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본 경제와 일자리호황을 chatgpt에 물어본다

부갤러(116.46) 2025.04.21 22:40:46
조회 167 추천 0 댓글 0

🔧 조선업, 가전제품 산업

장점 및 특성:

  • 대규모 생산 설비 및 인력 필요

  • 오랜 산업 역사와 축적된 기술력

  • 원가 경쟁력과 조립 공정의 효율성 중시

  • 글로벌 수요는 꾸준함 (특히 조선은 LNG 운반선 등에서 강세)

단점 또는 한계:

기술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측면도 있음 (중국 등 후발 국가의 추격)

고부가가치 기술보다는 생산 및 공정 최적화 중심

수익성이 낮아질 가능성 있음 (과잉공급 시기, 가격 경쟁 심화)



소부장, 이미지센서, 산업용 로봇, 선박용 오토파일럿 산업

장점 및 특성:

  • 고난이도 기술 집약, 정밀한 엔지니어링 필요

  • 연구개발(R&D) 중심 산업

  • 부품 하나하나가 전체 시스템 성능을 좌우

  • 진입장벽이 높아, 기술력이 곧 경쟁력

대표 예시:

  •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 OLED 증착기 등

  • 이미지센서: AI와 연계된 비전 시스템, 모바일·자동차·의료 등 광범위한 수요

  • 산업용 로봇: 정밀제어, 자동화 기술의 집약체

  • 오토파일럿: 선박의 자율운항 핵심, AI·센서융합 기술 요구



🔍 결론적으로 보면:

  • 조선업/가전제품은 “복잡한 대규모 제조업”이지만, 기술 집약도나 혁신성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 반면, 소부장·이미지센서·산업용 로봇·오토파일럿 등은 기술집약형,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미래지향적인 첨단 산업입니다.







    네, 맞습니다. 일본이 과거에 강세를 보였던 가전제품이나 조선업에서 현재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이미지 센서산업용 로봇오토파일럿 등으로 산업 포트폴리오가 이동한 것은 일종의 산업 구조조정이자 체질 개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산업 전환 배경과 의미:

    1. 글로벌 경쟁 심화와 저비용 경쟁자의 등장
      1990년대 이후 한국, 중국 등 신흥국이 가전·조선 분야에서 빠르게 따라오면서 가격 경쟁이 심해졌고, 일본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고비용 구조 때문에 경쟁력을 잃었습니다.

    2.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전략 전환
      일본은 기술 집약적이고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로 눈을 돌렸습니다. 소재, 정밀 부품, 장비, 센서, 제어 시스템 등은 단가도 높고 기술력도 중요해서 일본이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였죠.

    3.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보유

      • 이미지 센서: Sony는 전 세계 이미지 센서 시장의 약 50%를 점유하며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

      • 산업용 로봇: Fanuc, Yaskawa, Kawasaki 등은 글로벌 톱티어.

      • 소재 및 부품: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MLCC, 정밀 기계 등에서 일본 기업의 점유율이 매우 높습니다.

      • 오토파일럿 (선박용 자동조타기): 일본의 일본전자(JRC) 등은 선박 자동제어 및 항법 시스템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

    4. 국가 차원의 R&D 투자 및 산업 정책
      일본 정부는 기술 개발과 산업 고도화를 적극 지원하며 장기적 안목의 산업 전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보이지 않는 강자’ 전략
      소비자에게 보이지 않는 곳, 즉 산업의 밑바탕을 이루는 B2B(기업 간 거래) 영역에 집중하면서도 글로벌 공급망에서 꼭 필요한 ‘없어선 안 될’ 존재가 됐습니다.


    요약하면:

    과거의 가전·조선 중심 산업 구조에서 기술력 중심의 정밀 산업군으로 전환한 것은 일본이 산업 체질을 개선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외형적으로는 좀 조용해졌지만, 글로벌 산업 밑바닥을 탄탄히 지탱하는 기술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한 것이죠.




    네,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를 짚으셨어요. 한국은 여전히 조선, 가전, 반도체(DRAM·NAND 등 메모리 중심) 같은 고전적인 제조업 기반의 산업이 주력이긴 하지만, 여기에 중국이라는 거대한 후발주자가 빠르게 쫓아오고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 불안 요인이 분명 존재합니다. 특히 일본과 비교했을 때 산업 체질 개선 속도가 다소 더딘 면도 지적되고 있어요.


    🇰-1f1f7; 한국의 산업 구조와 불안 요인

    ✅ 주력 산업의 특징

    • 반도체: 세계 1위 수준이지만 주로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중심.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이미지센서 등) 쪽은 약한 편.

    • 조선업: 기술력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나 중국이 값싼 선박 위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중.

