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여전히 매콤한 아틀라스 본가의 맛 '진 여신전생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16 18:07:33
조회 87 추천 1 댓글 1
언제나 암울하고, 일단 세상은 시원하게 멸망시키고 시작하는 세기말 감성 가득한 게임 '진 여신전생'의 최신작 '진 여신전생5'가 지난 11월 11일 정식 발매됐다.


새롭게 디자인되어 더욱 힘차게 움직이는 마라님



‘진 여신전생’은 전 세계 각국의 신화, 종교에 등장하는 요괴, 악마, 신과 함께 전투를 벌인다는 설정과 아틀라스 특유의 캐릭터 디자인과 전투 시스템이 등장해 페르소나 시리즈와 상당한 부분에서 유사점을 보이는 작품이다.

다만 페르소나가 마을이나 도시에서 벌어지는 괴이한 사건을 동료들과 해결하고, NPC와 연애 및 우정을 쌓는 등의 캐릭터의 서사에 집중한 게임이라면. ‘진 여신전생’은 멸망한 세계, 황폐한 차원을 오가며, 세상의 명운을 결정하는 거대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췄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 게임의 몇 안되는 희망적인 장면


황폐한 분위기 최대로~!



특히, 어떤 선택을 해도 멸망을 향해 흘러가는 꿈도 미래도 희망도 없는 세계관과 등장하는 캐릭터 대다수가 사망하는 매콤한 세기말 감성이 진하게 묻어 나오는 특유의 분위기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번에 발매된 ‘진 여신전생5’는 이러한 시리즈 특유의 분위기가 그대로 구현되어 있다. 이 게임의 주인공(이용자 당신)은 우연한 일로 황폐해진 도쿄인 ‘다아트’의 세계로 흘러가게 되며, 아오가미와 합체하는 ‘합일신’이 되어 전투에 휩싸이게 된다.


주인공과 머나먼 여정을 떠나는 아오가미



그 과정에서 밝혀지는 진실도 충격적이다. 바로 전 세계는 악마들에게 멸망했으며, 온갖 악마들이 출몰하는 황폐한 ‘다아트’가 사실 진짜 세계이고, 주인공이 자란 평화로운 도쿄는 천상의 집단 ‘베텔’이 만들어낸 세계라는 것. 뭘 하기도 전에 세상이 이미 멸망해 있었다는 근래 보기 힘든 세기말적인 감성이 가득한 스토리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악마 합체 시스템은 신마 의식이 추가됐다


전투의 승패를 가르는 약점 시스템


도망쳐!



게임의 난도도 여전하다. 별다른 투자 없이도 중반 레벨까지는 무난히 성장할 수 있는 최근 게임과 달리 ‘진 여신전생5’는 제대로 대비를 하지 않으면 극 초반부터 ‘게임 오버’ 화면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난도가 높으며, 체력이 없어 몬스터를 피해 이리저리 달리는 상황이 수시로 발생한다.

실제로 본 기자는 아무 생각 없이 초반 전투를 진행하다 게임 플레이 후 15분 만에 ‘게임 오버’ 화면을 본 이후 “아 맞다! 이거 진 여신전생이지?”라고 화들짝 놀라기도 했다.


우리의 희망 세이프티 모드



여기에 특정 포인트에서만 세이브나 회복을 진행할 수 있다거나 약점 속성을 공략당하면 앉은 채로 당하는 등 기존 요소도 그대로 등장하기 때문에 ‘노멀이 국룰이지’라는 생각보다 DLC로 배포된 ‘세이프티’ 모드로 게임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게임 UI도 깔끔하다



물론, ‘회귀의 필러’로 가장 최근 방문한 ‘용혈’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능이 추가되어 게임의 난이도가 크게 낮아지기도 했으며, 신규 스킬 축복이 등장하여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HP 및 상태 이상 회복을 진행할 수 있어 전투 진행이 편리해졌다. 또한, 일종의 필살기 게이지라 할 수 있는 ‘미가츠히’를 활용해 더욱 강력한 대미지를 줄 수 있지만, 적도 ‘미가츠히’를 모을 수 있어 최대한 약점 속성을 피해 파티를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래픽과 연출은 수준급



게임의 그래픽은 닌텐도 스위치로 발매된 게임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합격점을 줄 수 있는 수준이다. 황폐한 또 하나의 세계 ‘디아트’의 황량함과 어지럽게 파괴된 도시의 분위기가 실감 나게 묘사되어 있으며, 맵 곳곳에 등장하는 다양한 오브젝트가 뚜렷하게 구현되어 있어 이를 찾는 재미도 상당하다.


