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1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21 16:05:07
조회 55 추천 0 댓글 0
30년이 넘는 한국 게임 시장의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게임 중 엔씨소프트의 리니지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디아블로2, 스타크래프트와 함께 한국의 PC방 문화를 안착시킨 게임이자, 한국 온라인게임의 본격적인 대중화를 시도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리니지가 국내 게임 시장에 미친 영향은 엄청나다. 한국 MMORPG(대규모 다중접속 온라인게임)의 핵심인 길드 시스템을 확립시킨 '혈맹' 시스템부터 사냥, 강화 그리고 거래소로 이어지는 한국 온라인 MMORPG(대규모 다중접속 온라인게임)의 경제 시스템의 기틀을 닦은 게임이 리니지다.



특히, 리니지의 '혈맹'은 일반적인 게임의 길드 시스템과 달리 함께 게임을 플레이하며 감정을 공유하는 하나의 집단 공동체의 개념으로 발전했으며, 이 '혈맹' 간의 대결인 대규모 '공성전'의 경우 지금도 회자되는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실제로 '린저씨'(리니지를 플레이하는 게이머를 통칭하는 말)에게 혈맹은 지금도 단순한 길드원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사실.

이러한 독특한 게임성을 바탕으로 리니지는 1998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15개월 만에 국내 최초 온라인게임 100만 회원 시대를 열었고, 단일 게임 최초로 2016년 누적 매출 3조 원을 돌파하는 등 2020년 매출 16조 시장으로 성장한 한국 게임 시장의 교두보를 놓은 작품으로 꼽힌다.



한국 모바일 시장의 성장세를 이끈 게임 역시 리니지였다. 원작 출시 20주년을 맞아 출시된 '리니지M'은 출시 첫날 이용자 210만 명, 매출 107억 원을 기록하며, 이전까지 존재했던 한국 모바일게임의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과금 이슈와 최근 운영에 대한 혹평이 들려오고 있지만, 리니지의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최신작 '리니지W'가 글로벌 사전 예약 직후 1000만 명을 모집한 것에 이어 지난 19일 13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리니지가 가진 IP 파워는 단순히 매출로 설명할 수 없는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올해로 24주년을 맞은 장수 온라인게임임에도 아직도 국내 게임 시장에서 끊임없이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리니지는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까지 서비스를 이어오고 있는 것일까?



리니지의 시작은 엔씨소프트가 갓 태어난 1997년 3월로 돌아간다. 당시 엔씨소프트는 서버 구축 등 인터넷 기술 관련 외주를 받는 조그만 하청 업체로 시작했지만, 국내 최초의 순수 인터넷 기반의 ’네츠고‘ 서비스의 안정적인 구축에 성공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실력 있는 회사로 조금씩 입지를 굳혀가고 있었다.

이는 당시 엔씨소프트의 이사였던 김택진 현 대표가 당시 손꼽히는 서버 & 업무용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것도 크게 한몫했으며, 이로 인해 엔씨는 SK, KCC, 금호 등 유수 기업들로부터 수주를 받는 실력 있는 업체로 점차 이름을 높여갔다.

하지만 김택진 대표는 시장 환경에 의존적인 외주 하청업체의 매출 구조를 탈피하는 방안을 찾았고, 그 대안이 바로 당시 스타크래프트의 등장으로 IT 산업에 큰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던 게임이었다.

사실 리니지의 개발을 처음 시작한 곳은 엔씨소프트가 아니라 아이네트라는 회사였다. 당시 온라인게임 개발을 진행하던 아이네트는 경영이 어려워지자 리니지 개발팀을 타 회사로 넘기려 했고, 이 소식을 들은 김택진 대표는 끈질긴 설득 끝에 리니지의 개발자들을 인수하는 데 성공한다.

이때 초창기 리니지 개발을 총괄하던 인물이 바로 지금의 XL게임즈의 대표인 송재경이었다. 바람의 나라 등을 개발하며 국내 게임 시장에 온라인게임 장르의 포문을 열었던 송 대표는 당시 개발자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역량을 지니고 있었고, 엔씨소프트의 인수와 함께 본격적인 게임 개발에 나서게 된다.



그러나 당시 온라인게임 개발 환경은 녹록지 않았다. 지금이야 다양한 보조 프로그램과 그래픽 엔진이 존재하지만, 1997년 당시에는 서버 구축, 그래픽 구현과 온라인 환경 구축을 일일이 손으로 구현해야 했고, 이 작업은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하는 수준의 어려운 일이었다.

