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매각설 진화 나선 카카오엔터 CEO...jpg ㅇㅇ
- 민주당 뭘해도 위헌,기각…이완규 임명 못막는다 ㅇㅇ
- 훌쩍훌쩍 단종된 과자들 1편 백과사진첩
- 얼마전 산불났던 산 지나감 밤은짧고목표는
- 경호처 '초유의 연판장' 사태… 김성훈에 반발 희망22
- 덴마크 vs 한국 역사적위인 대결하면 누가이김?.jpg ㅇㅇ
- 유통기한 5년 지난 라면을 먹어보았다 ⚡소옥⚡
- 임신했다고 회사에서 위약금을 내래요. ㅇㅇ
- 오늘의 이정후.webp 푸이그
- 팬들 분노 키운 미흡한 대응, 김수현 소속사 왜 그러나 했더니.jpg ㅇㅇ
- 에르메스백 아닌데 "짝퉁 아니다"…트렌드 뒤흔드는 '듀프' 뭐길래 빌애크먼
- 오늘자 리오넬 메시 2골 1어시 북중미 챔스 4강 진출...gif 메호대전종결2
- 현직 스키야 알바의 충격 증언... 절대 日규동집 가지 마세요! 난징대파티
- 재난 지원금 받으려고 급히 산불피해지역에 전입 신고한 사람들 ㅇㅇ
- 트럼프 “중국 제외하고 모든 국가에 관세 90일간 유예” dyir
현대차 미국 공장 근황
- 관련게시물 : 현대가 미국에 지은 현대차 공장 근황연간 10만대 생산이고 울산현대공장보다 2배크기임이번에 로봇팔,자동화,모듈화로 울산공장에 비해 생산량당 노동자 1/3수준으로 줄여버렸음. 어제자 기사임 ㅋㅋ블루컬러도 이제 슬슬 시작됐음ㅋㅋㅋㅋㅋㅋㅋ나라가 망해가는구나…나라가 망해가…ㅋㅋㅋㅋㅋㅋㅋ대한민국은 보름달과 같고일본국은 초승달과 같다.- dc official App- 싱글벙글 현대차 미국공장 근황미국공장이 울산공장보다 2배 크기인데 노동자는 880명뿐- 직원 자르고 출고 중단… 美 관세에 車 업계 비상대응스텔란티스, 공장 가동 멈추고 직원 해고GM은 美 생산 확대·닛산도 美 공장 활용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동차 회사들이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부 회사는 해외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인력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현대차그룹은 관세 인상분을 가격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계획이지만, 고율 관세가 장기간 이어질 경우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9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기업 스텔란티스는 최근 캐나다와 멕시코의 공장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州)에 있는 조립 공장이 2주 간 폐쇄됐고, 멕시코 톨루카의 조립 공장도 이달 말까지 가동을 멈춘다.미국 내 부품 공장 5곳에서 일하는 900명의 직원도 일시 해고됐다. 스텔란티스는 미국 공장에서 주요 부품을 생산해 캐나다, 멕시코에서 조립해 판매한다. 완성차 조립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자 미국 부품 공장의 일감이 사라져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제너럴모터스(GM)는 미국 인디애나주 포트웨인 공장의 픽업트럭 생산을 늘리기로 했다. GM은 미국·캐나다·멕시코에서 경량 픽업트럭인 쉐보레 실버라도와 GMC 시에라 등을 만들고 있다. 미국에 있는 완성차 생산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관세 부과에 따른 타격을 줄이겠다는 게 GM의 계획이다.일본 자동차 업체인 닛산도 미국 공장을 활용해 관세에 따른 수출 감소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닛산은 장기간 이어진 실적 부진으로 이달부터 미국 내 완성차 공장 2곳의 생산량을 줄일 계획이었지만, 고율 관세 조치가 발효되자 이를 철회하기로 했다. 또 현재 일본에서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는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Sport Utility Vehicle) 로그의 생산 물량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된 곳은 미국에 공장이 없는 업체들이다. 이들 기업은 미국 수출을 일시 중단하거나 재고 차량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대응에 나섰지만, 관세 부과 조치가 철회되거나 세율이 조정되기 전까지 미국에서 판매량이 급감할 가능성이 커 속을 태우고 있다.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영국 고급차 브랜드인 재규어랜드로버는 4월 한 달 간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의 출하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재규어랜드로버는 영국과 브라질, 슬로바키아에 완성차 공장을 두고 있다. 독일 아우디의 경우 미국에서의 차량 출고를 중단하고, 재고 차량을 우선 판매하기로 했다. 