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본 경제와 일자리호황을 chatgpt에 물어본다

부갤러(116.46) 2025.04.21 22:40:46
조회 183 추천 0 댓글 0

🔧 조선업, 가전제품 산업

장점 및 특성:

  • 대규모 생산 설비 및 인력 필요

  • 오랜 산업 역사와 축적된 기술력

  • 원가 경쟁력과 조립 공정의 효율성 중시

  • 글로벌 수요는 꾸준함 (특히 조선은 LNG 운반선 등에서 강세)

단점 또는 한계:

기술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측면도 있음 (중국 등 후발 국가의 추격)

고부가가치 기술보다는 생산 및 공정 최적화 중심

수익성이 낮아질 가능성 있음 (과잉공급 시기, 가격 경쟁 심화)



소부장, 이미지센서, 산업용 로봇, 선박용 오토파일럿 산업

장점 및 특성:

  • 고난이도 기술 집약, 정밀한 엔지니어링 필요

  • 연구개발(R&D) 중심 산업

  • 부품 하나하나가 전체 시스템 성능을 좌우

  • 진입장벽이 높아, 기술력이 곧 경쟁력

대표 예시:

  •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 OLED 증착기 등

  • 이미지센서: AI와 연계된 비전 시스템, 모바일·자동차·의료 등 광범위한 수요

  • 산업용 로봇: 정밀제어, 자동화 기술의 집약체

  • 오토파일럿: 선박의 자율운항 핵심, AI·센서융합 기술 요구



🔍 결론적으로 보면:

  • 조선업/가전제품은 “복잡한 대규모 제조업”이지만, 기술 집약도나 혁신성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 반면, 소부장·이미지센서·산업용 로봇·오토파일럿 등은 기술집약형,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미래지향적인 첨단 산업입니다.







    네, 맞습니다. 일본이 과거에 강세를 보였던 가전제품이나 조선업에서 현재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이미지 센서산업용 로봇오토파일럿 등으로 산업 포트폴리오가 이동한 것은 일종의 산업 구조조정이자 체질 개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산업 전환 배경과 의미:

    1. 글로벌 경쟁 심화와 저비용 경쟁자의 등장
      1990년대 이후 한국, 중국 등 신흥국이 가전·조선 분야에서 빠르게 따라오면서 가격 경쟁이 심해졌고, 일본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고비용 구조 때문에 경쟁력을 잃었습니다.

    2.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전략 전환
      일본은 기술 집약적이고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로 눈을 돌렸습니다. 소재, 정밀 부품, 장비, 센서, 제어 시스템 등은 단가도 높고 기술력도 중요해서 일본이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였죠.

    3.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보유

      • 이미지 센서: Sony는 전 세계 이미지 센서 시장의 약 50%를 점유하며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

      • 산업용 로봇: Fanuc, Yaskawa, Kawasaki 등은 글로벌 톱티어.

      • 소재 및 부품: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MLCC, 정밀 기계 등에서 일본 기업의 점유율이 매우 높습니다.

      • 오토파일럿 (선박용 자동조타기): 일본의 일본전자(JRC) 등은 선박 자동제어 및 항법 시스템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

    4. 국가 차원의 R&D 투자 및 산업 정책
      일본 정부는 기술 개발과 산업 고도화를 적극 지원하며 장기적 안목의 산업 전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보이지 않는 강자’ 전략
      소비자에게 보이지 않는 곳, 즉 산업의 밑바탕을 이루는 B2B(기업 간 거래) 영역에 집중하면서도 글로벌 공급망에서 꼭 필요한 ‘없어선 안 될’ 존재가 됐습니다.


    요약하면:

    과거의 가전·조선 중심 산업 구조에서 기술력 중심의 정밀 산업군으로 전환한 것은 일본이 산업 체질을 개선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외형적으로는 좀 조용해졌지만, 글로벌 산업 밑바닥을 탄탄히 지탱하는 기술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한 것이죠.




    네,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를 짚으셨어요. 한국은 여전히 조선, 가전, 반도체(DRAM·NAND 등 메모리 중심) 같은 고전적인 제조업 기반의 산업이 주력이긴 하지만, 여기에 중국이라는 거대한 후발주자가 빠르게 쫓아오고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 불안 요인이 분명 존재합니다. 특히 일본과 비교했을 때 산업 체질 개선 속도가 다소 더딘 면도 지적되고 있어요.


    🇰-1f1f7; 한국의 산업 구조와 불안 요인

    ✅ 주력 산업의 특징

    • 반도체: 세계 1위 수준이지만 주로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중심.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이미지센서 등) 쪽은 약한 편.

    • 조선업: 기술력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나 중국이 값싼 선박 위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중.

