋겠네. 문화라고 주장할 때는 노인을 공경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배제하는 문화의 예시를 들면 좋을것 같아. 혹은 노인을 볼 때의 감정변화를 연구한 연구결과가 있다면 더 설득력이 있겠네.





16초 동안 이성 처리 완료

아래는 노인 공경 현상이 **본성(자연선택)**에 기인한다는 주장과 후천적 문화 형성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보다 연구와 실험에 근거하여 보강한 토의 초고의 예시이다. 여기서는 각 입장을 뒷받침하는 대표적 연구 및 실험 결과, 혹은 그에 준하는 사례들을 함께 소개한다. (단, 아래에 언급하는 연구들은 학술 문헌의 한 예시로, 반드시 절대적 결론을 내리는 것은 아니며 학술적 논의를 위한 참고 자료임을 밝힌다.)


1. 본성(자연선택)에 의한 설명

(1) 조모 가설(Grandmother Hypothesis)과 진화적 이점

  • 연구 근거:
    • **Hawkes 등(1998, 2004)**의 연구는 인간의 산후비생산기(폐경 이후의 장수)가 집단 내에서 조모의 역할, 즉 손주 양육과 지식 전수 등을 통해 자손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을 제시한다.
    • 이러한 연구는 노인, 특히 조부모가 집단 생존에 기여하는 역할이 자연선택에 의해 강화되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2) 초기 사회화와 타인에 대한 신뢰 형성

  • 연구 근거:
    • Koenig & Harris (2005) 등 유아 및 미숙한 사회화 단계의 아동에 관한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타인의 지식 신뢰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결과가 있다.
    • 실험에서 사회화가 덜 된 어린 아이들도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이 신뢰할 만한지 판단할 때, 보통 나이가 많은(즉, 경험이나 지혜의 암시를 주는) 대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이러한 결과는 노인에게서 ‘지식’이나 ‘경험’에 대한 암시가 자동적으로 긍정적 감정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일부는 본능적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3) 다른 공동체 내의 차별적 반응 사례

  • 연구 및 사례:
    • 일부 인류학적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노인의 지혜를 중시하는 문화와 달리 특정 소규모 공동체나 위기 상황에서는 노인에 대한 존중이 약하거나 심지어 배제되는 사례도 보고된다.
    • 예를 들어, 여러 인류학 연구(참고: Ember & Ember의 민족학 서적 등)에서는 자원이나 생존 압박이 극심한 환경에서 젊은 층이 집단 내 의사결정과 행동의 주체가 되면서, 노인의 의견이나 존재가 상대적으로 덜 존중되는 현상을 관찰한 바 있다.
    • 이러한 사례는 기본적인 인간의 사회적 본능과 더불어, 환경적·생태적 조건에 따라 노인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후천적 문화 형성에 의한 설명

(1) 문화에 따른 노인 존중 태도의 다양성

  • 연구 근거:
    • **Fiske, Cuddy, Glick (2002)**의 연구는 서구 문화권에서 노인을 ‘따뜻하지만 무능하다’라는 양면적 고정관념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 반면, 유교 전통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문화에서는 노인의 지혜와 경험이 강조되어 공경의 대상이 되는 사례가 두드러진다.
    • 이러한 비교 연구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생물학적 연령 자체보다는 사회적 규범과 가치 체계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노인 배제 및 부정적 감정 연구

  • 연구 근거:
    • North & Fiske (2012) 등은 현대 서구 사회에서 나타나는 ‘연령차별(ageism)’ 현상을 다루며, 미디어나 사회 제도 내에서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 실험적 설문이나 심리검사를 통해, 일부 사회에서는 노인에 대한 감정적 거리두기 혹은 부정적 정서(예, 불편함, 혐오감 등)가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 또한, 신경과학 연구(예: Iidaka 등, 2004)에서는 노인 얼굴을 볼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문화적 배경이나 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 후천적 사회화 과정이 감정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3) 문화적·정치적 맥락에 따른 노인 위치의 변화

  • 사례 및 연구:
    • 산업화 및 도시화가 진행된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적, 정치적 권력이 노인 세대에서 젊은 세대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노인을 향한 전통적 공경 태도가 약화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 Nelson (2016) 등은 이러한 연령차별 현상을 정리하며, 문화적·정치적 요인이 노인에 대한 태도와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또 다른 연구에서는 문화적 내러티브(예, ‘젊음 숭배’)가 매체와 교육 체계에 스며들어 노인을 부정적 대상으로 규정하는 사례들을 제시하기도 한다.