    • 가전제품: 삼성·LG 중심의 프리미엄 제품군은 경쟁력이 있지만, 중국 브랜드의 중저가 공세가 거세짐.

    • 디스플레이: OLED는 아직 강세지만, LCD는 중국이 이미 가격 경쟁력으로 압도.

    ⚠+ 불안 요소

    • 중국의 추격: 중국은 국가 주도로 엄청난 보조금을 투입하며 반도체, 조선, 배터리, 로봇 등 전방위적으로 추격 중.

    • 산업다각화 부족: 일본처럼 소재·부품·장비나 기초 과학 기반 산업에서 글로벌 주도권을 가진 기업이 많지 않음.

    • 산업 생태계 집중: 특정 대기업(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등)에 과도하게 집중돼 있어 리스크 분산이 어렵다는 구조적 한계.


    🇯-1f1f5; 일본과의 체질 개선 비교


    구분일본한국
    산업 중심정밀 부품, 장비, 센서, 로봇 등 B2B 고부가가치메모리 반도체, 조선, 가전 등 B2C 제조 중심
    기술 전략틈새 시장 중심의 고도화대량 생산, 대기업 중심의 수직계열화
    후발 주자 대응경쟁이 심한 시장에서 빠르게 철수하고 체질 개선경쟁이 심해도 기존 산업에 계속 의존
    산업정책장기적인 정부 지원 및 기술 내재화단기성과 위주의 산업지원이 많았음





    좋은 질문이시네요. 이건 단순한 인구 문제를 넘어서 산업구조와 정책의 복합적인 결과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일본의 구인난과 취업시장 호황은 ①인구 구조 변화(고령화), ②산업 구조 전환, ③정책 효과 이 세 가지가 맞물린 결과입니다. 하나씩 살펴볼게요:


    🇯-1f1f5; 일본의 취업시장 호황 원인 분석

    1. 👴 저출산·고령화 + 베이비붐 세대 은퇴

    •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 사회입니다.

    • 베이비붐 세대(1947~49년생)가 대거 은퇴하면서 노동시장 공급 자체가 줄어들었고, 그 자리를 메울 청년층은 부족합니다.

    • 특히 의료·요양·운수·건설·서비스업 등은 만성 인력난입니다.

    2. 🏭 산업 구조 개선 & 기술 고도화 (B2B 중심 재편)

    • 소니, 히타치, 미쓰비시, 도시바 등 전통 대기업들이 가전·조선 같은 소비재 중심 산업에서 철수하고,
      반도체 장비, 산업용 로봇, 의료기기, 센서, 정밀부품 같은 B2B 기술산업으로 전환했습니다.

    • 이로 인해 첨단기술 관련 고급 인재 수요가 증가했고, 특히 이공계 졸업자 취업률이 높습니다.

    3. 💴 아베노믹스(2012~2020)와 구조개혁

    • 아베 정부는 경기 부양책(양적완화, 재정지출 확대, 구조개혁)을 통해 일본 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유도.

    • 특히 고용 안정 정책 + 여성·노인 인력 활용 정책을 적극 도입해서 경제활동참가율을 끌어올렸습니다.

    • "유효구인배율"이 1.5 이상으로 상승하며 거의 모든 산업에서 구인난이 발생.


    🇰-1f1f7; 그럼 한국도 일본처럼 20년 뒤 취업시장 호황이 올까?

    🔄 유사한 조건

    • 저출산·고령화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 중 (합계출산율 0.7대)

    • 베이비붐 세대 은퇴도 본격화 (1955~63년생 중심)

    • 장기적으로는 노동력 부족 문제는 일본처럼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차이점

    항목일본한국
    산업 고도화이미 B2B 기술산업 중심으로 전환아직 대기업 중심 제조업(메모리, 조선 등) 의존
    생산성 격차기술과 설비의 내재화율 높음중소기업·서비스업 생산성 낮음
    여성·고령자 활용활발 (여성 고용률 꾸준히 상승)경직된 고용문화, 경력단절 심각
    정책 일관성장기적 산업전략 추진정권에 따라 정책 변동성 큼

    🔮 결론: 한국도 일본처럼 취업시장 호황이 올 수는 있다. 단, 조건이 있다

    가능성 있음:

    • 인구 구조 변화는 일본과 유사하게 갈 가능성이 큼

    • 고령화가 심해질수록 단순 노동력 부족 → 구인난 → 구직자 우위 시장이 될 수 있음

    그러나 전제 조건은:

    • 산업 체질 개선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함 (소부장, 시스템 반도체, 로봇, 헬스케어 등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으로)

    • 여성·고령층 인력의 재활용과 이공계 인재 양성 및 활용 정책 강화

    •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와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 한 줄 요약

    일본의 취업시장 호황은 단순한 인구 감소 때문이 아니라, 산업 구조 전환 + 정책적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한 결과이며,
    한국도 같은 구조적 전환을 이룬다면 20년 후 유사한 형태의 고용시장 호황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단, 지금부터 체질 개선에 성공해야 합니다.