    • 가전제품: 삼성·LG 중심의 프리미엄 제품군은 경쟁력이 있지만, 중국 브랜드의 중저가 공세가 거세짐.

    • 디스플레이: OLED는 아직 강세지만, LCD는 중국이 이미 가격 경쟁력으로 압도.

    ⚠+ 불안 요소

    • 중국의 추격: 중국은 국가 주도로 엄청난 보조금을 투입하며 반도체, 조선, 배터리, 로봇 등 전방위적으로 추격 중.

    • 산업다각화 부족: 일본처럼 소재·부품·장비나 기초 과학 기반 산업에서 글로벌 주도권을 가진 기업이 많지 않음.

    • 산업 생태계 집중: 특정 대기업(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등)에 과도하게 집중돼 있어 리스크 분산이 어렵다는 구조적 한계.


    🇯-1f1f5; 일본과의 체질 개선 비교


    구분일본한국
    산업 중심정밀 부품, 장비, 센서, 로봇 등 B2B 고부가가치메모리 반도체, 조선, 가전 등 B2C 제조 중심
    기술 전략틈새 시장 중심의 고도화대량 생산, 대기업 중심의 수직계열화
    후발 주자 대응경쟁이 심한 시장에서 빠르게 철수하고 체질 개선경쟁이 심해도 기존 산업에 계속 의존
    산업정책장기적인 정부 지원 및 기술 내재화단기성과 위주의 산업지원이 많았음





    좋은 질문이시네요. 이건 단순한 인구 문제를 넘어서 산업구조와 정책의 복합적인 결과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일본의 구인난과 취업시장 호황은 ①인구 구조 변화(고령화), ②산업 구조 전환, ③정책 효과 이 세 가지가 맞물린 결과입니다. 하나씩 살펴볼게요:


    🇯-1f1f5; 일본의 취업시장 호황 원인 분석

    1. 👴 저출산·고령화 + 베이비붐 세대 은퇴

    •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 사회입니다.

    • 베이비붐 세대(1947~49년생)가 대거 은퇴하면서 노동시장 공급 자체가 줄어들었고, 그 자리를 메울 청년층은 부족합니다.

    • 특히 의료·요양·운수·건설·서비스업 등은 만성 인력난입니다.

    2. 🏭 산업 구조 개선 & 기술 고도화 (B2B 중심 재편)

    • 소니, 히타치, 미쓰비시, 도시바 등 전통 대기업들이 가전·조선 같은 소비재 중심 산업에서 철수하고,
      반도체 장비, 산업용 로봇, 의료기기, 센서, 정밀부품 같은 B2B 기술산업으로 전환했습니다.

    • 이로 인해 첨단기술 관련 고급 인재 수요가 증가했고, 특히 이공계 졸업자 취업률이 높습니다.

    3. 💴 아베노믹스(2012~2020)와 구조개혁

    • 아베 정부는 경기 부양책(양적완화, 재정지출 확대, 구조개혁)을 통해 일본 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유도.

    • 특히 고용 안정 정책 + 여성·노인 인력 활용 정책을 적극 도입해서 경제활동참가율을 끌어올렸습니다.

    • "유효구인배율"이 1.5 이상으로 상승하며 거의 모든 산업에서 구인난이 발생.


    🇰-1f1f7; 그럼 한국도 일본처럼 20년 뒤 취업시장 호황이 올까?

    🔄 유사한 조건

    • 저출산·고령화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 중 (합계출산율 0.7대)

    • 베이비붐 세대 은퇴도 본격화 (1955~63년생 중심)

    • 장기적으로는 노동력 부족 문제는 일본처럼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차이점

    항목일본한국
    산업 고도화이미 B2B 기술산업 중심으로 전환아직 대기업 중심 제조업(메모리, 조선 등) 의존
    생산성 격차기술과 설비의 내재화율 높음중소기업·서비스업 생산성 낮음
    여성·고령자 활용활발 (여성 고용률 꾸준히 상승)경직된 고용문화, 경력단절 심각
    정책 일관성장기적 산업전략 추진정권에 따라 정책 변동성 큼

    🔮 결론: 한국도 일본처럼 취업시장 호황이 올 수는 있다. 단, 조건이 있다

    가능성 있음:

    • 인구 구조 변화는 일본과 유사하게 갈 가능성이 큼

    • 고령화가 심해질수록 단순 노동력 부족 → 구인난 → 구직자 우위 시장이 될 수 있음

    그러나 전제 조건은:

    • 산업 체질 개선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함 (소부장, 시스템 반도체, 로봇, 헬스케어 등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으로)

    • 여성·고령층 인력의 재활용과 이공계 인재 양성 및 활용 정책 강화

    •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와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 한 줄 요약

    일본의 취업시장 호황은 단순한 인구 감소 때문이 아니라, 산업 구조 전환 + 정책적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한 결과이며,
    한국도 같은 구조적 전환을 이룬다면 20년 후 유사한 형태의 고용시장 호황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단, 지금부터 체질 개선에 성공해야 합니다.



