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본질은 없고 프레임만 있다" 여야 노란봉투법 작명전쟁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02 09:30:18
조회 99 추천 0 댓글 1

與 '노조방탄법 vs 野 '합법파업보장법' 본질 가린 채 법안명 놓고 선명성 경쟁


[파이낸셜뉴스] 불법파업조장법인가, 합법파업보장법인가. 현재 국회에서 입법 논의 중인 '노란봉투법'의 이름을 놓고 여야간 신경전이 치열하다. 물론 정식 명칭은 따로 있지만, 여야의 이념과 노선의 선명성을 돋보이게하려고 약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태완이법'으로 명명된, '형사소송법 일부 개정안'이 있는데 살인죄를 저질러 법정 최고형이 사형인 경우 25년으로 돼 있던 공소시효를 무기한으로 연장하는 게 골자다.

즉, 살인죄의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법안으로 지난 2015년 7월 24일 국회를 통과했다.

이 법안은 지난 1999년 5월 대구에서 발생한 고 김태완(당시 6세) 군 황산테러 사건을 계기로 발의돼 시행된 법안이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노란봉투법이 불법 파업을 조장한다며 '불법파업 조장법'이라는 표현을 쓰자, 이에 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합법파업보장법'이라는 이름으로 부르자고 제안하면서 논란이 촉발됐다. 일각에선 여야가 대중적 이해도와 자당의 이념적 선명성을 높이기 위해 약칭을 부르지만, 오히려 법안의 본질과 취지를 훼손시킬 수 있는 우려가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法名 논쟁..여야 이념, 노선 반영

노란봉투법 개명 논의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로부터 비롯됐다. 이 대표는 지난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대다수 국민께서 동의하리라 생각하지만 노란봉투법이 '불법 파업'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탓에 반대하는 여론도 적지 않다"며 "법안에 대한 오해를 풀고 법의 취지를 명확히 하고자 '합법파업보장법'으로 부르는 것은 어떨까"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법에 보장된 권리가 법의 이름으로 억압받을 때 이를 해소하는 것이 정치의 책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즉각 질타하고 나섰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노란봉투법은) 위헌적이며 '노조방탄법'에 다름 아니다"라며 "어떤 이름을 갖다 붙여도 노란봉투법은 '불법파업조장법'"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어 "대한민국 헌법과 노동법은 노조의 단체행동권을 보장한다. 그 외의 행위는 모두 불법 행위"라고 선을 그었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도 지난 30일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의 노란봉투법 단독 상정에 반발하며 퇴장한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노란봉투법을 △불법파업 조장법 △민주노총 방탄법 △노사 혼란 조성법 △피해자 양산법 등으로 불렀다.

"법안 본래 취지와 본질 왜곡될 우려" 지적

여야가 이처럼 민감한 핵심 쟁점법안에 대해 각자 입장에서 약칭으로 부르는 건 자당의 이념과 노선의 선명성을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각인시키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관측이다. 하지만 이 같은 법안 명칭 논쟁이 오히려 본래 법안이 가진 정책적 기대효과를 비롯한 본질과 취지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작 법안 내용에 상관없이 여야가 각자의 '눈높이'에서 합법파업이냐 불법파업이냐에 대한 선입견을 명칭에 녹임으로써 법안 내용의 본질을 오히려 헷갈리게 한다는 것이다.

노란봉투법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 2, 3조 조항을 개정해 △노조법에서 규정하는 사용자의 범위를 간접고용 사용자까지 확대하고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대상에서 노조 소속 임원 개인, 신원보증인 등을 제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불법 파업을 규정한 노조법 42조 등은 노란봉투법에서 개정하려는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노란봉투법이 통과돼도 폭력행위, 생산 등 주요업무 시설 점거, 필수유지업무 방해 행위 등은 불법파업으로 손해배상청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참여연대, 민변 등으로 이뤄진 노조법2·3조개정운동본부 측은 불법파업에 초점이 맞춰져 논쟁이 왜곡돼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용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노동위원장은 "저희 운동본부 입장에서는 '특수고용노동자인정법', '진짜사장책임법', '쟁의행위 정상적인 보장법', '손배 폭탄 방지법' 이런 식으로 부르고 있다"며 "논쟁이 왜곡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노란봉투법이 불법파업을 허용하는 법이 아니며, 특수고용 사업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그러면서 "사용자들이 손해배상 청구를 전형적인 노동 탄압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에서 보장한 쟁의 행위 등에 대해서는 손해배상 면책을 하자는 것이다. 위법에 의한 쟁의행위 등에 한정해 면책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지금 현장에서 손해배상 책임 문제가 발생하는 사업장은 특수고용이나 간접 고용 사업장이 대부분"이라며 노조법 개정 취지를 설명했다. 여