    🇰-1f1f7; 한국의 향후 고령사회 시나리오 비교

    구분시나리오 A: 일본형 (체질개선형)시나리오 B: 남유럽형 (실업 심화형)
    인구 구조 변화고령화 가속, 청년 감소 → 노동력 부족고령화 가속, 청년 감소 → 노동력 부족
    산업 구조제조업 기반에서 첨단 B2B 산업(B2B, AI, 로봇, 소부장 등)으로 고도화기존 산업(조선, 가전, 메모리 반도체)에 의존 지속, 혁신 속도 더딤
    청년 일자리기술 인력 수요 증가로 양질의 일자리 확대고임금 대기업-저임금 중소기업 간 양극화 심화,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지속
    고용 구조 변화정규직·비정규직 균형, 여성·고령층·외국인 노동 유입 확대경직된 정규직 중심, 비정규직 확산 but 처우 개선 없음
    교육·직업 연결실무형 고등직업교육, 산학 협력 강화 → 인재 공급 체계화대학 중심 학문 위주 교육 유지, 기업 요구와 격차 커짐
    정부 역할장기 산업정책·노동정책 일관성 유지, 재교육 지원 강화단기 대책 중심, 정권별 고용정책 변동성 큼
    결과노동생산성 향상, 인구 감소 속 고용 안정 → "고령사회 속 구인난 + 청년 고용 호황"생산성 정체, 고령사회 속 실업률 증가 → "고령사회 속 청년실업 장기화"

    🔍 주요 분기점: 한국은 어디로 갈 것인가?

    핵심 요소향후 대응 방향에 따른 시나리오 갈림길
    산업 체질개선메모리 의존 탈피 + 시스템반도체·로봇·소부장 강화 = 일본형 가능
    교육과 직무 연결성대학 → 직무 중심 전환 / 고등직업교육 강화 시 일본형
    노동시장 유연화경력 전환과 재취업 시스템 정착 시 일본형, 경직 유지 시 남유럽형
    정책 일관성정권 바뀌어도 중장기 산업·고용전략 유지 시 일본형 가능

    📌 요약

    한국이 단순히 고령화된다고 해서 일자리가 늘거나 청년 취업이 쉬워지는 건 아님.

