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이진호가 말하는 김수현 닭도리탕 영상이 조작된 이유 ㅇㅇ
- 4월 3일 시황 우졍잉
- 인구문제폭탄 한국은 끝났다. 2400만 유튜버의 경고. 가비능
- 현역 군인 매수해 "한미훈련 정보" 캐낸 중국인 체포 안유댕
- 바르셀로나 코파 델 레이 결승 진출 골 모음...gif 메호대전종결2
세상에서 가장 비싼 건물이 세워지기까지
이전화 링크 https://blog.naver.com/pigeon_0515/223593665060못다 한 TMI1. 소련의 우주정거장 프로그램은 어쩌면 더 이른 시기부터 계획되었을지도 모릅니다. 군사적 목적의 우주정거장은 N1로켓의 실패 이전인 1964년 무렵부터 비밀리에 준비중이었단 분석도 있죠. 그러나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긴 것은 미국이 먼저 달에 사람을 보낸 후, 우주개발의 방향성을 바꾸면서이니 편하게 1970년대부터 시작했다 하겠습니다.2. 소련의 군사 목적 우주정거장 시리즈인 ALMAZ는 단순 첩보위성을 넘어 무기가 탑재되었다고 하는데 실제로 발사했는지에 대해선 기록이 엇갈립니다. 반동을 우려해 발사하지 않았다고도 하고, 정거장 폐기 전 원격으로 탄약을 소모했다고도 하지만, 확실한 건 무기를 장비했던 진짜 '군사용' 정거장이었단 사실이죠.3. 2003년 화성 탐사선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를 마지막으로 우주선을 두 대씩 만드는 방식은 사라졌습니다. 단순히 비용 부담도 있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실패 위험이 낮아지면서 한 대만 제대로 만들어도 문제없이 운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론 두 대씩 만들고 첫 번째가 성공하면 남은 건 전시하거나 연구용으로 쓰던 낭만의 시대가 돌아왔으면 하는 바램도 있습니다.4. 스카이랩의 생활은 분명 풍족했지만 여전히 기술적 한계가 많았습니다. 샤워를 할 수 있었지만 뒷처리가 어려웠고, 화장실 또한 불편했죠. 음식도 오늘날에 비해선 여전히 싱겁고 단조로웠다고 합니다. 더 자세한 우주의 생활 이야기는 ISS를 다룰 때 에서 다시 조명하도록 할게요.5. 스카이랩의 앰블럼은 번호 오류가 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스카이랩을 궤도에 올린 무인 발사부터 1, 이후 세 번의 유인 임무가 2~4이지만 어째서인지 유인 임무의 앰블럼에 스카이랩 1~3이라 적혀 있죠. 이는 임무 계획 단계에서 서로 다른 약칭을 사용하다 미션 패치 발주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한 것인데요, 알아챘을 땐 이미 우주복에 패치가 박힌 후라 그냥 사용했다고 합니다.그리고 이번 만화를 마지막으로 전 군대로 갑니다. 스피노자가 사과나무 심는 느낌으로 준비한 만화 재밌게 보셨으면 좋겠고, 전역 후 우주정거장 이야기를 마무리하고(아마 ISS와 중국 우주정거장, 철거 및 미래 계획 등을 다루려면 두 편은 더 그려야 할 것 같습니다) 태양계탐사 이야기로 이어질 것 같습니다.그러니 우주라이크 유니버스 2부 1쿨은 이번 화로 끝입니다. 2쿨은 18개월 후 연재 재개됩니다!그동안 작가 블로그 구경해주시면 비둘기는 행복합니다 비둘기덮밥's 낙서장 : 네이버 블로그 과학 만화가, 천문학 애호가, 비둘기blog.naver.comhttps://blog.naver.com/pigeon_0515
작성자 : 비둘기덮밥고정닉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