yesyj@fnnews.com 노유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75세에 득남' 김용건, 의미심장 고백 "지금도 여자들이랑.."▶ 하희라 표정 굳게 한 최수종 한마디 "결혼 29년간 한번도.."▶ 여친 집에서 자다가 마주한 낯선남자, 여친한테 물었더니.. 반전▶ 자택서 발견된 모녀 시신, 부검 해보니 사인은..소름▶ "이게 바로 K가슴"... 미국에 남편 만나러간 안영미의 돌발 행동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1786 "약 처방 불만" 의사에 흉기 휘두른 40대 구속 [3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5767 5
11785 경기남부청장 김봉식·경찰대학장 이호영…경찰 치안정감 인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978 1
11784 성년후견, 치매 등 대비한 '임의후견' 적극 고민해 봐야 [판결의 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6 0
11783 21년이 걸린 현장검증...'진도 송정 저수지 사건’의 진실은[사건 [5]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5087 4
11782 양육비 미지급 첫 실형 '배드파더'…항소했지만 형량 '두 배' 늘어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74 0
11781 10년 후 중국을 엿보는 새 책 '차이나키워드' 출간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2 0
11780 '마약 허위제보' 국정원 정보원, 무고 혐의 무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72 0
11779 '세기의 이혼소송' 노소영 상고 않기로…대법, 최태원 상고만 판단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86 0
11778 "오빠 회개하게 해주세요" 언론 통해 명예훼손한 여성, 벌금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1 0
11777 사건 피의자 모친에 성관계 요구한 현직 경찰관... 징역 6개월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12 0
11776 화재 난 역삼동 아파트, 스프링클러 없었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17 0
11775 추돌 사고 내고 음주 측정 거부한 러시아 외교관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787 3
11774 9개월 만 첫 발 디딘 尹명예훼손' 의혹…수사 속도붙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9 0
11773 반도체 기술 빼돌린 삼성전자 前연구원…1심 징역형 집유 [17]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884 7
11772 소녀상에 '철거' 마스크 씌운 시민단체 대표, 검찰 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7 0
11771 검찰, '배현진 습격' 중학생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8 0
11770 수백억 코인 투자사기 벌인 발행사 대표 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78 0
11769 '얼차려 훈련병 사망' 부대 중대장 구속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6 0
11768 내일 서울 도심서 민주노총 대규모 집회…경찰, "교통 혼잡 예상"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4 0
11767 [속보]'얼차려 훈련병 사망' 부대 중대장 구속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1 0
11766 '황의조 수사정보 유출 혐의' 현직 경찰관 구속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3 0
11765 "왜 채용 안해줘" 흉기로 지인 찌른 40대 남성 체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9 0
11764 '무자본 갭투자'로 오피스텔 수십채... 90억 사기 벌인 일당 기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4 0
11763 이종섭·신범철·임성근, '채상병 특검법' 청문회 증인선서 거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3 0
11762 "이혼 소송과 무관"…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SK빌딩 퇴거·10억 배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1 0
11761 "아동음란물 소지죄 가중처벌하려면 '판매 목적' 입증해야" 대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7 0
11760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SK빌딩서 나가야…法 "적법한 해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3 0
11759 "약 처방 불만" 의사에 흉기 휘두른 40대 구속기로 [10]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215 0
11758 "약 10년간 추적" 보이스피싱 인출총책, 구속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3 0
11757 [속보]SK이노베이션, '노소영 미술관 퇴거' 소송 1심 승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3 0
11756 최태원 판결문 수정...결론 영향 두고 '후폭풍'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9 0
11755 "SK 빌딩서 나가라" SK이노·노소영 아트센터 퇴거 소송 1심 결론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321 4
11754 '尹 명예훼손 혐의'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염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60 0
11753 [속보]'허위 인터뷰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영장 발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1 0
11752 '무기한 휴진' 결론 못 낸 성모병원 교수들… "논의 시간 필요"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73 0
11751 경찰, 한동훈 딸 '허위 스펙 의혹' 무혐의 최종 결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71 0
11750 검찰, '불법 촬영·2차 가해 혐의' 황의조 피의자 소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5 0
11749 전국 의대교수 비대위 "무기한 휴진 논의"… "'올특위' 동참"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7 0
11748 '뇌물수수 혐의' 임종성 보석 신청…"췌장염 수술 필요"(종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9 0
11747 남친 집에 맡긴 반려견, '누가 소유권 가지냐'에 엇갈린 법원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64 0
11746 "국가·경기도 선감학원 피해자에 위자료 줘야" 법원 첫 판결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9 0
11745 "약 처방 불만" 의사에 흉기 휘두른 40대 구속영장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2 0
11744 역삼동 아이파크 아파트 화재…"에어컨 수리하다 불붙어"(종합2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54 0
11743 '뇌물수수 혐의' 임종성 전 의원 보석 신청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8 0
11742 방사청, F-35 전투기 6900억원대 국제소송 승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68 0
11741 '트래펑' 백광산업 전 대표, 횡령 재판 항소심서 감형 ‘집유’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1 0
11740 법무법인 지평, 글래스돔코리아와 업무협약[로펌소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5 0
11739 '돈봉투 수수' 의심 의원, 검찰 3차 출석통보에도 불응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6 0
11738 "백색실선 침범 사고, 종보 가입·피해자 처벌 의사 없으면 기소 불가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684 1
11737 '아옮 업체 구해오세요'…법 개정에도 신종 암표 기승에 사기까지 [4]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77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