주인공 고유 스킬도 존재


전용 스킬 연출도 좋다



전투 연출의 경우 이전 시리즈와 큰 차이는 없었지만, 새롭게 추가된 악마들의 스킬과 주인공의 전용 스킬의 연출이 매우 화려해 보는 맛을 더해주며, 약점 공략 및 상성 스킬에 따른 대미지 연출 또한 볼만한 수준이다.

다만 이번 작품에 등장한 신규 악마와 캐릭터들의 모델링이 상당히 고퀄리티로 제작된 것과 비교해 몇몇 악마의 경우 3편에서도 등장했던 모델링이 그대로 사용되어 퀄리티 차이가 심하게 나는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었다.(새롭게 그려진 마왕 ‘마라’님은 더욱 힘차게 움직인다)


악마전서와 연계되어 합체 가능한 악마를 표시해준다


저 포즈는 20년째 바뀌질 않네



진 여신전생 시리즈의 핵심인 악마 전서 시스템도 변화를 겪었다. 우선 ‘사교의 세계’에서 악마를 합체시키고, 소환할 수 있는 합체 시스템은 여전히 등장하지만, 새로운 시스템인 ‘신마 의식’에 큰 영향을 받는 식으로 개편되었다.


미이츠를 소모하는 카무이



‘신마 의식’은 크게 ‘카무이 습득’과 ‘허물 합체’로 나뉜다. ‘카무이’는 퀘스트 혹은 ‘이츠즈카’를 파괴하거나 숨어있는 ‘미망’을 찾아 획득할 수 있는 ‘미이츠’를 소모하여 강화할 수 있는데, 맵 곳곳에 등장하는 장애물 ‘마가츠카’를 격파하면 목록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마가츠카를 우선 격파하는 것을 추천


마가츠카를 파괴하면 카무이 각성 목록이 증가한다



특히, 주인공 속성 강화는 물론, 합체 시 전수 스킬, 경험치, 파티원 증가, 합체 비용 할인 등 게임의 난이도를 확 낮춰주는 요소가 다수 등장하기 때문에 새로운 맵에 진입했다면 우선 ‘마가츠카’를 격파하고, ‘카무이’ 강화 목록을 해금하는 것을 추천한다.

‘허물 합체’ 역시 게임의 핵심 콘텐츠 중 하나다. ‘허물 합체’는 악마들의 허물을 획득하여 주인공에게 스킬과 방어 특성을 이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상위 등급의 스킬과 방어 특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캐릭터 육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허물 조합으로 약점을 지워버릴 수 있다



특히, 악마가 가진 고유의 방어 스킬과 공격 스킬을 따로 이식할 수 있어 모든 속성 반사, 무효 등의 만능 방어 특성을 만들어 낼 수도 있으며, 모든 속성 공격 스킬을 보유하는 식으로도 육성할 수도 있다.


허물을 활용해 캐릭터를 강화할 수 있다



이 허물은 미망 수집 보상이나, 맵 오브젝트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보유 악마의 레벨업 이벤트로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특정 악마에게 레벨을 높여주는 ‘마도서’를 집중투자하여 허물을 얻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처럼 ‘진 여신전생5’는 기존 시리즈 특유의 암울한 분위기와 여전히 높은 난도는 유지한 채 발전된 그래픽과 신규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육성 방식 등 30년에 가까운 세월이 흐른 작품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세련되고 몰입도 있는 모습으로 출시됐다.