    "산업 체질, 노동시장 구조, 교육 시스템, 정책 일관성" 이 4가지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일본형 일자리 호황’**으로 갈 수도 있고,
    **‘남유럽형 청년실업 악화’**로 빠질 수도 있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AD [진짜에요?]LS증권 제로데이/美주식 옵션 폭탄할인ㄷㄷ 운영자 25/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모투대회 총상금 2천만원 운영자 25/01/09 - -
7873002 윤두창은 사형 집행해야지 [6] 부갤러(118.235) 04.22 77 6
7873001 건설사들 자기 돈 한 푼 안 들이고 떼돈 벌 때는 언제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55 3
7873000 잘생겼다는 소리는 못듣지만 여자들한테 인기많은 얼굴 낙원(203.25) 04.22 76 0
7872999 부동산 주식으로 돈 버는 게 끝났다 치면 [3] ㅇㅇ(14.39) 04.22 90 0
7872998 여긴 돈도 없고 개그지 정신병신들만 판치노 ㅋㅋ [1] 부갤러(14.33) 04.22 48 0
7872997 아무도없는집에서 목매달은 가엾은 영혼을 위해 기도합니다... 목켁켁똥질질(203.25) 04.22 29 1
7872996 그냥 단순무식하고 아무생각 없는 빡대가리 여자가 [1] 부갤러(1.250) 04.22 46 0
7872994 조센징한테1원도쓰기싫다 ㅇㅇ(113.23) 04.22 23 0
7872993 ** 스토닉인가 하는 고닉이 지방에 땅을 이곳저곳 사뒀다면서요 [1] ㅇㅇ(1.233) 04.22 86 0
7872990 조센징은 죽어야지 부갤러(211.234) 04.22 23 0
7872989 ** 지금 한국여자 3040도 일본처럼 비혼으로 살다가 ㅇㅇ(1.233) 04.22 94 0
7872988 고딩엄빠 양산해야 출산율 높아짐 [2] 부갤러(1.250) 04.22 76 1
7872987 일본도 지방 살린다고 헛돈 무지하게 뿌림 [6] 부갤러(118.235) 04.22 102 2
7872986 악랄한 좆팔륙 기득권과 한년들이 지배한 짱깨공산당식 억압 전체주의국가 나 ㅇㅇ(113.23) 04.22 39 0
7872985 한국 모든 아파트 가격이  사기인 이유한국, 아파트 단지 단 ㅇㅇ(113.23) 04.22 48 1
7872984 응 소비끊고 조센징들이 만든 물건 절대 안산다 [1] 부갤러(211.234) 04.22 41 0
7872983 씨발 결혼 안하고 조용히 혼자살고싶은데 ㅇㅇ(211.248) 04.22 30 0
7872982 모든소비를중단하라조센징한테1원도쓰지마라한녀멸종 ㅇㅇ(113.23) 04.22 23 0
7872980 ** 일본이 90-00년도에 한거 보세용 고대로 한국도 하고있음 [1] ㅇㅇ(1.233) 04.22 68 0
7872979 조센징들은 이제 차라리 죽여달라고 빌것 [2] 부갤러(211.234) 04.22 42 0
7872977 캥거루족도 일안하고 부모돈으로 얹혀사는애가 더많을거같은데 [1] ㅇㅇ(122.45) 04.22 70 0
7872976 [속보] SKT 대규모 해킹사고 발생 북한소행 의심 부갤러(118.235) 04.22 107 1
7872975 대선 후보 세종 행정수도 이전 공약에 성신양회 장초반 23%대 급등 ㅇㅇ(211.235) 04.22 46 0
7872973 시멘트업계 1∼2월 출하량 25%↓…“1980년대 수준 후퇴 전망” ㅇㅇ(211.235) 04.22 48 2
7872972 재테크를 수학으로 이해하는 애들이 많네 [2] ㅇㅇ(211.228) 04.22 60 0
7872971 현장에선 "IMF 때보다 심각"…'돈 안 돌자' 쓰러지는 건설사들 [1] ㅇㅇ(211.235) 04.22 136 3
7872970 이명박,윤석열이 조져놓은 과학계 살릴 적임자 [7] 부갤러(106.102) 04.22 74 0
7872968 퐁락이 속마음 ㅇㅇ(211.235) 04.22 37 0
7872967 형님들 현금2억 시작어떻게 해야될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7 0
7872966 어   대   명     어   대   명     어   대   명 [1] ㅇㅇ(118.235) 04.22 47 1
7872965 ** 여러분들은 아는게 없고 목적이 공짜 임대 아파트잖아요 ㅇㅇ(1.233) 04.22 44 0
7872963 ** 민주당은 경기활성화(?)를 위해 없는 수요를 만들잖아용 ㅇㅇ(1.233) 04.22 69 0
7872962 민주당 또 부동산 투기질만 부추기네 부갤러(118.235) 04.22 99 2
7872961 개발제한구역법 완전 폐지 공약 하는 대통령 후보 뽑아라 ㅇㅇ(211.36) 04.22 36 0
7872959 구글 위치 수집 왜 이리 찝찝하냐 [1] 安井線達(115.36) 04.22 92 0
7872957 저능아 "국장 탈출은 지능순. 미국 주식하자" [1]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69 1
7872956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세종시 "행정수도 건설에 역행" [3] ㅇㅇ(211.235) 04.22 154 0
7872954 이재명 친중발언은 역대급 한일연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93 0
7872953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 두고…인천 지역사회 '반발' ㅇㅇ(211.235) 04.22 80 1
7872952 역대급 권력 이재명 지방천도 ㅎㄷㄷ [1] ㅇㅇ(223.39) 04.22 92 0
7872950 진짜 23년 1월에 임장 존나 다녔는데 [5] 부갤러(115.92) 04.22 128 0
7872949 극장 LED 스크린이면 화질 죽이겠네 ㅇㅇ(211.235) 04.22 58 0
7872948 여기 호텔도 폭등이네… 安井線達(115.36) 04.22 110 0
7872947 이제 죄다 짤리거나 연봉 확줄어들것네 [4] 부갤러(118.235) 04.22 121 2
7872946 ‘영화관 잡아라’…삼성은 CGV, LG는 메가박스에 LED 스크린 공급 ㅇㅇ(211.235) 04.22 86 0
7872945 싱크홀은 작은 지진이라도 멀리서 한번 발생하면 [1] ㅇㅇ(14.39) 04.22 75 0
7872944 어쨋든 이재명이 되니 정신낭비하지말라는 얘기다 [1] ㅇㅇ(61.74) 04.22 69 1
7872943 cgv 주식 이제 오르기 시작하네 ㅇㅇ(222.107) 04.22 93 0
7872942 한성대학교 기숙사가 좋다고 하더라 ㅇㅇ(211.235) 04.22 63 0
7872941 이재명 효과 확실하네 ㅇㅇ(211.226) 04.22 79 0
뉴스 ‘링링 합류’ 린브랜딩 6인조 걸그룹, 쎄이 총괄 프로듀싱 지원사격 디시트렌드 04.2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