    🇰-1f1f7; 한국의 향후 고령사회 시나리오 비교

    구분시나리오 A: 일본형 (체질개선형)시나리오 B: 남유럽형 (실업 심화형)
    인구 구조 변화고령화 가속, 청년 감소 → 노동력 부족고령화 가속, 청년 감소 → 노동력 부족
    산업 구조제조업 기반에서 첨단 B2B 산업(B2B, AI, 로봇, 소부장 등)으로 고도화기존 산업(조선, 가전, 메모리 반도체)에 의존 지속, 혁신 속도 더딤
    청년 일자리기술 인력 수요 증가로 양질의 일자리 확대고임금 대기업-저임금 중소기업 간 양극화 심화,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지속
    고용 구조 변화정규직·비정규직 균형, 여성·고령층·외국인 노동 유입 확대경직된 정규직 중심, 비정규직 확산 but 처우 개선 없음
    교육·직업 연결실무형 고등직업교육, 산학 협력 강화 → 인재 공급 체계화대학 중심 학문 위주 교육 유지, 기업 요구와 격차 커짐
    정부 역할장기 산업정책·노동정책 일관성 유지, 재교육 지원 강화단기 대책 중심, 정권별 고용정책 변동성 큼
    결과노동생산성 향상, 인구 감소 속 고용 안정 → "고령사회 속 구인난 + 청년 고용 호황"생산성 정체, 고령사회 속 실업률 증가 → "고령사회 속 청년실업 장기화"

    🔍 주요 분기점: 한국은 어디로 갈 것인가?

    핵심 요소향후 대응 방향에 따른 시나리오 갈림길
    산업 체질개선메모리 의존 탈피 + 시스템반도체·로봇·소부장 강화 = 일본형 가능
    교육과 직무 연결성대학 → 직무 중심 전환 / 고등직업교육 강화 시 일본형
    노동시장 유연화경력 전환과 재취업 시스템 정착 시 일본형, 경직 유지 시 남유럽형
    정책 일관성정권 바뀌어도 중장기 산업·고용전략 유지 시 일본형 가능

    📌 요약

    한국이 단순히 고령화된다고 해서 일자리가 늘거나 청년 취업이 쉬워지는 건 아님.