지역 퀘스트도 존재



하지만 복잡 미묘한 요소도 존재한다. 바로 유료 DLC(다운로드 콘텐츠)의 존재다.

‘진 여신전생5’는 다양한 형태의 DLC가 존재하는데, 이중 특수 악마인 ‘미타마’의 출현 횟수가 증가하는 3종의 DLC를 구매하고, 옵션에 출현 증가를 선택하면 맵에 “몬스터 반, 미타마 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엄청난 수의 ‘미타마’가 등장하게 된다.


DLC를 구매하면 게임 난이도가 확 낮아진다



이 ‘미타마’는 주인공의 레벨을 높여주는 ‘복음서’, 악마의 레벨을 높여주는 ‘마도서’ 등의 경험치 아이템과 상점에서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고가의 유물 그리고 ‘미이츠’ 습득 아이템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 ‘미타마’가 맵에 워낙 많이 등장하다 보니 ‘만리의 안경’을 가득 들고 속성을 파악한 후에 약점을 공략하는 식으로 반복 플레이를 하다 보면 이 특수 아이템을 그야말로 흘러넘칠 만큼 얻을 수 있는 수준이다.


선택에 따라 분기가 갈린다



실제로 본 기자 역시 스토리 중반부에 접어들기 전에 주인공 레벨 99를 달성했을 정도로 역대 플레이했던 아틀라스의 모든 게임을 통틀어 가장 빠른 레벨업을 하기도 했다.

더욱이 옵션에서 ‘미타마’ 증가 수치를 조절할 수 있다곤 하지만, 옵션 조절에 상관없이 일단 DLC를 구매하면 출현 횟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곧 게임의 밸런스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였다.


아틀라스 캐릭터를 통틀어 가장 매력적인 클레오파트라



물론, 3편의 주인공 ‘인수라’가 등장하는 ‘인수라와 9명의 마인’ 등의 시나리오 DLC는 돈이 아깝지 않을 만큼 만족 그 자체였다.(역대 여신전생 시리즈 중 최고의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클레오파트라 DCL는 필구 추천)