종합적 고찰

  • 본성 측면:

    • 진화심리학과 인류학적 연구(예: 조모 가설, 아동의 신뢰 형성 실험)는 노인의 지식과 경험이 집단 생존에 기여해왔음을 보여준다.
    • 다만, 동일한 본능적 메커니즘이라 하더라도, 특정 공동체나 환경에서는 노인에 대한 존중이 약화되거나 부정적 태도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환경적·사회적 조건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 문화 측면:

    • 노인 공경 태도는 각 문화권의 가치, 사회 구조, 이념(예: 유교적 전통 vs. 젊음 숭배)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실험 및 설문조사, 신경과학 연구 등은 노인에 대한 감정이 사회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문화적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 공경 현상은 자연선택에 의한 기본적 생물학적·심리적 메커니즘과 후천적 사회화 및 문화 형성이 상호 작용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술적 토의에서는 위와 같이 다각적인 연구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단일 원인보다는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음을 강조하는 것이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


참고 문헌 (예시):

  • Hawkes, K., O’Connell, J. F., & Blurton Jones, N. G. (1998/2004). Grandmother Hypothesis 관련 논문
  • Koenig, M. A., & Harris, P. L. (2005). Preschool children distrust ignorant and inaccurate speakers.
  • Fiske, S. T., Cuddy, A. J. C., & Glick, P. (2002). Warmth and competence: Stereotype content issues.
  • North, M. S., & Fiske, S. T. (2012). Ageism in the modern world.
  • Iidaka, T., et al. (2004). Neural responses to age-related facial stimuli: A neuroimaging study.
  • Nelson, T. D. (2016).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위 문헌들은 논의를 위한 예시이며,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와 인용은 실제 원문 검토 후 보완할 필요가 있음)