여기에 리니지의 개발 도중 추가 투자를 받지 못하면서 회사 상황이 급속도로 어려워지자 김택진 대표가 자신의 집을 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아 직원들 상여금을 지급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1998년 9월 처음 공개된 '리니지' 1차 비공개 테스트의 반응은 그야말로 엔씨의 기대를 뛰어넘는 것이었다. 콘솔, PC 게임과 비교해 그래픽을 제대로 구현하기 어려웠던 초창기 온라인게임들과 차별화된 수준급의 그래픽과 다양한 사냥터와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선보이며 그야말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특히, ‘리니지'는 당시로써는 흔치 않았던 3D로 그래픽을 선 작업한 이후 2D로 변환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비록 이 과정에서 용량이 커져 서버 문제도 곧잘 일어났지만, 수준급의 서버 기술을 지닌 엔씨의 개발진이 뒷받침되어 안정적으로 여러 방향에 맞추어 동작이나 그래픽 이펙트를 구현할 수 있었다.

과금 선택도 중요한 요소였다. 모뎀에서 ADSL로 전환되기 시작했던 인터넷 과도기 시절에는 하이텔이나 천리안과 같은 PC 통신의 서비스 내에 소속되어 부과 사용료를 받는 것이 일상이었다. 실제로 1997년은 넥슨의 ’바람의 나라‘ 역시 PC 통신 기반으로 서비스됐을 시기였다.

하지만, 김 대표는 통신 수익금의 30%를 내야 하는 당시 PC 통신사들의 정책에 수긍하기보다 스타크래프트의 인기로 빠르게 늘어나던 PC방 시장에 주목하며 과감히 PC 인터넷 기반으로 과금체계를 선회했다.

그 결과 ’리니지‘는 PC방 온라인게임의 유료 모델의 틀을 만들어낸 대표적인 게임이 되었다. 당시 엔씨는 '리니지'를 한 달에 30시간 이상 사용한 개인 사용자에게 ’2만 9천 7백 원‘의 월정액 요금제를, PC방에서는 회선당 ’4만 4천 원‘에서 ’6만 6천 원‘의 월정액을 부과하는 정책을 만들었다.

이는 20년이 가까이 이어져 왔던 온라인게임의 PC방 과금 모델이기도 하며, 리니지의 이러한 유료화 정책은 국내 게임 시장에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하여 다수의 게임사가 온라인게임 개발에 뛰어드는 나비효과를 낳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 끝에 엔씨는 1998년 11월 ’리니지‘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고, 이내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98년 대한민국 게임 대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서비스 1년 만인 1999년에 국내 게임 역사상 최초로 100만 회원을 달성해 국내 게임 시장의 성장에 가속화를 걸었다.

또한, 2000년 밀레니엄 시대의 도래와 함께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세계 시장 진출에도 나섰으며, 당시 정부가 추진하고 있던 한국 인터넷 정책의 대표적 상징으로 떠올라, 엔씨소프트는 신 IT 사업의 성공 사례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급속도로 성장한 리니지는 의외의 사건을 맞이하게 된다. 당시 아직 정립되지 않았던 게임의 법적 문제와 온라인게임의 장단점이 한꺼번에 발생하면서 엔씨가 의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사회문제에 리니지가 언급되기 시작한 것이었다.