아우디는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독일 경쟁 브랜드와 달리 미국에 공장을 두고 있지 않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직격탄을 맞았다.NYT는 재규어랜드로버, 아우디처럼 미국에 공장이 없는 완성차 브랜드는 관세 부과의 영향으로 미국 판매 가격이 대당 2만달러(약 3000만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현대차그룹은 미국에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을 두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는 조지아주에 친환경차 생산 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가동도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 현지 생산 비율이 경쟁사인 도요타, GM 등보다 낮아 관세의 충격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다.현대차그룹은 아직 미국 내 차량 판매 가격을 올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지난 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에서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그러나 관세 부과 조치가 길어지면 가격 인상을 고민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미국에서 판매량이 빠르게 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는 대부분 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하는데, 관세를 가격에 반영하지 않으면 실적이 나빠지게 된다.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의 전기차는 지난달 미국에서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12.6% 줄어들 정도로 판매가 저조한 반면 하이브리드차 판매는 61.1% 급증했다”며 “현대차그룹이 관세 충격을 줄이기 위해 HMGMA의 전기차 비중을 줄이고, 하이브리드차 투입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67993?cds=news_edit 직원 자르고 출고 중단… 美 관세에 車 업계 비상대응스텔란티스, 공장 가동 멈추고 직원 해고 GM은 美 생산 확대·닛산도 美 공장 활용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동차 회사들이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부 회사는 해외n.news.naver.com
작성자 : 공부는머리고정닉
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138 - 우체국 편
안녕, 레붕이들. 이번 138번째 시간에는 <레드 데드 리뎀션> 시리즈 세계관 내의 우체국(Post Office)에 대해 똥글을 짧게 갈겨볼까 해.https://youtu.be/Xq2hNfPmCQQBGM: The King of Fighters '96 - Big Shot!<레드 데드 리뎀션> 시리즈 세계관에서 우체국은 전통적으로 플레이어들에게 '현상금 납부하는 곳', 좀 노골적인 표현으로 '범죄이력 세탁하는 곳' 쯤으로 인식되어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는 순전히 게임적 허용이자, 유저의 편의성과 재미를 위한 허구라고 보면 됨.우체국은 어디까지나 철도회사와 연계하여 우편 배송 업무를 보는 곳이지, 현상금 같은 형사사건 업무를 처리하는 곳이 아니었음. 우체국에서 그런 걸 처리했다간, 우체국이 아니라 '범죄자들 단체 정모 카페'가 됐을 것임ㅋ 게다가 현상금은 범죄자를 잡아오는 자에게 지급하는 '포상금'이지, 범죄자 본인이 자진 납부하는 '벌금'이 아니었음. 따라서 플레이어가 우체국에다 돈 탁 내고 "됐지? 이제 죄 없어졌음ㅋㅋㅋ 난 이제 아무 죄도 없는 시민임ㅋㅋ" 하고 멀쩡히 나돌아다닌다는 것부터가 원래는 말이 안 되는 것임.그럼 현실성에 변태적이리만치 집착하는 것으로 유명한 락스타 게임즈가, 어째서 현상금을 일종의 '벌금' 개념으로, 또 우체국을 그 '벌금 자진 납부소' 겸 '범죄이력 세탁소' 격으로 왜곡하여 설정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풀어보자면, 그 이유는 사실 간단함. 현실성 따진답시고 보안관 사무소에 가서 자수하고, 감옥에 구금해서, 법원에서 재판받고, 서류 처리하는 등의 복잡한 법적 절차들을 일일이 다 묘사해버리면, 플레이어가 "아니, 현상금 하나 지우는 게 뭐 이리 힘들어?;;; 앞으로 현상금 붙을 때마다 매번 이 지랄을 해야 해?" 하고는 지쳐서 그냥 게임 꺼버림. 거기다 애당초 게임 내에서 저지르는 범죄들은 대부분 살인이나 강도질 같은 강력범죄들인데, 이 경우는 재판이고 뭐고 그냥 사형장 직행임ㅋㅋ 그래서 현실성 따지면 게임이 도저히 진행이 안 되니까, 그 대안으로 락스타 게임즈가 고려한 요건들은 다음과 같았음.1.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자주 들르게 되는 곳.2. 마을이나 주요 거점마다 하나씩은 꼭 있어서 접근성이 좋은 곳.3. 플레이어가 지루해 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상호작용만을 거칠 수 있도록 배려한 곳.4. 그 신속한 상호작용이 납득이 되는 곳.5. 