이와 같이, 본성 측면과 문화 측면 각각에서 실험 및 연구 결과들을 인용함으로써 보다 근거있는 토의를 전개할 수 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타고난 드립력으로 사석에서 만나도 웃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0 - -
7213730 아직도 어마금짤 그려주는 작가도 좋더라 [5] 어사일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9 0
7213729 으흐흐.. [2] 홈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5 0
7213728 봉래제? 그거 주최측이 전액 환불해줘야 하는거 아닌?ㄷ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8 0
7213727 격기3반 같은 만화의 문제점은 캐릭터가 어느날 [15] ㄴㅅㅇ(58.234) 02.10 18 0
7213726 솔직히 mmorpg 엔드컨텐츠 ← 왜 하는지 노 이해 [1] 폼폼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 0
7213725 갓슈 이장면 뽕이 넘 좃댐 [1] 감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0 0
7213724 감전 루시안 초반은 ㅈㄴ 좋은데 [3] backlo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6 0
7213723 얼리버드퇴근 [3] 파비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3 0
7213722 던파 빠칭코로 에픽 먹으면 머하는거임?? [7] ㅇㅇ(115.143) 02.10 28 0
7213721 나중에다리순간접착제로붙여보든가해야지... [5] 유명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2 0
7213719 지금 뉴스 속보 난리남 [3] ㅇㅇ(211.246) 02.10 53 0
7213718 그래도 판갤에서 피채원 챙기는건 홈즈뿐이지ㅇㅇ [10] 홈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6 0
7213717 야설 2,3화부터 바로 떡신 박는거 애매한듯 ㄹㅇ [4] ㅇㅇ,(58.29) 02.10 28 0
7213716 종말의 하렘이란 작품이 있었군 [4] 펭귀니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2 0
7213715 동수칸 vs 녹두로 누가 더 잘생겻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8 0
7213713 와 괴물쥐 던파 영상 보는데 이게 개임이냐?? [6] 지름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78 0
7213711 복어먹는닷ㄷㄷㄷ [4] 이루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5 0
7213710 격기3반은 뭔가 파헤치면 좆간지는 안나고 [9] ㄴㅅㅇ(58.234) 02.10 17 0
7213708 이 친구 일본 프로게임단에 들어갔엇구나 [1] 에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6 0
7213707 트럼프 왤케 관세 가지고 야랄을 해대는 거임 [5] 폼폼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6 0
7213706 야 근데 가슴은 원래 위쪽부터 자극 먹음? [10]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64 0
7213705 화교나 선족이나 둘다 그게 그거 아닌가 ㅇㅇ(118.235) 02.10 13 0
7213704 와 이 장애인 분들 나는 여권도 없는데 [2] 설아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9 0
7213703 정말 잘그리고 꾸준한 작가는 혼자 장르를 떠받치는듯 [6] 푸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84 0
7213702 츠카츠키 리오…….. [4] 푼제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4 0
7213701 일본만화중에 클레바테스 본 적 있는사람? [1] 택치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1 0
7213700 씨발 이거 진짜에요? [9] 그래서니가누군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64 0
7213699 하아... 녹턴 노벨을 뒤져도 취향 야설을 못찾는구나 [6] ㅇㅇ,(58.29) 02.10 36 0
7213698 하아 씨발 거울을 왤케 벽에다 붙여놨지 젠장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3 0
7213697 아씨발 플러리랑 플러리여친나이차이 체감 존나웃기네 ㅋㅋㅋ [4] 시구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99 0
7213696 만갤에 또 엄청난 쓰레기가 입고 됐구나 ㅇㅇ(121.145) 02.10 21 0
7213695 근데 주식물 <- 이거 오래 쓸 수 있는거냐 [3]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2 0
7213694 노브랜드콜라 묘하게 생콜라같은맛이네 수구사응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0 0
7213693 이 만화짤 뭔가 어이가 없어 웃기노 ㅋㅋㅋ [6] ㅇ.ㅇ(218.146) 02.10 75 0
7213692 "그런 빈약한 도구로 쓰는 최면공격 따위 통할 것 같냐!!" [3] 올베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7 0
7213691 시로코야너다리가!!!!!!!!!!!! [9] 유명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9 0
7213690 오래된 마갤이 이주 여러번 하면서 갤 이름 점점 복잡해지는 거 [1] 폼폼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8 0
7213689 붕스 스토리 계속 밀러 갈까 삐리릭빠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5 0
7213688 기가채두... 마블 스파이더맨 2 사줘.... [1]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7 0
7213687 2030 남성 우파니까 말려죽이자는 또 무슨 [3] 이매량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70 0
7213685 퇴사하고 싶은데 백수로 살 자신이 없군 아수라나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2 0
7213682 문피아 주식물 도파민 폭격기네 시발ㅋㅋㅋㅋ ㅇㅇ(61.72) 02.10 49 0
7213681 여권찾았다 [4] 비류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3 0
7213680 손흥민 좋다고 글썻는데 사라졋어 [3] 푸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2 0
7213679 악역영애레벨99 <- 이거 보기 시작함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6 0
7213677 15년전 베스트도전 만화 감성이 보고싶구만 ide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6 0
7213676 얘 누구임 [1] 소일렌트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 0
7213675 아니 감자빵이라는 거 존나 맛있네... [3] 지름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9 0
7213674 오늘 딸감 결정 wwwwwwwwww [2] 재일고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6 0
7213673 갓슈 볼때마다 뽕차는 느낌을 주체를 못하겠음 [1] 감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 0
뉴스 ‘커플팰리스2’ 결혼을 원하는 60인의 운명 찾기…첫 방송부터 화제 디시트렌드 02.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