해당 기사는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2부로 이어집니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IP가 힘이다. 미래를 자신하는 국내 IP 부자들▶ "그래도 리니지" '리니지W', 사전 예약 1300만 명 돌파 '질주 중'▶ 엔씨소프트 '리니지W', 사전 예약 1300만 명...MMORPG 장르 기록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010 ‘KBS 우리말 겨루기’ 방송 나간 느낌? ‘라온 우리말 겨루기’를 즐겨보자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37 0
1009 제2의 전성기 맞이한 17주년 장수 게임 ‘열혈강호 온라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33 0
1008 프리스타일2: 레볼루션, ‘뭉쳐서 쏜다’ 프로모션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26 0
1007 라인게임즈, 핵앤슬래시 신작 ‘언디셈버’ 사전예약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51 0
1006 넥슨의 최대 기대작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사전 등록 돌입 [26]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1715 5
1005 크래프톤, 'PGC2021' 1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데이2, 한국 2팀 파이널 추가 진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22 0
1004 ‘뮤 온라인’, ‘웹젠 프렌즈X칭따오’ 제휴 이벤트 진행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410 1
1003 게임빌, 액션 RPG '크리티카'에 블록체인 적용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43 0
1002 "복무 기간 별로 줄서라!" '월탱', 가입 연도 기준 보상 제공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43 1
1001 "바이오하자드의 역사를 한번에!" '바하 25th 에피소드 셀렉션' 정식 발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33 0
1000 ‘드래곤볼 더 브레이커즈’, 비공개 베타 테스트 실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26 0
999 블리자드 '디아블로 이모탈', 한국 비공개 베타 테스트 오늘 시작 [9]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1214 0
998 연말 최고의 축제 '2021 던파 페스티벌' 12월 19일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37 0
997 넷마블문화재단, '제 11회 넷마블 게임콘서트’ 27일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399 0
996 에오스 레드, 펫 합성 천장 시스템 도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26 0
995 플레이위드, '로한M' 각성 시스템 업데이트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25 0
994 위메이드, 1주년 맞은 '미르4' 풍성한 돌잔치 축제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5 22 0
993 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서버 간 경쟁 콘텐츠 '월드 던전'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27 0
992 액션스퀘어 PC·콘솔 신작 게임 '앤빌', "돈 값하는 게임되겠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54 0
991 NFT 열풍에 김형태 대표 위믹스 NFT 작품 100배 넘게 올라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40 0
990 [리뷰] "진입장벽은 낮게, 전술은 깊게~" '프리스타일2: 레볼루션'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552 0
989 30일 광주에서 '대한민국 e스포츠 포럼' 열린다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41 0
988 한국게임기자클럽, '게임 오브 지스타’로 시프트업의 ‘니케’ 선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35 0
987 네오플, 제주도 백혈병 소아암 환아 지원 사업 진행한다 [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628 2
986 라인게임즈 ‘스매시 레전드’ 겨울 맞이 이벤트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33 0
985 크래프톤, ‘PGC 2021’ 1주 차 위클리 서바이벌 데이1 결과 발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27 0
984 에픽게임즈 스토어, 블랙 프라이데이 세일 돌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33 0
983 넷마블, '제2의 나라'와 함께 할 파트너 크리에이터 모집 [10]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647 1
982 '프로젝트 이브'와 'P의 거짓', '앤빌'까지 '지스타 2021'서 주목받은 콘솔 게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50 0
981 플레이댑,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 상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43 0
980 아이스버드게임즈, 공식 라이선스 기반 '미르의 전설2:MOM' 사전예약 시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50 0
979 새로운 스포츠 게임의 강자 '프리스타일2: 레볼루션'은 어떤 게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30 0
978 넷마블, '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 길티기어 콜라보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36 0
977 신작 배틀로얄 게임 '슈퍼피플', CBT 앞서 테크니컬 테스트 돌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27 0
976 위메이드, 유티플러스 '디토랜드' 위믹스 플랫폼 온보딩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23 0
975 카카오게임즈의 또다른 생존게임 ‘디스테라’, 글로벌 출시 위한 담금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32 0
974 검은사막 팬들 집중! 펄어비스 '칼페온 연회' 12월 11, 12일 양일간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45 0
973 라이엇 게임즈, '아케인' 시즌 2 제작 확정 [16]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1359 3
972 MZ세대를 관통하는 차세대 '배틀로얄'..라타타의 '스카이스크래퍼' [1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1166 2
971 '로오히', 신규 레이드 ‘침묵의 해협’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3 28 0
970 엔젤게임즈, 지스타 달군 '신의 탑 M' 사전 예약 100만 명 돌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43 0
969 플레이댑-이브이알스튜디오, 메타버스·블록체인 공동 사업 추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22 0
968 포트나이트, '몽클레르'와 콜라보레이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30 0
967 넥슨재단, 경남권 어린이재활병원 건립 동참, 100억 원 기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25 0
966 위메이드, 'for' 아닌 'on 위믹스'로 변경한 까닭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53 0
965 2021년의 마지막을 장식할 12월 연말 “헤일로 인피니티”가 책임지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37 1
964 성황리 폐막한 지스타2021, 어떤 신작들이 주목을 받았나? [1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883 1
963 넷마블, 제 14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서 2개 부문 대상 수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28 0
962 액션스퀘어, 12월 출격 신작 '앤빌' 인트로 영상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28 0
961 부산시립미술관, 라그나로크 '판타지의 여정' 전시회 내달 12일까지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3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