진 여신전생5



하지만, 유료로 등장하는 DLC가 높은 난도로 유명한 게임을 이토록 쉽게 만드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콘솔 게임에서도 유료 콘텐츠가 게임의 밸런스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에 게임을 플레이하는 내내 씁쓸함을 감출 수 없었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팬티를 뒤집어 입을 때가 왔다" '풋볼매니저 2022' 정식 발매▶ '토탈워 워해머3', 2월 17일 정식 발매 확정▶ 진 여신전생 시리즈의 최신작 '진 여신전생5' 신규 정보 공개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413 마동석에 이어 고수, 이희준, 육준서까지. 펍지유니버스 '방관자들'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45 0
1412 넷마블, 이승원 대표 글로벌 총괄 사장 승진...도기욱 신임 각자 대표 선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51 1
1411 ‘카운터사이드’, 서비스 2주년 기념 쇼케이스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50 0
1410 라인게임즈, 엑소스 히어로즈 신규 페이트코어 ‘멜리사’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43 0
1409 (사)가상현실콘텐츠산업협회, 2022년 첫 메타버스 전시회 'META EX' 오픈 [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676 1
1408 [이슈] 소니, CES2022에서 PS VR2 공개! 게임의 미래는 바뀔 것인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70 0
1407 [이슈] 게임사업 할만하네, '2021년 주식 부자에 게임사 창업자 대거 등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63 0
1406 '트라이앵글 스트래티지', 최신 트레일러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61 0
1405 카카오게임즈, ‘이터널 리턴’ 45번째 캐릭터 ‘마이’ 출시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22 0
1404 국산 콘솔 게임의 부활인가! 2022년 출시를 예고한 기대작들 [40]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2776 4
1403 본격화되는 블록체인-NFT 게임 시장, 결국 엔씨와 넥슨인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73 0
1402 핵앤슬래시 유망주 언디셈버의 멀티플랫폼 도전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9 0
1401 웹젠, 언리얼 엔진으로 만나는 '뮤오리진3' 티저 사이트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4 0
1400 엘소드, 레이븐 신규 전직 4라인 ‘레버넌트’ 업데이트 [9]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35 3
1399 ‘마영전’ 시즌4 에피소드5 ‘태양의 비원’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37 0
1398 컴투스홀딩스, 사회 공헌 활동 시작..동명아동복지센터에 '교육기금' 전달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45 0
1397 플레이스테이션5 미니? 이색 중국산 짝퉁 게임기 등장 [2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2539 2
1396 지엔에이컴퍼니, '플레이오'에서는 모든 게임이 P2E가 됩니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70 0
1395 배틀그라운드, 신규 전술 장비 '드론'과 '응급 처치 장비' 추가 [2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2101 1
1394 엔미디어플랫폼, 새해 첫 이벤트 2종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82 0
1393 넥슨, 루소 형제의 제작사 AGBO에 5억 달러 투자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68 0
1392 사전예약 300만 명 돌파한 '언디셈버', 연초 핵앤슬래시 열풍 이끈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95 0
1391 위메이드, 부클 모바일게임 'ASU' 위믹스 온보딩 계약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88 1
1390 주요 게임사들 P2E 시장 진출 속도 낸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23 1
1389 “목표는 롤드컵 진출!” ‘2022 LCK 미디어 데이’ 개최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266 1
1388 게임주=코인주? NFT 열풍이 만든 게임 주식의 급격한 변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24 1
1387 넷마블 '모두의마블', 신년 맞이 이벤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00 1
1386 이펀컴퍼니, 동화속 캐릭터들과 함께 하는 MMORPG '갈락티코' 출시 [7]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688 7
1385 유비소프트가 야심 차게 시도한 NFT "판매량 거의 없어“ [17]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432 12
1384 '아이언 하베스트 컴플리트 에디션', 패키지 선주문 실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15 1
1383 롯데, 메타버스 구현에 언리얼 엔진 쓴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01 1
1382 펄어비스 검은사막, ‘끝없는 겨울의 산’에 주거지 및 수렵 몬스터 추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75 1
1381 SNK 게임 캐릭터들 NFT로 1월중 출시.. PD.X와 라이선스 체결 [9]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206 5
1380 엔씨 '리니지W', 12개 서버 혈맹이 맞붙는다..전장 '공허의 균열' 공개 [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522 1
1379 2021 스팀 어워드 올해의 게임에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00 1
1378 2022년 게임사 수장들 신년 키워드는 '블록체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59 1
1377 2005년부터 액션게임 세계 1위..'던파'의 모바일 정벌 시작된다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39 1
1376 NFT, 메타버스! 2022년 게임업계에서 주목해야 할 변화는? [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752 1
1375 조이시티, '건쉽배틀: 토탈워페어' 위믹스 온보딩 계약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75 1
1374 포괄임금제 폐지한 '슈퍼캣', 복지 향상에 나선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79 2
1373 7개월 째 판호 소식 없는 중국 "1만 4천 개 게임사 문 닫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17 2
1372 "콜업 매주 가능!" 2022 LCK 스프링, 리그 규정 변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63 1
1371 위메이드, 조이시티 '건쉽배틀: 토탈워페어' 위믹스 온보딩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62 1
1370 위메이드, 언리얼 엔진5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영상 공개 [7]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674 1
1369 부활 꿈꾸는 아이톡시, '아스텔리아 로얄'로 PC온라인 라인업 확충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352 1
1368 2021년 최다 GOTY 싸움 '잇 테익스 투'가 평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154 1
1367 위메이드 장현국 대표 "오픈 게이밍 블록체인 완성할 것"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88 1
1366 남궁훈 카카오 센터장, "2022년은 팬의 시대. 한국이 전 세계 시장 주도할 수 있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68 1
1365 넥슨, ‘프로젝트 MOD’의 신년 파티 ‘2022 Play Party’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80 1
1364 넷마블·코웨이 방준혁 의장 "2022년 재도약의 원년으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59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