법적 기관스러운 느낌이 나는 곳.6. 역사적 상징성까지 있는 곳.이 모든 요건들을 충족하는 일종의 집약적 포탈, 허브(Hub) 같은 곳이 바로 우체국이었음. 말인즉 우체국은 인게임상에서 메인 퀘스트 외에도 각종 수집품 제출, 소포 수신 등과 관련된 부가 퀘스트의 중심지라서, 플레이 도중 자연스럽게 자주 들르게 되는데, 고로 일부러 현상금 내려고 따로 찾아갈 필요 없이, 원래도 자주 들르는 곳이고, 마을이나 철도역 같은 주요 거점마다 있으니, 지나가다 온 김에 거기서 한 번에 해결하면 플레이어 입장에선 편하고 좋음.또한 당시 우체국은 주로 철도역 주변에 많이 설치되었는데, 그 이유는 철도역은 곧 편지, 소포 등등 오프라인 물류 운송의 중심지였기 때문으로, 그래서 철도와 우체국은 항상 붙어있는 짝궁임. 즉 <레드 데드 리뎀션> 시리즈 세계관 내에서 우체국이 철도역에 인접해 있는, 접근성 좋은 위치 선정은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고증이라 볼 수 있겠음.게다가 우체국 직원한테 말 걸어서, 현상금 납부 버튼 한 번만 띡 누르면 끝나는 캐주얼한 최소한의 상호작용 덕분에, 보안관 사무소 찾아가서 자수 안 해도 되고, 감옥 안 가도 되고, 재판 안 받아도 되니까 게임 템포가 불필요하게 늘어지지 않음. 또한 우체국이라는 공간 자체가 공공기관(관공서)이라서, 범죄 정리 장소로 어느 정도 납득이 가능함. 우체국이 실제론 범죄 처리와 아무 상관없는 곳이라 해도, 유니폼 입은 직원, 깔끔하게 정돈된 내부, 철도 시스템 등등 이런 요소들이 법이나 질서와도 어느 정도 연결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플레이어 입장에서도 이질감이 덜함. 쉽게 말하면 "보안관 사무소나 법원은 아니지만, 그래도 뭔가 '법적 기관스러운' 느낌 나면서 그럴듯하잖아? 뭔가 허술하긴 해도, 뭐 우체국 정도면 이런 일을 처리한다 해도 그리 이상하진 않지?"라는 정도의 느낌이랄까.또한 역사적 상징성 측면에서 우체국은 탁월한 선택이었는데, <레드 데드 리뎀션> 시리즈의 시대적 배경은 서부개척시대의 황혼기로, 야만시대와 문명시대의 과도기(1898~1914년)를 다루며, 점점 문명화되어 가는 미국과 여전히 남아있는 거친 서부의 야만성이 대립하는 게임으로서, 우체국은 그 문명화의 대표적인 상징물 가운데 하나였으며, 당시 정부 행정 시스템의 정수와도 같은 장소였음. 고로 플레이어의 입장에선, 여기서 현상금 내고 하는 게 꽤 설득력 있고, 자연스럽게 느껴짐.즉 고증도 지키고 싶고, 유저도 편하게 해 주고 싶어서 고민한 끝에 타협한 곳이 바로 우체국이 되겠으며, '유저의 편의성 충족'과 '신속한 게임 진행의 효율성'을 위해서 과감하게 세부적인 디테일들을 무시, 축약, 왜곡했다고 보면 될 듯함. 추가로 이러한 우체국 시스템은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플레이어가 실수로 NPC를 죽여(가령 생 드니의 복잡한 시내에서 말을 타고 가다가 시민을 치여 죽였을 때라든가.) 억울하게 현상금이 붙었을 때, 이걸 빠르게 무마할 수 있는 일종의 '구제 시스템', '리셋 버튼'이기도 함.즉 이 모든 설정은 고증과 현실성을 적당히 유지하면서도, 플레이어의 편의를 해치지 않기 위해 타협한 락스타의 절묘한 설계였던 셈임. 개인적인 견해로 돈만 내면 모든 죄가 리셋되는 우체국은, <레드 데드 리뎀션> 세계관의 '김성모 병원'(병원만능주의)이라 불러도 손색없는, 일종의 치트 요소라 할 수 있겠음.이러한 유저의 편의성 부분과 관련해서, <레드 데드 리뎀션> 1편에는 플레이어에게 걸린 현상금을 모두 무효화하는 '사면장'(Pardon Letter)이란 특별 아이템이 존재했는데, 사면장(赦免狀)이란 주로 연방정부의 수장인 대통령이나 주정부의 수장인 주지사 같은 고위급 공직자의 권한으로, 특정인의 형벌을 전면 혹은 조건부로 면제, 경감, 연기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식적인 법적 문서를 말하며, 1편의 주인공 '존 마스턴'은 명목상 연방수사국(BOI, 현 FBI) 소속의 '대리 법 집행인' 신분이라, 사면장을 소지하고 다니는 게 어느 정도 납득이 되지만, 민·관·군 모두에게 쫓기는 현상금 5,000달러짜리 초특급 중범죄자 신분인 2편의 주인공 '아서 모건'의 경우는 그 배경설정상 사면장을 소지하고 다닌다는 게 도저히 말이 안 된다고 판단되었는지, 2편에서는 개연성을 해친다는 이유로 삭제된 아이템임.다음 시간에는 이 사면장에 대해서 글을 준비해 볼게. 사실 사면장은 이번 편에서 같이 다루려고 했던 건데, 글 내용이 생각보다 길어질 것 같아서, 시간도 늦고 해서 부득이하게 별도 주제로 분리하게 됐음. 그럼 다들 이 늦은 시간에 똥글 읽는다고 수고했고, 다음 시간에 또 보도록 하자! 안녕!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dr2&no=375241 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 파트1 (연재중)※ 연재글 서두에 삽입된 BGM들은 장문의 내용에 비해 그 길이가 짧아 정독 도중 BGM이 끊기므로, 연속 재생으로 설정하고 감상하는 것을 권장함.&lt;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gt; (연재중) (gall.dcinside.com<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 링크.
작성자 : badassbilly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