    "산업 체질, 노동시장 구조, 교육 시스템, 정책 일관성" 이 4가지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일본형 일자리 호황’**으로 갈 수도 있고,
    **‘남유럽형 청년실업 악화’**로 빠질 수도 있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AD [진짜에요?]LS증권 제로데이/美주식 옵션 폭탄할인ㄷㄷ 운영자 25/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모투대회 총상금 2천만원 운영자 25/01/09 - -
7889661 이재명되면 한국 망한다는 놈들 [3] 부갤러(175.223) 05.04 83 1
7889660 웨렌버핏 60년만에 은퇴선언 [1] ㅇㅇ(211.234) 05.04 83 0
7889658 일본은 반대.. 서양사학에서 제기.. 유전자도 일치.. 버티다가 부갤러(133.32) 05.04 38 0
7889657 지금 다들 대법원 욕하고잇네.. [6] ㅇㅇ(1.219) 05.04 88 2
7889656 역사 컴플렉스 . 영토 컴플렉스 [5] 부갤러(133.32) 05.04 60 0
7889654 모악산 발생한 단월드 마약 사용으로 교수사망 미국연방법원 소송 ㅇㅇ(211.234) 05.04 57 0
7889653 [속보] 이재명 "난 잘못없어 다 가짜뉴스 탓" [1] 부갤러(175.223) 05.04 84 5
7889652 갑자기 이재명 뽑고싶어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53 0
7889651 성범죄자 집단 쇼트트랙. 일반인 딥페이크 쳐다보고 사기치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35 0
7889650 한화생명 등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상위 1% 가구의 자산은 29억2천 부갤러(125.143) 05.04 40 0
7889648 근데 영끌 폭등이들 전세가랑 월세가 오르면 좋은거아님? 12345(1.234) 05.04 39 0
7889647 현재 형사처벌 대상은 부갤러(175.223) 05.04 25 1
7889646 재산 1조원 넘는놈이 수십명임 부갤러(125.143) 05.04 46 0
7889645 대법관 조희대포함 10명 형사처벌대상됬다.깜빵잘가라ㅋㅋ [9] 흑화냥(119.64) 05.04 117 4
7889644 [속보] MZ 세대는 조폭을 동경한다 부갤러(175.223) 05.04 40 0
7889643 요즘 서울은 못생긴 찐따색히들만 돌아다니네 [1] 부갤러(117.111) 05.04 52 0
7889642 9호선 급행 가지고 강남 여의도 접근성 좋다 지랄하는 놈들 ㅇㅇ(211.234) 05.04 79 2
7889641 모든소비를중단하라조센징한테1원도쓰지마라한녀멸종 586멸종ㄱㄱ - dc [1] ㅇㅇ(118.219) 05.04 29 0
7889640 양도세 다 내고도 손에 잡히는게 200억이면 압구정 반포서도 부자임? ㅇㅇ(121.167) 05.04 60 2
7889639 상장요건이 되도 요식업이 논리실증주의(119.65) 05.04 28 0
7889638 KBS역사다큐_개쌍디언 사투리가 유독 역한이유_개쌍도=짱개 [1] 흑화냥(119.64) 05.04 51 2
7889637 땅집고에서 하급지 정리영상 만들어올림 ㅇㅇ [1] ㅇㅇ(220.78) 05.04 78 0
7889636 “하지마예ㅠㅠ” 보지애교신라와 불일치하는 금/청 황실 유전자 부갤러(133.32) 05.04 43 0
7889635 영끌 유튜버에 낚여서 21년 하급지 잡은 애들은 ㅇㅇ(211.234) 05.04 68 0
7889634 어제 버크셔 주총 봤는데 매우 슬프다 ㅡㅡ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58 0
7889632 좀있으면 자사주매입 이런거 나오면 논리실증주의(119.65) 05.04 31 0
7889631 송도 급지 상승의 위엄 ㄷㄷ 강화도탄지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52 2
7889629 영끌이들 이제 빌라전세 오른다고 선동중 ㅋㅋㅋ ㅇㅇ(211.234) 05.04 57 0
7889628 그리고 요식업 하는 기업에다가 논리실증주의(119.65) 05.04 29 0
7889627 역사다큐_통수개쌍디언이 중국인=짱개이다.타큐멘터리 꿀잼 [11] 흑화냥(119.64) 05.04 62 1
7889626 나 카트라이더하면 직진코스 갈때도 맨날 부딪히던대 [1] 천억좌는부자되(175.116) 05.04 47 0
7889625 원룸사는데 집주인 ㅈ같아서 건축법 소방법 위반사항 ㅇㅇ(211.234) 05.04 39 0
7889624 일본은 미국이랑 1대1 맞다이 가능하네 부갤러(112.159) 05.04 32 0
7889623 6일까지 쉬노 ㅡㅡ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41 0
7889622 1 room ㅇㅇ(211.246) 05.04 52 0
7889620 첫차 모살까?? [10] 천억좌는부자되(175.116) 05.04 102 0
7889619 2014년에 10조원에 매입한 강남구 현대차 부지 지금 20조원 부갤러(125.143) 05.04 73 0
7889618 본좌님 오셨다. [1] 논리실증주의(119.65) 05.04 27 0
7889617 2020년에 강남구 서울의료원부지에 공공주택 3천호 지을려고 했다함 부갤러(125.143) 05.04 48 0
7889616 파크리오 못샀는데 8억올랐네 ㅅㅂ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77 0
7889615 일본처럼 쪼개기방 많아지고 월세집들 늘어날듯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42 1
7889614 고시텔 많아지고 오피스텔,빌라공급 사라질듯 ㅇㅇ(211.235) 05.04 57 0
7889612 반디클은 원베일리 넘어설 수가 없다. ㅇㅇ(211.235) 05.04 60 1
7889611 "우린 협상서 내세울 카드 있다"...일본, '미 국채 매각' 언급 ㅇㅇ(211.235) 05.04 36 0
7889610 행복한 삶을 위해 운전을 배워보려해 [6] 천억좌는부자되(175.116) 05.04 60 0
7889609 카자흐스탄 최고 부자의 정체 ㅇㅇ(106.251) 05.04 120 1
7889607 이재명 앞을 막으면 다 반동분자들 [3] 부갤러(175.223) 05.04 55 0
7889606 한국은 민주당이 잇어서 다행임.. [1] ㅇㅇ(1.219) 05.04 47 0
7889605 석유차 때문에 기후변화 생겼음 ㅇㅇ(182.211) 05.04 26 0
7889603 해외로 이민가는 부붕이들 많네 ㅎㅎ [5] ■x(39.7) 05.04 70 1
뉴스 물 오른 수영, 시청자 금주 시키나..‘금주를 부탁해’ 기대↑ [IS신작] 디시트렌드 05.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